KR101177899B1 - 주화계수포장기 - Google Patents
주화계수포장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7899B1 KR101177899B1 KR1020100121451A KR20100121451A KR101177899B1 KR 101177899 B1 KR101177899 B1 KR 101177899B1 KR 1020100121451 A KR1020100121451 A KR 1020100121451A KR 20100121451 A KR20100121451 A KR 20100121451A KR 101177899 B1 KR101177899 B1 KR 101177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n
- height
- sensor
- unit
- sens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주화계수포장기의 케이스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일측 사시도,
도 3은 주화계수포장기의 케이스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타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통에 제2발광,수광센서가 설치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주화투입부와 통로조절부, 배출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일측 사시도,
도 8은 주화투입부와 통로조절부, 배출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타측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평면도,
도 11은 도 7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제2엔코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0b : 프린터 11 : 주화투입부
11a : 저장통 11a' : 수거관
11b : 제2발광센서
11c : 제2수광센서 20 : 주화홀더
21 : 제3발광센서 22 : 제3수광센서
30 : 차폐수단 40 : 포장이송부
41 : 주동력모터 41a : 벨트
50 : 캠 50a : 웜휠
51 : 주화안치구
52 : 웜기어 53 : 제1홀
54 : 제1엔코더 55 : 제1발광센서
56 : 제1수광센서 60 : 주화포장부
60a : 포장지
61 : 계수모터 62 : 구동체
62a : 구동돌기면 62b : 구동홈면
62c : 구동판 62d : 구동돌기
63 : 제2엔코더 63a : 공통센서홀
63b : 내측센서홀 63c : 중간감지홀
63d : 외측감지홀 64 : 제4발광센서
64a,64b,64c : 제1,2,3센서부
65 : 제4수광센서 66 : 종동체
66a : 종동홈면 66b : 작동홈
70 : 통로조절부 71 : 이동통로
72 : 통로돌기면 73 : 통로조절판
74 : 가동로울러 75 : 고정로울러
80 : 배출높이조절부 81 : 배출제한구
84 : 높이조절판 84a : 높이단
85 : 높이조절로우러 86 : 브라켓
87 : 회전축 100 : 주화계수포장기
200 : 케이스 201 : 디스플레이창
202 : 작동패널
Claims (6)
- 주화투입부(11)에 투입되는 주화가 권종선택계수부(10)에서 분류되어 주화홀더(20)를 거쳐 차폐수단(30)에 쌓이고, 주동력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는 포장이송부(40)의 캠(50) 회전으로 차폐수단(30)의 하부로 이동하는 주화안치구(51)에 주화가 올려지면 주화포장부(60)에서 단위수량으로 포장지(61)로 포장하도록 구성되는 주화계수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를 선택시 계수모터(61)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구동체(62)의 상부로 설치되된 제2엔코더(63)가 한 쌍 이상의 제4발광센서(64)와 제4수광센서(65)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구동체(62)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체(66)의 상부로 축 연결되어 회전하며 선택 주화의 직경에 따라 이동통로(71)의 통로 폭을 조절하는 통로조절부(70)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조절부(70)의 상부로 선택 주화의 두께에 따라 주화투입부(11)에 투입된 주화가 적층되지 않고 한 개씩 일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제한구(81)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출높이조절부(8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62)는 호 형상의 구동돌기면(62a)과 호 형상의 구동홈면(62b)이 원주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6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판(62c)의 원주면을 따라 작동돌기(62d)가 구동홈면(62b)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종동체(66)는 구동체(62)의 구동돌기면(62a)과 면 접촉하는 종동홈면(66a)과, 작동돌기(62d)가 삽입되는 작동홈(66b)이 동일 개수로 원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구동체(62)가 모터(67)에 의해 회전시 구동돌기면(62a)에 종동홈면(66a)이 접촉하고 작동돌기(62d)가 작동홈(66b)에 삽입되어 종동체(6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엔코더(63)에는 원주를 따라 트랙 형상의 공통센서홀(63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공통센서홀(63a)의 길이를 3등분 하는 원주선 중 내측 원주선에는 내측감지홀(63b), 중간 원주선에는 중간감지홀(63c), 외측 원주선에는 외측감지홀(63d)을 공동센서홀(63a)들의 사이에 형성하며,
상기 제4발광센서(64)와 제4수광센서(65)는 세 쌍으로 제1~3센서부(64a)(64b)(64c)를 형성하여 각각 제1센서부(64a)는 내측 원주선을 감지, 제2센서부(64b)는 중앙 원주선을 감지, 제3센서부(64c)는 외측 원주선을 감지하도록 하여,
상기 제2엔코더(63)의 회전시 제1센서부(64a), 제2센서부(64b), 제3젠서부(64c)는 공통센서홀(63a)에서는 동시에 발광 빛이 수광되며, 내측감지홀(63b), 중간감지홀(63c), 외측감지홀(63d)에는 제1~3센서부(64a)(64b)(64c)가 선택적으로 발광 빛이 감응하여 배출제한구(81)의 높이 조절 및 이동통로(71)의 폭 조절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감지홀(63b)과 중간감지홀(63c)은 각각 두 개, 외측감지홀(63d)은 3개로 형성하여,
