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6335B1 - 회전식 좌변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335B1
KR101176335B1 KR1020120011012A KR20120011012A KR101176335B1 KR 101176335 B1 KR101176335 B1 KR 101176335B1 KR 1020120011012 A KR1020120011012 A KR 1020120011012A KR 20120011012 A KR20120011012 A KR 20120011012A KR 101176335 B1 KR101176335 B1 KR 10117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water supply
toilet
moto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구
Original Assignee
유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해구 filed Critical 유해구
Priority to KR102012001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위쪽의 급수부의 급수관이 좌변기의 상단 물공급부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끝단에는 자바라관으로 형성하여 바닥면의 하수구와 연결되어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외면에는 기어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에 한쪽이 고정된 케이블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의 회전기어와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좌변기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저면과 바닥면에는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하여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좌변기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부의 내부로 내장하도록 하여 비교적 협소한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병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좌변기{a toilet bowl}
본 발명은 회전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급수부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좌변기를 모터의 회전력과 케이블의 견인력에 의한 전후 이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급수부의 하단에 완전히 내장되도록 하거나 완전히 역회전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도록 하여 좌변기에 앉을 부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저면과 바닥면에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좌변기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부의 내부로 내장하도록 하여 비교적 협소한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병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내에 설치되는 좌변기는 주로 욕실이나 또는 화장실 내에 구비되어져 있고, 이러한 좌변기는 별도의 세면대와 함께 비좁은 공간을 제각기 독립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 사회환경이 점진적으로 도시화되다 보니 도시에서의 주거공간이 극심하게 비좁아지고 있고, 세대당 점유하는 주거 면적도 협소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실정에서 건설업자는 건물을 지을 때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옥내의 욕실 등에 설치되어져 있는 좌변기와 세면대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해서 오히려 이러한 설치물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욕실 등의 유효공간이 비좁아지게 되고, 욕실을 이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므로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3799호(세면조 겸용 좌변기)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통상의 엉덩이판을 갖는 좌변기의 상측에는 가벼운 소재로 된 물탱크부를 갖는 세수저장장치를 결합하고,
이 세수저장장치의 물탱크부의 상면에는 급수수단과 함께 세면대를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이 세면대에는 물넘이공과 코크로 여닫이 되는 물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부의 정면에는 물탱크부를 좌변기의 뒤쪽에 형성시킨 지점을 중심으로 원호 회전시킬 때 물탱크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비누 등을 보관하기 위한 비누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방에는 물탱크부에 저장된 용수를 좌변기의 용변부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세척수 레버를 설치하였다.
상기 좌변기의 돌기부에 엉덩이판의 끼움돌부가 끼우면서 이것에 지지고정봉이 결합되어 엉덩이판이 지지고정봉을 지점으로 하여 원호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세수저장장치의 물탱크부에는 엉덩이판의 끼움돌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돌편을 형성하여 지지고정봉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축결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면조 겸용 좌변기에 의하여서는 세면조의 하단에 좌변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세면조를 회전시키면서 세면조를 사용하거나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좌변기를 사용할 경우에도 세면조를 회전시킬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는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95-23432호(좌변기)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고정벽에 고정 설치된 물탱크의 하단부에 제공된 연결파이프는 좌대의 입구부와 시일링 및 베어링을 개재하여 설치하였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중심축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파이프와 좌대의 배출구가 또 다른 시일링 및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좌대의 하단부 일측에는 바닥면에 좌대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좌변기에 의하여서는 사람이 사용할 때 체중이 실리게 되므로 좌대의 앞 부분을 받쳐줘야 하지만, 별도의 받침부재를 부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도 어려울 뿐 아니라, 바닥에 흠집을 내는 것은 물론 받침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2011년 8월 10일자 등록특허공보 제10-1057522호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의 급수관이 중앙을 통과하는 상부 회전축의 상단에는 볼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저면에는 볼 베어링을 통하여 좌변기의 상면에 결합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해 내부로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원통형 요홈부의 상부 모서리에는 경사진 지지부를 원주 상에 일체로 형성하면서 바닥면과 접하는 하부 회전축에 원주 상으로 형성한 경사진 받침부와의 사이에 스러스트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을 설치한 회전식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이 내부를 통과하여 실내의 바닥에 형성된 하수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상기 하부 회전축의 외부에는 강력 스프링을 설치하여 좌변기를 위쪽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하여?T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식 좌변기에 의하여서는 완전히 회전한 상태에서도 변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단 급수부를 크게 형성하여 할 경유에는 좌변기에 앉을 부위가 크게 줄면서 사용에 불편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부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좌변기를 모터의 회전력과 케이블의 견인력에 의한 전후 이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급수부의 하단에 완전히 내장되도록 하거나 완전히 역회전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도록 하여 좌변기에 앉을 부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저면과 바닥면에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좌변기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부의 내부로 내장하도록 하여 비교적 협소한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병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좌변기는,
위쪽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이 좌변기의 상단 물공급부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물공급부에서 좌변기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제트수류구와 급수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끝단에는 자바라관으로 형성하여 바닥면의 하수구와 연결되어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외면에는 기어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에 한쪽이 고정된 케이블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의 회전기어와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좌변기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저면과 바닥면에는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하여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좌변기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부의 내부로 내장하도록 하여 비교적 협소한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병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좌변기에 의하여서는 위쪽의 급수부의 급수관이 좌변기의 상단 물공급부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끝단에는 자바라관으로 형성하여 바닥면의 하수구와 연결되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배수관의 외면에는 기어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에 한쪽이 고정된 케이블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의 회전기어와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좌변기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의 저면과 바닥면에는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하여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좌변기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부의 내부로 내장하도록 하여 비교적 협소한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병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좌변기를 전방으로 밀어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좌변기를 당겨서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변기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좌변기는,
위쪽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1)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부(1)의 급수관(2)이 좌변기(10)의 상단 물공급부(11)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12)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물공급부(11)에서 좌변기(10)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제트수류구와 급수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끝단에는 자바라관(18)으로 형성하여 바닥면(20)의 하수구(21)와 연결되어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외면에는 기어(14)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15)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30)에 한쪽이 고정된 케이블(15)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30)의 회전기어(31)와 기어(14)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좌변기(10)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저면(16)과 바닥면(20)에는 테프론 코팅층(17)(22)을 형성하여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회전식 좌변기는 실내의 소정 높이에 내부에 급수부(1)를 포함하는 장식장(40)을 설치하여 좌변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이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쪽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1)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부(1)의 급수관(2)이 좌변기(10)의 상단 물공급부(11)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12)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물공급부(11)에서 좌변기(10)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제트수류구와 급수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끝단에는 자바라관(18)으로 형성하여 좌변기(10)가 앞으로 밀리거나 뒤쪽으로 당겨진 상태에도 바닥면(20)의 하수구(21)와 항상 연결되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외면에는 기어(14)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15)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30)에 한쪽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좌변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좌변기(10)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90도 회전시킨 다음에는 모터(30)가 얼마간 더 회전하면서 케이블(15)을 밀어주어 좌변기(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급수부(1)의 급수관(2)이 좌변기(10)의 상단 물공급부(11)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12)의 뒤쪽과 접하면서 급수관(2)을 통한 물이 좌변기(10)의 급수부(11)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변기(10)의 저면(16)과 바닥면(20)에는 테프론 코팅층(17)(22)을 형성하여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좌변기(10)를 사용한 후에는, 모터(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모터(30)가 케이블(15)을 당기면서 좌변기(10)가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한 다음에 배수관(13)의 외면에 형성한 기어(14)가 모터(30)의 회전기어(31)가 맞물린 상태에서 얼마간 더 회전하면서 좌변기(10)가 급수부(1)의 하단에 완전히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1 : 급수부 10 : 좌변기
12 : 장공 14 : 기어
15 : 케이블 18 : 자바라관
20 : 바닥면 30 : 모터

