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9939B1 - 치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939B1
KR101169939B1 KR1020077000046A KR20077000046A KR101169939B1 KR 101169939 B1 KR101169939 B1 KR 101169939B1 KR 1020077000046 A KR1020077000046 A KR 1020077000046A KR 20077000046 A KR20077000046 A KR 20077000046A KR 101169939 B1 KR101169939 B1 KR 10116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oup
particle diameter
average particle
high molec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512A (ko
Inventor
스스무 히라츠카
다카아키 고마츠
다카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9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평균 입자 직경 5~15μm의 중질 탄산 칼슘
(B)붕괴 강도 10~200g/개, 평균 입자 직경 50~15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
(C)하기 (a)군,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질량비로 (b)군/(a)군=0.25~3으로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a)군: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λ-카라기난,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b)군: 젤란검, 한천,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젤라틴, 펙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을 함유하고, (a) 및 (b)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합계로 조성물 전체의 0.5~1.5 질량% 배합한 것을 치마 조성물.
치마, 치약, 수불용성, 중질 탄산 칼슘, 쇄소.

Description

치마 조성물{DENTIFRIC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적정한 연마력을 가지며, 과립의 쇄소(刷掃) 실감과 뛰어난 치마 분산성의 상승 효과에 따른 뛰어난 사용감을 갖는 치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마 조성물의 연마력은 사용하는 연마제의 경도와 입자 직경 및 배합량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비교적 부드러운(모스 경도 2~3 부근) 인산 수소 칼슘 등의 연마제에 있어서는 큰 입자 직경인 것을 비교적 다량으로 치마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무수 규산(모스 경도 4~6 부근) 등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연마제의 경우에는 입자 직경을 작게 하여 소량밖에 배합할 수 없다.
한편, 연마제의 경도, 입자 직경 및 배합량은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즉, 큰 입자 직경의 연마제를 배합한 치마 조성물이나 연마제의 배합량이 많은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쇄소 실감, 분산성 등)은 양호하다. 그러나, 작은 입자 직경의 연마제를 배합한 치마 조성물이나 연마제의 배합량이 적은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은 쇄소 실감이나 분산성이 나빠 사용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즉, 큰 입자 직경의 인산 수소 칼슘 등을 많이 배합한 치마 조성물은 적정한 연마력과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치마 조성물인데 반해, 작은 입자 직경의 무수 규산을 치마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로서 적정한 연마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감의 개선을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지금까지 이러한 치마 조성물에 대하여 특정한 과립을 배합함으로써 치마 조성물의 연마력을 적정하게 하고, 동시에 사용감을 개선하는 시책이 이루어져 왔다(일본 특허 공개 평 04-2438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09-124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0-362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0-316547호 공보). 그러나, 이들 제안에서는 배합하는 과립의 붕괴 강도가 약하고, 브러싱 순간에 과립이 흩어져서 사라지기 때문에 이를 닦는 중에 걸쳐 사용감을 양호하게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과립의 붕괴 강도를 높인 경우(일본 특허 공개 2002-689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2557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128528호 공보), 이를 닦는 중의 사용감은 유지할 수 있지만, 연마제와 마찬가지로 과립의 입자 직경이나 배합량을 상세하게 설정하여 연마력을 적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입자 직경을 크게 한 것이나 연마제와 동등한 배합량으로 한 경우에는 이물감이 생긴다.
중질 탄산 칼슘은 비교적 저렴한 연마제로서 그 사용은 비용 메리트를 갖지만, 모스 경도가 3~4 부근으로 비교적 단단한 연마제이므로 적정한 연마력을 갖는 치마 조성물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입자 직경을 작게, 그리고 배합량을 적게 할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에, 중질 탄산 칼슘을 연마제로서 배합한 치마 조성물은 사용감으로서 쇄소 실감이나 분산성이 나빠 사용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정한 연마력을 가지며 사용감이 양호한 중질 탄산 칼슘 배합 치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적정한 연마력이 되도록 평균 입자 직경을 5~15μm로 제어한 중질 탄산 칼슘을 연마제로서 배합한 치마 조성물에 붕괴 강도가 10~200g/개, 평균 입자 직경이 50~150μm이고,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을 배합함으로써 치마제의 쇄소 실감을 부여할 수 있고, 하기의 (a)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하기의 (b)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특정 질량비로 그리고 합계 배합량을 특정 범위로 설정하여 배합함으로써 치마제의 분산성이 개선되고, 치마제의 쇄소 실감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적정한 연마력을 가지고, 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및 이물감이라는 사용감이 양호하며, 이를 닦는 중에도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치마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평균 입자 직경 5~15μm의 중질 탄산 칼슘
(B)붕괴 강도가 10~200g/개, 평균 입자 직경이 50~150μm이고,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
(C)하기 (a)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하기 (b)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질량비로 (b)군/(a)군=0.25~3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λ-카라기난,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젤란검, 한천,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젤라틴, 펙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C)성분의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합계로 조성물 전체의 0.5~1.5 질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치마 조성물은 (A)중질 탄산 칼슘, (B)수불용성 무기 과립, (C)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마제로서 배합되는 (A)성분인 중질 탄산 칼슘으로는, 평균 입자 직경 5~15μm, 바람직하게는 7~13μm인 것을 사용한다. 평균 입자 직경이 너무 작으면 치마제의 기본 기능인 치아의 청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치마 조성물이 악화되는 등 하여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평균 입자 직경이 너무 크면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발생시킬뿐만 아니라, 연마력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한편, 평균 입자 직경은 마이크로트랙(MICROTRAC) 입도 분포 측정 장치(NIKKISO Co., Ltd. 제조 Model 7995-10, Type SRA)에 의한 측정값으로서, 검체의 탁도(dV값)가 0.5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한 값이다.
