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684B1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3684B1 KR101173684B1 KR1020120046636A KR20120046636A KR101173684B1 KR 101173684 B1 KR101173684 B1 KR 101173684B1 KR 1020120046636 A KR1020120046636 A KR 1020120046636A KR 20120046636 A KR20120046636 A KR 20120046636A KR 101173684 B1 KR101173684 B1 KR 101173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fingers
- finger
- top plate
- expansion j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1145 fing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UP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J-J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회동허용부재의 사시도,
도 6은 회동허용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10: 탄력고정구 212: 앵커볼트
214, 264: 탄성체 216: 가압부재
218: 조임너트 220: 제1핑거부재
222: 제1핑거 224, 234: 핑거삽입부
226; 제1연결부 230: 제2핑거부재
232: 제2핑거 236: 제2연결부
250: 크로스 빔 260: 지지빔
260a: 원호형 홈 260b: 장착홈
262: 회동허용부재 S1: 제1미끄럼부재
S2: 제2미끄럼부재 OS: 오버랩 스페이스
MC: 전체 이동구간
Claims (7)
-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핑거들과 상기 제1핑거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제1상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를 가지는 제1핑거부재, 상기 제1핑거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핑거들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2핑거들과 상기 제2핑거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상판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제2상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를 가지는 제2핑거부재를 구비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과 상기 제2상판의 사이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핑거들 또는 상기 제2핑거들 또는 상기 제1 및 제2핑거들의 저면을 지지하는 크로스 빔;
일 단부는 상기 제1상판에 지지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상판에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 빔과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빔을 지지하며 상기 크로스 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이상의 지지빔들;
상기 제1핑거부재 하부의 상기 제1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빔들의 상기 일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빔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며 상기 크로스 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이상의 제1슬라이딩박스들; 및
상기 제2핑거부재 하부의 상기 제2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빔들의 상기 타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빔들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며 상기 크로스 빔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이상의 제2슬라이딩박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박스들과 상기 제2슬라이딩박스들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1미끄럼부재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빔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원호형 홈 또는 구면형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홈 또는 구면형 홈에는 상기 지지빔의 상하방향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지지빔을 상기 제1슬라이딩박스와 상기 제2슬라이딩박스의 하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이 원호형 곡면 또는 구면형 곡면을 이루고 있고 하측 표면은 상기 하면의 상기 제1미끄럼부재에 미끄럼 접촉되는 회동허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미끄럼부재와 미끄럼 접촉되는 제2미끄럼부재 및 상기 지지빔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초기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2미끄럼부재를 상기 제1미끄럼부재를 향해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박스의 하면과 상기 제2슬라이딩박스의 하면에는 상기 회동허용부재가 바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 시 상기 회동허용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동허용부재가 바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는 볼트구멍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핑거부재와 상기 제2핑거부재는 탄력고정구를 통해 상기 제1상판의 단부와 상기 제2상판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탄력고정구는 상기 볼트구멍에 삽입되는 앵커볼트, 상기 앵커볼트 외주면에 결합된 탄성체, 상기 앵커볼트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앵커볼트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탄성체보다 단면적이 큰 가압부재 및 상기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상기 앵커볼트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여 압축시키기 위한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고정구의 상기 탄성체는 고무경도 65A 내지 100A의 폴리우레탄으로 된 머스프링(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부재와 상기 제1상판 및 상기 제2핑거부재와 상기 제2상판은 소정 간격의 오버랩 스페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부재는 스테인리스 스틸판이고, 상기 탄성체는 일레스토머릭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6636A KR101173684B1 (ko) | 2012-05-03 | 2012-05-03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6636A KR101173684B1 (ko) | 2012-05-03 | 2012-05-03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3684B1 true KR101173684B1 (ko) | 2012-08-13 |
