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999B1 - portable slipper package - Google Patents
portable slipper pack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9999B1 KR101169999B1 KR1020100127073A KR20100127073A KR101169999B1 KR 101169999 B1 KR101169999 B1 KR 101169999B1 KR 1020100127073 A KR1020100127073 A KR 1020100127073A KR 20100127073 A KR20100127073 A KR 20100127073A KR 101169999 B1 KR101169999 B1 KR 101169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d
- bottom pad
- slipper
- package
- por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퍼를 휴대용케이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롤링방식으로 말아지게 하여 그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이동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일방향으로 롤링되도록 상,하면에 상호 마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짐과 함께 롤링되는 방향으로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게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체의 발바닥 형상을 갖는 바닥패드와, 상기 바닥패드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며 발가락 및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슬리퍼와;
상기 바닥패드의 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롤링된 상기 바닥패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부재와;
롤링 된 상기 슬리퍼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원통의 휴대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lipper package which can be rolled in a rolling manner so that the slipper can be inserted into a carrying case while reducing its volume and being easy to carry and store according to movement. A bottom pad having a sole shape of a human body having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formed in a rolling direction and gradually becoming shallower in a rolling direction with a gap gradually wide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fixed to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And slippers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instep;
A fixing member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or pad rolled to maintain the rolled state of the floor pad;
And a cylindrical carry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the rolled slippers can be inserted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퍼를 휴대용케이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롤링방식으로 말아지게 하여 그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이동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lipper package that can be rolled in a rolling manner so that the slipper can be inserted into a carrying case while reducing its volume and being easy to carry and store according to movement.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미끄러지듯이 신고 벗을 수 있으며, 끈이나 연결하는 쇠붙이가 없는 신발의 총칭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뒤축이 평평하고 발등 부분만을 덮는 결속밴드를 구비한 샌들식 실내화만을 가리키나, 이것은 배스 슬리퍼나 베드룸 슬리퍼 또는 스커프(scuff)에 해당한다.In general, slippers are slippery and can be taken off and slipped, and generic term for shoes without straps or connecting irons. Or a scuff.
슬리퍼(Slipper)라 하면 매우 광범위하며, 일반적으로 복사뼈 밑으로 오고 뒤축의 높이도 여러 가지이며 발레슈즈나 펌프스형 등의 신발도 이에 포함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이미 등장했으며 그 뒤 고대 로마나 중세시대에도 이 형식의 것이 답습 되었는데, 슬리퍼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부터였으며 앵글로색슨인들은 슬라이프슈라 했고, 신고 벗기가 간단한 단화의 일반 명이었다.Slippers are very wide and generally come under the ankle bone and have various heel heights, including shoes such as ballet shoes and pumps, which have already appeared in ancient Egypt and later in ancient Rome or the Middle Ages. Forms were followed, and the term slippers began to be used in the 16th century, and the Anglo-Saxons called slippers and were common names for shoes that were simple to wear off.
