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5908B1 -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908B1
KR101175908B1 KR1020110095327A KR20110095327A KR101175908B1 KR 101175908 B1 KR101175908 B1 KR 101175908B1 KR 1020110095327 A KR1020110095327 A KR 1020110095327A KR 20110095327 A KR20110095327 A KR 20110095327A KR 101175908 B1 KR101175908 B1 KR 10117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contact point
contact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18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을 등록하고, 등록된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복수의 가상 LED와, 상기 식별정보를 바(bar) 형상의 메시지창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LED를 소정의 색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시지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DIGITAL PROTECTIVE RE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계전계측기는 전력계통(발전 및 송배전 단계의 전력시스템) 즉 전원 측과 부하 기기사이에 접속 설치되어 전력계통 및 부하 기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각종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계전동작을 수행하고, 전류, 전압, 전력량 등의 계측값을 연산하고 활용, 표시하는 기기이다.
디지털 계전계측기는 위와 같은 계전, 계측 등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자신이 속한 전력계통에 인접한 다른 전력계통의 여러 접점으로부터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계전 동작 등을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면 다른 접점으로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다른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인가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의 발생시에, 사용자의 인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디지털 계전계측기에는 상태 표시용 LED, LCD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계전계측기와 관련되는 접점은 상당히 많은 수이므로, 상태 표시용 LED, LCD는 주요 접점에 할당하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용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LED는 평상시에는 점등되어 있다가, 할당된 접점에 대한 신호 발생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가 신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계전계측기는 상태 표시를 위한 LED, LCD 등에 할당된 접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배전반의 판넬 명, 기기의 명칭)를 입력,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계통도나 접점 결선도 등을 확인하여 접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접점 식별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기재하거나 별도로 인쇄하여 LED, LCD 등의 측면에 부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접점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점 결선이 복잡한 현장의 경우, 계통도 등을 통한 접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사용자의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관심 접점을 등록할 수 있는 가상 LED와 상기 가상 LED에 등록된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는 사용자가 복수의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을 등록하고, 등록된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복수의 가상 LED와, 상기 식별정보를 바(bar) 형상의 메시지창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LED를 소정의 색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시지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관심 접점은 사고 접점과 일반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일반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를 제2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관심 접점의 명칭과 계전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이 등록되는 단계,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는 가상 LED와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 바 형상의 이미지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접점이 사고 접점인 경우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관심 접점이 일반 접점인 경우,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2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화면에 관심 접점을 등록할 수 있는 가상 LED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LED에 등록된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상기 관심 접점에 입출력 신호가 발생할 경우 계통도 등을 확인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가상 LED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등의 용어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는 계측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디지털 입력부(150), 디지털 출력부(160),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계측부(110)는 전력 계통 또는 부하 기기의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계측부(110)는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 분압 저항을 구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 또는 부하 기기의 고전압을 일정 비율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또한, 계측부(110)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대전류를 일정 비율의 소전류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통신부(12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및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과, 일련의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ead Only Memory) 및 연산결과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램(Random Access Memory)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계측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연산하여 전력량 등을 계측하거나 계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지털 입력부(150)를 통해 인가되거나, 또는 디지털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접점 신호를 통해 외부기기의 상태, 계측값 등을 연산하거나, 이벤트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부(170)에 복수의 가상 LED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종래의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는 실제 LED를 구비하여 접점의 상태를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는 