(A)성분인 중질 탄산 칼슘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5~50%(질량%, 이하 동일), 특히 15~4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5% 미만이면 치마제의 기본 기능인 치아의 청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치마 조성물이 악화되는 등 하여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배합량이 50%를 초과하면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발생시킬뿐만 아니라, 치마제의 연마력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중질 탄산 칼슘으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중질 탄산 칼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 예를 개시하는데, 제조업체, 상품 및 등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질 탄산 칼슘[중질 탄산 칼슘 RTT-21(Bihoku Funka Kogyo Co., Ltd. 제조: 평균 입자 직경 7~10μm), 중질 탄산 칼슘 RTT-69(중국산: 평균 입자 직경 8~13μm), WHITON-F(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조: 평균 입자 직경 11~15μm)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B)성분은 붕괴 강도가 10~200g/개, 평균 입자 직경이 50~150μm이고,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이다. 이 수불용성 무기 과립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수불용성 무기 응괴를 분쇄하여 제조한 것이나, 수불용성 무기 분말에 물을 부가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압력을 가하여 조립, 건조하여 과립 형태로 형성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제조 방법으로는, 압축 성형법, 압출 성형법, 분무 건조법, 소결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되는 수불용성 무기 과립으로는 어느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앞서 개시한 수불용성 무기 응괴를 분쇄하는 방법, 수불용성 무기 분말에 물을 부가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압력을 가하여 조립, 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과립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응괴를 분쇄하는 방법, 수불용성 무기 분말에 물을 부가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압력을 가하여 조립, 건조하는 방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경우, 수불용성 무기 응괴 및 수불용성 무기 분말로는, 예컨대 제2 인산 칼슘, 제3 인산 칼슘, 불용성 메타인산 칼슘, 무수 규산,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 마그네슘, 철단, 탄산 칼슘(중질 또는 경질 탄산 칼슘), 피로인산 칼슘, 제올라이트, 알루미노 규산염, 탄산 마그네슘, 지르코노실리케이트, 황산 칼슘, 산화 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등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는 수불용성 무기 과립의 7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를 차지하는 주요한 수불용성 무기 분말이 특히 무수 규산,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무수 규산이 적합하며, 또한 수불용성 무기 과립의 0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을 차지하는 수불용성 무기 분말이 특히 산화 티타늄, 산화 알루미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수불용성 무기 응괴 및 수불용성 무기 분말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수불용성 무기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 예를 개시하는데, 제조업체, 상품 및 등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수 규산[무수 규산 RTK-133(Taki Chemical Co., Ltd. 제조), TOKUSIL(Tokuyama Corporation 제조)]
제올라이트[C0LITE-P(COSMO Bio Co., LTD. 제조), TOYOBUILDER(Tosoh Corporation 제조), SILTON B(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LTD. 제조)]
탄산 칼슘(중질)[중질 탄산 칼슘 RTT-21(Bihoku Funka Kogyo Co., Ltd. 제조), 중질 탄산 칼슘 RTT-69(중국산), WHITON-F(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조)]
탄산 칼슘(경질)[PORECAL-N(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조)]
또한 수불용성 무기 과립에는 유기 및 무기의 표면 코팅제나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약효 성분, 착색제, 향료 성분, 기타 부형제를 표면에 흡착시켜 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불용성 무기 과립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 예를 개시하는데, 제조업체, 상품 및 등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수 규산 과립[BFG-50(INEOS사 제조), MICROPEARL(Rhodia사 제조)]
제올라이트 과립[COLITE-G(COSMO Bio Co., LTD. 제조)]
탄산 칼슘 과립[NL-K100(Newlime Research, Inc.)]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불용성 무기 과립은 상기한 바와 같이 붕괴 강도가 10~200g/개, 바람직하게는 20~100g/개인 것이다. 붕괴 강도가 10g/개 미만인 과립은 치마 시작 순간의 붕괴로 인해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고, 붕괴 강도가 200g/개를 초과하는 과립은 구강 내에서의 이물감, 불쾌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붕괴 강도가 20~100g/개인 경우에는 치마 시작 시부터 매우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닦는 중에 걸쳐 그 사용감이 지속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한편, 붕괴 강도는 과립 30개의 자동 파단 강도 측정값(과립 하나를 플런저 직경 10mm, 압축 속도 10mm/분의 조건으로 압축하였을 때 과립이 붕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또한 수불용성 무기 과립은 평균 입자 직경이 50~150μm인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직경 80~120μm인 것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50μm 미만인 과립은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고, 평균 입자 직경이 150μm를 초과하는 과립은 구강 내에서의 이물감, 불쾌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80~120μm인 경우에는 치마 시작 시부터 종료 시까지 이물감, 불쾌감이 전혀 없고, 매우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또한 상기 수불용성 무기 과립은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70μm 이하인 것이다.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는 과립의 입도 분포에 커다란 영향이 있는 인자이며,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를 초과하는 과립의 경우에는 구강 내에서의 이물감, 불쾌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70μm 이하인 경우에는 치마 시작 시부터 종료 시까지 이물감, 불쾌감이 전혀 없어 매우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의 하한은 0μm 이상이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 및 90% 입자 직경은 마이크로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 즉 레이저 회절 산란법을 원리로 하는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값(μm)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NIKKISO Co., Ltd. 제조, Model 7995-10, Type SRA를 이용하여 검체의 탁도(dV값)가 0.5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한 측정값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불용성 무기 과립은 물리적 연마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과립의 연마성의 평가가 되는 RDA(Radioactive Dentin Abrasion)값이 30 이하, 특히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RDA값이 30을 초과하면 과립의 배합량에 따라서는 치마제의 연마력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B)성분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20%, 특히 0.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1% 미만에서는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배합량이 20%를 초과하면 구강 내에서의 이물감, 불쾌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성분으로서 (a)군(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λ-카라기난,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b)군(젤란검, 한천,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젤라틴, 펙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a)군에 대한 (b)군의 질량비가 0.25~3의 범위가 되도록 배합한다.