현재의 슬리퍼는 뒤축이 없는 신발형태로서, 간편하게 신을 수 있으면서 발의 단부만을 꿰고 있기 때문에 거주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하절기에는 시원하게 신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피서지나 여행지에서 가볍게 신을 수 있는 용도로 많은 사람이 선호한다.Current slippers are a type of shoe without heel, and are easily used in residential areas because they can be easily worn and have only the ends of the feet. Prefer
도 1은 종래에 따른 슬리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p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퍼(10)는 바닥패드(11)와,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13)와, 끼움부(13)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발등의 일부를 감싸면서 걸을 때 발등을 지지하는 밴드(15)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패드(11)는 발바닥의 모양과 같은 형태로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슬리퍼(10)를 신었을 때 발바닥과 접하는 바닥패드(11)의 상면이 밀착되어 편안함을 준다. 이를 위해 바닥패드(11)는 통상적으로 고무, 합성수지, 피혁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바닥패드(11)의 상면 선단부에는 바닥패드(11)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끼움부(13)가 고정되는데, 이 끼움부(13)는 엄지와 검지발가락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위치되어 있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밴드(15)는 끼움부(13)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패드(11)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이 각각 바닥패드(11)의 상면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행시 발등과 접촉을 이루면서 슬리퍼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슬리퍼(10)는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은 편리함이 있기 때문에, 피서지나 여행지에서 착용하려면 비닐봉투에 넣거나 또는 신문지에 둘둘 말아서 가방에 넣어 휴대하였다가 필요시에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그러나, 슬리퍼(10)는 휴대시 그 길이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가방에 넣을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또한, 슬리퍼(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리퍼(10)를 구부리거나 접어서 가방에 넣는 경우, 상대적으로 슬리퍼(10)의 부피는 줄일 수 있으나 오히려 구부리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바닥패드(11)에 크랙이 발생되어 결국 바닥패드(11)가 절단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리퍼를 휴대용케이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롤링방식으로 말아지게 하여 그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이동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echnical biases, rolled so that the slipper can be inserted into the carrying case to reduce the volume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carry and store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purpose is to mak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는, 어느 일방향으로 롤링되도록 상,하면에 상호 마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짐과 함께 롤링되는 방향으로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게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체의 발바닥 형상을 갖는 바닥패드와, 상기 바닥패드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며 발가락 및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슬리퍼와; 상기 바닥패드의 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롤링된 상기 바닥패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부재와; 롤링 된 상기 슬리퍼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원통의 휴대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rtable slipper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rolls in the rolling direction with the interval gradually wide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o as to be rolled in one direction. A slipper comprising a bottom pad having a sole shape of a human body having an incis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member fixed to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and supporting a toe and a foot; A fixing member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or pad rolled to maintain the rolled state of the floor pad; And a cylindrical carry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the rolled slippers can be inserted therein.
이때, 상기 절개홈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curved portion is further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so that stress is dispersed when the bottom pad is rolled.
또한, 상기 절개홈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주름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is further formed with a wrinkle portion to distribute the stress when the bottom pad is rolled.
또한, 상기 절개홈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곡률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urvature portion is further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cutaway groove so that stress is dispersed when the bottom pad is rolled.
한편, 상기 절개홈의 전체 폭의 길이와 상기 바닥패드의 전체길이의 비율은 10:0.5~10:1.1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entire width of the incision groov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bottom pad is preferably 10: 0.5 ~ 10: 1.1.
그리고, 상기 바닥패드의 재질은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신축성을 갖는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loor pad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natural rubber, polyurethane, and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having elasticity to make rolling.
한편,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의 일측에는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fitted at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fixing hole is formed with a cut-out elastic granting slit.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는 벨크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Velcr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에 의하면, 슬리퍼를 롤링방식으로 말아지도록 하여 휴대용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슬리퍼의 부피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가방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더불어 휴대용케이스에 삽입되어 보관됨에 따라 청결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slipper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ipper is rolled in a rolling manner so that the volume of the slipper is minimized by inserting the slipper into the inside of the carrying case, so that the portable slipper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in a bag. As it is inserted and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cleanliness.
또한, 슬리퍼를 롤링하는 과정에서 바닥패드의 크랙이 방지되기 때문에 슬리퍼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ack of the floor pad is prevented during the rolling of the slipper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lippers.