표시부(170)에 가상 LED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가상 LED에 접점을 등록하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부(150)로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신호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상 LED에 각각 등록된 접점(이하, 관심 접점이라고 함)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관심 접점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게 되거나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접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가 설치되는 각 현장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해당되는 가상 LED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관심 접점은 사고 접점과 일반 접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가 과전류계전기인 경우, 특정 접점의 신호가 디지털 입력부(150)로 입력되면 상기 과전류계전기가 계전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면 상기 특정 접점은 사고 접점이 되는데, 소정 계통의 상하위 계통의 접점이 일반적으로 사고 접점에 해당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에 간접적 영향을 주거나 모니터링의 대상에 불과한 접점은 일반 접점에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관심 접점이 사고 접점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일반 접점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2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을 등록할 경우에,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관심 접점의 명칭과 계전요소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관심 접점의 명칭은 예를 들어, 배전반의 판넬 이름, 부하기기의 이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계전요소는 예를 들어, OCR(Over Current Relay; 과전류계전기), OCGR(Over Current Ground Relay; 지락과전류계전기), OVR(Over Voltage Relay; 과전압계전기), OVGR(Over Voltage Ground Relay; 지락과전압계전기), SGR(Selective Ground Relay; 선택지락계전기), UVR(Under Voltage Relay; 부족전압계전기), POR(Phase Open Relay; 결상계전기), DGR(Directional Ground Relay; 방향성지락계전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지털 입력신호 인가 또는 디지털 출력신호 발생이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되는 가상 LED의 색상을 설정 및 표시함과 더불어 바(bar) 형상의 메시지창에 상기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설정사항 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키 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조작하여, 관심 접점을 가상 LED에 등록하고, 등록된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부(150)와 디지털 출력부(160)는 소정의 접점으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거나, 소정의 접점으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디지털 입력부(150)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연산 및 표시하고, 디지털 출력부(160)를 통해 소정 접점으로 출력할 신호의 발생을 제어한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전류, 전압, 온도 또는 장애 정보 등), 전력량 등의 계측값,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 이벤트 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u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7-세그먼트 표시장치(7-Segment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복수의 가상 LED와, 바 형상의 메시지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 LED는 표시부(170)의 일측에 세로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메시지창은 상기 가상 LED에서 가로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창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가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가상 LED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조작하여, 디지털 입력부(150) 또는 디지털 출력부(16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로 신호를 입출력하는 접점 중, 일부를 가상 LED에 등록할 수 있다(S110). 상기 가상 LED는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부(170)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접점의 개수가 상기 가상 LED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접점 중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거나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접점, 즉 상기 관심 접점을 선별하여 상기 가상 LED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관심 접점을 가상 LED에 등록하면서,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가상 LED에의 관심 접점 등록 및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에서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된다(S120).
제어부(130)는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가상 LED에 등록된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S130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와 메시지창에 관한 이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S130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에, 제어부(130)는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 즉, 사고 접점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심 접점은 사고 접점과 일반 접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S140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사고 접점에 관한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가상 LED와 메시지창을 제1색으로 표시한다(S150).
상기 S140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일반 접점에 관한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가상 LED와 메시지창을 제2색으로 표시한다(S160).
상기 S150단계와 S160단계에서 가상 LED와 메시지창의 색상 설정이 완료되면 메시지창을 활성화하여 해당 접점의 식별정보를 표시한다(S170). 상기 식별정보는 접점의 명칭과 계전요소 등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시지창을 표시하였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창이 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창이 사라진 후,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예를 들면, 상기 가상 LED를 터치함) 대응되는 메시지창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표시부(170)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70)를 구획하여 표시한 다양한 메뉴창과, 좌측에 세로로 배열된 가상 LED(171)와,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메시지창(173)을 포함하는 표시부(170)가 도시된다.
