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587B1 -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 Google Patents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4587B1 KR101174587B1 KR1020100122898A KR20100122898A KR101174587B1 KR 101174587 B1 KR101174587 B1 KR 101174587B1 KR 1020100122898 A KR1020100122898 A KR 1020100122898A KR 20100122898 A KR20100122898 A KR 20100122898A KR 101174587 B1 KR101174587 B1 KR 1011745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iator
- csrr
- gap
- isolation
- dielect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사체와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진다. 개시된 안테나는 소형화된 구조로 안테나간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 및 격리되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Disclosed is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The disclosed antenna includes a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and a second radiator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solation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nd symmetrical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ground planes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electric structure, wherein the isolation structure has a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an inner gap. The disclosed antenna can secure isolation between antennas in a miniaturized structure, and ha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isolated frequency.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을 수행하는 MIMO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tenn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MO antenna for performing 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신뢰성이 있는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제한된 대역폭과 전력을 이용하는 무선 채널을 통해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려면 용량의 증가가 필수적이다. 최근에 들어 용량을 개선시키는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demand for multimedia services is rapidly increas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required to transmit reliable high speed data. Increased capacity is essential to enabl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over wireless channels that use limited bandwidth and power.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echniques for improving capacity.
무선 통신 환경은 페이딩, 음영 효과, 전파 감쇠, 잡음 및 간섭 등에 의해 수신 신호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무선 채널 특성을 극복하거나 그 성질을 이용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제안된 기술이 MIMO 안테나 기술이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reliability of a received signal is greatly degraded due to fading, shadowing effects, radio wave attenuation, noise, and inter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o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channel is required. The proposed technique is a MIMO antenna technology according to such a necessity.
MIMO 안테나 기술은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공간적 멀티플렉싱 기법을 사용한다. MIMO antenna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ple antennas to a transmitter or a receiver using a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MIMO 기술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일한 무선 채널에서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통신의 범위를 넓히고 속도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MIMO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range and speed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two or more data signals in the same wireless channel using multiple antennas.
그러나, MIMO는 둘 이상의 안테나 소자가 배치되므로 방사체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은 방사 패턴을 왜곡시키거나 방사체간의 상호 결합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안테나간 격리도를 확보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MIMO, since two or more antenna elements are arranged, interference between radiators may occur. Such interference may distort the radiation pattern or caus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radiators, and thus a technique for securing isolation between antennas is required.
본 발명에서는 소형화된 구조로 안테나간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isolation between antennas with a miniaturiz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 및 격리되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를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t frequency and an isolated frequenc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사체와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지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and a second radiator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solation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nd symmetrical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a ground plane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electric structure, wherein the isolation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having a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an inner gap.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는 내부 갭 및 외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진다.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have a CSRR structure having an inner gap and an outer gap.
상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두 개의 CSRR 구조체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solation structure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CSRR structure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접지면이 제거된다. The ground plane is removed in a region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formed.
상기 CSRR 구조를 가지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외부 갭 및 내부 갭 조절에 의해 격리되는 주파수 대역이 조절된다. The frequency band isolated by the outer gap and the inner gap adjustment of the isolation structure having the CSRR structure is adjusted.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외부 갭 조절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조절된다. The resonance frequency is adjusted by adjusting external gaps of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전체 구조물;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사체와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 사이에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 갭의 조절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and a second radiator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solation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nd ground planes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electric structure, wherei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have a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an inner gap,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varied by adjusting the outer gap.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된 구조로 안테나간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 및 격리되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solation between antennas with a miniaturized structure and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isolated frequ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RR 구조를 이용한 MMO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SRR 구조를 가진 방사체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외부 갭(G1)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외부 갭(G3)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내부 갭(G4)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CSRR 구조체 사이의 간격(G5)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top plan view of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lan view of an M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radiator having a CSRR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er gap G1 of the radiator in th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turn loss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nner gap G2 of a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nner gap G2 of a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return loss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nner gap G2 of a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in an external gap G3 of an isolation structure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n internal gap G4 of an isolation structure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gap G5 between CSRR structures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RR 구조를 이용한 MMO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op plan view of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bottom plan view of an M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는 제1 방사체(100), 제2 방사체(102),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 접지면(106, 106-1) 및 유전체 구조물(110)을 포함한다. 1 and 2,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는 유전체 구조물(110)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는 일례로 사용 주파수에 상응하는 반 파장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The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는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는 CSRR(Complementary Split Ring Resonator) 구조를 가진다. SRR은 음의 자기적 투자율 혹은 Left-handed meta material의 특성을 갖는 효과적인 매체의 설계를 위한 핵심 구성 물질로서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Pendry에 의해 제안된 SRR 구조는 자계가 원형의 축을 따라서 극성을 갖는 경우 그것들의 공진 주파수 근처에서 협대역으로 신호 전달을 저지할 수 있는 하부 파장 공진기 구조로서 마이크로스트립 사각 개방 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SRR 구조를 가진 방사체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radiator having a CSRR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갭(G1) 및 내부 갭(G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radi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 strip line and includes an outer gap G1 and an inner gap G2.
