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528B1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Google Patents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0528B1 KR101170528B1 KR1020100002248A KR20100002248A KR101170528B1 KR 101170528 B1 KR101170528 B1 KR 101170528B1 KR 1020100002248 A KR1020100002248 A KR 1020100002248A KR 20100002248 A KR20100002248 A KR 20100002248A KR 101170528 B1 KR101170528 B1 KR 101170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fish tank
- tank
- water
- s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07 engine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112)가 형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및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과, 배출구(112)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510)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farm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is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nland g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forming a circular volume of the water tank 100 having a discharge port 112 on the bottom surface; One end is inclined to communicate with the ground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100 and the ground road (210)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a (S) so that the sea water (100) Underground road 220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sh tank 100 by the force of the sea water discharged in a convenient communication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road 210 or underground road to filter foreign matter of the sea water flowing from the sea (S) ( The first filter f1 installed in the 220 and the second filter f2 which is install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100 and the underground passage 220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s from leaving the fish tank 100 is provided. One inlet 200; Water discharge having a third filter (f3)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100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100 is discharged,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marine life while filtering foreign matters of the sea water. Furnace 300; And a suction device 510 having a suction pipe 51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12 and a pumping means for applying suction to force the suctioned foreign matter concentrated at the discharge port 112 into the suction pipe 5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 farm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식용을 위한 해양생물의 채집 방식은 크게 자연 포획(수렵)과 인공양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인공양식은 인근 해의 일지점에 망을 쳐서 인위적인 경계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경계의 범위 내에 해양생물을 가두어 양식하는 것이다.The methods of collecting marine organisms for food are divided into natural capture and hunting. Here, the artificial culture is to form an artificial boundary by tapping a branch of a nearby sea, and to trap the marine life within the range of the boundary formed.
이러한 인공양식은 해양생물을 실제 서식환경에서 인공적으로 대량 생장시킬 수 있고, 필요 시 필요한 수만큼의 채집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인공양식은 바다를 낀 어촌에서 널리 실시되는 어업활동이다.Artificial farming is an abundant fishing activity in fishing villages, since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grow a large amount of marine life in the actual habitat environment and to easily collect as many as necessary when necessary.
그런데, 인공양식장은 자연과 직접 접하는 바다에 조성되므로, 자연재해 및 각종 재해 발생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이러한 영향은 양식중인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끼쳐 폐사의 원인이 되므로, 해양생물에 대한 인공양식은 쉽지 않은 어업 분야였다.However, since artificial farms are created in the sea directly in contact with nature, they have to be directly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and various disasters, and these effects adversely affect marine life in farming and cause death. Was a difficult fishing secto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양식량 공급분야에서 적지않은 비율을 차지하는 인공양식을 손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해산물의 수렵 및 양식으로 수입원이 한정되는 어촌의 경제 분야를 확장시켜서 지역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rtificial farming, which occupies a small proportion in the field of marine food supply, more easily and more stably, and the source of fishing is limited to the hunting and farming of seafood The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aquaculture farms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can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by expanding the economic secto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Fish tank of a predetermined volume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nland ground, the discharge circumferenc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while forming a circular periphery;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와, 어수조의 하단부와 지상로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 또는 지하로에 설치되는 제1필터와, 어수조와 지하로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를 구비한 입수로;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a so that the seawater flows in, and the ground path is formed along the ground, and the slop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sh tank and the ground path. And a first filter installed in the ground road or underground roa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awater coming from the sea, and install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and the underground road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s from leaving the fish tank. An inlet with a second filter;
어수조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를 구비한 출수로; 및A water extraction passage having a third filter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flows out, and installed to prevent detachment of marine life while filtering foreign matters of the seawater; And
배출구와 연통하는 흡입관과, 배출구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 A suction device having a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nd pumping means for applying suction to force the suctioned foreign matter concentrated at the discharge port into the suction pipe;
를 포함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이다.