Family
ID=4688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6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3684B1 (ko) | 2012-05-03 | 2012-05-03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3684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361B1 (ko) | 2012-04-27 | 2012-11-05 | 제이.알 도시 환경산업(주) | 슬라이드형 신축이음장치 |
CN103850179A (zh) * | 2014-03-20 | 2014-06-11 |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 齿条式桥梁伸缩装置 |
KR20150107359A (ko) * | 2014-03-14 | 2015-09-23 | 주식회사 위드이앤오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CN110424258A (zh) * | 2019-08-02 | 2019-11-08 |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 一种低高度的桥梁牛腿双向限位伸缩装置 |
KR102060048B1 (ko) * | 2019-06-28 | 2019-12-30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반력으로 인한 충격 및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앵커링부재를 구비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N112112068A (zh) * | 2020-09-28 | 2020-12-22 | 单国珠 | 一种加强型多向变位伸缩装置 |
KR20210000856A (ko) * | 2019-06-26 | 2021-01-06 | 이하나 |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
CN115369756A (zh) * | 2022-09-13 | 2022-11-22 | 河北万亿交通设施有限公司 | 一种多向变位组合式桥梁伸缩装置 |
KR102520638B1 (ko) | 2022-10-31 | 2023-04-12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7013A (ja) | 1999-03-09 | 2000-09-19 | Nippon Chuzo Kk | 伸縮継手装置 |
KR100829006B1 (ko) | 2007-05-30 | 2008-05-14 | (주)엠피기술산업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2012
- 2012-05-03 KR KR1020120046636A patent/KR10117368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7013A (ja) | 1999-03-09 | 2000-09-19 | Nippon Chuzo Kk | 伸縮継手装置 |
KR100829006B1 (ko) | 2007-05-30 | 2008-05-14 | (주)엠피기술산업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361B1 (ko) | 2012-04-27 | 2012-11-05 | 제이.알 도시 환경산업(주) | 슬라이드형 신축이음장치 |
KR20150107359A (ko) * | 2014-03-14 | 2015-09-23 | 주식회사 위드이앤오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KR101589430B1 (ko) * | 2014-03-14 | 2016-01-28 | (주)위드이앤오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CN103850179A (zh) * | 2014-03-20 | 2014-06-11 |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 齿条式桥梁伸缩装置 |
CN103850179B (zh) * | 2014-03-20 | 2015-09-30 |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 齿条式桥梁伸缩装置 |
KR20210000856A (ko) * | 2019-06-26 | 2021-01-06 | 이하나 |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
KR102201905B1 (ko) | 2019-06-26 | 2021-01-11 | 이하나 |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
KR102060048B1 (ko) * | 2019-06-28 | 2019-12-30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반력으로 인한 충격 및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앵커링부재를 구비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N110424258A (zh) * | 2019-08-02 | 2019-11-08 |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 一种低高度的桥梁牛腿双向限位伸缩装置 |
CN112112068A (zh) * | 2020-09-28 | 2020-12-22 | 单国珠 | 一种加强型多向变位伸缩装置 |
CN115369756A (zh) * | 2022-09-13 | 2022-11-22 | 河北万亿交通设施有限公司 | 一种多向变位组合式桥梁伸缩装置 |
KR102520638B1 (ko) | 2022-10-31 | 2023-04-12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684B1 (ko)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
US10563360B2 (en) | Finger joint with a bridging cover plate | |
JP2010510416A5 (ko) | ||
KR100757212B1 (ko) | 면진 핑거 조인트 | |
US8919065B2 (en) |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 |
US20200378072A1 (en) |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 |
JP2010510416A (ja) | 構造部材のためのカバーアセンブリ | |
KR101467458B1 (ko) | 수평강성이 보강된 마찰형 교좌장치 | |
US10087591B1 (en) | Expansion joint system | |
KR101351069B1 (ko) |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 |
KR102058684B1 (ko) | 탄성복원력을 활용한 교량받침장치 | |
KR101951734B1 (ko) | 교량의 핑거 조인트 | |
KR100638576B1 (ko) | 다층마찰면을 갖는 교좌장치 | |
KR20120136132A (ko) |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 |
KR200262491Y1 (ko) |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 |
KR101744909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 |
KR101998406B1 (ko) |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 |
KR100784609B1 (ko) |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 |
JP4566971B2 (ja) | すべり支承免震装置 | |
KR20150004621U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214819B1 (ko) | 이방성 진자형 면진장치 | |
KR102162490B1 (ko) | 슬라이딩 면진장치 | |
CA2483130C (en) |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 |
US20030091247A1 (en) |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 |
KR200369565Y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