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0785B1 - 양막 삽입기구 - Google Patents

양막 삽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785B1
KR101170785B1 KR20100029211A KR20100029211A KR101170785B1 KR 101170785 B1 KR101170785 B1 KR 101170785B1 KR 20100029211 A KR20100029211 A KR 20100029211A KR 20100029211 A KR20100029211 A KR 20100029211A KR 101170785 B1 KR101170785 B1 KR 10117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niotic membrane
air injection
cervical
injection tube
ballo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458A (ko
Inventor
이근영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2010002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785B1/ko
Priority to US13/261,155 priority patent/US9028506B2/en
Priority to PCT/KR2011/000489 priority patent/WO2011122760A2/ko
Publication of KR2011010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7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61B2017/4225Cervix uter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응급 자궁경부봉합술시 자궁경부의 외부로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측 끝단부에 구성되는 공기주입수단(120)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튜브(130)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직접적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 내강으로 밀어 넣는 팽창벌룬(160)과, 상기 팽창벌룬(16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공기주입튜브(130)가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외부관(140)과, 상기 외부관(140)과 팽창벌룬(160)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공기주입튜브(130)의 전방에 구성된 팽창벌룬(160)이 지지대(150)에 의해 후방의 전체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팽창벌룬(160)이 팽창된 상태에서 형태변형되거나 후방으로 밀리지 않아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이 용이해지고, 아울러 외부관(140)과 공기주입튜브(1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시술자는 한손으로 양막삽입기구(100)를 전체적으로 부여잡은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조작을 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이 가능하여 자궁경부봉합술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팽창벌룬(160)이 두껍게 구성되면서 그 재질이 신축적인 재질로 구성되고 전방은 오목부(166)를 이루고 후방은 지지대(1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양막이 많이 돌출되어진 환자를 시술하는 경우에도 양막내의 양수를 일부 뽑아내는 양수천자(羊水穿刺)를 시행하지 않고서도 양막의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벌룬(160)의 팽창 정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시 양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별도의 시술이 필요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양막 삽입기구{ Amniotic membrane reinsertion device }
본 발명은 응급 자궁경부봉합술시 자궁경부가 외부로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관 내에 일체로 결합된 공기주입튜브 및 유통공을 통해 가압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을 구성하여 팽윤된 양막을 손상 없이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봉합하여 자궁경부무력증을 치유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선단에 구성되는 팽창벌룬은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을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관과 공기주입튜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시술자는 한손으로 양막삽입기구를 부여잡은 상태에서 조작을 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국, 자궁경부봉합술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궁 경부 무력증(Cervical Incompetence)은 기능적 혹은 구조적인 자궁 경부의 결함 때문에 임신 2 - 3 분기에 진통이나 출혈 없이 자궁 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Bulging)되어 결국, 조기분만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질환으로 그 발생빈도는 전 임신여성의 0.1 - 2% 정도를 차지하며 임신 16주에서 28주 사이 조기분만의 15%를 차지하여 신생아 이환율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자궁 경부무력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예방적으로 사용되는 자궁경부봉합술과 초음파에서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아졌을 때 사용되는 긴급 자궁경부봉합술(Urgent Cerclage)등이 있다.
그러나 자궁 경부무력증이 진단되지 못하고, 예방적 목적인 자궁경부봉합술이나 응급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된 경우 분만이 불가역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 되어 자궁경부의 외구 밖으로 양막이 돌출된 경우에 최선의 방법으로 응급 자궁경부봉합술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는 돌출된 양막을 자궁 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자궁경부를 봉합하는 수술방법이다.
