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5719B1 -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19B1
KR101175719B1 KR1020100124765A KR20100124765A KR101175719B1 KR 101175719 B1 KR101175719 B1 KR 101175719B1 KR 1020100124765 A KR1020100124765 A KR 1020100124765A KR 20100124765 A KR20100124765 A KR 20100124765A KR 101175719 B1 KR101175719 B1 KR 10117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relay server
sharing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686A (ko
Inventor
구승엽
정우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840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757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후
Priority to KR102010012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58Random or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G06F7/588Random number generators, i.e. based on natural stochast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피에스 수신부(10a)를 구비하여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중계서버(30)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30)로부터 당해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0b)에 표시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하여 각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위치정보 공유그룹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 해당 위치공유 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중계서버(30)로 구성되어 상대방에 대한 보안인증체계를 통해 제3자와의 위치정보 교환시에도 제공받는 자가 누구인지 확실히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유리하다. 상대방의 인증 및 특정한 목적과 용도로만 사용을 제한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체계를 통해 악의적인 목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으로 인한 위험성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location share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and GPS device}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지피에스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위치정보 공유를 위한 중계서버로 송신하여 각 무선단말기가 다른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단말기의 LBS(Locatio Base System)는 대부분 사용자의 단일위치를 확인하고 위치를 알려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명 이상의 다자간의 위치를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존재하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자간 LBS의 대부분은 해당 당사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선에서 그치며 이를 이용한 응용형태의 서비스는 당사자간 문자교환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여 다양한 서비스 형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제10-0499311호에 지피에스무전기와 위치공유용 유/무선중계기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공유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자간 위치공유시스템의 무전기에 표시되는 위치를 공유한 화면을 보인다.
도시된 화면은 한국특허 제10-0499311호에 따라 현재 자신의 위치 및 다른 지피에스무전기들의 위치가 점으로 표시된 다수의 지피에스무전기들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그룹내에 속한 지피에스무전기상에는 자신의 위치를 비롯하여 다른 지피에스무전기들의 위치가 모두 표시된다. 여기서, 특정 그룹이라 함은 지피에스무전기상에 할당된 주파수채널이 동일한 지피에스무전기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위치표시는 각각의 위치별로 그 위치에 속한 지피에스무전기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지피에스무전기정보는 지피에스무전기소지자를 표시하는 정보 또는 무전기고유번호를 포함한다.
이는 각각의 지피에스무전기를 구별하는 식별코드번호가 부여되어 위치정보의 송신시 함께 송신되므로, 위치공유용 유/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각각의 지피에스무전기의 위치별로 화면상에 출력할 때 상기 식별코드번호로 구분하여 그 위치에 속한 지피에스무전기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국특허 제10-0499311호의 지피에스무전기와 위치공유용 유/무선중계기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공유시스템은 각 지피에스무전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한 보안대책이 없고 동일한 주파수채널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위치정보는 개인의 중요한 프라이버시 정보로서 본인의 허용없이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되는 정보로써 취급되어야 하나 대부분의 LBS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편의 또는 이익을 위해 이러한 프라이버시에 대한 부분을 등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위치정보 확인은 생활상에서 유용하고 이득이 큰 방법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즉, 상대방이 누구인지 확실히 알 수 있으며 악의적인 위치 추적 등에 악용되지 않을 수 있다면 다자간 LBS는 큰 이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서비스 형태에 대한 개선을 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자의 위치정보는 각자의 허용을 받아 상대방에게 전달되어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성을 강화하여 상대방과의 위치 확인작업을 하여 악의적인 위치 추적 등에 악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자간의 위치정보와 다자의 각 개인인증정보를 암호화하여 외부유출이 불가능한 형태로 실시간으로 교환하고 개인인증정보만으로는 상대방을 알 수 없으며 보안인증이 완료되어 해독해야만 상대방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피에스 수신부를 구비하여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당해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위치정보 공유그룹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 해당 위치공유 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중계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계서버는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되는 위치공유 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난수발생기를 구비하여 보안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무리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고 암호화부의 난수발생기로부터 난수를 발생시켜 보안키를 생성 후 상기 변경된 위치 데이터와 보안키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중계서버 제어부와; 상기 중계서버 