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4283B1 -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 Google Patents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283B1
KR101174283B1 KR1020100109659A KR20100109659A KR101174283B1 KR 101174283 B1 KR101174283 B1 KR 101174283B1 KR 1020100109659 A KR1020100109659 A KR 1020100109659A KR 20100109659 A KR20100109659 A KR 20100109659A KR 101174283 B1 KR101174283 B1 KR 10117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sulation bar
building
curtain wall
ceramic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671A (ko
Inventor
이봉재
Original Assignee
(주)가이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이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가이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0010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2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2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로서, 하나의 단열바를 이용하여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같이 연결하여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각각 별도의 지지바로 연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공사비용 증대 및 공사기간 지연은 물론 작업효율성 및 설치성에 대한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11)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의해 양면이 지지고정되고 전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1/2부착면(2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착면(21)(22)의 중앙에 요입홈(23)이 형성된 단열바(20)와; 상기 단열바(20)의 요입홈(23)에 요입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편(3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지지편(31)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편(31)에 체결되는 체결클립(41)에 의해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단열바(20)의 제1부착면(21) 전면에 위치되는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이 체결고정되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바(20)의 제2부착면(22) 전면에 위치되는 커튼월(50)과; 상기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커튼월(5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수가스켓(60)과; 상기 단열바(20)의 제1/2부착면(21)(22)과 상기 세라믹판넬(40) 및 커튼월(50)의 후면을 고정하는 우레탄폼(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CURTAIN WALL AND CERAMIC PANEL FOR BUILDING OUTER WALL}
본 발명은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커튼월과 세라믹이나 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넬을 하나의 단열바로 연결하여 건물 마감재를 설치함으로써 시공성 향상과 함께 작업효율성 증대 및 하나의 단열바로 유리의 커튼월과 세라믹의 판넬을 동시에 설치함에 따라 건물 마감재 설치시에 사용되는 자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마감재는 시멘트 모르타르나 에폭시 수지접착제 등의 건축용 접착재를 통하여 벽체에 직접 부착되거나, 마감재 자체를 관통하는 나사못, 또는 마감재와 벽체를 연결하는 절곡된 금속판 등의 기계적 결합수단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되게 된다.
특히, 근래에 들어 건축물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벽면용 마감재로 자연석을 비롯한 각종 석재가공물이나 세라믹재질의 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량 마감재의 부착수단으로서 기계적 고정수단을 이용한 건식부착공법이 선호되고 있다.
전형적인 판상 마감재의 건식공법으로는 절곡된 금속판으로 고정편을 구성하고 이 고정편과 고정나사를 통하여 마감재와 건물의 외벽체를 연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고정편과의 연결을 위한 구멍이나 홈을 마감재에 천공하고 나사나 못을 이용하여 마감재와 고정편을 연결한 후, 고정나사로 고정편을 벽체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공법을 통하여, 시멘트모르타르 등을 사용하는 습식공법에 비하여 작업속도나 부착품질 면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관 역시 마감재에 의해 미려하고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건식공법에서의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판상의 마감재의 경우, 유리로 이루어지는 커튼월과,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판넬이 각각 따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바들이 각각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건식공법으로 건물의 외벽을 마감할 경우에 세라믹판넬 또는 유리로 구성되는 커튼월을 설치함에 있어서, 세라믹판넬을 건물의 외벽에 지지하는 지지바와 커튼월을 건물의 외벽에 지지하는 지지바를 따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치성이 저하되고 작업시간 및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따로 지지바들을 설치하여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각각 지지하여 설치함으로써 지지바에 따른 공사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805215호인 건물외벽용 패널의 시공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형성된 L형 형상으로 상기 수직판이 벽면에 고정되는 L형앵커와, 패널의 상부후면 및 하부후면이 부착 고정되는 수평부착판과, 상기 수평부착판의 후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L형앵커의 수평판과 결합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수평부착판 전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상하패널간의 틈새를 매꾸는 수평메지판으로 구성된 수평고정부재와, 양단이 상하로 이웃하는 수평고정부재의 수평부착판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부착판과, 상기 수직부착판의 전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이웃하는 좌우패널간의 틈새를 매꾸는 수직메지판으로 구성된 수직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평부착판과 수직부착판에는 양면테이프와 실리콘을 접착한 다음 상기 수평메지판과 수직메지판에 의해 마련된 설치공간내에 패널을 삽입시켜 상기 양면테이프와 실리콘에 의해 패널이 수평부착판과 수직부착판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면에 