It is a marine farm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cluding.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수조와; 본수조를 이격되게 감싸도록 지면에 조성되고, 배출구를 통해 본수조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수용하는 배수조와; 배수조와 출수로를 연통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과, 해수의 배수관 이동을 강제하는 배수펌프로 된 배수장치;로 구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A main water tank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nland ground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in a circular shape; A drain tank formed on the ground so as to surround the main water tank and receiving the seawater flowing out of the main water tank through an outlet; A water tank having a constant volume consisting of a drain pipe installed in the ground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tank and the drainage channel, and a drain pump for forcing the movement of the drain pipe of the sea water;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와; 어수조의 하단부와 지상로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 또는 지하로에 설치되는 제1필터와; 어수조와 지하로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를; 구비한 입수로: 및A ground roa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a so that seawater flows in and formed along the ground; An underground passag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and the ground road, and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sh tank by the force of the seawater discharged by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ish tank; A first filter installed on the ground road or underground road to filter foreign matters from the sea water flowing from the sea; A second filter which is installed at a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and the underground passage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 from leaving the fish tank; Equipped with:
어수조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를; 구비한 출수로:It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flows out; A third filter installed to filter off foreign matters of the seawater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marine life; Outlet with:
를 포함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이다.It is a marine farm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cluding.
상기의 본 발명은, 해수의 자연순환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통해 해양생물의 인공양식을 내륙에서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식하는 해양생물을 다양한 자연재해 및 사고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어획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rtificial farming of marine organisms inland through a structure that enables natural circulation of seawater, thereby stably protecting the marine organisms that are farmed from various natural disasters and accidents.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effect.
또한, 내륙에 인공양식장을 둠으로서, 인공양식장의 관리와 채집 및 해양생물에 대한 양식을 위한 필수수단인 선박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공양식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륙 내 인공양식장 주변을 관광지로 개발해서 해당 어촌의 수입원을 다원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된다.In addition, by placing artificial farms inl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vessel, which is an essential means for the management and collection of artificial farms and farming of marine life, an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of artificial farms, It is also expected to diversify the income sources of the fishing villages by developing them as tourist destin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ayou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intak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lan view of a fish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ayou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는 내륙에 설치되는 어수조(100)와, 어수조(100)로의 해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출수로(300)와, 어수조(100)에 퇴적된 각종 이물질을 강제 흡입해 분리하는 흡입장치(50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100) installed inland, the water inlet 200 for guiding the inflow of seawater into the
어수조(100)는 지면을 굴착해서 해수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토사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수로(300)의 시공방식과 더불어 공지,공용의 토목공사 방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어수조(100),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의 시공을 위해 처리되는 토목공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지상로(210)와,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는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이는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순환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inl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바다(S) 또는 하구(R) 등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양식되는 해양생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바다(S) 또는 하구(R)로의 유출 이전에 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수시스템(400)이 출수로(300)에 설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arine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는 어수조(100)가 내륙에 설치되고, 어수조(100)를 유출입하는 해수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가 지상에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로(210)와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지상로(210)의 깊이는 만조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깊이로 시공되면 족할 것이나,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상로(210)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이 해수의 유입이 항시 이루어지는 깊이로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지상로(210)의 경우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는 해수의 유입을 위해서는 비교적 깊은 깊이로 시공될 것이므로, 지상로(210)의 상면을 덮어서 지상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양한 용도의 인공구조물을 건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수로(200)는 도 7(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의 일측에 편중하게 연통해서, 입수로(2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가 어수조(100") 내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도록 된다. 이때, 입수로(20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력은 간조 또는 만조 등의 수위 차에 의한 유압에 준하므로, 어수조(100") 내 소용돌이는 해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회전력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회전력은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결집하는 힘이 된다. 참고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의 제3실시모습을 고려해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조(130)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inl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Seawater flowing out of the
한편, 소용돌이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어수조(100, 100")의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용돌이는 어수조(100, 100")라는 인위적인 공간에 해류를 발생시켜서, 실제 바다(S)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어수조(100, 100")에서도 실제 바다로 인식해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용돌이 형성을 위해 인공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양식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smooth rotation of the vortex,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circula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sh tank (100, 100 "). Here, the vortex generates an ocean current in an artificial space called the fish tank (100, 100") In addition, the marine life in the real sea (S) can be recognized as a real sea in the fish tank (100, 100 "). Also, since artificial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form the vortex, the cost of aquaculture is increased. Can be minimized.
