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1085B1 -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085B1
KR101171085B1 KR1020100018025A KR20100018025A KR101171085B1 KR 101171085 B1 KR101171085 B1 KR 101171085B1 KR 1020100018025 A KR1020100018025 A KR 1020100018025A KR 20100018025 A KR20100018025 A KR 20100018025A KR 101171085 B1 KR101171085 B1 KR 10117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uide
rod hole
valve
guide
slee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414A (ko
Inventor
안상진
신성환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KR102010001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8Valves guides; Sealing of valve stem, e.g. sealing by lubric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되는 로드공이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서 내부로 내장되어 밸브 가이드가 공급되는 슈트와, 상기 로드공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가능하여 상기 슈트 및 상기 로드공에 연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로드공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가능한 프레스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바디와, 일측이 상기 포켓바디에 내장되고 타측이 돌출되며 상기 밸브 가이드 내경보다 직경이 적은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 공차관리부재를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작업자가 별도의 장치 세팅이 필요없어 편의성이 증가하며,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의 효율이 증가하여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며,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의 불량율이 떨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INSERTION APPARATUS OF VALVE GUIDE POSSIBLE FOR MANAGING GAP}
본 발명은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에 밸브 가이드가 일정한 위치에 삽입 형성되는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헤드는 엔진의 머리 부분으로 실린더의 윗면에 설치되며,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여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에는 스파크 플러그, 흡입밸브, 배기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 피스톤, 실린더 헤드와 함께 연소실을 구성한다.
또한, 실린더 헤드에는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안내하는 밸브가이드와, 연소실의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밸브가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2)에 형성된 안내홀에 압입되고, 흡기 및 배기밸브(미도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밸브시트(4)는 흡기 및 배기밸브의 페이스(FACE)부가 밀착되는 지지홀에 압입되고 연소실의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하며, 밸브 헤드의 열을 받아 실린더 헤드(2)의 냉각수 통로를 통해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4)는 실린더 헤드(2)에 압입시 가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유압 및 서브프레스 이용한 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압입을 진행한다.
보통, 상기 밸브가이드는 밸브가이드 인입장치에 의해서 인입되게 된다.
도 2는 밸브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장치는 전후로 관통되는 로드공(12)이 형성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 상측에서 내부로 내장되어 밸브 가이드(60)가 공급되는 슈트(20)와, 상기 로드공(12)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가능하여 상기 슈트(20) 및 상기 로드공(12)에 연통되는 수용부(32)가 형성된 슬리브(30)와, 상기 로드공(12)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가능한 프레스 바(40)로 이루어진다.
밸브 가이드(60)를 압입시 밸브 가이드(60)와 같은 외경의 프레스 바(40)를 사용하여 압입하고, 스토퍼를 사용하여 밸브 가이드(60)가 자동차의 흡,배기밸브(150)의 일정깊이에 압입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밸브 가이드(60)의 깊이를 조절하므로 't'만큼의 공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스토퍼를 사용하는 장비의 세팅이 어렵고, 소재의 조건에 따라 압입 깊이에 대한 공차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불량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스토퍼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어떠한 소재에도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에 삽입형성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되는 로드공이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서 내부로 내장되어 밸브 가이드가 공급되는 슈트와, 상기 로드공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가능하여 상기 슈트 및 상기 로드공에 연통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로드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가능한 프레스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바디와, 일측이 상기 포켓바디에 내장되고 타측이 돌출되며 상기 밸브 가이드 내경보다 직경이 적은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 공차관리부재를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상기 슈트로 상기 밸브 가이드가 투입되어 상기 가이드핀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여 상기 프레스 바에 의해 상기 포켓바디가 자동차의 흡,배기밸브로 이동되면 밸브 가이가 일정한 깊이로 흡,배기밸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바디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가이드 외경보다 큰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가이드핀 일측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바디는 타측면이 'T'자 형상의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 바는 전면이 'T'자 형성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삽입홈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별도의 장치 세팅이 필요없어 편의성이 증가하며,
또한,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의 효율이 증가하여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며,
또한, 자동차의 흡,배기밸브의 불량율이 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실시도.