이 경우의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물질 농도가 1%이고 프로필렌글리콜 농도가 3%인 수용액의 상태에서 점조한 용액으로 겔화능을 갖지 않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며,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λ-카라기난,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잔탄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바람직하게는,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특히 치마 조성물)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점에서,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잔탄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또한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물질 농도가 1%이고 프로필렌글리콜 농도가 3%인 수용액의 상태에서 겔화능을 갖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며, 젤란검, 한천,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젤라틴, 펙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바람직하게는,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특히 치마 조성물)의 점에서 κ-카라기난,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한편, 잔탄검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 농도가 1%이고, 프로필렌글리콜 농도가 3%인 수용액의 상태에서 겔화능을 갖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데, 겔의 성상은 점탄성이 풍부하고, 후술하는 실험예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서 분류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 예를 개시하는데, 제조업체, 상품, 등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알긴산 나트륨[(KIMICA ALGIN(Kimica Corporation 제조: 점도(2%, 25℃, BL형, No.3, 12rpm) 2500~3500mPa?s) DUCK ALGIN(Kibun Food Chemifa Co., Ltd. 제조: 점도(2%, 25℃, BL형, No.3, 12rpm) 2500~3500mPa?s)]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DAICEL(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점도(2%, 25℃, BH형, No.2, 20rpm) 100~1500mPa?s, 에테르화도 0.8~1.5), HONEST GUM(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점도(1%, 25℃, BH형, No.2, 20rpm) 100~1000mPa?s, 에테르화도 1.5 이상), SUNROSE F10LC(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제조: 점도(2%, 25℃, BH형, No.5, 20rpm) 100~1000mPa?s, 에테르화도 0.5~1.0), CELLOGEN(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조: 점도(1%, 25℃, BH형, No.2, 20rpm) 100~1000mPa?s, 에테르화도 1.0 이상)]
메틸셀룰로오스[(METOLOSE SM(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 점도(2% , 20℃, BH형, No.2, 20rpm) 150~4000mPa?s)]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Daicel(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조: 점도(1%, 25℃, BH형, No.3, 30rpm) 2400~3000mPa?s, 메톡시알킬기 26.0~33.0%)]
λ-카라기난[GENUVISCO TYPE CSM-2(CP Kelco 제조: 점도(2%, 25℃, BH형, No.3, 20rpm) 1000~4000mPa?s)]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ALONBIS S(NIHON JUNYAKU Co., Ltd. 제조: 점도(2%, 25℃, BH형, No.2, 20rpm) 100~2000mPa?s)]
잔탄검[MONAT GUM DA(CP Kelco 제조: 점도(의약품 첨가물 규격) 1300~1700mPa?s), KELDENT(CP Kelco 제조: 점도(의약품 첨가물 규격) 1200~1700mPa?s)]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젤란검[(G-100(Kibun Food Chemifa Co., Ltd. 제조: 젤리 강도(JIS K-6503) 100~750g)]
한천[INA GEL(Ina-Shokuhin Industry INC. 제조: 젤리 강도 JIS K-6503) 200~800g)]
κ-카라기난[GENUGEL TYPE WR(CP Kelco 제조: 점도(2%, 25℃, BH형, No.7, 20rpm) 4000~15000mPa?s)]
ι-카라기난[GENUVISCO RBK-19(CP Kelco 제조: 점도(1%, 25℃, BH형, No.1, 60rpm) 20~60mPa?s)]
젤라틴[NIPPI GELATIN(Nippi Incorporated 제조: 젤리 강도(JIS K-6503)225~250g)]
펙틴[GENU PECTIN LM-85AS(CP Kelco 제조: 겔 강도(Copenhagen Pectin A/S의 컨트롤 메소드 0339-01) 19~23% SAG)]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RHEOGIC 250H(NIHON JUNYAKU Co., Ltd. 제조: 점도(0.5%, 25℃, BH형, No.5, 20rpm) 7500~11000mPa?s)]
또한 상기 기재의 점도를 측정할 때의 수용성 고분자 수용액의 조제법 및 점도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6.7%에 해당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에 각 설정 온도의 정제수를 각 농도로 조정할 수 있는 양을 일시에 부가하고, 각 온도로 설정한 항온 수조 속에서 프로펠러식 교반기(3장 날개, 2단 날개의 길이 25mm)를 이용하여 15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수용성 고분자 수용액을 조제한다.
조제 후, 정확히 1분 후부터 각 형식의 점도계, 각 로터 No.의 로터를 이용하여 각 회전 속도로 3분 후의 점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 조건의 기재 순서는 (수용액 농도, 측정 온도, 점도계의 형식, 로터 No., 회전 속도)이다.
또한 상기 기재의 젤리 강도 및 겔 강도는 Sun Scientific Co., Ltd. 제조의 RHEOMETER CR-200D를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값이다.
한편,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이외에, 가열, 금속염의 첨가, pH 조정 등의 겔화의 처리를 행한 다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b)군에 속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동일한 겔화능을 갖지 않는 다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적어도 1종과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적어도 1종을 병용하는데, 이 경우, (a)군에 대한 (b)군의 질량비((b)군/(a)군)를 0.25~3 사이로 설정하며, 바람직하게는 0.3~2의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군에 대한 (b)군의 질량비가 0.25 미만인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고, 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특징인 겔화능이 영향을 미쳐 치마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에 있어서 이수 현상을 용이하게 일으킨다. (a)군에 대한 (b)군의 질량비가 0.3~2 사이인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 및 안정성에 대하여 다른 배합 성분의 영향이 매우 적어져 보다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한편, 상기 치마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에서의 이수 현상의 평가법으로는, 알루미늄 호일을 라미네이트한 튜브, 플라스틱의 다층 튜브, 펌프식 디스펜서, 보틀 용기 등에 충전된 제조 직후의 치마 조성물을 갱지(Oji Paper Co., Ltd. 제조 TOMASARA) 상에 15cm 정도 압출하고, 1분간 경과한 후에 갱지 뒷면에서 액체의 배어나옴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배어나옴이 있는 것은 "이수 현상"으로 평가한다.