도 1은 종래에 따른 슬리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 중 슬리퍼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슬리퍼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도 4의 슬리퍼가 휴대용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드에 형성된 절개홈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p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lippe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lipper of the portable slippe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olled state of the slipper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pper of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carrying case,
Figure 6a and 6b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incis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 중 슬리퍼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슬리퍼가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슬리퍼가 휴대용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slippe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lipper among the portable slipper pack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olled up state of the slipper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pper of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carrying case.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는, 어느 일방향으로 롤링되도록 상,하면에 상호 마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짐과 함께 롤링되는 방향으로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게 다수개의 절개홈(120)이 형성된 인체의 발바닥 형상을 갖는 바닥패드(110)와, 상기 바닥패드(11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며 발가락 및 발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로 구성된 슬리퍼(100)와; 상기 바닥패드(110)의 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롤링된 상기 바닥패드(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부재(200)와; 롤링 된 상기 슬리퍼(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원통의 휴대용케이스(30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슬리퍼(100)는 상부가 오픈된 상태로 엄지와 검지발가락이 끼워져 거주지 또는 하절기에 여행지에서 착용하는 것으로서, 바닥패드(110)와 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Slipper 100 is a top and an open state, the thumb and index toe is fitted in the place of residence or summer travel, it is composed of a
바닥패드(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인체의 발바닥과 접촉을 이루도록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이때, 바닥패드(110)는 발바닥과 접촉을 이루면서 인체의 체중이 실리게 되므로 쿠션감이 뛰어나야 하며, 후술하게 되는 바닥패드(110)의 롤링이 이루어질 때 원활한 롤링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바닥패드(110)의 재질은 신축성을 갖는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패드(110)의 상,하면에는 바닥패드(110)의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절개홈(120)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절개홈(120)은 바닥패드(110)가 어느 일방향으로 롤링되도록 상,하면에 상호 마주하게 바닥패드(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패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절개홈(120)은 바닥패드(110)가 롤링되는 방향(도 2 및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향할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패드(110)의 후방 즉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위치에서부터 발가락이 접하는 위치로 향할수록 그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3의 점선 A,B 참조).In addition, the
여기서, 절개홈(120)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게 형성되는 것은, 최초 바닥패드(110)가 후방에서부터 롤링될 때 상대적으로 형성되는 곡률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곡률에 따른 절개홈(120)의 벌어짐이 크기 때문이고, 반면 바닥패드(110)의 롤링이 완료될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짐으로 인한 절개홈(120)의 벌어짐이 작아지기 때문이다.Here, the depth of the
이때,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만곡부(123)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는,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절개홈(120)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절개홈(120) 내측단부에 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 응력이 만곡부(123)를 통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절개홈(120)을 통한 바닥패드(110)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패드(110)가 절단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한편, 바닥패드(110)에 형성되는 절개홈(120)의 전체 폭의 길이와 바닥패드(110)의 전체길이의 비율은 10:0.5~10:1.1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entire width of the
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닥패드(110)의 길이가 290mm이고 절개홈(120)의 개수가 상,하면에 각각 8개가 형성되며 각 절개홈(120)의 벌어진 폭이 3mm일 때 바닥패드(110)의 롤링이 가장 이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
여기서, 절개홈(120)의 전체 폭의 길이와 상기 바닥패드(110)의 전체길이의 비율이 10:0.5 이하이면, 절개홈(120)의 개수가 줄어드는 경우 바닥패드(110)가 롤링이 이루어지기 힘들어지고 또는 절개홈(120)의 벌어진 폭이 줄어드는 경우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절개홈(120)에 무리가 가해지기 때문에 바닥패드(110)의 롤링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Here, when the ratio of the total width of the
반면, 절개홈(120)의 전체 폭의 길이와 상기 바닥패드(110)의 전체길이의 비율이 10:1.1 이상이면, 절개홈(120)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발바닥이 바닥패드(110)의 상면과 접촉될 때 이물감이 느껴져 착용감이 좋지못하고, 더불어 바닥패드(110)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entire width of the
도 4는 절개홈(120)이 형성된 바닥패드(110)가 후방부터 롤링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패드(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홈(120)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할수로 그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게 형성하였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고 바닥패드(110)의 롤링되는 방향에 따라 반대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지지부재(130)는 바닥패드(11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엄지와 검지발가락의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발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부(133)와 끼움부(133)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패드(110)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이 각각 바닥패드(110)의 상면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보행시 발등과 접촉을 이루면서 슬리퍼(10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135)로 구성되어 있다.The