설치되는 L형앵커에 결합되는 고정판 및 수평메지편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을 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라믹판넬과 유리로 구성되는 커튼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역시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바들을 따로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은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건물의 외벽면을 마감하는 마감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단열바를 이용하여 커튼월(curtain wall)과 세라믹판넬을 같이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지지바들의 설치에 따른 공사비용 증대 및 공사기간 지연은 물론 작업효율성과 설치성의 저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양면이 지지고정되고 전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1/2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착면의 중앙에 요입홈이 형성된 단열바와; 상기 단열바의 요입홈에 요입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편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지지편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편에 체결되는 체결클립에 의해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단열바의 제1부착면 전면에 위치되는 세라믹판넬과; 상기 세라믹판넬이 체결고정되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바의 제2부착면 전면에 위치되는 커튼월과; 상기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수가스켓과; 상기 단열바의 제1/2부착면과 상기 세라믹판넬 및 커튼월의 후면을 고정하는 우레탄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판넬의 후면과 상기 세라믹판넬이 부착되는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는 단열재가 더 내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바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고 전측에 제1연결홈이 형성되는 제1단열바와; 상기 제1단열바의 제1연결홈과 대응되도록 제2연결홈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2단열바와; 상기 제1단열바의 제1연결홈과 제2단열바의 제2연결홈에 양측이 각각 끼워져 상기 제1/2연결홈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는, 하나의 단열바를 이용하여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같이 연결하여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세라믹판넬과 커튼월을 각각 별도의 지지바로 연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공사비용 증대 및 공사기간 지연은 물론 작업효율성 및 설치성에 대한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는, 건물의 외벽(11)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의해 양면이 지지고정되고 전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1/2부착면(2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착면(21)(22)의 중앙에 요입홈(23)이 형성된 단열바(20)와, 상기 단열바(20)의 요입홈(23)에 요입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편(3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지지편(31)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편(31)에 체결되는 체결클립(41)에 의해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단열바(20)의 제1부착면(21) 전면에 위치되는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이 체결고정되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바(20)의 제2부착면(22) 전면에 위치되는 커튼월(50)과, 상기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커튼월(5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수가스켓(60)과, 상기 단열바(20)의 제1/2부착면(21)(22)과 상기 세라믹판넬(40) 및 커튼월(50)의 후면을 고정하는 우레탄폼(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는, 건물의 외벽(11)에 상기 단열바(20)를 이용하여 유리로 구성되는 커튼월(50)과 세라믹판넬(40)을 같이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건물 외벽에 대한 마감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세라믹판넬(40)과 상기 단열바(20)의 요입홈(23)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지지편(31)의 결합은, 일반적인 체결클립(41)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클립(41)에 의해 고정브라켓(30)의 지지편(31)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의 후면이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세라믹판넬(40)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라믹판넬(40)과 커튼월(50) 사이에 구성되는 방수가스켓(60)에 의해 세라믹판넬(40)과 커튼월(50)이 서로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견고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열바(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재질인 세라믹판넬(40)과 커튼월(50)이 설치될 수 있음에 따라, 이들 서로 다른 재질을 건물의 외벽(11)에 설치 시공할 때 각각의 지지바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지지바들의 사용이 최소화될 수 있어 공사비용 절감 및 공사기간 단축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세라믹판넬(40)의 후면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이 부착되는 상기 건물 외벽(11) 사이에는 단열재(80)가 더 내삽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세라믹판넬(40)의 후면에 우레탄폼(70)과 단열재(80)가 내삽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빼앗기는 현상과 건물 외부의 열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 단열바(20)는, 상기 건물의 외벽(11)에 설치되고 전측에 제1연결홈(211)이 형성되는 제1단열바(212)와, 상기 제1단열바(212)의 제1연결홈(211)과 대응되도록 제2연결홈(213)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2단열바(214)와, 상기 제1단열바(212)의 제1연결홈(211)과 제2단열바(214)의 제2연결홈(213)에 양측이 각각 끼워져 상기 제1/2연결홈(211)(213)을 연결하는 연결구(2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단열바(20)가 제1단열바(212)와 제2단열바(214)로 분리된 상태에서 이들 제1/2단열바(212)(214)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1연결홈(211)과 제2연결홈(213)에 연결구(215)를 끼워 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되는 장소 여건에 따라 상기 단열바(20)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켜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지지브라켓 11 : 건물 외벽