기타, 본 발명에 따른 소용돌이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해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In addition, a description of the vortex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계속해서,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는 지하로(220)를 따라 지하로 유입돼 어수조(100)로 입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로(220)는 어수조(100)의 하단부에 연결돼 연통해야 하고, 인위적인 펌프질 없이도 어수조(100)의 입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지하로(220)는 경사로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seawater introduced along the
참고로, 지하로(220)는 지상로(210)로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에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므로, 해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낼 수 있는 제1필터(f1) 및 제2필터(f2)가 내설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필터(f1, f2)는 지하로(22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2필터(f2)는 어수조(100)에 양식되는 해양생물의 탈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것이다.For reference, since the
어수조(100)는 양식 대상인 해양생물을 수용하도록 내륙에 설치된 수조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의 하단부로 출수되면서 상단부에 연결된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는 상승하는 형태로 흘러서 어수조(100) 전체에 대한 원활한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의 바닥은 배출구(112)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112)로의 집중을 위한 깔때기 형상을 이룬다. 결국, 어수조(100)에 생성되는 각종 부유물 등의 이물질은 바닥에 퇴적될 시에 배출구(112) 쪽으로 자연히 이동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로(200)는 어수조(100)에 편향하게 연통하므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에는 소용돌이가 형성되는데, 소용돌이의 중심에 배출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어수조(100) 내에는 해양생물이 배출구(112)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경계망(150)이 더 형성된다. 경계망(150)은 상기 이물질의 관통은 가능하나 해양생물의 관통은 곤란한 크기의 격자형상을 이룰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출수로(300)는 어수조(100)의 상단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설치 위치(높이)는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의 수위가 출수로(300)의 높이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지점이면 족하다. 참고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정수시스템(400)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해수는 정화되어 자연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수시스템(400)은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내어서, 환경오염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화수단이다. 정수시스템(400)에서 정화된 해수는 출수로(300)를 따라 하구(R) 또는 바다(S)로 직접 유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어수조(100)와 출수로(300)의 경계에는 제3필터(f3)가 내설된다. 제3필터(f3)는 해양생물의 양식으로 인해 어수조(100)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서, 상기 이물질들이 출수로(300)를 통해 자연계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어수조(100)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출수로(300)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차단한다.Meanwhile, a third filter f3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흡입장치(500)는 일단이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을 포함하는 것으로, 흡입관(5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펌핑수단(미도시함)을 두어서, 배출구(112) 쪽으로 집중되는 어수조(100) 내 이물질을 강제로 흡입해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펌핑수단은 정수시스템(400)에 내설되어서, 흡입관(510)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정수시스템(40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정수시스템(400)과는 분리된 별도의 펌핑수단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다른 처리장소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흡입장치(500)의 구동은 펌핑수단의 흡입력을 낮춰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 기간을 간격으로 강한 흡입력으로 구동시켜서 다량의 이물질이 일시에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driving of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에 대한 구동모습을 설명한다.The driving mode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arine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a)는 간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적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입수로(200)가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시공되어서 간조시에도 해수가 어수조(100)에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입수로(200)의 바닥 높이를 간조시의 해수 높이보다 높게 할 경우에는, 입수로(200)를 통한 해수의 유입이 차단될 것이다.Figure 2 (a) shows the state of the amount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한편, 출수로(300)의 바닥 높이는 양식을 위해 어수조(100)가 수용해야 할 해수의 양이 고려된 높이로 시공된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도 해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입수로(200)가 시공되면, 간조 또는 만조의 구분없이 어수조(100)로 해수가 유입되므로,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 유입된 해수가 지속해 유출될 수 있는 높이로 시공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 높이는 간조 및 만조에 따라 변할 수밖에 없으나,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출수로(300)로 인해 어수조(100)의 해수 높이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As described above, the seawater height introduced into the
도 2(b)는 만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많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라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수위 또한 다소 증가하고, 그 증가량만큼이 출수로(300)를 통해 곧바로 배출된다.