이때, 지지부재(130)의 재질은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그리고, 상기의 지지부재(130)는 통상의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고정부재(200)는 도 2 및 도 4 참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이 이루어진 바닥패드(110) 외주면을 감싸 원상복귀 하려는 힘을 제어하여 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부재(200)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기(210)가 끼워지는 고정구멍(220)이 형성되며, 고정구멍(220)의 일측에는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200a)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fixing
고정구멍(220)은 그 직경이 고정돌기(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정구멍(220)에 끼워진 고정돌기(21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fixing
탄성부여용 슬릿(200a)은 고정돌기(210)가 고정구멍(220)에 끼워질 때 고정구멍(220)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돌기(210)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elasticity slit 200a allows the fixing
한편, 고정부재(200)는 양측에 벨크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상기의 벨크로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elcro is a conventional one,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고정부재(200)가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지지부재(130)도 함께 롤링 됨으로써 결국 슬리퍼(100)는 고정부재(200)에 의해 롤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더불어 슬리퍼(100)의 전체부피는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xing
마지막으로 휴대용케이스(300)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되어 부피가 줄어든 슬리퍼(100)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롤링 된 슬리퍼(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Lastly,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carrying
이때, 휴대용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10)와, 롤링된 슬리퍼(100)가 삽입된 후 개방된 몸체(310)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320)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arrying
따라서, 휴대용케이스(300)는 롤링된 슬리퍼(100)가 삽입된 상태로 가방에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퍼(100)의 보관이 용이하고, 더불어 슬리퍼(100)가 가방주변의 물품들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청결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carrying
한편, 슬리퍼(100)의 바닥패드(110)에 형성된 절개홈(120)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드에 형성된 절개홈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cutting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패드(110)에 형성된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주름부(12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6a, the inner end of the
이는, 바닥패드(110) 롤링시 절개홈(120)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절개홈(120) 내측단부에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주름부(125)가 펴지면서 절개홈(120)이 벌어지는 폭만큼의 길이가 보상되도록 하여 절개홈(120)을 통한 바닥패드(110)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패드(110)가 절단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This, as the width of the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패드(110)에 형성된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곡률부(127)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B, a
이는, 바닥패드(110) 롤링시 절개홈(120)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절개홈(120) 내측단부에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곡률부(127)가 전개되도록 하여 절개홈(120)이 벌어지는 폭만큼의 길이를 보상시켜 절개홈(120)을 통한 바닥패드(110)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패드(110)가 절단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This, the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는, 슬리퍼(100)를 롤링방식으로 말아지도록 하여 휴대용케이스(300)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슬리퍼(100)의 부피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가방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더불어 휴대용케이스(300)에 삽입되어 보관됨에 따라 청결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또한, 슬리퍼(100)를 롤링하는 과정에서 바닥패드(110)의 크랙이 방지되기 때문에 슬리퍼(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ack of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예를 들어, 바닥패드(110)에 형성된 점진적으로 얕아지는 절개홈(120)의 깊이방향, 절개홈(120)의 구조, 바닥패드(110)의 재질, 절개홈(120) 전체 폭의 길이와 바닥패드(110) 전체길이의 비율, 고정부재(200)의 고정구조, 휴대용케이스(300)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For example, the depth direction of the gradually
100 : 슬리퍼 110 : 절개홈
120 : 절개홈 123 : 만곡부
125 : 주름부 127 : 곡률부
130 : 지지부재 133 : 끼움부
135 : 밴드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돌기 220 : 고정구멍
220a : 탄성부여용 슬릿 300 : 휴대용케이스
310 : 몸체 320 : 뚜껑100: slippers 110: incision groove
120: incision groove 123: curved portion
125: wrinkle portion 127: curvature portion
130: support member 133: fitting
135: band 200: fixing member
210: fixing protrusion 220: fixing hole
220a: elasticity slit 300: carrying case
310: body 320: lid
Claims (8)
상기 바닥패드(110)의 롤링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롤링된 상기 바닥패드(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부재(200)와;
롤링 된 상기 슬리퍼(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원통의 휴대용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Floor pads having a sole shape of a human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20 are formed so that the depth gradually becomes shallower in the rolling direction with the interval gradually wide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be rolled in one direction. 110 and a slipper 100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110 and comprises a support member 130 for supporting a toe and a foot;
A fixing member (2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or pad (110) rolled to maintain the rolled state of the floor pad (110);
Portable slipper (100) package comprising a; carrying case 30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the rolled slippers (100) can be inserted.
상기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만곡부(12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slippers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120 is further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123 to distribute the stress when the bottom pad 110 is rolled.
상기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주름부(12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slippers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120 is further formed with a wrinkle portion (125) to distribute the stress when the bottom pad 110 is rolled.