자궁경부 외구 밖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트렌델렌버그 위치(Trendelenburg Position)방법, 방광내 식염수 투입법 및 적신거즈 핏셋(Sponge Forcep) 혹은 폴리카테터(Foley Catheter)를 이용하여 자궁내강으로 양막을 밀어 넣는 방법등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트렌델렌버그 위치방법은 임산부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막이 들어갈 수 있도록 발 쪽을 높여서 자연적으로 들어가게 하는 방법이고, 방광내 식염수 투입법은 방광내에 식염수를 일정량 투입하여 상기 식염수에 의해 양막이 밀려 올라가게 하는 방법이며, 적신 거즈 핀셋을 이용하는 방법은 적신 거즈를 핀셋으로 집어서 양막을 밀어 넣는 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궁경부 봉합술 방법 중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적신 거즈 핀셋을 이용하는 방법은 구조적으로 날카로울 수밖에 없는 거즈 때문에 양막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양막을 자궁 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적신 거즈를 빼낼 때 양막이 다시 자궁 내강에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폴리카테터를 이용한 삽입방법은 대개가 자궁경부가 적게 벌어졌을 경우에는 가능하나 양막이 팽윤된 경우에는 상기 폴리카테터가 휘어지기 때문에 이를 밀어 넣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한국특허 제710905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위 한국특허 제710905호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공기주입수단(12)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튜브(10)와; 상기 공기주입튜브(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1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직접적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넣는 팽창벌룬(30)과; 상기 팽창벌룬(3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공기주입튜브(10)가 삽입되며 상기 공기주입튜브(10)의 휨을 방지하여 양막을 밀어 넣기 용이하도록 하는 가이드관(40)과; 상기 공기주입튜브(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상기 팽창벌룬(30)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벌룬(30)이 형성된 공기주입튜브(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홀(50)로 구성된 것이며, 특히 상기 팽창벌룬(30)은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을 때 미는 힘에 의해 팽창된 팽창벌룬(30)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관(4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특허 제710905호는 상기 팽창벌룬(30)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튜브(10)의 선단 외경에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이는 그 후방의 일부분이 가이드관(4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하더라도 이는 구조적으로 팽윤된 양막을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팽창벌룬(30)이 좌/우로 움직이거나 뒤로 밀릴수 밖에 없어 팽윤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넣는 시술과정이 곤란해 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한국특허 제710905호는 상기 팽창벌룬(3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통로인 공기주입튜브(10)와 상기 공기주입튜브(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가이드관(40)이 일체형이 아닌 각각 별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어, 이는 자궁경부 봉합술을 시술하는 과정에서 한 사람은 한 손으로 양막삽입기구의 가이드관(4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공기주입튜브(10)를 부여잡은 상태에서 이를 조작하여 팽윤된 양막을 자궁 내강에 밀어 넣어야 함으로 결국, 상기 한국특허 제710905호에 의한 양막 삽입기구를 적용하여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양막삽입기구를 조작하는 사람과 자궁경부봉합수술을 시술하는 사람이 각각 필요하게 되어 인력의 낭비가 초래되고, 두 사람이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간 부조화 발생시 예상치 않은 시술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한국특허 제710905호는 팽창벌룬(30)의 두께가 매우 얇고 팽윤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넣는 시술과정에서 상기 팽창벌룬(30)이 뒤로 밀리거나 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있어 팽창벌룬(30)을 크게 부풀리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양막이 많이 돌출되어 있어 무리하게 양막을 밀어 넣으면 양막에 손상을 입을 수 있는 환자를 시술하게 되는 경우 양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양막내의 양수를 일부 뽑아내는 양수천자(羊水穿刺)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양막의 크기를 작게 한 후 다시 양막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는 시술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임신중에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되는 자궁경부무력증을 치료하는 방법인 응급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며, 외부관 내에 일체로 결합된 공기주입튜브 및 유통공을 통해 가압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을 구성하여 팽윤된 양막을 손상없이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봉합하여 자궁경부무력증을 치유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전방에 구성되는 팽창벌룬은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형태변형되거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을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관과 공기주입튜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시술자는 한손으로 양막삽입기구를 부여잡은 상태에서 조작을 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국, 자궁경부봉합술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 삽입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막이 많이 돌출되었을 경우에도 양막내의 양수를 일부 뽑아내는 양수천자(羊水穿刺)를 시행하지 않고서도 양막의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벌룬의 팽창 정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삽입기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 끝단부에 구성되는 공기주입수단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튜브와;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직접적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 내강으로 밀어 넣는 팽창벌룬과, 상기 팽창벌룬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공기주입튜브가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과 팽창벌룬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튜브는 소정의 공기주입수단을 일측단에 연결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일정한 양만큼 주입된 공기가 그 선단에 형성된 유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팽창벌룬으로 주입되어 구 형상의 팽창벌룬이 팽창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벌룬은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선단 내측에 오목부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밀착부분인 