Figure 2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본수조(110)의 둘레를 따라 확장된 보조수조(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수조(120)는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경계벽(111)을 매개로 구획된 공간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조시에는 경계벽(111)에 의해 해수가 가두어지면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저수상태로 유지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만조시에는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된 후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순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수조(110)는 경계벽(111)의 높이 범위로 해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본수조(110)에 저수된 해수가 상방으로 유수되는 특성으로 인해서 해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는 각종 이물질들이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되므로,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보조수조(120)에서 상기 이물질에 대한 수거 및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보조수조(120)의 깊이는 본수조(110)의 깊이보다는 얕되 출수로(300)의 깊이보다는 깊도록 시공되어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이동된 상기 이물질이 보조수조(120)에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퇴적되고, 이를 통해 관리자는 보조수조(120)에 퇴적된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In the
한편, 제3필터(f3)는 보조수조(120)와 출수로(300)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3필터(f3)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filter (f3) is disposed between the
본원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은 어수조(100')에 배기장치(600)가 내설될 수 있다. 배기장치(600)는 말단에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관(610)과,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해 배기관(610)의 배기구를 통해 어수조(100')로 배기되도록 강제하는 배기펌프(620)를 포함한다.In the marine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배기관(610)은 배기펌프(620)가 지속적으로 이송해 제공하는 공기를 기포상태로 배출시켜서 어수조(100')의 해수에 상승하는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상승 기포는 상기 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에 부력을 가해 수면으로 띄워서, 관리자는 수면에 떠오른 이물질을 손쉽게 거둬들일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승 기포를 발생시키는 배기관(610)이 본수조(110)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수조(110)에 한정됨 없이 보조수조(120)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승 기포 발생을 위한 공기 공급라인이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공급라인의 일단은 배기펌프(620)에 연통하고, 타단은 지상으로 개방되어서, 배기펌프(620)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되고, 이렇게 흡기된 공기는 배기관(610)으로 전달됨은 당연한 것이므로, 상기 공급라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이외에도, 배기관(61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자연 공기일 수도 있지만, 해수의 살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혼합기체일 수 있고, 이러한 혼합기체는 별도의 탱크에 보관돼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라인은 지상으로 개방되는 대신에 상기 탱크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어수조(100')의 본수조(110) 내에는 경계망(15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배기관(610)은 경계망(150)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배기관(61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승 기포가 경계망(150)에 의해 간섭돼 원활히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에는 각각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입수도어(230) 및 출수도어(310)는 어수조(100)를 중심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에서의 역류발생시 이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즉, 입수도어(230)는 간조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가 입수로(200)를 따라 역류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출수도어(310)는 만조시 해수가 출수로(300)를 따라 역류해 어수조(10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That is,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230)는 입수로(2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판(231)과, 지지판(23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이동대(232)와, 지지판(231)에 고정되고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233)와,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문(234)을 포함한다. 참고로,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는 그 구조가 동일,유사하므로, 출수도어(310)의 구조 설명은 입수도어(230)의 구조 설명으로 대신하되, 출수도어(310)는 출수로(300)에 배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를 '도어'로 통칭한다.