상기 메뉴창에는 전력량 등의 계측값을 확인할 수 있는 '계측',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와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 감시', 상기 디지터 계전계측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기설정'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복수의 접점 중 가상 LED(171)에 등록되지 않은 접점의 식별정보는 '상태 감시', '기록열람' 등의 메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상 LED(171)는 실제의 LED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하며, 복수가 세로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는 표시부(170)의 좌측에 일렬로 배열된 가상 LED(17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상기 가상 LED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상 LED(171)에 등록된 관심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가상 LED(171)의 색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가상 LED(171)는 등록되는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접점 중 사고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사고 접점이 등록된 가상 LED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관심 접점 중 일반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일반 접점이 등록된 가상 LED는 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창(173)은 가상 LED(171)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관심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가상 LED(171)의 색을 설정하여 표시하고, 대응되는 가상 LED와 동일한 색의 메시지창(173)을 활성화하여 표시한다. 메시지창(173)에는 등록된 관심 접점의 명칭(예를 들어, LTV01, HV02)과 계전요소(예를 들어, OCR, UVR)가 표시된다. 메시지창(173)은 해당되는 관심 접점에 대한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활성화되어 표시부(170)에 표시되고,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시지창(173)이 사라진 후에도, 식별정보를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상 LED(17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예를 들면, 상기 가상 LED를 터치함) 대응되는 메시지창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가상 LED의 색을 확인함으로써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고, 대응되는 메시지창에 식별정보가 표시되므로 접점 결선도나 계통도 상의 접점 식별정보를 별도로 확인하지 않고도 접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계측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디지털 입력부 160 : 디지털 출력부
170 : 표시부 171 : 가상 LED

Claims (6)

  1. 사용자가 복수의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을 등록하고, 등록된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복수의 가상 LED와, 상기 식별정보를 바(bar) 형상의 메시지창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LED를 소정의 색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시지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접점은,
    사고 접점과 일반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일반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상 LED를 제2색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관심 접점의 명칭과 계전요소를 포함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5.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상 LED에 관심 접점이 등록되는 단계;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디지털 출력 신호가 발생될 경우,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 또는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관심 접점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접점의 식별정보를 대응되는 가상 LED와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 바 형상의 이미지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접점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상 LED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접점이 사고 접점인 경우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1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관심 접점이 일반 접점인 경우, 해당되는 가상 LED를 제2색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계전계측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95327A 2011-09-21 2011-09-21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7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27A KR10117590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27A KR10117590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908B1 true KR101175908B1 (ko) 2012-08-22

Family

ID=4688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327A KR10117590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50A (ko) * 2017-04-13 2018-10-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CN109521360A (zh) * 2018-12-28 2019-03-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继电器触点信号检测设备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22Y1 (ko) 2003-12-30 2004-03-19 한양전공주식회사 복합계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22Y1 (ko) 2003-12-30 2004-03-19 한양전공주식회사 복합계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50A (ko) * 2017-04-13 2018-10-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2312689B1 (ko) * 2017-04-13 2021-10-13 엘에스일렉트릭(주)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CN109521360A (zh) * 2018-12-28 2019-03-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继电器触点信号检测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3834A (zh) 电气装置中的防火系统和方法
US12078664B2 (en) Power meter with emulation capability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1175908B1 (ko)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264647B1 (en) Adaptable control apparatus indicators for a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JP2012133552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US10989745B2 (en) Power meter with fixed segment interactive menu
US11019194B2 (en) Commissioning power meters with a mobile device
US11119123B2 (en) Power meter with movable terminal blocks
KR101673642B1 (ko) 디지털 전기 계측, 계전 기기
US10955515B2 (en) Calibrating a power meter with a current transformer in the field
US20160041544A1 (en) Plc system
CN115938068B (zh) 带电场作业人员防护系统
KR102312689B1 (ko)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1942171B1 (ko)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밸브 상태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6316A (ko) 지하철용 엘이디 모듈 테스터
US11137426B2 (en) Power meter with master/slave functionality
CN104167074B (zh) 一种剩余电流式电气火灾区域型监控探测器
CN106165457A (zh) 配备有无线接口的用于开关装置的运行状态的显示装置
CN108899796B (zh) 一种开关柜智能操控装置
CN112952769A (zh) 一种断路器的设置方法、装置和配电系统
US11740762B2 (en)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equipment management screen generating method
KR101529592B1 (ko) 전력용 지능형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 및 방법
CN211741470U (zh) 一种耐压测试装置
CN203423698U (zh) 一种甚高频无线电收发机测试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