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68B1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568B1 KR101168568B1 KR1020100025274A KR20100025274A KR101168568B1 KR 101168568 B1 KR101168568 B1 KR 101168568B1 KR 1020100025274 A KR1020100025274 A KR 1020100025274A KR 20100025274 A KR20100025274 A KR 20100025274A KR 101168568 B1 KR101168568 B1 KR 101168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plate
- wind
- gauge
- wind speed
- cylindrical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4—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only separate indications of the variables measur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01P5/0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 G01P5/07—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with electr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1 체결홈이 형성된 제1 탄성플레이트;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의 일측변과 반대측인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2 체결홈이 형성된 제2 탄성플레이트;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를 보호하는 보호캡;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 각각의 양단 하부에 부착되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의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게이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전기적 저항값을 신호처리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게이지부는 각각 한 쌍의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제2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스트레인 게이지는 서로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measuring devic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support; A first elastic plate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astic plate, the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late to be fit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 second elastic plate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A protective cap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protect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A plurality of gauge parts attached to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detect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which vary according to wind intensity and dir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gauge unit and to signal-process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gauge unit to calculate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The plurality of gauge units each include a pair of first strains. Including a gauge and a second strain gauge, the first strain gauge is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strain gauge is installed on the second elastic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maintain an angle of 90 ° to each oth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using a strain gauge.
일반적으로 풍향계(風向計)라 함은 옥상 등에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풍신기(風信器)라고도 하고 간풍기(看風機)라고도 하며,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수탉의 머리를 향하도록 하고, 수탉머리 양단의 바람이 닿는 부분이 불균형하게 만들어져 있어 서양에서는 웨더콕(weathercock)이라고 한다. Generally, the wind vane is a tool to measure the direction from which wind is installed on a rooftop. It is also known as a wind fan or wind blower. The head is facing the head, and the windy ends of the cock's head are unbalanced, so it is called weathercock in the West.
이와 같은 풍향계는 기상측기 중에서 가장 간단한 것으로 1매의 풍판(風板)을 수직으로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완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찰을 최소한으로 감소할 수 있는 축받이 위에 설치된다. Such a wind vane is the simplest of the weather gauges, and is configured to rotate one wind plate vertically around an axis, and is installed on a bearing that can reduce friction to a minimum so that it can fully function.
이와 같이 풍향을 측정하는 측기로는 복엽 풍향계(複葉風向計)와 셀신형 풍향계가 있으며, 이중, 복엽 풍향계는 풍판이 2매이며, 회전축에 방위반(方位盤)을 직접 부착하여 풍향을 관측하게 되어 있으며, 셀신형 풍향계는 셀신 모터에 의한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원격(遠隔)관측과 자동기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s a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wind direction, there are two wind vanes and a cell-type wind vane. Among them, the two wind vanes have two wind plates. The cell-type wind vane is capable of remote observation and automatic recording using an electronic circuit by a cell-scene motor.
또한, 풍속계라 함은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풍력계(風力計)라고도 하며, 이를 측정목적에 따라서 분류하면 평균(平均)풍속계와 순간(瞬間)풍속계로 나누고, 측정원리에 따라서는 풍압을 측정하여 풍속을 구하게 되어 풍압계라고도 불리우는 풍압형 풍속계와, 풍배(風杯)나 프로펠러가 바람에 의해서 회전할 때 회전속도가 풍속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기상관측에 사용되는 회전형 풍속계와, 가열된 물체에 바람이 닿으면 그 물체는 냉각되는데 이때 냉각의 정도를 측정하여 풍속을 구하는 열선풍속계(熱線風速計) 등으로 분류하게 된다. An anemometer is also called an anemometer as a tool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wind. When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easurement, it is divided into an average anemometer and an instantaneous anemometer. Wind speed type anemometer, also known as wind pressure gauge, and the rotational speed is proportional to the wind speed when the wind boat or propeller rotates by wind, and the wind speed anemometer used in mo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When the wind hits a heated object, the object is cooled. At this time, the object is classified into a hot-wind anemometer (熱線 風速計)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cooling and obtains the wind speed.
이러한 풍속계는 약한 풍속도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풍속과 기록 값은 가능한 한 직선적인 관계가 있어야 하며, 변동하는 풍속에 잘 따라야 한다. 또한, 기류의 요란에 의해서도 기록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며, 기상관측에서 풍속계의 설치는 지형이나 건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Such anemometers should be able to measure even weak wind speeds, and the wind speed and recorded values should be as linear as possible, and should follow the fluctuating wind speed. In addition, the recorded value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disturbance of the airflow, and it is important to select a point where the installation of the anemometer is not affected by the terrain or the building.