상기 절개홈(120)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닥패드(110)가 롤링될 때 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곡률부(12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slippers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120 is further formed with a curvature portion (127) to distribute the stress when the bottom pad 110 is rolled.
상기 절개홈(120)의 전체 폭의 길이와 상기 바닥패드(110)의 전체길이의 비율은 10:0.5~1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Portable slipper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otal width of the incision groove 120 and the total length of the bottom pad 110 is 10: 0.5 ~ 10: 1.1.
상기 바닥패드(110)의 재질은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신축성을 갖는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5,
The material of the bottom pad 110 is a portable slipper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natural rubber, polyurethane, and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having elasticity to be rolled is selected. .
상기 고정부재(200)의 일측에는 고정돌기(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10)가 끼워지는 고정구멍(2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220)의 일측에는 절개된 탄성부여용 슬릿(20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6,
A fixing protrusion 2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200, and a fixing hole 220 at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10 is fitt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n elastic portion cut at one side of the fixing hole 220 is formed. Portable slipper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for providing (200a) is formed.
상기 고정부재(200)의 양측에는 벨크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리퍼(100) 패키지.The method of claim 6,
Portable slipper 100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20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073A KR101169999B1 (en) | 2010-12-13 | 2010-12-13 | portable slipper package |
PCT/KR2011/003090 WO2012081774A1 (en) | 2010-12-13 | 2011-04-27 | Portable slipper pack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073A KR101169999B1 (en) | 2010-12-13 | 2010-12-13 | portable slipper pack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5778A KR20120065778A (en) | 2012-06-21 |
KR101169999B1 true KR101169999B1 (en) | 2012-08-03 |
Family
ID=4624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7073A KR101169999B1 (en) | 2010-12-13 | 2010-12-13 | portable slipper packag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9999B1 (en) |
WO (1) | WO201208177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1774B1 (en) * | 2015-03-11 | 2016-08-26 | 최리라 | Slipper for trave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186Y1 (en) | 2003-11-17 | 2004-02-18 | 고현익 | Sports shoes |
US20070051015A1 (en) | 2005-01-19 | 2007-03-08 | Metric Products, Inc. | Slipper having shape memory |
KR100985219B1 (en) | 2009-10-09 | 2010-10-07 | 태문환 | Folding shoes with high portability |
-
2010
- 2010-12-13 KR KR1020100127073A patent/KR10116999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04-27 WO PCT/KR2011/003090 patent/WO201208177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186Y1 (en) | 2003-11-17 | 2004-02-18 | 고현익 | Sports shoes |
US20070051015A1 (en) | 2005-01-19 | 2007-03-08 | Metric Products, Inc. | Slipper having shape memory |
KR100985219B1 (en) | 2009-10-09 | 2010-10-07 | 태문환 | Folding shoes with high portab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5778A (en) | 2012-06-21 |
WO2012081774A1 (en) | 2012-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36698B2 (en) | Shoe insole | |
US9737111B2 (en) |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 |
US9918512B2 (en) | Footwear with support and traction | |
TWI267360B (en) |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 |
AU709590B2 (en) | Improved footwear | |
EP3412255B1 (en) |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ith plural cushioning members | |
EP1411792B1 (en) | An improved footwear structure | |
EP2549898B1 (en) | Dance shoes with improved heel and arch sections | |
US20180070670A1 (en) | Shoe Insole | |
US20180116335A1 (en) | Footwear Sole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Plate | |
US8555524B2 (en) | One-piece footwear | |
US10609981B1 (en) |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 |
JPH0543362B2 (en) | ||
TW201715979A (en) |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20120324760A1 (en) |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 |
CA2845660C (en) | Sock with ball and heel guide pads | |
KR101169999B1 (en) | portable slipper package | |
US20160286895A1 (en) | Footwear | |
US20210244129A1 (en) | Maternity footwear | |
CN208259166U (en) | A kind of footwear sole construction with double high-elastic balance of power cushions | |
JP5538615B1 (en) | shoes | |
US20240315394A1 (en) | Sole Comfort Device | |
KR101367027B1 (en) | Shoes with double cover | |
JP2024089877A (en) | Insole and indoor shoe equipped therewith | |
KR101179978B1 (en) |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