제어부로부터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단말기들 사이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화는 방식은, 송신자의 무선단말기는 개인식별정보를 중계서버에 전송하고 보안키를 요청하는 단계; 중계서버는 위치정보와 개인인증번호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암호화부의 난수발생기로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로 보안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보안키와 위치정보 및 개인인증번호를 사용하여 송신정보를 암호화한 후, 상기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에게 수신확인 및 개인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의 무선단말기는 중계서버로 개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는 보안키와 수신자 무선단말기의 개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송신정보를 암호화한 후 상기 수신자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수신자의 무선단말기는 수신한 전보의 이상여부를 확인한 후, 보안키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로 보안키를 전송하고,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로 상기 송신정보가 수신자의 무선단말기로 전송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에게 복호화를 승인하여 수신자의 무선단말기에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단말기는 일정주기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갱신하여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동기화된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계산하여 각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당해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2개의 분할화면이 표시되며 좌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이고, 우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다수의 수신자가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무선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위치정보 이외에도 상호교류 가능한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음성화상의 정보에 대해서 다자간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무선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음성화상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보안키를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 사이에 보안인증체계를 지원하고, 실시간으로 음성화상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 그룹을 하나의 단위로 묶고 각각의 접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호간에 송수신되어야 하는 정보를 받아서 배포해주는 중계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에 대한 보안인증체계를 통해 제3자와의 위치정보 교환시에도 제공받는 자가 누구인지 확실히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유리하다. 상대방의 인증 및 특정한 목적과 용도로만 사용을 제한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체계를 통해 악의적인 목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으로 인한 위험성을 방지한다.
실시간으로 다자간의 위치를 추적하여 연결하고 이를 표시해줌으로써 서로의 위치를 즉시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뿐만이 아니라 제3의 특정 목적을 지닌 위치를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의 활용의 폭이 넓어진다.
단순한 개인간의 위치 찾기가 아닌 특정한 목적을 가진 위치찾기에 대한 특화된 서비스이 제공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기사 연결, 택배 배송 안내, 경찰, 소방관 또는 사설보호업체의 위치파악 등 제3자이면서도 상대방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가치가 높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자간 위치공유시스템의 무전기에 표시되는 위치를 공유한 화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와 수신자의 무선단말기 사이에 보안키를 이용한 암호화방식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동기화된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계산하여 각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분할화면과 다중표시전화의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이 제공하는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위치를 반영한 증강현실화면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중앙통제체계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은 지피에스 수신부(10a)를 구비하여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중계서버(30)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30)로부터 당해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0b)에 표시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하여 각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위치정보 공유그룹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 해당 위치공유 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중계서버(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교환기(40)는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의 요구에 따라 각 무선단말기(10), 중계선 또는 기타 기능을 가진 장치들을 접속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수행해준다.
서로간에 위치정보를 공유하기를 원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예, 10-1, 10-2, 1-3)들은 중계서버(30)에 접속하거나 교환기(40)에 접속하여 각각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을 신청한다.
위치정보는 각 무선단말기(예, 10-1, 10-2, 1-3)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써 GPS, GIS 또는 그에 준하는 위치확인시스템에 적합한 형태 또는 표준양식을 사용한다.
또한 무선단말기(10)에서 오차범위 전송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각 무선단말기(10) 위치의 오차범위 역시 전송내역에 포함한다. 이 오차범위 역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한 상대방 무선단말기(10)가 확인 가능하며 시스템 차원에서 오차범위와 기존 위치정보를 통한 이동경로의 수정기능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단말기에 붙이는 부호는 다수의 무선단말기(예, 10-1, 10-2, ..., 1-n) 중에서 대표로서 가리키는 경우 무선단말기(10)으로 표시하고 특정 무선단말기를 가리키는 경우 무선단말기(예, 10-1)로 표시한다.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한 무선단말기(10)들은 중계서버(30)에 접속하거나 교환기(40)에 접속하여 각각의 위치정보와 개인인증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교환한다. 개인인증정보는 상대방이 누구인가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정보를 포함하며 정보의 종류는 목적에 맞추어서 변경된다.