본 발명에 적용되는 CSRR 구조를 가지는 방사체는 외부 갭(G1) 및 내부 갭(G2)을 조절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급전은 외부 루프에 인가될 수 있다. The radiator having the CSRR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resonant frequency by adjusting the outer gap G1 and the inner gap G2, and the feeding may be applied to the outer lo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맥스 대역에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적용될 때, 방사체(100, 102)는 12 x 12mm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iMAX band,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는 유전체 구조물(110)의 상부의 양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전체 구조물 상부의 다른 영역에는 접지면(106)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에는 하부 접지면(106-1)이 형성되며, 상부의 방사체(100, 102)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하부 접지면(106-1)이 형성되지 않고 유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a lower ground plane 106-1 is formed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a lower ground plane 106-1 is no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이와 같이 유전체 구조물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106, 106-1)은 안테나에 전기적인 접지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지면(106)은 유전체 구조물(110)의 상부에서 방사체(100, 10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고, 하부 접지면(106-1)은 유전체 구조물(110)의 하부에서 상부의 방사체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은 접지면이 형성되지 않고 유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In this way, the ground planes 106 and 106-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electric structure serve to provide an electrical ground signal to the antenna. As shown in FIG. 1, the upper ground plane 106 is formed in an area in which the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 사이에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가 형성된다. An isolation structure 104, 104-1 is formed between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는 유전체 구조물(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및 하부에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1)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방사체(100) 및 제2 방사체(102)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하고 두 방사체(100, 102)간 격리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1 and 2, isolation structures 104 and 104-1 are formed on top and bottom of
전술한 바와 같이, MIMO 안테나에서 인접하는 방사체 사이에는 상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거나 상호 결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는 이와 같은 간섭 또는 결합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mutual interference or mutual coupling may occur between adjacent radiators in the MIMO antenna, and the isolation structures 104 and 104-1 function to prevent such interference or coupling.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so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는 접지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다.1, 2 and 4, the isolation structures 104 and 104-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ground plane.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는 두 개의 CSRR 구조체(400, 402)가 소정 갭(G5)을 두고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solation structures 104 and 104-1 have a form in which two
직렬로 배열되는 두 개의 CSRR 구조체(400, 402) 역시 외부 갭(G3) 및 내부 갭(G4)을 가진다. Two
CSRR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아이솔레이션 구조체(104, 104-1)는 일반적인 격리도 향상을 위한 구조체에 비해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MIMO 안테나에서 안테나간 간섭 및 결합 방지를 위한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사용 파장의 1/4 또는 1/2 길이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CSRR 구조를 가지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사용 파장의 1/10 이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와이맥스 대역에서 사용될 때 약 9mm X 18.4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isolation structures 104 and 104-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SRR structure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structures for improving general isolation. Structure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and coupling between antennas in MIMO antennas generally have a length of 1/4 or 1/2 of the wavelength of use, but an isolation structure having the CSR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less than 1/10 of the wavelength of use. It may have a length of about 9 mm x 18.4 mm when used in the WiMAX band.