도 6은 도 5의 'A'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차관리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를 도시하는 실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를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차관리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관통되는 로드공(12)이 형성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 상측에서 내부로 내장되어 밸브 가이드(60)가 공급되는 슈트(20)와, 상기 로드공(12)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가능하여 상기 슈트(20) 및 상기 로드공(12)에 연통되는 수용부(32)가 형성된 슬리브(30)와, 상기 로드공(12)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가능한 프레스 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가이드(60) 인입장치에,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32)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바디(112)와, 일측이 상기 포켓바디(112)에 내장되고 타측이 돌출되며 상기 밸브 가이드(60) 내경보다 직경이 적은 가이드핀(114)으로 이루어진 공차관리부재(110)를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간략하게 실시방법은 설명하면, 상기 슈트(20)로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투입되어 상기 가이드핀(114)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30)가 회전하여 상기 프레스 바(40)에 의해 상기 포켓바디(112)가 자동차의 흡,배기밸브(150)로 이동되면 밸브 가이드(60)가 일정한 깊이로 흡,배기밸브(150)에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10)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관통되는 로드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공(12)을 통하여 상기 프레스 바(40) 및 후술하는 공차관리부재(110)가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공(12)의 갯수는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가능하고, 전측이 돌출되어 자동차의 흡,배기밸브(15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공(12)은 중간부분 전후로 원반형상의 회전공간(14)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30)가 상기 회전공간(14)으로 장착되게 된다. 즉, 상기 로드공(12)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며, 로드공(12)의 일부분에 상하로 부풀어진 회전공간(14)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는 후술하는 각종 부품들이 작동하기 위한 동력원등을 구비되게 된다. 종래에 상기 밸브 가이드(60)를 인입하는 장치등이 공지되어 있어, 장치들이 작동하기 위한 각종 부재들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한다.
여기서, 상기 슈트(20)는 관 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10) 상측에 내부로 관통되되, 상기 회전공간(14)으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슈트(20)를 통하여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투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30)는 원반 형상으로 상기 회전공간(14)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 장착된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공간(14)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30)는 일측 외주에서 중심을 통과하여 타측 외주까지 관통된 수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32)는 상기 슈트(20) 연통되며 또한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공(12)과도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공차관리부재(110)가 수용부(32)에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 바(40)는 압입을 하는 부재로, 상기 로드공(12)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차관리부재(110)는 상기 수용부(32)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바디(112)와, 일측이 상기 포켓바디(112)에 내장되고 타측이 돌출되며 상기 밸브 가이드(60) 내경보다 직경이 적은 가이드핀(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차관리부재(110)는 상기 수용부(32) 내부에 선 장착되어 있으며, 수용부(32)가 상기 슈트(20)와 연통되도록 상기 슬리브(30)가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상기 슈트(20)로 투입되며, 밸브 가이드(60)가 상기 가이드 핀으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상기 슬리브(30)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수용부(32)를 상기 로드공(12)과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스 바(40)는 상기 로드공(12) 후측에서 상기 공차관리부재(110)를 앞으로 압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차관리부재(110)가 상기 로드공(12)을 따라 상기 자동차 흡,배기밸브(150)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공차관리부재(110)는 자동차 흡,배기밸브(150)에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삽입되는 부분보다 직경이 크므로 접촉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공차관리부재(110)에 형성된 밸브 가이드(60)만 자동차 흡,배기밸브(150)의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즉, 종래에 스토퍼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그 깊이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부분이 해결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바디(112)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가이드(60) 외경보다 큰 안착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16)으로 상기 가이드핀(114) 일측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밸브 가이드(60)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116)으로 수용되어, 밸브 가이드(60) 외주 압착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면, 상기 가이드핀(114)의 직경이 상기 밸브 가이드(60) 보다 많이 적으면, 밸브 가이드(60)는 직경의 차이만큼 움직이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밸브 가이드(60) 외경에 대응하는 안착홈(1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6)의 깊이에 따라 상기 자동차 흡,배기밸브(150)에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형성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바디(112)는 타측면이 'T'자 형상의 돌출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 바(40)는 전면이 'T'자 형성의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구(118)와 상기 삽입홈(42)이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프레스 바(40)와 상기 포켓바디(112)가 일체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홈(42)은 상기 슬리브(3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바(40)의 삽입홈(42) 부분이 슬리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슬리브(30)가 회전하면 상기 돌출구(118)가 삽입홈(42)에 위치하되, 각각의 'T'자 형상이 직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 바(4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프레스 바(40)와 포켓바디(112)는 결합되게 된다.