지지판(231)은 입수로(100)의 해수이동 방향으로 길이형성된 레일(231a)을 구비하고, 입수로(200)의 바닥 상면에 고정된다.The
이동대(232)는 레일(2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해당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바아 형상의 렉(232a)과 가이드(232b)와 렉(232a) 및 가이드(232b)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저항판(232c, 232c')으로 구성되되,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결국,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전,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2저항판(232c, 232c')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렉(232a)의 기어는 가이드(232b)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table 232 is movably engaged with the
계속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와 직접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면서 해수의 유향에 따라 유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되고, 그 대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을 지나는 해수의 와류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결국, 제1,2저항판(232c, 232c')은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반응해 힘을 받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렉(232a)과 가이드(232b) 또한 레일(231a)의 안내를 받아 일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한다.Subsequently, the first and
고정대(233)는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이동대(23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233a)를 형성한다. 참고로, 고정대(233)는 입수로(20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문(234)을 일렬로 배치 고정한다.The fixing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말단이 이동대(232)의 렉(232a)과 가이드(232b)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따라 렉(232a)이 이동할 때, 렉(232a)과 맞물리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이 연동해 회전하므로,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고정된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회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문(234)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서, 도 5(a)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유수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The
도 5(a)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대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5 (a) shows that when the seawater flow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the
도 5(b)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소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웃하는 문(23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면서,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대(232)의 최대 이동거리는 물리적으로 제한되므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력에 무한대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232)가 오른쪽 또는 왼쪽의 최 외곽에 위치할 때 이웃하는 문(234)의 간격은 최소 또는 최대가 될 것이다.FIG. 5 (b) shows that when the seawater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the
가이드(232b)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에 마찰을 주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되 레일(231a)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므로, 문(234)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대(232)의 균형적인 이동을 보장한다.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arine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fish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직접 연통하는 본수조(110)와, 본수조(110)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본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일시 저수하는 배수조(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수조(130)는 본수조(1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면서도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수조(1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배수조(130) 내에서 들어 올려져 고정된다.Fish tank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mporarily store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이를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는 해수가 본수조(110)에만 저수되고, 만조시에는 해수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수조(110)를 넘쳐 배수조(130)로 유입되면서 본수조(110)의 해수를 순환시킨다. 한편, 배수조(130)로 유입된 해수는 배수장치(140)에 의해 출수로(300)로 강제 배수되는데, 이를 위해 배수장치(140)는 일단이 배수조(130)에 연통하고 타단이 출수로(300)에 연통하는 배수관(141)과, 해수의 배수관(141)을 통한 이송을 강제하는 배수펌프(142)로 구성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a), the seawater is stored only in the
도 6에서는 본수조(110)의 상단 일측이 타측에 비해 낮게 도시되고 상기 일측에만 제3필터(f3)가 설치된 것으로 하였지만, 본수조(110) 전체가 상기 일측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제3필터(f3) 또한 본수조(110)의 선단면 둘레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In FIG. 6,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한편, 본수조(110)의 배출구(112)로 해양생물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망(150')은 본수조(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경계망(150')의 가장자리에는 저항부(151)가 형성되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의 일 구성인 본수조(110)에 편중되게 연통된 입수로(200)의 배출 해수가 경계망(150')에 유력을 가한다. 결국, 경계망(150')은 소용돌이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소용돌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해수의 이물질들이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원활히 집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net 150 'for preventing marine life from escaping to the
참고로, 경계망(150')은 그 둘레부가 본수조(110)의 내면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면서 경계망(150') 전체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본수조(110)의 내면 둘레는 원형의 경계망(150')이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원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For reference, the