또한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합계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5~1.5%이며, 바람직하게는 0.9~1.4%이다.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합계 배합량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에 있어서 이수 현상을 용이하게 일으키고,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뛰어난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합계 배합량이 0.9~1.4% 사이인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의 사용감 및 안정성에 대하여 다른 배합 성분의 영향이 매우 적어져 보다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본 발명의 치마 조성물은 크림 치약, 액상 치약, 가루 치약 등의 치약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고, 그 제형에 따라 사용되는 각종 기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중질 탄산 칼슘 이외의 연마제, 상기 기재 이외의 점결제, 점조제, 발포제, 감미제,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연마제로는 중질 탄산 칼슘 이외의 통상 치마 조성물에 배합되는 연마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겔, 침강 실리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등의 무수 규산계 연마제, 경질 탄산 칼슘, 제2 인산 칼슘 2 수화물 및 무수화물, 피로인산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 마그네슘, 제3 인산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규산 지르코늄, 제3 인산 칼슘, 하이드록시애퍼타이트, 제4 인산 칼슘, 합성 수지계 연마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연마제의 배합량은 (A)성분으로서의 중질 탄산 칼슘을 포함시킨 총량으로서 치마 조성물 전체의 10~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결제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 이외의 것, 예컨대 증점성 무수 규산, VEEGUM, LAPONITE 등의 무기 점결제 등의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1~10%가 좋다.
점조제로는 글리세린, 소비톨,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자일리톨, 멀티톨, 락티톨 등의 다가 알코올 중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 있다(배합량 통상 1~45%, 특히 적합한 배합량 2~40%).
발포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 나트륨, N-미리스트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산 나트륨, 수소 첨가 코코넛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모노황산 나트륨, 라우릴술포 아세트산 나트륨, α-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N-팔미토일 글루탐산 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메이트, N-메틸-N-아실타우린나트륨 등의 N-아실타우레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멀티톨 지방산 에스테르, 락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당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올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르산 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소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혹은 플루로닉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N-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 N-미리스틸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의 N-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혹은 N-알킬-1-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베타인나트륨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의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 있다. 발포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4%가 좋다.
향료 성분으로는 멘톨(menthol), 아네톨(anethole), 카본(carbone), 유게놀(eugenol), 리모넨(limonene), n-데실알코올(n-decyl alcoh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α-터피네올(α-terpineol),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시네올(cineole), 리날로올(linalool), 에틸리날로올(ethyllinalool),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어민트유(spearmint oil), 페퍼민트유(peppermint oil), 레몬유(lemon oil), 오렌지유(orange oil), 세이지유(sage oil), 로즈마리유(rosemary oil), 육계유(cassia oil), 피멘토유(pimento oil), 신나몬 리프유(cinnamon leaf oil), 들깨 기름(perilla oil), 윈터그린유(wintergreen oil), 클로브유(clove oil) 혹은 유칼리유(eucalyptus oil) 등의 향료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향료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5~1.5%가 좋다.
또한 사카린나트륨(sodium saccharin),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아 추출물(stevia extract), 파라메톡시신너믹 알데하이드(paramethoxycinnamic aldehyde), 네오헤스퍼리딜하이드로카콘(neohesperidyl hydrocarcone), 페릴라틴(perillartine),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소마틴(somatine), 아스파틸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aspartylphenylalanine methyl ester) 등의 감미제 중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 있다. 감미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5~1%가 좋다.
또한 본 발명에는 트리클로산(triclosan), 히노키티올(Hinokitiol), 티몰(thymol), BIOSOLLSG 등의 페놀성 화합물, 염화 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염화 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염화 벤잘코늄(benzalconium chloride) 등의 제4차 암모늄염, 덱스트라나아제(dextranase), 무타나아제(mutanase), 리소자임(lyzozyme), 아밀라아제(amylase), 프로테아제(protease), 용균 효소(lysokinases), 수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SOD; superoxide dismutase) 등의 효소,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sodium monofluorophosphates), 모노플루오로인산 칼륨(potassium monofluorophosphates) 등의 알칼리 금속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불화 나트륨, 불화 제1 주석 등의 불화물,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epsilon aminocaproic acid), 알란토인(allantoin),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dihydrocholesterol), 글리시리진산류(glycyrrhizic acid), 글리틸레틴산(glythylretinic acid), 글리세로포스페이트(glycerophosphate), 클로로필(chlorophyll), 염화 나트륨(sodium chloride), 자일리톨(xylitol), 염화 아연(zinc chloride), 수용성 무기 인산 화합물, 황백 추출물(phellodendron bark extract),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e), 비타민 A,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및 그들의 유도체 등 공지의 유효 성분을 적어도 1종 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 배합할 수 있다.
착색제로는 청색 1호, 황색 4호, 녹색 3호, 이산화 티타늄, 산화 알루미나 등의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마 조성물은 감압 혼합할 수 있는 제조 장치에서 제조되며, 알루미늄 호일을 라미네이트한 튜브, 플라스틱의 다층 튜브, 펌프식 디스펜서, 보틀 용기 등에 충전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예에 있어서 배합 량은 모두 질량 백분율을 나타낸다.