제1접합부분이 접합되고 후방경사부의 단부는 그 일부가 상기 실리콘 소재로 구성되는 지지대의 선단 내부에 끼워져 그 밀착부분인 제2접합부분이 접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튜브는 상기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벌룬을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기 외부관내에 일체형으로 삽입되며, 그 재질은 라텍스, 실리콘이 코팅된 라텍스, PVC,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 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벌룬은 그 재질이 라텍스, 실리콘이 코팅된 라텍스, 폴리우레탄, 실리콘, PVC 중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주입튜브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형상은 전방이 오목부로 구성된 구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관은 표면에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고 그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부를 이루고 이 경사부의 외주면은 상기 팽창벌룬과 연결된 지지대의 후방과 결합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상기 공기주입튜브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없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FRP, PVC, 금속재질, 목재, 플라스틱 중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100)는 공기주입튜브(130)의 전방에 구성된 팽창벌룬(160)이 지지대(150)에 의해 후방의 전체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팽윤된 양막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팽창벌룬(160)이 팽창된 상태에서 변형되거나 후방으로 밀리지 않아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이 용이해지고, 아울러 외부관(140)과 공기주입튜브(1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시술자는 한손으로 양막삽입기구(100)를 전체적으로 부여잡은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조작을 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이 가능하여 결국, 자궁경부봉합술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100)는 상기 팽창벌룬(160)이 두껍게 구성되면서 그 재질이 신축적인 재질로 구성되고 전방은 오목부(166)를 이루고 후방은 지지대(1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양막이 많이 돌출되었을 경우에도 양막내의 양수를 일부 뽑아내는 양수천자(羊水穿刺)를 시행하지 않고서도 양막의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벌룬(160)의 팽창 정도를 합당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시 양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별도의 시술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팽창벌룬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팽창벌룬이 팽창되기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팽창 벌룬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는 임신중에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되는 자궁경부무력증을 치료하는 방법인 응급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며, 외부관 내에 삽입된 공기주입튜브 및 유통공을 통해 가압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벌룬을 전방이 오목부를 갖는 구형형상으로 형성하여 팽윤된 양막을 손상 없이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봉합하여 자궁경부무력증(cervical incompetence)을 치유시킬 수 있는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 삽입 기구를 제공한다.
자궁경부무력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요인, 자궁경부의 손상, 호르몬 부족,세균 감염 등이 있다.
이러한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예방적으로 사용되는 자궁경부봉합술과 초음파에서 자궁경부가 짧아졌을 때 사용되는 응급자궁경부봉합술(Urgent Cerclage)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Bulging)되어 자궁경부의 외구 밖으로 돌출되는 자궁경부무력증의 경우에 최선의 방법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봉합하는 자궁경부봉합술로서 자궁경부무력증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 삽입 기구는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공기주입수단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튜브와,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벌룬과, 상기 팽창벌룬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공기주입튜브가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과 팽창벌룬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창벌룬은 팽창되었을 때 전방이 오목부로 구성된 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기 위해 양막에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외부관은 상기 팽창된 팽창벌룬을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을 때 그 내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기 공기주입튜브의 휨을 방지하여 양막을 밀어 넣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며, 그 재질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PVC, 금속재질, 목재, 플라스틱등 견고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관의 표면에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팽창 벌룬이 팽창되기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삽입기구의 팽창 벌룬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 기구(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부에 구성되는 공기주입수단(120)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튜브(130)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직접적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는 팽창벌룬(160)과, 상기 팽창벌룬(16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공기주입튜브(130)가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외부관(140)과, 상기 외부관(140)과 팽창벌룬(160)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는 소정의 공기주입수단(120)을 일측단에 연결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일정한 양만큼 주입된 공기가 상기 유통공(132)을 통과한 후 상기 팽창벌룬(160)으로 주입되어 전방에 오목부(166)를 갖는 구 형상의 팽창벌룬(160)이 팽창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팽창벌룬(160)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선단(134)내측에 오목부(166)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밀착부분인 제1접합부분(168)이 접합되고 후방경사부(164)의 단부는 그 일부가 라텍스, PVC,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 하나의 소재로 구성되는 지지대(150)의 선단(154)에 끼워져 그 밀착부분인 제2접합부분(152)이 접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는 상기 공기주입수단(120)에 의해 팽창된 팽창벌룬(160)을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기 외부관(140)내에 일체형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직경은 한정하지는 