그러나, 이와 같은 풍향계 또는 풍속계는 각각 따로 구분되어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풍속계와 풍향계를 각각 따로 설치하는 데 따른 설치비용의 추가와 설치장소의 확보 및 풍속계와 풍향계에서의 나타나는 결과치의 분석작업에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se weather vanes or anemometers are separately installed in their respective places, the additional installation costs, the securing of the place of install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anemometers and wind vanes are separately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that hassle occurred.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풍향계 또는 풍속계는 기상조건에 민감한 각종 산업현장에서 그 지역의 풍향 및 풍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wind vane or anemometer has a problem that can not accurately measur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the area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ensitive to weather condition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제2 탄성플레이트에 부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풍향과 풍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strain gauge to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wind speed.
또, 본 발명은, 스트레인게이지를 통하여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풍향 및 풍속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which can obtai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exact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with little error through a strain gauge.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1 체결홈이 형성된 제1 탄성플레이트;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의 일측변과 반대측인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2 체결홈이 형성된 제2 탄성플레이트;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를 보호하는 보호캡;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 각각의 양단 하부에 부착되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의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게이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전기적 저항값을 신호처리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게이지부는 각각 한 쌍의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제2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스트레인 게이지는 서로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support; A first elastic plate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astic plate, the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late to be fit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 second elastic plate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A protective cap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protect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A plurality of gauge parts attached to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detect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which vary according to wind intensity and dir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gauge unit and to signal-process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gauge unit to calculate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The plurality of gauge units each include a pair of first strains. Including a gauge and a second strain gauge, the first strain gauge is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strain gauge is installed on the second elastic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maintain an angle of 90 ° to each other .
또한, 제어부는, 게이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팅 회로부, 게이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저항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회로부, 필터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gauge unit, an amplification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 signal represent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utput from the gauge unit, a filtering circuit unit for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and digitally filtering the filtered signal. A / D converter to convert the signal, and includes a microprocessor for receiv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calculat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또한,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계산된 풍향 및 풍속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calculated by the microprocessor.
또한, 원통형의 지지부의 상면에는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제2 탄성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또한, 게이지부는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제2 탄성 플레이트의 X축과 Y축의 탄성변형에 의해 변하는 전기적 저항을 측정한다. In addition, the gauge unit measures th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X-axis and Y-axis of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제2 탄성플레이트에 부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풍향과 풍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n gauge is attached to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measu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It can be measur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인게이지를 통하여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풍향 및 풍속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ed values with little error through the strain gaug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Specific matters other tha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problem solving means, 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를 향하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toward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는, 원통형의 지지부(100), 제1 탄성플레이트(200), 제2 탄성플레이트(300), 보호캡(500), 게이지부(미도시)(도 2a 내지 도 3d; 230, 240, 330, 34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레귤레이팅 회로부(420), 증폭 및 필터링회로부(410), A/D 컨버터(430), 마이크로프로세서(4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원통형의 지지부(100)는, 평면 상에 기립설치된다.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300)가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원통형의 지지부(100)는 그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 탄성 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통형 지지부(100)의 재질은 MC 재질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과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300)의 접촉하는 단부를 고정홈을 통하여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기 및 요홈이 형성되어 끼움결합을 하여도 되고, 각각의 접촉하는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원통형의 지지부(100)에 대해서는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1 탄성플레이트(200)는,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변으로부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1 체결홈(210)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제2 탄성플레이트(300)는,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제1 체결홈(210)에 끼워지도록 제1 탄성플레이트(200)의 일측변과 반대측인 일측변으로부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2 체결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소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고정홈에 끼워지게 된다.A predetermined protrusion is formed below the first
보호캡(500)은,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를 보호한다. 보호캡(500)은,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주변에 비나 눈이 올 경우에, 이로부터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를 보호하기 위함이다.The