〔실험예 1〕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배합한 치마제를 조제하고, 과립 배합에서의 효과를 연마력,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연마력 측정법(RDA법);
본 실험에 있어서는 연마력을 RD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1의 자리 0~4는 0으로 버리고, 5 이상은 5로 올림).
RDA(Radioactive Dentin Abrasion)법이란 사람의 빠진 이빨에 중성자를 방사해 두고, 연마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연마하였을 때 발생하는 미량의 마모 성분의 방사능을 측정함으로써 연마성을 평가하는 측정법이다. ADA(미국 치과 의사회)에서는 표준 물질로서 피로인산 칼슘을 사용하였을 때의 상아질 연마값(RDA값)을 100으로 하였다. 또한 ADA에 있어서는, RDA법에 의한 RDA값의 상한을 250 이하로 하였다. 본 실험에 있어서는 더 많은 안전성과 충분한 청소력을 고려하여 적정한 RDA값으로서 80~130으로 설정하였다.
사용감(브러싱 시작 시의 치마 조성물, 치약 중의 쇄소 실감);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에 대해서는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관능 시험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비교예 1과의 상대 평가로 실시하고, 10명의 평균점으로부터 평가를 행하였다.
5단계 평가
5점: 비교예 1에 비해 상당히 양호
4점: 비교예 1에 비해 양호
3점: 비교예 1과 동등
2점: 비교예 1에 비해 나쁨
1점: 비교예 1에 비해 상당히 나쁨
평가 결과
◎: 4.5점 초과 5점 이하
○: 3.5점 초과 4.5점 이하
△: 3점 초과 3.5점 이하
×: 3점 이하
사용감(이를 닦는 중의 이물감);
이를 닦는 중의 이물감에 대해서는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관능 시험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절대 평가로 실시하고, 10명의 평균점으로부터 평가를 행하였다.
3단계 평가
3점: 느껴지지 않음
2점: 약간 느껴짐
1점: 느껴짐
평가 결과
○: 2.5점 초과 3점 이하
△: 1.5점 초과 2.5점 이하
×: 1점 이상 1.5점 이하
종합 평가;
이상의 연마력, 사용감의 평가 결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종합 평가를 행하였다.
종합 평가
◎: 연마력이 80~130의 범위 내이고, 사용감의 이물감의 평가가 "○"의 평가이고,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의 평가에 있어서 어느 평가도 "◎"의 평가인 경우
○: 연마력이 80~130의 범위 내이고, 사용감의 이물감의 평가가 "○"의 평가이고,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의 평가에 있어서 어느 평가도 "○" 또는 "○"와 "◎"의 평가인 경우
△: 연마력이 80~130의 범위 내이고,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의 평가에 있어서 "△"의 평가가 적어도 하나 있는 경우
×: 연마력이 130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의 평가에 있어서 "×"의 평가가 적어도 하나 있는 경우 또는, 치약 제조 직후의 성상에 있어서 "이수 현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치약 제조 직후의 성상에서의 이수 현상의 평가법으로는 알루미늄 호일을 라미네이트한 튜브, 플라스틱의 다층 튜브, 펌프식 디스펜서, 보틀 용기 등에 충전된 제조 직후의 치약을 갱지(Oji Paper Co., Ltd. 제조 TOMASARA) 상에 15cm 정도 압출하고 1분 간 경과한 후에 갱지 뒷면에서 액체의 배어나옴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배어나옴이 있는 것은 "이수 현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 예에 있어서 사용한 과립은 이하의 것이다.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는 제법 (i)수불용성 무기 응괴를 분쇄하는 방법, 제법 (ii)수불용성 무기 분말에 물을 부가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압력을 가하여 조립, 건조하는 방법, 제법 (iii)그 밖의 방법으로 한다.
과립 A: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10 제법(i))
(붕괴 강도 20g/개, 평균 입자 직경 10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50μm)
과립 B: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10 제법(i))
(붕괴 강도 15g/개, 평균 입자 직경 14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30μm)
과립 C: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산화 알루미늄 혼합 과립(COSMO Bio Co.,
LTD. 제조 RTK-142 제법(ii),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산화 알루미
늄 혼합비(질량비)=16:3:1)
(붕괴 강도 150g/개, 평균 입자 직경 8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80μm)
과립 D: 무수 규산 과립(Rhodia사 제조 MICROPEAL 제법(iii))
(붕괴 강도 5g/개, 평균 입자 직경 7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
자 직경의 차 30μm)
과립 E: 제올라이트 과립(COSMO Bio Co., LTD. 제조 COLITE-G 제법(iii))
(붕괴 강도 250g/개, 평균 입자 직경 9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50μm)
과립 F: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10 제법(i))
(붕괴 강도 20g/개, 평균 입자 직경 2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30μm)
과립 G: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50 제법(i))
(붕괴 강도 20g/개, 평균 입자 직경 20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50μm)
과립 H: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50 제법(i))
(붕괴 강도 20g/개, 평균 입자 직경 10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150μm)
한편, 붕괴 강도, 평균 입자 직경, 90% 입자 직경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붕괴 강도의 측정법;
과립을 물에 침지하고, 60초 경과 후 물에서 꺼내 플런저 직경 10mm, 압축 속도 10mm/분의 조건으로 과립 하나를 압축하였을 때 과립이 붕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과립 30개의 측정값을 평균하였다.
평균 입자 직경 및 90% 입자 직경 측정 방법;
평균 입자 직경 및 90% 입자 직경은 마이크로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NIKKISO Co., Ltd. 제조, Model 7995-10, Type SRA)를 이용하여 검체의 탁도(dV값)가 0.5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하였다(소수점 이하 버림).
또한 실험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중질 탄산 칼슘 및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이하, 동일).