않지만 대략 4~8 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라텍스, 실리콘이 코팅된 라텍스, PVC,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수단(120)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일측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팽창벌룬(160)의 팽창을 유도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주사기 등과 같은 공기주입기(11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내로 공기와 같은 공기를 주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 a 를 참조하면, 상기 팽창벌룬(160)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선단 외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라텍스, 실리콘이 코팅된 라텍스, 폴리우레탄, 실리콘, PVC등의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임의의 자리에 형성된 유통공(132)을 통해서 팽창벌룬(160)의 팽창부분(170)내로 주입된 일정량의 공기가 팽창벌룬(160)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팽창벌룬(160)의 형상은 전방이 오목부(166)로 구성된 구 형상 및 타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팽창벌룬(160)이 전방이 오목부를 갖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면 양막에 접촉되는 부분이 많아져 보다 안정적으로 양막을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관(140)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팽창벌룬(160)을 이용하여 자궁경부무력증에 의해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을 때 상기 외부관(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휨을 방지하여 양막을 밀어 넣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외부관(140)은 그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튜브(130)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없는 직경으로 형성하며, 그 재질로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FRP, PVC, 금속재질, 목재, 플라스틱 등 견고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팽창벌룬(160)이 팽창되어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을 때 밀어 넣는 힘에 의해 팽창된 팽창벌룬(160)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팽창벌룬(160)의 후방둘레를 상기 외부관(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지지대(150)의 전방부분이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형태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처짐을 방지함으로서 양막의 손상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양막을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유통공(132)은 도 4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벌룬(160)의 오목부(166)가 결합된 공기주입튜브(130)의 선단(134)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과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유통공(132)을 통과하여 상기 팽창벌룬(160)을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궁경부봉합술에 사용되는 양막 삽입 기구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신중에 선천적 요인, 자궁경부의 손상, 호르몬 부족, 세균 감염 등에 의해 자궁경부가 소실되고 양막이 팽윤되어 자궁경부의 외구 밖으로 돌출되는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한 경우에 최선의 방법으로 돌출된 양막을 그대로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양막 내의 양수를 일정량만큼 뽑은 후 양막의 크기를 줄인 후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은 후 봉합하는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함으로써 자궁경부무력증을 치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할 때 본 발명의 양막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막 삽입 기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주사기 등과 같은 공기주입기(110)를 사용하여 공기주입수단(120)을 통해 공기주입튜브(130)내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도 4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선단(134) 부근에 형성된 유통공(132)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팽창벌룬(160)의 팽창부분(170)내로 주입되고, 이렇게 주입된 공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벌룬(160)은 그 전방부분은 형태 변형되지 않고 오목부(160)를 유지하면서 그 후방으로 갈수록 서서히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구형으로 팽창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이 오목부를 갖는 구형으로 팽창된 팽창벌룬(160)의 전방 경사부(162)를 돌출된 양막에 직접 닿게 한 상태에서 지지대(15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지지대(15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공기주입튜브(130)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전방부분에 구성되면서 그 후방은 지지대(150)에 의해 뒤로 밀려지지 않는 형태로 구성된 팽창벌룬(160)의 힘에 의해 돌출된 양막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을 수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막삽입기구(100)는 팽창벌룬(160)을 부풀리게 하는 공기주입튜브(130) 및 상기 팽창벌룬(160)을 후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150)를 포함하는 외부관(140)이 모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양막삽입기구(100)의 모든 조작은 시술자가 한손으로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에는 양막이 많이 돌출되었을 경우 무리하게 양막을 밀어 넣으면 양막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막내의 양수를 일부 뽑아내는 양수천자(羊水穿刺)를 시행하여 양막의 크기를 작게 한 후 다시 양막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돌출된 양막을 자궁내강으로 밀어 넣는 방법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팽창벌룬(160)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면서 그 전방은 오목부(166)를 이루고 후방은 지지대(1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양막를 밀어넣는 과정에서 팽창벌룬(160)이 뒤로 밀리거나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 양막의 돌출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벌룬(160)의 팽창 정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자궁경부봉합술의 시술시 양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별도의 시술이 필요 없게 된다.
이후, 양막이 자궁내강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시술자는 다른 한 손으로 자궁경부를 봉합시켜 자궁경부봉합술을 마치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자궁경부봉합술을 시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관련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양막삽입기구 110:공기주입기
120:공기주입수단 130:공기주입튜브
132:유통공 134:선단
140:외부관 142:경사부
150:지지대 152:제2접합부분
154:선단 156:제3접합부분
160:팽창벌룬 162:전방경사부
164:후방경사부 166:오목부