Claims (1)

  1. 위쪽의 급수부(1)의 급수관(2)이 좌변기(10)의 상단 물공급부(11)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장공(12)에 끼워진 채 전후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끝단에는 자바라관(18)으로 형성하여 바닥면(20)의 하수구(21)와 연결되어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배수관(13)의 외면에는 기어(14)를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면서 그 하단에는 케이블(15)의 다른 쪽이 고정되도록 하여 모터(30)에 한쪽이 고정된 케이블(15)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30)의 회전기어(31)와 기어(14)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좌변기(10)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좌변기(10)의 저면(16)과 바닥면(20)에는 테프론 코팅층(17)(2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좌변기.
KR1020120011012A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좌변기 KR10117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012A KR101176335B1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012A KR101176335B1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335B1 true KR101176335B1 (ko) 2012-08-22

Family

ID=4688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012A KR101176335B1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3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80B1 (ko) * 2014-10-30 2016-03-28 김두복 회전식 양변기
KR20230137624A (ko) * 2022-03-22 2023-10-05 예관희 기능성 건강 쾌변기
US12245727B2 (en) 2019-07-25 2025-03-11 Stephen John THOMSON Toilet modu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80B1 (ko) * 2014-10-30 2016-03-28 김두복 회전식 양변기
US12245727B2 (en) 2019-07-25 2025-03-11 Stephen John THOMSON Toilet module
KR20230137624A (ko) * 2022-03-22 2023-10-05 예관희 기능성 건강 쾌변기
KR102627071B1 (ko) * 2022-03-22 2024-01-18 예관희 기능성 건강 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047A (en) Rotating hideaway sanitary fixture
JP6108133B2 (ja) 水洗式腰掛け便器およびその拡張型ポータブル便器
CN103958793B (zh) 一种卫生设备
KR101176335B1 (ko) 회전식 좌변기
JP5834161B2 (ja) 節水便器
KR101057522B1 (ko) 회전식 좌변기
KR20090076869A (ko) 공간 절약형 양변기 회전장치
KR20070115388A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CN210530411U (zh) 一体化多功能卫生间洁具
WO2009006781A1 (fr) Urinoir rotatif
CN110005032B (zh) 一种水箱隐藏在座便下的气动控制马桶
KR20060088791A (ko) 회전식 좌변기
CN108894297B (zh) 一种折叠式马桶
CN212224098U (zh) 一种家用节水马桶洗漱一体装置
JP6318410B1 (ja) 尿飛散防止の小便器装置
JP2010174606A (ja) 回転式男女兼用便器
RU80863U1 (ru) Унитаз с поворотной чашей
JP2010138692A (ja) ロータリートラップ式節水トイレ
US12247380B1 (en) Combination toilet-sink assembly
CN107075848A (zh) 一种便器水箱及管道压力阀门
CN201411767Y (zh) 下水闸阀折叠组合式座便器
CN200984131Y (zh) 移动式坐便器
WO2006125332A2 (de) Kompakte apparate-versorgungseinheit für den sanitärbereich
CN206070633U (zh) 一种家用节水装置
KR200467199Y1 (ko) 세면대 겸용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