Claims (6)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및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과, 배출구(112)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510)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It is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nland ground, the inner periphery is formed in the bottom outlet 1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boundary mesh 150 horizontally to the fish tank 100 so that marine life is not close to the outlet 112 Is installed, the boundary network 1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sh tank 100 while forming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fish tank 100 has a circular inner circumference, the flow of sea water flowing out of the inlet 200 Fish tank 100 of a predetermined volume is further formed with a resistance unit 151 to rotate the boundary network 150;
One end is inclined to communicate with the ground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100 and the ground road (210)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a (S) so that the sea water (100) Underground road 220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sh tank 100 by the force of the sea water discharged in a convenient communication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road 210 or underground road to filter foreign matter of the sea water flowing from the sea (S) ( The first filter f1 installed in the 220 and the second filter f2 which is install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100 and the underground passage 220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s from leaving the fish tank 100 is provided. One inlet 200;
Water discharge having a third filter (f3)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100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100 is discharged,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marine life while filtering foreign matters of the sea water. Furnace 300; And
A suction device 500 having a suction pipe 51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12, and pumping means for applying suction to force the suctioned foreign matter concentrated at the discharge port 112 into the suction pipe 510;
Sea farm is installed on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입수로(200)와 연통하는 본수조(110); 및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경계벽(111)으로 구획된 공간이고,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은 본수조(110)의 해수를 수용해서 출수로(300)로 안내하는 보조수조(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sh tank 100
Main water tank 11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200; And
It is a space partitioned by the boundary wall 111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main water tank 110, the auxiliary water tank 120 for receiving the sea water of the main water tank 110 over the boundary wall 111 at high water and guides to the water outlet 300 );
Sea farm is installed on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및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The main water tank 110 is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inland ground, the discharge port 1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hile forming a circular inner periphery; A drain tank 130 formed on the ground to surround the main water tank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water tank 110 to accommodate seawater flowing out of the main water tank 110 through an outlet 112; Containing a drainage pipe 141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tank 130 and the water outlet 300 and a drainage pump 142 forcing the movement of the drainage pipe 141 of the seawater; The boundary net 15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fish tank 100 so that marine life does not come close to the outlet 112, and the boundary net 150 has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sh tank 100 having a circular inner circumference. A water tank 100 of a predetermined volum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0, and further includes a resistance unit 151 for rotating the boundary network 150 in response to the force of the seawater flowing out of the inlet 200. :
And ground road 210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a (S) one end so that the sea water;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100 and the ground road 210, the underground passage to generate a vortex in the fish tank 100 by the force of the sea water discharged by being biased to the fish tank 100 ( 220); A first filter f1 installed in the ground road 210 or the underground road 220 to filter foreign matters from the sea water flowing from the sea S; A second filter f2 which is installed at a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100 and the underground passage 220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 from leaving the fish tank 100; Inlet 200 provided with: And
It is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100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100 flows out; A third filter (f3) installed to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of the sea water and prevent the departure of marine life; Equipped with a water outlet (300):
Sea farm is installed on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레일(231a)을 구비한 지지판(231);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렉(232a)과,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렉(232a)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232b)와, 렉(232a)과 가이드(232b)의 전,후단을 각각 연결하면서 해수의 유력을 받는 제1,2저항판(232c, 232c')을 구비한 이동대(232);
지지판(231)에 안착 고정되고, 렉(232a)과 가이드(232b)가 관통하는 관통구(233a)가 형성된 고정대(233); 및
렉(232a)과 연동하며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되어서, 이동대(232)의 직선 이동을 따라 회전하면서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를 개폐하는 문(234);
으로 구성되어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에 각각 배치되되, 입수로(200)에 배치된 문(234)은 입수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개구되도록 되고, 출수로(300)에 배치된 문(234)은 출수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개구되도록 된 도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upport plate 231 having a rail 231a;