개인인증정보의 예로서 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 사업자등록번호, 영업허가번호, 사용기기고유번호, 자동차번호, 서비스 제공사이트내에서 사용중인 아이디 또는 고유번호, SNS에서 사용중인 아이디 등일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10)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부(10a)와; 중계서버(30)로부터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0b)와; 상기 중계서버(30)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입력부(10c)와;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10a)가 수신한 위치정보를 중계서버(30)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계서버(30)로부터 위치공유를 신청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10c)가 상기 중계서버(30)로 위치정보 공유그룹을 신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중계서버(30)와 각종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단말기 제어부(10d)와; 상기 무선단말기(10)가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중계서버(30)와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부(10e)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10)는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며, 일반전화기와 같은 유선단말기에 부착된 무선단말기(예, 코드리스 폰 등)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무선단말기(10)의 입력부(10c)를 통해 중계서버(30)에 위치공유 그룹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10)가 핸드폰, 스마트폰 등 음성통화가 가능한 기기일 경우 음성을 통하여 중계서버(30)에 위치정보 공유그룹을 신청할 수 있다.
위치정보 공유그룹을 신청할 때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인증정보(예, 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 사업자등록번호, 영업허가번호, 사용기기의 고유번호, 자동차 번호, 서비스 제공사이트 내에서 사용중인 아이디 또는 고유번호, SNS에서 사용중인 아이디 등)를 사용하여 위치정보 공유그룹의 가입허가를 할 수 있다.
위치정보의 공유를 신청한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인증정보를 중계서버(30)에 제공하고 위치정보 공유그룹으로 신청한 후, 다수의 사용자들은 각자의 무선단말기(10)를 사용하여 각자의 위치정보와 개인인증정보를 중계서버(30)에 제공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계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위치공유 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31)와; 남수발생기(34a)를 구비하여 보안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34)와; 상기 통신부(31)로부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10)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부(33)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1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무리부(33)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10)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고 암호화부(34)의 난수발생기(34a)로부터 난수를 발생시켜 보안키를 생성 후 상기 변경된 위치 데이터와 보안키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10)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31)를 제어하는 중계서버 제어부(32)와; 상기 중계서버 제어부(32)로부터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33)로 구성된다.
중계서버(30)는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 신청한 무선단말기(예, 10-1, 10-2, 10-3, 10-4)들의 확인데이터(예, 전화번호, IP 주소 등)를 상기 무선단말기(예, 10-1, 10-2, 10-3, 10-4)들의 개인인증번호를 연계하여 메모리부(33)에 저장한다.
중계서버(30)는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한 상기 무선단말기(예, 10-1, 10-2, 10-3, 10-4)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예, 10-1, 10-2, 10-3, 10-4)로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위치정보와 개인인증정보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방식은 중계서버(30)에서 암호화부(34)의 난수발생기(34a)를 통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3의 위치에서의 인증을 통해 보안키를 습득하여 암호화한다. 한번 보안키를 습득하면 서비스를 종료할 때까지 보안키를 유지하여 데이터를 상호교환한다.
각 무선단말기(10)와 중계서버(30) 사이에 위치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때는 해당 보안키를 주고받아서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해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와 수신자의 무선단말기 사이에 보안키를 이용한 암호화방식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예, 10-1)는 개인식별정보(예, 개인인증번호)를 중계서버(30)에 전송하고 보안키를 요청한다(단계 S1). 중계서버(30)는 상기 무선단말기(10-1)의 개인식별정보(예, 개인인증번호)를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 신청한 무선단말기(예, 10-1, 10-2, 10-3, 10-4)들의 확인데이터(예, 전화번호, IP 주소 등)와 연계하여 메모리부(33)에 저장한다.
이후 중계서버(30)는 위치정보와 개인인증번호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암호화부(34)의 난수발생기(34a)로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10-1)로 보안키를 전송한다(단계 S2).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10-1)는 상기 수신한 보안키와 위치정보 및 개인인증번호를 사용하여 송신정보를 암호화한 후, 상기 중계서버(30)로 전송한다(단계 S3).