게이지부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 각각의 양단 하부(즉, 돌출부)에 부착되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하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한다. 게이지부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 각각의 양단에 스트레인 게이지(미도시)를 부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라 변형된 만큼 저항 값의 변화량을 출력한다. The gauge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s (ie, protrusions) of each of the first
제어부(400)는, 게이지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게이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전기적 저항값을 신호처리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부(400)는, 게이지부에 전원, 즉 안정된 전압(+EXC, -EXC)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팅 회로부(420), 게이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저항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증폭 및 필터링회로부(410), 필터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430)(A/D CONVERTER),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40), 계산된 풍향 및 풍속을 표시하는 표시부(450)를 포함하여,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하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한다. The
레귤레이팅 회로부(420)를 통하여 공급된 안정된 전압을 통해 각각 동서남북 방향에서 출력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신호를 제어부(400)가 입력받게 된다. 또한, 증폭 및 필터링 회로부(410)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출력 전압은 미세한 전압이 출력되기 때문에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증폭 및 필터링 회로부(410)는 A/D 컨버터(430)가 인식할 수 있는 전압범위를 만들어 준다. 증폭 및 필터링회로부(410)를 거친 신호는 A/D 컨버터(430)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440)가 연산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440)에 의하여 계산된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표시부(45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는 섭씨 -40도에서 +85도 사이의 온도에서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a temperature between -40 degrees Celsius and +85 degrees Celsius.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제1 탄성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제2 탄성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상면도이다.2a to 2c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lastic plate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astic plate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top view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계의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300)는, 상기 원통형 지지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탄성작용을 하고, 이러한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300)의 X축과 Y축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본 풍향 및 풍속계에서는,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300)의 전기적 저항의 변형률을 검출하는 스트레인게이지(230, 240, 330, 340)를 설치하되, X축과 Y축의 변형률을 감지하는 한 쌍의 스트레인게이지(230, 330)(240, 340)의 설치각도는 서로 90°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제1 탄성플레이트(200)는, 일측변으로부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1 체결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체결홈(210)의 폭은 제1 체결홈(210)과 체결되는, 즉 맞물려 체결되는 제2 체결홈(3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플레이트(200)의 하부에는 원통형 지지부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제1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는 제1 체결홈(210)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의 탄성에 의한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동쪽 및 서쪽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과 풍속이 측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first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제2 탄성플레이트(300)는, 제1 체결홈(210)에 끼워지도록 제1 탄성플레이트(200)의 일측변과 반대측인 일측변으로부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2 체결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체결홈(310)의 폭은 제2 체결홈(310)과 체결되는, 즉 맞물려 체결되는 제1 체결홈(2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원통형 지지부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제2 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는 제1 체결홈(210)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의 탄성에 의한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북쪽 및 남쪽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과 풍속이 측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의 상측은,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에 각각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 330, 340)는 서로 90°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 330, 340)는 동, 서, 남, 북 네 방향에 부착되어 전 방향에 대한 바람의 방향과 힘, 즉 풍향과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c, the upp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n gauges 230, 240, 330, 34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를 향하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바람이 북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바람이 남동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바람이 동남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to 3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toward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north, Figure 3c is a case where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east Fig. 3D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east.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방향이 화살표 방향(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방향)과 같이 진행될 경우에, 동, 서 방향의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지점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의 출력 값은 동일하게 +전압 값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는,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여 동일한 변형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동일한 전기적 저항의 변화 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출력된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량을 환산하여 바람의 속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동, 서 방향의 출력 값이 동일하게 +전압 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 또한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a, when the direction of the wind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irection from south to north), the point of the first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방향이 화살표 방향(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방향)과 같이 진행될 경우에, 동, 서 지점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의 출력 값은 동일하게 -전압 값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는,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여 동일한 변형이 이루어지며 동일한 저항의 변화 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출력된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량을 환산하여 바람의 속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동, 서 방향의 출력 값이 동일하게 -전압 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 또한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when the wind direction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north to south), the output values of the strain gauges 330 and 340 mounted at the east and west points are equally -voltage. The value is output. At this time, the first
도 3a 및 3b는 바람의 방향이 남향과 북향의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의 동작을 통하여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향과 서향의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의 동작을 통하여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다. 3A and 3B illustrate a method of determining wind speed and direc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s 330 and 340 when the wind direction is southward and northward, but in the same way as in the case of trends and westwards.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know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s 230 and 240.