중질 탄산 칼슘:
Bihoku Funka Kogyo Co., Ltd. 제조 RTT-21을 NISSHIN ENGINEERING INC. 제조 turboclassifier TC-15N을 이용하여 분급한 분급품(평균 입자 직경 25μm)(분급 조건: 분급 로터 FINE, AUTO 모드, 원료의 진비중(ρP)=2.8g/cm3, 분급점(DP)=30.0μm, 풍량(Q)=3.0M3/m, 회전 수(N)=1100rpm)
중국산 RTT-69(평균 입자 직경 12μm)
Bihoku Funka Kogyo Co., Ltd. 제조 RTT-21을 NISSHIN ENGINEERING INC. 제조 turboclassifier TC-15N을 이용하여 분급한 분급품(평균 입자 직경 2μm)(분급 조건: 분급 로터 FINE, AUTO 모드, 원료의 진비중(ρP)=2.8g/cm3, 분급점(DP)=1.5μm, 풍량(Q)= 1.1M3/m, 회전 수(N)=8390rpm)
수용성 고분자 물질(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CMC DAICEL 1260 점도(2%, 25℃, BH 형, No.2, 20rpm) 920mPa?s, 에테르화도 0.91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적정한 연마력이 되도록 중질 탄산 칼슘의 평균 입자 직경을 12μm로 설정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평균 입자 직경을 크게 한 비교예 2에서는 연마력이 너무 높아지고 이물감이 느껴져 부적합하고, 평균 입자 직경을 작게 한 비교예 3에서는 치약 사용감(분산성, 쇄소 실감)이 현저하게 나빠지고, 또한 치마 조성물의 기본 기능인 청소력을 충분히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에 과립을 배합함으로써 사용감의 개량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과립을 사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사용감을 얻을 수 없었다. 그 중에서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4~6이 사용감 중 쇄소 실감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7에서는 붕괴 강도가 너무 약하기 때문에 충분한 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을 얻을 수 없어 종합 평가에서 부적합이 되었다. 비교예 8에서는 붕괴 강도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연마력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며, 또한 사용감에 있어서도 쇄소 실감이 너무 강하고 이물감이 느껴져서 종합 평가에서 부적합이 되었다. 비교예 9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너무 작기 때문에 충분한 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을 얻을 수 없어, 종합 평가에서 부적합이 되었다. 비교예 10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너무 크기 때문에 사용감에 있어서 쇄소 실감이 너무 강하고, 이물감이 느껴져서 종합 평가에서 부적합이 되었다. 비교예 11에서는 사용감에 있어서 쇄소 실감이 너무 강하고, 이물감이 느껴져서, 종합 평가에서 부적합이 되었다.
〔실험예 2〕
다음, 적정한 연마력을 가지며, 양호한 쇄소 실감으로서 이물감이 없는 비교예 4의 치마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검토를 행함으로써 사용감(특히 치마 조성물)의 개량을 시도해 보았다.
표 2에 나타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3%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각 수용성 고분자 물질에 있어서 적절한 조건으로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1%의 용액을 조제하고, 그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점조한 용액이었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점조성 고분자 물질, 겔화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겔화성 고분자 물질로 분류하였다. 군 분류로는 나중에 설명하는 실험예 3의 결과로부터 점조성 고분자 물질과 잔탄검을 (a)군, 잔탄검을 제외한 겔화성 고분자 물질을 (b)군으로 하였다.
한편,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이하, 동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CMC DAICEL 1260 점도(2%, 25℃, BH형, No.2, 20rpm) 920mPa?s, 에테르화도 0.9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알긴산 나트륨: KIMICA ALGIN 점도(2%, 25℃, BL형, No.3, 12rpm) 3300mPa?s Kimica Corporation 제조
λ-카라기난: GENUVISCO TYPE CSM-2 점도(2%, 25℃, BH형, No.3, 20rpm) 2600mPa?s CP Kelco 제조
잔탄검: MONAT GUM DA 점도(의약품 첨가물 규격) 1388mPa?s CP Kelco 제조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RHEOGIC 250H 점도(0.5%, 25℃, BH형, No.5, 20rpm) 8220mPa?s NIHON JUNYAKU CO., Ltd. 제조
젤라틴: NIPPI GELATIN 젤리 강도(JIS K-6503) 235g Nippi, Incorporated 제조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2
〔실험예 3〕
표 3, 4에 나타낸 성분을 배합한 치마제를 조제하고,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단독 배합 및 조합 배합에서의 효과를 연마력,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으로부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4에 나타내었다. 한편, 평가 방법은 실험예 1에 준하였다.
한편, (a)군에 대한 (b)군의 질량비[(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배합량(%)/(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배합량(%)]의 값도 표 3, 4에 병기하였다.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3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4
표 3, 4의 결과로부터,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단독 사용의 경우에는 어느 경우에도 종합 평가에서 비교예 4를 웃돌 수 없었다. 비교예 4와 동일한 점조성 고분자 물질의 사용(비교예 12~14)에 의해서는 사용감(치마 조성물)을 개선할 수 없고, 종합 평가는 비교예 4를 웃돌 수 없었다. 비교예 4와 다른 겔화성 고분자 물질의 사용(비교예 15, 16)에 의해서는 이수 현상을 야기하고, 종합 평가는 비교예 4를 웃돌 수 없었다. 또한 겔화성 고분자 물질의 잔탄검은 이수 현상이 없고, 점조성 고분자 물질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각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1:1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경향이었다. 점조성 고분자 물질끼리(비교예 17, 18, 20) 및 겔화성 고분자 물질끼리(비교예 23)의 경우에는 단독 사용과 동일한 결과가 되었다.