상기 중계서버(30)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예, 10-2)에게 수신확인 및 개인식별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4). 상기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는 중계서버(30)로 개인식별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5). 상기 중계서버(30)는 보안키와 수신자 무선단말기(10-2)의 개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송신정보를 암호화한 후 상기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로 전송한다(단계 S6).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는 수신한 전보의 이상여부를 확인한 후, 보안키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S7). 중계서버(30)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로 보안키를 전송하고(단계 S8),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예, 10-1)로 상기 송신정보가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로 전송완료되었음을 알린다(단계 S9).
중계서버(30)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에게 복호화를 승인하여 수신자의 무선단말기(10-2)에 상기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0).
전송시의 데이터의 패키징 방식은 보안수준 및 편의에 따라 처리한다. 예를 들면 모든 정보를 모아 토큰으로 생성한 후 이를 패킷단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
전송 종료후 상호 통신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전송완료 여부를 확인받는다. 모든 사용자의 정보교환 여부를 확인한 후 복호화를 수행한다.
위치정보의 사용목적에 따라 일정주기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갱신하여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된 각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무선단말기(10)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계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무선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동기화 주기는 목적에 따라 달라지되 인원이 증가할 수록 길게 잡는것이 좋다(1:1이라면 10-30초 이내)
이때 정확한 이동경로가 필요한 경우 오차범위의 값을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한다. 경로보정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나 그중 무선단말기(10)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보정계산을 위한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의 직선상에 중간지점이 없을 때 직선상의 위치가 중간지점의 오차범위값 이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의 직선과 중간지점의 수직위치로 새로운 중간지점을 지정한다. 신뢰성을 위해서 짧은 동기화 주기일 때 사용하면 좋다.
도로 또는 도로경로가 입력된 지리데이터를 이용하여 맵매칭을 시킨다. 도로 또는 도로경로로만 이동하는 것이 확실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기반 데이터가 필요하다. 대신 이경우 GPS 위치를 맵매칭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쉽게 보정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아닌 특별한 목적 또는 용도를 지닌 지점의 위치정보에 대하여 이를 사용자,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송수신하여 공유한다.
중계서버(30) 또는 유사한 장비를 이용한 간접 연결의 경우 중계서버(30)에서 특별한 목적 또는 용도를 지닌 측정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받아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각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표시는 동기화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사용자에게만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간 직접 연결시 특정지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예, 10-3)가 상기 특정지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수신대상 무선단말기(예, 10-4, 10-5, 10-6)들이 정보를 모두 수신하였음을 송신자의 무선단말기에 해당하는 무선단말기(10-3)가 확인한 후 위치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동기화를 수행한다.
특별한 목적 또는 용도를 지닌 특정지점은 목적지, 경유지, 거점, 그외 해당지점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주목할 만한 지점(예, 저명한 지형지물, 서울역 등) 등 다양한 용도로써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은 무선단말기의 특성에 맞춘 각 대상의 위치와 특정지점, 이동경로 등을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을 지원하며 이때 지도 외에도 증강현실 등이 포함된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해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분할화면과 다중표시전화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무선단말기(10)의 예로서 스마트폰, 핸드폰 등의 화면은 작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하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10)의 표시부(10b)에 2개의 분할화면이 표시되며 좌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송신자에 해당하는 이승엽이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예, 10-1)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표시이고, 우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수신자에 해당하는 한예슬, 조인성 그리고 김태희들이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예, 10-3, 10-4, 10-5)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이다.