한편, 도 1, 도 2 및 도 4에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가 두 개의 CSRR 구조체(400, 402)로 이루어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 CSRR 구조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although the isolation structure includes two
유전체 구조물(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기판일 수도 있으며 다른 구조를 가진 안테나 캐리어일 수도 있다. 유전체 구조물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며 RF 신호의 매질로서 동작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구조물(110)은 유전율(εr)이 4.4인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 에폭시 기판(FR-4)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외부 갭(G1)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n outer gap G1 of a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inner gap of the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s the reflection lo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G2).
도 6을 참조하면, 방사체의 외부 갭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외부 갭을 조절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방사체의 전체적인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갭이 줄어들면서 공진 주파수가 저주파 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er gap of the radiator. Th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by adjusting the external gap, which means that the resonant frequency can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overall size of the radiator.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moves to the low frequency band as the gap is reduc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방사체의 외부 갭이 줄어들면 격리되는 주파수 영역 역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갭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격리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when the outer gap of the radiator is reduced, the isolated frequency range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ly,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outer gap.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방사체의 내부 갭(G2)의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 of an inner gap G2 of a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inner gap of the radiator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flection loss by the change of (G2).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갭의 변화에 따라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는 이동하지 않으나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가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면서 임피던스 대역폭이 증가하고 임피던스 매칭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갭의 변화에 따라 격리도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does not mov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ternal gap, but the impedance bandwidth increases and the impedance matching is improved whil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low frequency moves to a lower frequency band.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change with the change of the internal gap.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외부 갭(G3)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내부 갭(G4)의 변화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서 CSRR 구조체 사이의 간격(G5)에 따른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n external gap G3 of an isolation structure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interior of an isolation structure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 gap G4,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gap G5 between CSRR structures i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외부 갭의 변화에 따라 격리도 특성에 대한 주파수 영역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갭을 조절하여 원하는 대역에서 격리도 특성이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 갭 및 CSRR 구조체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 중심 주파수 대역에서 격리도 특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a frequency-domain change of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er gap of the isolation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uter gap to maintain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in a desired band. . 10 and 1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in the center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gap between the internal gap and the CSRR structu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1)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사체와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두 개의 CSRR 구조체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and a second radiator which are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n isolation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nd symmetrical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It includes a ground plan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isolation structure is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the inner gap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는 내부 갭 및 외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have a CSRR structure having an inner gap and an outer gap.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접지면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The method of claim 1,
And a ground plane is removed from a lower region of the dielectr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formed.
상기 CSRR 구조를 가지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의 외부 갭 및 내부 갭 조절에 의해 격리되는 주파수 대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The method of claim 1,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band isolated by the external gap and the internal gap control of the isolation structure having the CSRR structure is adjusted.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외부 갭 조절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The method of claim 2,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onant frequency is adjusted by the external gap control of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사체와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아이솔레이션 구조체 및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2 방사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CSRR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 갭의 조절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고,
상기 아이솔레이션 구조체는 외부 갭 및 내부 갭을 가지는 두 개의 CSRR 구조체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 Dielectric structure