겔화성 고분자 물질로서 잔탄검을 사용하고, 점조성 고분자 물질과 조합한 경우(비교예 19, 21, 22)에는 사용감(치마 조성물)은 개선되지 않았고, 종합 평가는 비교예 4를 웃돌 수 없었다. 잔탄검은 단독 사용 및 조합 사용의 결과로부터, 군 분류로서 점조성 고분자 물질과 잔탄검을 (a)군, 잔탄검을 제외한 겔화성 고분자 물질을 (b)군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겔화성 고분자 물질로서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4)에는 사용감(치마 조성물)이 개선되었고, 종합 평가는 비교예 4를 현저하게 웃도는 결과가 되었다. 여기서 주목할 결과는, 치마 조성물이 현저하게 개선되면 쇄소 실감도 향상된다는 상승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겔화성 고분자 물질로서 젤라틴을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감(치마 조성물)이 개선되었고, 종합 평가는 비교예 4를 웃도는 결과가 되었다.
〔실험예 4〕
다음,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질량비, 총 배합량의 적정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표 5, 6에 나타낸 성분을 배합한 치마 조성물을 조제하고,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질량비[(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배합량(%)/(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배합량(%)]에서의 효과를 연마력,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으로부터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에 준하였다.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5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6
표 5, 6의 결과로부터,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질량비에 관해서는 (a)군:(b)군=1:0.25~1:3인 것이 양호하였다.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이 나빠져 종합 평가가 나빠지고,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이수 현상을 일으켜 종합 평가가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군과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총 배합량에 관해서는 0.5~1.5%가 양호하였다. 총 배합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치마 조성물이 나빠져 종합 평가가 나빠지고, 또한 총 배합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이수 현상을 일으켜 종합 평가가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표 2에 나타낸 것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종류에 대하여 실험예 2와 동일한 검토를 행하였다.
표 7에 나타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조성 고분자 물질과 겔화성 고분자 물질로 분류하고, 점조성 고분자 물질을 (a)군, 겔화성 고분자 물질을 (b)군으로 하였다.
한편,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이하, 동일).
메틸셀룰로오스: METOLOSE SM 점도(2%, 20℃, BH형, No.2, 20rpm) 2400mPa?s 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EC DAICEL 점도(1%, 25℃, BH형, No.3, 30rpm) 2790mPa?s, 메톡실기 29.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ALONBIS S 점도(2%, 25℃, BH형, No.2, 20rpm) 973mPa?s NIHON JUNYAKU Co., Ltd. 제조
젤란검: G-100 젤리 강도(JIS K-6503) 635g Kibun Food Chemifa Co., Ltd. 제조
한천: INA GEL 젤리 강도(JIS K-6503) 603g Ina-Shokuhin Industry INC. 제조
κ-카라기난: GENUGEL TYPE WR 점도(2%, 25℃, BH형, No.7. 20rpm) 13560mPa?s CP Kelco 제조
ι-카라기난: GENUVISCO RBK-19 점도(1%, 25℃, BH형, No.1, 60rpm) 32mPa?s CP Kelco 제조
펙틴: GENU PECTIN LM-85AS 겔 강도(Copenhagen Pectin A/S의 컨트롤 메소드 0339-01) 21% SAG CP Kelco 제조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7
표 8에 나타낸 성분을 배합한 치마제를 조제하고,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b)군 배합량/(a)군 배합량이 1:1인 조합 배합에서의 효과를 연마력, 사용감(치마 조성물, 쇄소 실감, 이물감)으로부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한편, 평가 방법은 실험예 1에 준하였다.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8
표 8의 결과로부터, 표 7에 나타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 경우에도 표 2에 나타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표 9에 나타낸 조성의 치마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더니 모두 연마력, 사용감이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중질 탄산 칼슘으로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
Bihoku Funka Kogyo Co., Ltd. 제조 RTT-21을 NISSHIN ENGINEERING INC. 제조 turboclassifier TC-15N을 이용하여 분급한 분급품(평균 입자 직경 7μm)(분급 조건: 분급 로터 FINE, AUTO 모드, 원료의 진비중(ρP)=2.8g/cm3, 분급점(DP)=9.0μm, 풍량(Q)=2.4M3/m, 회전수(N)=3050rpm)
중국산 RTT-69(평균 입자 직경 10μm)
중국산 RTT-69를 NISSHIN ENGINEERING INC. 제조 turboclassifier TC-15N을 이용하여 분급한 분급품(평균 입자 직경 13μm)(분급 조건: 분급 로터 FINE, AUTO 모드, 원료의 진비중(ρP)=2.8g/cm3, 분급점(DP)=15.0μm, 풍량(Q)=3.0M3/m, 회전수(N)=2140rpm)
또한 수불용성 무기 과립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과립 A, 하기 과립 I~K를 사용하였다.
과립 I: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10 제법(i))
(붕괴 강도 30g/개, 평균 입자 직경 95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45μm)
과립 J: 무수 규산 과립(INEOS사 제조 BFG-50 제법(i))
(붕괴 강도 45g/개, 평균 입자 직경 12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70μm)
과립 K: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산화 알루미늄 혼합 과립(COSMO Bio Co.,
LTD. 제조 제법(ii),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산화 알루미늄 혼합
비(질량비)=7:2:1)
(붕괴 강도 35g/개, 평균 입자 직경 90μm,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 20μm)
Figure 112007000311657-pct00009
본 발명의 치마 조성물은 적정한 연마력을 가지며, 과립의 쇄소 실감이 뛰어난 치마 조성물의 상승 효과에 따른 뛰어난 사용감을 갖는다.

