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6955B1 -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955B1
KR101176955B1 KR1020100079002A KR20100079002A KR101176955B1 KR 101176955 B1 KR101176955 B1 KR 101176955B1 KR 1020100079002 A KR1020100079002 A KR 1020100079002A KR 20100079002 A KR20100079002 A KR 20100079002A KR 101176955 B1 KR101176955 B1 KR 10117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arbon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thin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545A (ko
Inventor
이전국
민형섭
최원국
오영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9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전도성 박막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켜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은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 상기 탄소나노튜브들에서 성장한 탄소나노섬유들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일단에 위치하는 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은 (1)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시트 상에 촉매 입자 또는 촉매를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a)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A CARBON NANO TUB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WITH LOW FACE RESISTANC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전도성 박막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켜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박막은 전극을 구성하여 유연 기판 터치 스크린, 유기 태양전지, 유연 기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등에 이용하고 있고, 그 활용의 분야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이다.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투명전도성 박막은 생산이 용이하고, 대면적화가 가능하여 매우 유용하다.
또한 투명전도성 박막으로 상용하기 위하여는, 투명도는 파장 550 ㎚에서 85% 이상의 광투과도가 필요하고, 면저항은 100Ω/□ 이하일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투명전도성 박막은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사용되는 고분자가 물, 화학물질, 고온 등에 취약하여, 박막을 성형하는 과정, 즉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박막이 손상되기 쉽고,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패터닝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들 간의 접촉 부분에서 접촉 저항이 커져서 투명전도성 박막의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전도성 박막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들 간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서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은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 상기 탄소나노튜브들에서 성장한 탄소나노섬유들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일단에 위치하는 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은 (1)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시트 상에 촉매 입자 또는 촉매를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a)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전도성 박막 내의 탄소나노튜브에서 성장한 탄소나노섬유가 탄소나노튜브 간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투명전도성 박막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시트 내에서 탄소나노튜브 간의 접촉부와 이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하는 경우, 니켈 입자 양에 따른 광투과도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경우, 니켈 입자 양에 따른 광투과도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튜브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 양을 달리하여 형성하는 경우, 박막의 SEM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오른쪽 사진을 보다 확대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경우, 박막의 SEM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오른쪽 사진을 보다 확대한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박막의 라만 분석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만 분석 그래프의 Radial breathing mode (150 - 300 cm-1) 영역의 확대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0의 라만 분석 그래프의 G band (1500 - 1680 cm-1) 영역의 확대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서 스프레이 코팅 및 수세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를 나타내는 SEM 사진 ((a) 및(b))과 혼합용액의 조성에 따라 형성된 박막의 SEM 사진 ((c) 내지(e))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박막의 광투과도 그래프이다.
도 15는 탄소나노섬유가 성장한 탄소나노튜브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은,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 상기 탄소나노튜브들에서 성장한 탄소나노섬유들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일단에 위치하는 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Ni, Fe, Ni-Fe, Cu-Ni, Co, V, Mo, Cr 또는 Ru 촉매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고온에서 가스와 접촉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촉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면 적용가능하다.
도 1은 시트 내에서 탄소나노튜브 간의 접촉부와 이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난 탄소나노튜브들 간의 접촉부에서의 접촉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소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은, (1)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시트 상에 촉매 입자 또는 촉매를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는 바 코팅 (bar coating)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촉매는 입자 형태인 경우에 반응에 유리하다. 그러나 완전히 개별적인 입자로 존재하지 않고 박막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탄소나노섬유가 성장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은, (a)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혼합용액 중의 상기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의 중량 비율이 30 : 1 내지 3 : 1일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니켈 촉매 입자인 경우 Ni(NO3)2 0.1M 용액과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용액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목적하는 탄소나노튜브와 니켈 촉매 입자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두 가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촉매는 Ni, Fe, Ni-Fe, Cu-Ni, Co, V, Mo, Cr 또는 Ru일 수 있고, 단계 (3) 및 단계 (c)의 고온은 500 ℃ 내지 700 ℃인 것일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는 탄화수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일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 가스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실시예들일 뿐,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서 사용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의 물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0052658461-pat00001
실시예 1
유리 위에 에틸 셀로술브 용매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용액 (CNT D3)을 이요하여 바 코팅 (bar coating)법으로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형성하고 이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한다. 스퍼터링 법으로 니켈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였다. 니켈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박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적 특성은 좋아지나 투명도는 떨어지게 된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하는 경우, 니켈 입자 양에 따른 광투과도 그래프이다.