상기 두 개의 내측감지홀(63b) 중 하나와 중간감지홀(63c)의 두 개 중 하나가 동일 지름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내측감지홀(63b)과 중간감지홀(63c)이 동일 지름 선상에 위치되지 않는 각각의 다른 내측감지홀(63b)과 중간감지홀(63c)에 외측감지홀(63d)이 중 두 개가 동일 지름 선상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독립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1~3센서부(64a)(64b)(64c)가 내측감지홀(63b),중간감지홀(63c),외측감지홀(63d)에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두 개가 발광 빛에 동시 감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높이조절부(80)는 주화의 직경에 따라 이동통로(71) 폭을 조절하는 통로조절판(73)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판(84)의 상부면에 원주를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높이단(84a)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판(84)의 높이단(84a)에 접촉하는 높이조절로울러(85)가 일 끝단에 결합되는 브라켓(86)의 중앙부와 회전축(87)으로 배출제한구(81)를 고정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로울러(85)가 높이단(84a)에 접촉할 때 단차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시 브라켓(86), 회전축(87)이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출제한구(81)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종동체(6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태된 주화의 직경에 맞는 주화홀더(20)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로울러(85)의 높이단(84a)은 주화의 종류에 의한 두께 차이에 따라 개수가 다수 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계수포장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51A KR101177899B1 (ko) | 2010-12-01 | 2010-12-01 | 주화계수포장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51A KR101177899B1 (ko) | 2010-12-01 | 2010-12-01 | 주화계수포장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939A KR20120059939A (ko) | 2012-06-11 |
KR101177899B1 true KR101177899B1 (ko) | 2012-08-28 |
Family
ID=4661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4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7899B1 (ko) | 2010-12-01 | 2010-12-01 | 주화계수포장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78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47912A (zh) * | 2016-11-07 | 2017-02-22 | 李洪武 | 硬币塑封包装机 |
CN110136318B (zh) * | 2019-05-15 | 2021-01-01 | 武汉科技大学 | 一种硬币包装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523Y1 (ko) | 2002-10-31 | 2003-02-05 | 김재옥 | 자동 주화포장기 |
KR100750888B1 (ko) | 2006-07-11 | 2007-08-22 | 김재옥 | 이권종 및 유사주화감별 주화포장기 |
-
2010
- 2010-12-01 KR KR1020100121451A patent/KR10117789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523Y1 (ko) | 2002-10-31 | 2003-02-05 | 김재옥 | 자동 주화포장기 |
KR100750888B1 (ko) | 2006-07-11 | 2007-08-22 | 김재옥 | 이권종 및 유사주화감별 주화포장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939A (ko) | 2012-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20787A (en) | Bill processing apparatus | |
KR101177902B1 (ko) | 주화계수포장기 | |
KR101177899B1 (ko) | 주화계수포장기 | |
CN1181738A (zh) | 用于输送单一面值纸币的装置 | |
CN103241406B (zh) | 药片供给装置、药片供给系统及药片供给方法 | |
JP3558974B2 (ja) | 硬貨包装機 | |
WO2005088566A1 (ja) |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 |
JPH07175956A (ja) | 硬貨包装機 | |
JP2005259086A (ja) | 紙葉類取扱装置 | |
JPH0750516B2 (ja) | 硬貨選別処理機 | |
JP2007210718A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保守システム | |
US4555104A (en) | Overlapping document feed apparatus | |
JP6431931B2 (ja) |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方法 | |
US4979357A (en) |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discrepancy in number of stacked coins provided in coin wrapping machine | |
US20040108648A1 (en) | Compact banknote dispensing device with banknote length sensor | |
JP4528081B2 (ja) | 包装硬貨受渡装置 | |
KR20110016236A (ko) | 주화포장기 | |
WO2009130783A1 (ja) | 硬貨処理装置 | |
KR101016328B1 (ko) | 주화포장기용 주화포장부의 구조 | |
KR101058543B1 (ko) | 주화계수기나 주화포장기의 권종선택계수부 구조 | |
JPH1024909A (ja) | 硬貨包装機 | |
JP2011522338A (ja) | ベルト型紙幣計数機 | |
JP3698590B2 (ja) | 硬貨包装機 | |
KR100796269B1 (ko) | 마찰식 지폐계수기에서의 이권종 지폐 검출방법 | |
KR102821351B1 (ko) |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