이와같이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다중표시하기 위해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동시 사용자 목록을 통해 다중표시 전환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은 3D 또는 2.5D 의 맵 데이터를 이용한 표시를 지원하며 2차원 지도에 비해 좀더 직관적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이 제공하는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위치를 반영한 증강현실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증강현실을 이용할 경우 좀 더 현실감있게 해당 대상의 이동경로 및 위치를 파악하기 쉽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위치를 반영한 증강현실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화면에 대상 또는 지점의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며 필요한 경우 해당 대상과의 거리, 이동 경로, 해당 지역의 교통량, 그리고 해당 대상이나 특정지점으로 가기 위한 네비게이션 경로 등의 연계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인원이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교환할 경우 이와 함께 위치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정보는 텍스트이다. 텍스트는 정보의 양이 적으며 화면에 표시하기 쉽기 때문에 다자간 직접 연결상태에서도 주고 받기가 쉽다. 개별적인 데이터 전송 외에도 각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시 패키지화하여 이를 묶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미지, 영상 등의 경우 전송량이 많기 때문에 다자간 직접 연결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3G 망 사용시 속도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중계장치를 거쳐서 각 무선단말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 필수가 된다. 이때 이미지, 영상은 각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찍은 것 이외에도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리거나 작성한 것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실시간 음성화상전송의 경우 중계장치에서의 실시간 세션 연결이 필수로 되어야 하며 실시간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서비스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실시간 음성화상전송의 경우에는 1:1 연결에 적합하지만 다자간 연결시에도 서비스가 불가능하지는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은 이러한 실시간 음성화상전송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보안인증절차와 다자간 정보교류 및 사용목적 제한 등을 위한 중앙통제체계를 제공한다.
도 9에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위치공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중앙통제체계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보안인증체계는 UUID, UDID, IMEI 등 개인 또는 기기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간 정보전송시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보안키를 제공하며 사용기록을 남겨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위치 및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사용과 외부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불법유출(예: 무선 패킷 스니핑)을 방지한다.
중계체계는 다자간의 원활한 정보교류를 위해서 사용된다. 서비스를 사용중인 집단을 하나의 단위(일반적으로 세션이라 불림)로 묶고 각각의 접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호간에 송수신되어야 하는 정보를 받아서 배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체계는 실제 서비스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어떠한 정보를 유지하고 전달할 것이며 어떠한 사용자가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렇게 설정된 정보를 실제 서비스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함으로써 서비스 수준 및 사용목적을 제어하는데에 사용된다.
10 : 무선단말기 10a: GPS 수신부
10b: 표시부 20 : 통신망
30 : 중계서버 31 : 통신부
32 : 중계서버 제어부 33 :메모리부
34 : 암호화부 34a: 난수발생기
40 : 교환기

Claims (7)

  1. 지피에스 수신부(10a)를 구비하여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중계서버(30)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30)로부터 당해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0b)에 표시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와;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하여 각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위치정보 공유그룹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로 해당 위치공유 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중계서버(30)로 구성되며,
    상기 중계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위치공유 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31)와; 난수발생기(34a)를 구비하여 보안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34)와; 상기 통신부(31)로부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가입을 신청하는 무선단말기(10)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부(33)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10)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33)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10)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고 암호화부(34)의 난수발생기(34a)로부터 난수를 발생시켜 보안키를 생성 후 상기 변경된 위치 데이터와 보안키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상기 특정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10)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31)를 제어하는 중계서버 제어부(32)와; 상기 중계서버 제어부(32)로부터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10)는 일정주기로 위치정보 공유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정보를 갱신하여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동기화된 각 무선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무선단말기(10)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계산하여 각 무선단말기(10)의 표시부(10b)에 표시하거나, 무선단말기가 신청한 위치정보공유 그룹에 속하는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0b)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표시부(10b)에 2개의 분할화면이 표시되며 좌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이고, 우측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은 다수의 수신자가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위치정보 이외에도 상호교류 가능한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음성화상의 정보에 대해서 다자간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가 실시간으로 음성화상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보안키를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단말기(10) 사이에 보안인증체계를 지원하고, 실시간으로 음성화상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0) 그룹을 하나의 단위로 묶고 각각의 접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호간에 송수신되어야 하는 정보를 받아서 배포해주는 중계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KR1020100124765A 2010-12-08 2010-12-08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17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65A KR101175719B1 (ko) 2010-12-08 2010-12-08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65A KR101175719B1 (ko) 2010-12-08 2010-12-08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686A KR20120063686A (ko) 2012-06-18