니켈 촉매 입자가 형성된 시트에 고온 상태에서 에틸렌 가스를 접촉시켜 탄소나노섬유가 성장하도록 하였다. 탄소나노튜브가 성장하면서 니켈 촉매는 탄소나노섬유의 일단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경우, 니켈 입자 양에 따른 광투과도 그래프이다.
표 2에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한 상태 (Ni dep.)와, 이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상태 (CNF bridging)의 전기저항과 광투과도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52658461-pat00002
탄소나노섬유를 형성하면, 전기 전도도가 개선되고, 자라나는 탄소 나노 파이버 끝에 Ni 촉매가 붙어서, 광투과가 증대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튜브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 양을 달리하여 형성하는 경우, 박막의 SEM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오른쪽 사진을 보다 확대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경우, 박막의 SEM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오른쪽 사진을 보다 확대한 것이다.)
탄소나노섬유가 성장함에 따라, 도 9와 같이 각기 다른 탄소나노튜브로부터 성장한 탄소나노섬유들이 연결되어 접촉 저항이 감소하고 전기전도도가 증대된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킨 박막의 라만 분석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만 분석 그래프의 Radial breathing mode (150 - 300 cm-1) 영역의 확대 그래프이고, 도 12는 도 10의 라만 분석 그래프의 G band (1500 - 1680 cm-1) 영역의 확대 그래프이다.
Radial breathing mode (150 - 300 cm-1) 영역에서는 탄소나노섬유의 형성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이 증대되고, 반도체성 탄소의 양이 감소함을 알 수 있고, G band 영역에서는 탄소나노섬유의 형성에 의해 탄소나노튜브의 접촉 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시트를 만들고 이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한 것과 달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용액 (CNT D4)과 니켈을 포함하는 용액 (0.1M Ni(NO3)2 용액)의 혼합용액으로부터 바로 시트를 형성하였다.
전도성 고분자 결합제를 넣지 않고 사용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는 0.3 중량%였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순도는 35%였다. 0.2 mm 직경의 노즐을 사용하여 코팅 후 120 ℃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도 13은 실시예 2에서 스프레이 코팅 및 수세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를 나타내는 SEM 사진 ((a) 및(b))과 혼합용액의 조성에 따라 형성된 박막의 SEM 사진((c) 내지(e))이다.
CNT D4 용액만을 코팅하면, 도 13의 (a)와 같이, 계면 활성제가 잔류하여, 전기 전도도가 낮고 표면이 고분자로 덮혀 있다. 표면 계면 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면 도 13의 (b)와 같이 탄소나노튜브가 겉으로 드러나게 된다.
0.3 중량% CNT D4 용액과 니켈을 포함하는 용액 (0.1M Ni(NO3)2 용액)의 50:1 내지 5:1 (이는 탄소나노튜브 : 촉매 (니켈)이 30:1 내지 3:1인 것에 대응된다.)혼합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형성한 시트의 SEM 사진이다.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많아질수록 탄소나노튜브의 형태가 드러나게 된다. 수세 후처리 이후 형성된 박막의 전기적 특성 및 광투과도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10052658461-pat00003
표 3에서 보여지듯이, Ni(NO3)2 용액을 섞어 스프레이 코팅한 경우, 면저항이 감소하였고, 후처리로 수세한 후 면저항이 더욱 감소하였다.