이로인해, 전,후진에 따라 일체로 움직으로 상기 밸브 가이드(60)를 압입하여 자동차 흡,배기밸브(150)의 정위치에 형성시키고, 후진시 포켓바디(112)를 밸브 가이드(60)와 분리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공간(14)은 상기 슬리브(30)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밸브 가이드(60)의 길이가 길더라도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밸브 가이드가 자동차 흡,배기밸브에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메인바디 12: 로드공
20: 슈트 30: 슬리브
32: 수용부 40: 프레스 바
110: 공차관리부재 112: 포켓바디
114: 가이드핀 116: 안착홈

Claims (3)

  1. 전후로 관통되는 로드공(12)이 형성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 상측에서 내부로 내장되어 밸브 가이드(60)가 공급되는 슈트(20)와, 상기 로드공(12)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가능하여 상기 슈트(20) 및 상기 로드공(12)에 연통되는 수용부(32)가 형성된 슬리브(30)와, 상기 로드공(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가능한 프레스 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가이드(60)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2)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바디(112)와, 일측이 상기 포켓바디(112)에 내장되고 타측이 돌출되며 상기 밸브 가이드(60) 내경보다 직경이 적은 가이드핀(114)으로 이루어진 공차관리부재(110)를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상기 슈트(20)로 상기 밸브 가이드(60)가 투입되어 상기 가이드핀(114)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30)가 회전하여 상기 프레스 바(40)에 의해 상기 포켓바디(112)가 자동차의 흡,배기밸브(150)로 이동되면 밸브 가이드(60)가 일정한 깊이로 흡,배기밸브(15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바디(112)는,
    일측면이 상기 밸브 가이드(60) 외경보다 큰 안착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16)으로 상기 가이드핀(114) 일측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바디(112)는,
    타측면이 'T'자 형상의 돌출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 바(40)는,
    전면이 'T'자 형성의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구(118)와 상기 삽입홈(4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KR1020100018025A 2010-02-26 2010-02-26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Active KR10117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025A KR101171085B1 (ko) 2010-02-26 2010-02-26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025A KR101171085B1 (ko) 2010-02-26 2010-02-26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14A KR20110098414A (ko) 2011-09-01
KR101171085B1 true KR101171085B1 (ko) 2012-08-29

Family

ID=4495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025A Active KR101171085B1 (ko) 2010-02-26 2010-02-26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8677B (zh) * 2017-12-26 2020-08-18 重庆英拓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适应多角度的气门压机
CN110744489A (zh) * 2019-11-08 2020-02-04 江西腾勒动力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盖导管手工压装工装
CN110861033B (zh) * 2019-11-22 2021-05-04 中国航发西安动力控制科技有限公司 斜孔压销工装及压销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513A (ja) 2000-08-29 2002-03-0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ルブガイド圧入装置及びバルブガイド圧入方法
KR100569126B1 (ko) 2003-09-24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동시 압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513A (ja) 2000-08-29 2002-03-0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ルブガイド圧入装置及びバルブガイド圧入方法
KR100569126B1 (ko) 2003-09-24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동시 압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14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085B1 (ko) 공차 관리가 가능한 밸브 가이드 인입장치
RU2698375C2 (ru) Инж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жек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519911B2 (en) Common rail multi-cylinder fuel pump with independent pumping plunger extension
KR101673636B1 (ko) 고압 펌프 및 태핏 어셈블리
US9957938B2 (en) Fuel injector device having pin retainer
EP1790455A3 (en) Heat dissipating apparatus for cylinder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EP2816216B1 (en) Check valve driving device for injecting gas
US7874814B2 (en) Piston pump with fluid reservoir
KR101986018B1 (ko) 고압연료펌프
CZ20011141A3 (cs) Vysokotlaký zásobník paliva
CN100473827C (zh) 具有滚轮挺杆的径向活塞泵
CN100443772C (zh) 液压张紧装置
KR20130130104A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KR101821228B1 (ko) 대형 2행정 자체점화 내연기관용 연료 밸브
JP4569563B2 (ja) カム機構搭載装置
CN102325994A (zh) 用于内燃机的高压燃料泵
KR20100058382A (ko) 자동차용 헤드 가스켓
KR101692231B1 (ko) 분사 펌프
KR101774699B1 (ko) 솔리드 타입 회전방지부를 갖는 롤러 태핏 장치
CN205371647U (zh) 比例电磁气阀
JP2811451B2 (ja) 燃料噴射装置
KR20140005483U (ko) 댐퍼 기능을 갖는 에어실린더
JP2015040492A (ja) 高圧燃料ポンプ
CN106368758A (zh) 用于发动机的连续可变气门正时装置
JPH11200992A (ja) 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