A first radiator and a second radiator which are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n isolation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nd symmetrical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dielectric structure;
It includes a ground plan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have a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an inner gap,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by adjusting the outer gap,
The isolation structure is a MIMO antenna using a CSR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SRR structure having an outer gap and the inner gap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접지면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RR 구조를 이용한 MIMO 안테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ground plane is removed from a lower region of the dielectr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are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2898A KR101174587B1 (en) | 2010-12-03 | 2010-12-03 |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2898A KR101174587B1 (en) | 2010-12-03 | 2010-12-03 |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1555A KR20120061555A (en) | 2012-06-13 |
KR101174587B1 true KR101174587B1 (en) | 2012-08-16 |
Family
ID=4661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2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4587B1 (en) | 2010-12-03 | 2010-12-03 |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45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01624A (en) * | 2015-03-03 | 2015-06-10 | 南京邮电大学 | Novel compact dual-band MIMO antenn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2097B1 (en) * | 2012-08-23 | 2014-04-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Antenna apparatus |
KR101411442B1 (en) * | 2013-04-05 | 2014-07-0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rray patch 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04466401B (en) * | 2013-09-25 | 2019-03-1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ulti-antenna terminal |
KR101650340B1 (en) * | 2015-01-20 | 2016-08-23 | 한국과학기술원 | Espar antenna using srr |
CN106876884A (en) * | 2015-12-10 | 2017-06-20 | 哈尔滨黑石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imo antenna of high-isolation |
CN106876905A (en) * | 2015-12-10 | 2017-06-20 | 哈尔滨黑石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ouble frequency mimo antenna of high-isolation |
CN107634320A (en) * | 2017-07-14 | 2018-01-26 | 杭州电子科技大学 | A Multimode, Broadband Printed Loop Antenna Based on Deformed Split Resonator Loop |
KR101994643B1 (en) * | 2017-08-31 | 2019-07-01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compact size ultra wide band antenna with multiple notches, the antenna desig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antenna |
CN109149106B (en) * | 2018-07-02 | 2021-01-05 | 杭州电子科技大学 | Broadband, High Isolation MIMO Loop Antenna Based on Electromagnetic Coupling |
CN109103583B (en) * | 2018-09-11 | 2024-05-28 |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 Antenna and electronic equipment |
US11424543B2 (en) | 2019-01-17 | 2022-08-23 | Kyocera International, Inc. | Antenna apparatus with integrated filter having stacked planar resonators |
KR102099189B1 (en) * | 2019-02-12 | 2020-04-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Frequency selective substrate capable of multi-frequency noise shielding for vehicles using FSS |
CN114660365A (en) * | 2020-12-23 | 2022-06-24 | 安徽师范大学 | 5G dual-band dielectric constant nondestructive measurement method of surface sensor based on double complementary open loops |
CN113078465B (en) * | 2021-03-08 | 2023-03-31 | 电子科技大学 | Dual-port ultra-wideband MIMO antenna capable of realizing wideband decoupling |
KR102792864B1 (en) * | 2023-12-07 | 2025-04-0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High-isolation antenna apparatus |
-
2010
- 2010-12-03 KR KR1020100122898A patent/KR1011745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Qiaoli Zhang et al, "Realization of left handedness through CSRRs and SRRs in microstrip line", MOTL, Vol. 51, No. 3, March 2009, pp 757-760*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01624A (en) * | 2015-03-03 | 2015-06-10 | 南京邮电大学 | Novel compact dual-band MIMO antenn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1555A (en) | 2012-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4587B1 (en) | MIMO Antenna Using CSRR Structure | |
US7405699B2 (en)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 |
US8395552B2 (en) | Antenna module having reduced size, high gain, and increased power efficiency | |
US10103428B2 (en) | Low cost high performance aircraft antenna for advanced ground to air internet system | |
US9711860B2 (en) | Wideband antennas including a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 |
US8742990B2 (en) |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 |
US11342682B2 (en) | Frequency-selective reflector module and system | |
EP1271692B1 (en) | Printed planar dipole antenna with dual spirals | |
KR20100017116A (en) | Ultra wideband antenna | |
KR101144518B1 (en) | Mimo antenna for multi band | |
US10305185B2 (en) | Multiband antenna | |
KR20150089509A (en) |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 |
KR101952765B1 (en) | Hybrid antenna based on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beamforming array antenna for 5g coexisting with lte | |
KR101714921B1 (en) | Multi Band Metamaterial Absorber | |
KR101174591B1 (en) | MIMO Antenna Using Common Ground | |
US9190723B1 (en) | Multi-input and multi-output (MIMO) antenna system with absorbers for reducing interference | |
US20140118212A1 (en) | Micro-miniature base station antenna having dipole antenna | |
KR20050027035A (en) | Antenna with polarization diversity | |
Shaker et al. | Design of band-notched MIMO antenna for UWB | |
US10381733B2 (en) | Multi-band patch antenna module | |
Essid et al. | A design of phased array antenna with metamaterial circular SRR for 5G applications | |
Juneja et al. | Study of techniques to improve performance of patch antennas for 5G applications at millimeter wave (mmW) frequencies | |
US11848472B2 (en) | Differential circulator | |
KR101174825B1 (en) | Planar antenna | |
JP2019176466A (en) |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