CNT D4 용액과 0.1M Ni(NO3)2 용액을 10:1로 섞은 용액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코팅한 시트에 고온의 에틸렌 가스를 접촉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켰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Figure 112010052658461-pat00004
표 4와 같이 탄소 나노 파이버 bridging에 의해 면저항 값이 755 Ω/□에서 273 Ω/□으로 감소하였다. 광투과 특성은 도 14와 같이 탄소나노섬유의 형성으로 광투과도가 개선되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시트에 니켈 촉매 입자를 형성하고 이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제1 탄소나노튜브
(2) 제2 탄소나노튜브
(3) 탄소나노튜브 간 접촉부
(4) 촉매 입자
(5) 탄소나노섬유

Claims (11)

  1.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
    상기 탄소나노튜브들에서 성장한 탄소나노섬유들;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일단에 위치하는 촉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Ni, Fe, Ni-Fe, Cu-Ni, Co, V, Mo, Cr 또는 Ru 촉매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전극소자.
  4. (1) 탄소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시트 상에 촉매 입자 또는 촉매를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500 ℃ 내지 700 ℃의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바 코팅 (bar coating)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6. (a)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500 ℃ 내지 700 ℃의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탄소나노섬유를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 중의 상기 탄소나노튜브들과 촉매의 중량 비율이 30 : 1 내지 3 : 1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Ni, Fe, Ni-Fe, Cu-Ni, Co, V, Mo, Cr 또는 Ru 촉매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는 탄화수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11.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 가스인 것인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100079002A 2010-08-16 2010-08-16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7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002A KR101176955B1 (ko) 2010-08-16 2010-08-16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002A KR101176955B1 (ko) 2010-08-16 2010-08-16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45A KR20120016545A (ko) 2012-02-24
KR101176955B1 true KR101176955B1 (ko) 2012-08-30

Family

ID=4583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0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6955B1 (ko) 2010-08-16 2010-08-16 면저항이 낮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5146B (zh) * 2023-05-22 2024-07-30 电子科技大学 一种铁镍钼合金催化丙烯生长碳纳米管阵列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064A (ja) * 2008-12-15 2010-06-24 Sony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064A (ja) * 2008-12-15 2010-06-24 Sony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45A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kaya et al. One-step sub-10 μm patterning of carbon-nanotube thin films for transparent conductor applications
Li et al.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carbon nanotube materials in terms of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Kaskela et al. Aerosol-synthesized SWCNT networks with tunable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by a dry transfer technique
KR101956145B1 (ko) 탄소나노튜브-폴리머 층상 복합 투명 플렉서블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01466252B (zh) 电磁屏蔽层及其制备方法
Niu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Kim et al. Carbon Nanotube‐Adsorbed Electrospun Nanofibrous Membranes of Nylon 6
WO2017219853A1 (zh) 一种碳焊结构单壁碳纳米管柔性透明导电薄膜及制备方法
JP2013542546A (ja) グラフェン/格子混成構造に基づいた透明電極
JP5290926B2 (ja) 導電性構造体を利用した導電性フィルム製造方法
US20050266162A1 (en) Carbon nanotube stripping solutions and methods
US20040265550A1 (en) Optically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ical conductors
US20140127122A1 (en) Fugitive viscosity and stability modifiers for carbon nanotube compositions
JP2005089738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溶液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体
Esconjauregui et al. Efficient transfer doping of carbon nanotube forests by MoO3
JP2010506824A (ja) 透明な導電性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
JP2011504280A (ja) 導電性が改善され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iu et al. Transparent boron-doped carbon nanotube films
TW201136828A (en) Fullerene-doped nanostructures and methods therefor
Park et al.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in deoxycholate-stabilized carbon nanotube thin films
JP2009193964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サンドイッチ構造を有す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該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を含むアノードならびに該アノード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を含む有機発光ダイオード
KR101798085B1 (ko) 조밀한 부분 및 성긴 부분을 갖는 단층 카본 나노튜브를 갖는 막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막을 갖는 재료와 그 제조 방법
Zhao et al. High efficiency CNT-Si heterojunction solar cells by dry gas doping
JP2014529353A (ja) 金属ナノワイヤを官能基化する方法及び電極を作製する方法
Zhu et al. High throughput preparation of large area transparent electrodes using non-functionalized graphene nanorib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