Claims (5)

  1. (A)평균 입자 직경 5~15μm의 중질 탄산 칼슘,
    (B)붕괴 강도가 10~200g/개, 평균 입자 직경이 50~150μm이고, 90% 입자 직경과 평균 입자 직경의 차가 100μm 이하인 수불용성 무기 과립,
    (C)하기 (a)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하기 (b)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질량비로 (b)군/(a)군=0.25~3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a)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λ-카라기난, 직쇄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젤란검, 한천,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젤라틴, 펙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C)성분의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합계로 조성물 전체의 0.5~1.5 질량% 배합한 것이고,
    상기 (B) 수불용성 무기 과립 성분의 70 질량% 이상이 무수 규산,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B)성분의 수불용성 무기 과립이 수불용성 무기 응괴의 분쇄 또는 수불용성 무기 분말의 물 슬러리에 압력을 가하여 조립, 건조함으로써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성분의 중질 탄산 칼슘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5~50 질량%이고, (B)성분의 수불용성 무기 과립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0.1~2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의 (a)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잔탄검 중 적어도 1종이고, (b)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κ-카라기난,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중 적어도 1종이고,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질량비가 (b)군/(a)군=0.3~2인 비율로 함유하고, (a)군 및 (b)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배합량이 합계로 조성물 전체의 0.9~1.4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조성물.
KR1020077000046A 2004-07-06 2005-06-30 치마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169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9095 2004-07-06
JPJP-P-2004-00199095 2004-07-06
PCT/JP2005/012075 WO2006003989A1 (ja) 2004-07-06 2005-06-30 歯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12A KR20070028512A (ko) 2007-03-12
KR101169939B1 true KR101169939B1 (ko) 2012-08-06

Family

ID=3578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9939B1 (ko) 2004-07-06 2005-06-30 치마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02561B2 (ko)
KR (1) KR101169939B1 (ko)
CN (1) CN1988876B (ko)
WO (1) WO2006003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622B2 (ja) * 2006-04-26 2012-09-12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5627074B2 (ja) * 2009-12-11 2014-11-19 花王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5625818B2 (ja) * 2010-11-30 2014-11-19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5716649B2 (ja) * 2010-12-27 2015-05-1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CN103298445B (zh) * 2010-12-27 2015-07-22 狮王株式会社 牙膏组合物
JP5961013B2 (ja) * 2012-03-02 2016-08-02 花王株式会社 歯磨剤
JP6236773B2 (ja) * 2012-11-28 2017-11-29 ライオン株式会社 不透明歯磨剤組成物
JP6087144B2 (ja) * 2012-12-28 2017-03-01 花王株式会社 歯磨組成物
SG10201805232UA (en) 2013-06-18 2018-08-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Oral composition
JP6166968B2 (ja) * 2013-06-27 2017-07-19 花王株式会社 歯磨剤
JP6772906B2 (ja) * 2017-03-09 2020-10-2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6948838B2 (ja) * 2017-05-30 2021-10-13 花王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7126811B2 (ja) * 2017-07-25 2022-08-29 株式会社ジーシー 歯面清掃用組成物
WO2019088512A1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1998594B1 (ko) * 2019-01-28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CN118178260A (zh) 2019-03-28 2024-06-14 株式会社Lg生活健康 牙膏组合物
KR102389707B1 (ko) * 2019-03-28 2022-04-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KR102044938B1 (ko) * 2019-05-07 2019-1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CN110180661B (zh) * 2019-05-17 2023-07-25 江苏群鑫粉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丁腈手套使用的无机填料的制备方法
JP7523346B2 (ja) * 2020-12-28 2024-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516439B2 (ja) 2022-02-21 2024-07-16 花王株式会社 練歯磨組成物
CN115645291B (zh) * 2022-09-29 2024-03-19 广东省九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沸石牙膏
CN115778846A (zh) * 2022-12-16 2023-03-14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用牙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6547A (ja) 1997-05-20 1998-12-02 Kao Corp 歯磨剤組成物
JPH1135438A (ja) 1997-07-17 1999-02-09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3128528A (ja) 2001-10-24 2003-05-0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108A (ja) * 1981-10-09 1983-04-13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4131732B2 (ja) * 1997-04-24 2008-08-1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3484425B2 (ja) * 2001-03-14 2004-01-06 花王株式会社 歯磨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6547A (ja) 1997-05-20 1998-12-02 Kao Corp 歯磨剤組成物
JPH1135438A (ja) 1997-07-17 1999-02-09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3128528A (ja) 2001-10-24 2003-05-0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2561B2 (ja) 2011-06-15
WO2006003989A1 (ja) 2006-01-12
JPWO2006003989A1 (ja) 2008-04-17
CN1988876A (zh) 2007-06-27
CN1988876B (zh) 2010-11-24
KR20070028512A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939B1 (ko) 치마 조성물
CN1286448C (zh) 包括稳定的包括聚磷酸盐和离子活性成分的低含水量相的洁齿剂组合物
RU2481098C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которые увеличивают количество растворимого цинка
CN102665661B (zh) 水凝胶颗粒
US20040247646A1 (en) Rapidly dissolving edible film compositions with improved film strength and stability
EP2438901B1 (en) Dentifrice
EP2908915B1 (en) Toothpaste composition
CN106999412B (zh) 具有优异美观性的含有可生物降解粒子的口腔护理组合物
JP2014500313A (ja) 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US6562090B1 (en) Fluid abrasive suspension for use in dentifrices
EP1759687B1 (en) Dentifrice composition
EP2908796B1 (en) Processes for preparing toothpaste compositions
CA2891330A1 (en) Abradable films for use in oral care
EP3223911B1 (en) Stable whitening dentifrice composition with superior aesthetics
KR102389707B1 (ko)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US20060104921A1 (en) Novel gum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20050023598A (ko) 치약 조성물
CN119894484A (zh) 用于非水性组合物的制造方法
AU2016421846A1 (en) Stable whitening dentifrice composition with colorant-containing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