20 : 단열바 21 : 제1부착면
22 : 제2부착면 23 : 요입홈
30 : 고정브라켓 31 : 지지편
40 : 세라믹판넬 41 : 체결클립
50 : 커튼월 60 : 방수가스켓
70 : 우레탄폼 80 : 단열재
211 : 제1연결홈 212 : 제1단열바
213 : 제2연결홈 214 : 제2단열바
215 : 연결구

Claims (3)

  1. 건물의 외벽(11)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의해 양면이 지지고정되고 전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1/2부착면(2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착면(21)(22)의 중앙에 요입홈(23)이 형성된 단열바(20)와;
    상기 단열바(20)의 요입홈(23)에 요입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편(3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지지편(31)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편(31)에 체결되는 체결클립(41)에 의해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상기 단열바(20)의 제1부착면(21) 전면에 위치되는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이 체결고정되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바(20)의 제2부착면(22) 전면에 위치되는 커튼월(50)과;
    상기 세라믹판넬(40)과 상기 커튼월(5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수가스켓(60)과;
    상기 단열바(20)의 제1/2부착면(21)(22)과 상기 세라믹판넬(40) 및 커튼월(50)의 후면을 고정하는 우레탄폼(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판넬(40)의 후면과 상기 세라믹판넬(40)이 부착되는 상기 건물 외벽(11) 사이에는 단열재(80)가 더 내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바(20)는, 상기 건물의 외벽(11)에 설치되고 전측에 제1연결홈(211)이 형성되는 제1단열바(212)와;
    상기 제1단열바(212)의 제1연결홈(211)과 대응되도록 제2연결홈(213)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2단열바(214)와;
    상기 제1단열바(212)의 제1연결홈(211)과 제2단열바(214)의 제2연결홈(213)에 양측이 각각 끼워져 상기 제1/2연결홈(211)(213)을 연결하는 연결구(215)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KR1020100109659A 2010-11-05 2010-11-05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Active KR10117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659A KR101174283B1 (ko) 2010-11-05 2010-11-05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659A KR101174283B1 (ko) 2010-11-05 2010-11-05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671A KR20100123671A (ko) 2010-11-24
KR101174283B1 true KR101174283B1 (ko) 2012-08-17

Family

ID=4340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659A Active KR101174283B1 (ko) 2010-11-05 2010-11-05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024A (zh) * 2020-06-24 2020-10-02 南京市第八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轻质混凝土陶瓷厚板幕墙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07B1 (ko) 2018-04-18 2020-11-06 주식회사 한림산업개발 커튼월용 백 판넬
CN113235783B (zh) * 2021-05-13 2024-04-09 武汉希海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施工中的连接处紧固机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45B1 (ko) 2006-08-04 2008-07-28 (주)무한이엔지 스틸 프레임을 이용한 유리 창호의 커튼 월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45B1 (ko) 2006-08-04 2008-07-28 (주)무한이엔지 스틸 프레임을 이용한 유리 창호의 커튼 월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024A (zh) * 2020-06-24 2020-10-02 南京市第八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轻质混凝土陶瓷厚板幕墙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671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8255B (zh) 装饰材料干式施工系统
CN110847534B (zh) 一种石材卫生间墙面总成及其安装方法
KR101461545B1 (ko) 외벽마감구조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US20140053496A1 (en) Lightweight stone insulat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nsulating building exterior using the same
KR101174283B1 (ko) 커튼월과 판넬이 구비된 건물 마감재
KR20120094458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KR101254430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CN103290963A (zh) 新型模块化组合式保温幕墙板
CN103362313B (zh) 模块化组合式保温幕墙板的组装方法
KR201100863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12392222B (zh) 一种墙板挂装结构以及挂装方法
RU2447249C1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с воздушным зазором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елкоразмерных плит облицовки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20190120632A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시스템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303473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102116086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CN111851903A (zh) 装配式壁板安装结构
PL355005A1 (en) Fastening member for mounting facade facing panels on building walls in spaced relationship in respect to wall surface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CN213477297U (zh) 隔墙连接结构和装配式隔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1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502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