168:제1접합부분 170:팽창부분

Claims (6)

  1. 일측 끝단부에 구성되는 공기주입수단(120)의 작용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튜브(130)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튜브(13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직접적으로 돌출된 양막을 자궁 내강으로 밀어 넣는 팽창벌룬(160)과, 상기 공기주입튜브(130)가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외부관(140)과, 상기 외부관(140)과 팽창벌룬(160)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팽창벌룬(160)은 상기 공기주입튜브(130)의 선단(134)내측에 오목부(166)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밀착부분인 제1접합부분(168)이 접합되고 후방경사부(164)의 단부는 그 일부가 라텍스, PVC,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소재로 구성되는 지지대(150)의 선단(154) 내부에 끼워져 그 밀착부분인 제2접합부분(152)이 접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140)은 표면에 삽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고 그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부(142)를 이루고 이 경사부(142)의 외주면은 상기 팽창벌룬(160)과 연결된 지지대(150)의 후방과 결합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상기 공기주입튜브(130)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없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FRP, PVC, 금속재질, 목재, 플라스틱 중 어느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삽입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00029211A 2010-03-31 2010-03-31 양막 삽입기구 Active KR101170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9211A KR101170785B1 (ko) 2010-03-31 2010-03-31 양막 삽입기구
US13/261,155 US9028506B2 (en) 2010-03-31 2011-01-24 Amnion insertion device
PCT/KR2011/000489 WO2011122760A2 (ko) 2010-03-31 2011-01-24 양막 삽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9211A KR101170785B1 (ko) 2010-03-31 2010-03-31 양막 삽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458A KR20110109458A (ko) 2011-10-06
KR101170785B1 true KR101170785B1 (ko) 2012-08-02

Family

ID=447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9211A Active KR101170785B1 (ko) 2010-03-31 2010-03-31 양막 삽입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8506B2 (ko)
KR (1) KR101170785B1 (ko)
WO (1) WO20111227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920A (ko) * 2013-06-05 2014-12-15 이근호 양막 삽입장치
CN113143376B (zh) * 2021-02-25 2023-06-09 重庆市中医院 一种内痔套扎器
CN113598832B (zh) * 2021-07-12 2024-10-29 何汉辉 一种一次性羊水取样及胎膜破膜器及其操作方法
CN118845192A (zh) * 2024-04-08 2024-10-29 成都五义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单孔多通道穿刺器排烟系统的排烟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1442A (ja) 1996-06-04 2000-09-05 フェルケル、ウォルフラム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0710905B1 (ko) 2005-02-18 2007-04-27 이근영 양막 삽입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399A (en) * 1995-09-29 1997-04-29 Ackrad Laboratories, Inc. Catheter having an intracervical/intrauterine balloon made from polyurethane
DE19732965A1 (de) * 1997-07-31 1999-02-18 Knoerig Joachim Michael Dr Ballonkatheter
US5868779A (en) * 1997-08-15 1999-02-09 Ruiz; Carlos E. Apparatus and methods for dilating vessels and hollow-body organs
US6960222B2 (en) * 1998-03-13 2005-11-01 Gore Enterprise Holdins, Inc. Catheter having a funnel-shaped occlusion balloon of uniform thicknes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344045B1 (en) * 1998-04-21 2002-02-0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izing and therapeutic catheter with sheath
US6375970B1 (en) * 1999-07-07 2002-04-23 Andre Bieniarz Methods and materials for preterm birth prevention
US6723113B1 (en) * 2000-01-19 2004-04-20 Cordis Neurovascular, Inc. Inflatable balloon catheter seal and method
US6893456B2 (en) * 2000-12-22 2005-05-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951569B2 (en) * 2000-12-27 2005-10-04 Ethicon, Inc. Surgical balloon having varying wall thickness
US6537247B2 (en) * 2001-06-04 2003-03-25 Donald T. Shannon Shrouded strain relief medical ballo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30163114A1 (en) * 2002-02-26 2003-08-28 Gershowitz Arthur D. Retrograde cannula having manually retractable sealing member
JP5184512B2 (ja) * 2006-04-21 2013-04-17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供給デバイスおよびボルスタ装置、ならびにその作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1442A (ja) 1996-06-04 2000-09-05 フェルケル、ウォルフラム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0710905B1 (ko) 2005-02-18 2007-04-27 이근영 양막 삽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458A (ko) 2011-10-06
WO2011122760A3 (ko) 2011-12-15
WO2011122760A2 (ko) 2011-10-06
US20120130394A1 (en) 2012-05-24
US9028506B2 (en)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458B1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US7779843B2 (en)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US20100305578A1 (en) Uterine Manipulator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20100145224A1 (en) Canal dilation device
US20160183977A1 (en) Device for placement of an intrauterine balloon
KR101170785B1 (ko) 양막 삽입기구
US2003022937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egeneration of endometrial synechia
CN108210028B (zh) 可扩张移植装置
JP5863717B2 (ja) 羊膜挿入装置
US20180078283A1 (en) Vacuum-Assisted Vaginal Positioning Device
KR100710905B1 (ko) 양막 삽입 기구
CN212084420U (zh) 一种系列式脑组织牵开装置
CN209951363U (zh) 宫颈环扎羊膜囊托举装置
CN114699631B (zh) 促宫颈成熟双球囊装置
CN214128702U (zh) 一种普外科手术镊
WO2024233441A1 (en) Hannah cervical cup
CN108720800A (zh) 一种内窥镜下辅助视野用球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