KR101175719B1 true KR101175719B1 (ko) 2012-08-24

Family

ID=4668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7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5719B1 (ko) 2010-12-08 2010-12-08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3461A (zh) * 2013-07-19 2013-11-06 苏州海客科技有限公司 旅游团位置获取方法
WO2014126390A1 (ko) * 2013-02-13 2014-08-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k-최근접 질의를 위한 안전한 모니터링 기법
KR102015623B1 (ko) 2019-03-26 2019-08-28 한화시스템(주)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KR20200120991A (ko) 2019-04-10 2020-10-23 주식회사 씨엠엑스 클라우드 기반의 건설현장 정보 다자간 공유 시스템
KR20220161724A (ko) 2021-05-31 2022-12-07 (주)대한솔루션 Gps 기반의 위치 공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5778B2 (en) 2013-03-15 2016-04-26 Facebook, Inc. Wireless data privacy maintained through a social network
US10462524B2 (en) * 2015-06-23 2019-10-29 Facebook, Inc. Streaming media presentation system
US10187684B2 (en) 2015-06-23 2019-01-22 Facebook, Inc. Streaming media presentation system
KR101678137B1 (ko) * 2015-07-14 2016-11-2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756495B1 (en) * 2016-08-30 2017-09-05 Global Business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ies, Inc. Reducing fraudulent activity associated with mobile networks
KR102208003B1 (ko) * 2019-10-31 2021-02-01 (주)위팝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 방법
WO2022119014A1 (ko) * 2020-12-04 2022-06-0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위치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및 위험도 평가 방법
US11576036B1 (en) * 2021-07-13 2023-02-07 Tile, Inc. Unauthorized tracking device detection and preven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136A (ja) * 2005-09-22 2007-04-05 Oki Electric Ind Co Ltd 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136A (ja) * 2005-09-22 2007-04-05 Oki Electric Ind Co Ltd 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90A1 (ko) * 2013-02-13 2014-08-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k-최근접 질의를 위한 안전한 모니터링 기법
US10169468B2 (en) 2013-02-13 2019-01-01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ecure monitoring technique for moving k-nearest queries in road network
CN103383461A (zh) * 2013-07-19 2013-11-06 苏州海客科技有限公司 旅游团位置获取方法
KR102015623B1 (ko) 2019-03-26 2019-08-28 한화시스템(주)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KR20200120991A (ko) 2019-04-10 2020-10-23 주식회사 씨엠엑스 클라우드 기반의 건설현장 정보 다자간 공유 시스템
KR20220161724A (ko) 2021-05-31 2022-12-07 (주)대한솔루션 Gps 기반의 위치 공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686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719B1 (ko) 무선단말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다자간 위치정보 공유시스템
US8195817B2 (en) Authentication of the geographic lo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023995B2 (en) Secure location-based services system and method
CA220313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identification of a mobile us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503465B1 (en) Method for distributing key, related devices and system
JP5435513B2 (ja) 暗号通信システム、鍵配布装置、暗号通信方法
EP2856789B1 (en) Method for tracking a mobile device onto a remote displaying unit via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head-end
CN112491533B (zh) 一种密钥生成方法及装置
US20150128282A1 (en) Privacy protection for participatory sensing system
CN113965617A (zh) 一种基于物联网打车的方法、装置及系统
FI115357B (fi) Lähilangattomat yhteydet tietoliikenneverkossa
KR102053253B1 (ko) 전술환경에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정보 관리 방법
Jorns et al. Transaction pseudonyms in mobile environments
JP6797604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94349A (ko)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태 검사 방법 및 그 단말기
JP5220625B2 (ja) 端末間ネゴシエーションにおける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24341B1 (ko) 안티-스푸핑을 위한 ble 비콘 디바이스
JP2006325072A (ja) 属性情報交換システム、属性情報交換方法および通信端末
KR101922540B1 (ko) 비콘 아이디 검증방법
JP6684242B2 (ja) 位置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GB2375011A (en) Provision of location data to mobile computing or communications device
JP2000269954A (ja) プッシュ型同報サービ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208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150908

Appeal identifier: 2015100004472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908

Effective date: 201604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50908

Decision date: 20160426

Appeal identifier: 201510000447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