A rack 232a movably engaged with the rail 231a, a guide 232b movably engaged with the rail 231a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ack 232a, a rack 232a and a guide 232b. A mobile stage 232 having first and second resistance plates 232c and 232c 'receiving the power of seawater whil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 mounting base 233 fixed to the support plate 231 and having a through hole 233a through which the rack 232a and the guide 232b pass; And
It is fixed through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rack 232a and rotatably fixed to the fixing table 233, and rotates alo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table 232 to the inlet passage 200 or the outlet passage ( A door 234 for opening and closing 300;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300, respectively, the door 234 disposed in the inlet 200 is to be opened by the power of the sea water is obtained, is arranged in the outlet 300 The door 234 is a door that is to be opened by the power of the seawater discharged
Sea farm is installed on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2248A KR101170528B1 (en) | 2010-01-11 | 2010-01-11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PCT/KR2011/000169 WO2011084029A2 (en) | 2010-01-11 | 2011-01-11 | Sea farm provided on l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2248A KR101170528B1 (en) | 2010-01-11 | 2010-01-11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2324A KR20110082324A (en) | 2011-07-19 |
KR101170528B1 true KR101170528B1 (en) | 2012-08-01 |
Family
ID=4430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2248A Active KR101170528B1 (en) | 2010-01-11 | 2010-01-11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0528B1 (en) |
WO (1) | WO2011084029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55310B (en) * | 2015-05-06 | 2017-02-01 |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 Acrossocheilus fasciatus simulated ecological factory large scale breeding and domestication method |
US10729110B2 (en) * | 2016-04-07 | 2020-08-04 | Geir NORDAHL-PEDERSEN |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
CN108668988A (en) * | 2018-08-03 | 2018-10-19 | 郑成恩 | Eel culture pond cleaning structure and its working method |
NO20210804A1 (en) * | 2021-06-22 | 2022-12-23 | Diamant Wire Teknikk As | Land-based breeding facility |
CN116076431B (en) * | 2023-04-06 | 2023-06-27 |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 Efficient fish po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017B1 (en) * | 2006-11-01 | 2007-08-14 | 한상관 | How to purify polluted river wa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2706A (en) * | 2001-03-13 | 2002-09-17 | Hitachi Zosen Corp | Seawater tanks |
KR200324700Y1 (en) * | 2003-06-12 | 2003-08-29 | 유덕수 | A fish preserve |
JP3837709B2 (en) * | 2004-10-04 | 2006-10-25 | 一郎 鷲山 | Aquaculture tank for migratory fish |
KR200383183Y1 (en) * | 2005-02-01 | 2005-05-03 | 김용득 | Aquatic culture tank |
-
2010
- 2010-01-11 KR KR1020100002248A patent/KR101170528B1/en active Active
-
2011
- 2011-01-11 WO PCT/KR2011/000169 patent/WO201108402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017B1 (en) * | 2006-11-01 | 2007-08-14 | 한상관 | How to purify polluted river wat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교육부, 고등학교 양식시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0.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2324A (en) | 2011-07-19 |
WO2011084029A3 (en) | 2011-12-22 |
WO2011084029A2 (en) | 2011-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0528B1 (en)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
KR101355382B1 (en) | Shrimp farm and construction method | |
RU2720096C1 (en) | Fish breed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07319002A (en) | Algae-treating ship and algae-treating system | |
KR102224305B1 (en) | Up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pollution response system | |
CN106587485B (en) | Reclaimed water supply type lake water body purifica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47856B1 (en) | System for purifying water which uses floating type | |
CN106400759A (en) | Double-channel alga collecting device | |
KR101170537B1 (en) | Water tank in a Farm be able to rotating the seawater naturally | |
KR101170535B1 (en) | Water farm on the ground | |
RU2336206C1 (en) | Method of underground waters protection against contamination | |
KR101444426B1 (en)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
KR101905669B1 (en) |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matter in water including floating algae | |
CN207022934U (en) |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 |
KR20120021950A (en) | A lake water clarification apparatus | |
KR101636336B1 (en) | Rotary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101690731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marine organisom into the intake of power plant | |
CN210369131U (en) | Mineral water raw water introducing system | |
JP5865491B2 (en) | Plant cooling facility with intake and drainage ponds | |
JP2019218918A (en) | Bottom dirty water suction device | |
CN212740891U (en) | Enhanced subsurface flow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 treatment system | |
JPS6124713A (en) | Water-intake and drainage device | |
KR101304761B1 (en)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
CN117263275A (en) |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biological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
KR200456356Y1 (en) | Inclined Type Break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