이와 같이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 330, 340)가 장착된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에서는 변형이 일어나고, 이 변형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230, 240, 330, 340)의 저항 값의 변화량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eformation occurs in the first
이하, 도 3c 및 3d에서는 동, 서, 남, 북 정방향이 아닌 방향의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c는 바람이 남동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바람이 동남쪽에서 불어오는 경우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C and 3D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know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win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directions. 3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east, and FIG. 3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rain gauge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east.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방향이 화살표 방향(남쪽으로 치우친 남동쪽)과 같이 진행될 경우에, 동쪽 방향에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340)의 저항 값의 변화는 커지며, 반면에 남쪽 방향의 스트레인 게이지(240)의 저항 값의 변화는 작은 값이 출력된다. 이때, 바람의 방향이 동쪽 탄성플레이트(200)에 부딪혀 남쪽 방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쪽 방향과 남쪽 방향이 만나는 수직지점은 도 1에서와 같이 바람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바람에 의한 간섭의 영향은 생기지 않는다. 반면에, 북쪽 방향과 서쪽 방향의 스트레인 게이지(230, 330)의 출력 값은 미세하기 때문에 동쪽과 남쪽의 스트레인 게이지(340, 240) 출력 값의 비율로서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환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C, when the wind direction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outh-east biased south),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의 방향이 화살표 방향(동쪽으로 치우친 동남쪽)과 같이 진행될 경우에, 동쪽 방향에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340)의 저항 값의 변화는 작으며, 반면에 남쪽 방향의 스트레인 게이지(240)의 저항 값의 변화는 큰 값이 출력된다. 이때, 역시 수직으로 만나는 가운데 지점이 뚫려 있기 때문에 바람이 측정 판에 부딪혀 동과 남쪽 방향 판에 간섭은 생기지 않는다. 반면에, 북쪽 방향과 서쪽 방향의 스트레인 게이지(230, 330)의 출력 값은 미세하기 때문에 동쪽과 남쪽의 스트레인 게이지(340, 240)의 출력 값의 비율로서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환산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D, when the wind direction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ast-eastwardly biased),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북, 북동, 북서, 서북, 서남, 남서 방향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 즉 풍향과 풍속을 환산하여 알 수 있다. In this way, it can be known by converting the direction and speed of wind blowing from the northeast, northeast, northwest, northwest, southwest, and southwest, that i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한편, 이와같은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는 기상관측이 가능한 지점에 설치하거나, 휴대하여 풍향 및 풍속관측이 필요한 곳에서 직접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상관측이 가능한 지점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지형이나 건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을 선정하여야 하는 데, 그 선정위치는 약한 풍속도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변동하는 풍속에 잘 따라야 하며, 기류의 요란에 의해서도 기록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를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풍향계의 설치표준을 감안하여 지상의 장애물 높이 10배 이상 떨어진 평탄한 곳에서 지상 10m높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uch a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device can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meteorological observation is possible, or can be directly measured and used at a place wher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bservation are needed by carrying it, and when it is desired to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meteorological observation is possible, a terrain or a building It is necessary to select a point that is not affected by the light, etc., and the selected position should be able to measure the weak wind speed, follow the fluctuating wind speed well, and consider the posi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recorded value due to the airflow disturbanc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wind vane,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at a height of 10m above the ground at a flat place 10 times higher than the obstacle height of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향 및 풍속측정기에서 제1 탄성 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가 설치되는 원통형 지지부(100)에 방위각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나침판 등을 설치하게 되면, 풍향의 측정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compass plate or the like for easily measuring the azimuth angle is installed on the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통해 풍향과 풍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쉽고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값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measure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at the same time, as well as obtain an easy, easy and accurate resul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1 탄성플레이트 및 제2 탄성플레이트에 부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풍향과 풍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인게이지를 통하여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풍향 및 풍속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n gauge is attached to the first elastic plate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to measu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It can be measur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ed values with little error through the strain gaug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원통형의 지지부: 100 제1 탄성플레이트: 200
제1 체결홈: 210 제2 탄성플레이트: 300
제2 체결홈: 310 스트레인 게이지: 230, 240, 330, 340
제어부: 400 레귤레이팅회로부: 420
증폭 및 필터링회로부: 410 A/D 컨버터: 430
마이크로프로세서: 440 표시부: 450
보호캡: 500Cylindrical Support: 100 First Elastic Plate: 200
1st fastening groove: 210 2nd elastic plate: 300
2nd tightening groove: 310 strain gauge: 230, 240, 330, 340
Control: 400 Regulating Circuit: 420
Amplification & Filtering Circuit: 410 A / D Converter: 430
Microprocessor: 440 Display: 450
Protective cap: 500
Claims (5)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1 체결홈(210)이 형성된 제1 탄성플레이트(200);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홈(210)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의 일측변과 반대측인 일측변으로부터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인 타측변 방향으로 제2 체결홈(310)이 형성된 제2 탄성플레이트(300);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300)를 보호하는 보호캡(500);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300) 각각의 양단 하부에 부착되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게이지부(230, 240, 330, 340); 및
상기 게이지부(230, 240, 330, 340)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게이지부(230, 240, 330, 340)에 의하여 측정된 전기적 저항값을 신호처리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게이지부(230, 240, 330, 340)는 각각 한 쌍의 제1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와 제2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230, 240)와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300)에 설치되는 제2 스트레인 게이지(330, 340)는 서로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Cylindrical support 100;
A first elastic plate 200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part 100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groove 210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t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portion 100, is fixed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astic plate 200,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to be fitted in the first A second elastic plate 300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310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from the one side of the elastic plate 20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elastic plate 200;
A protective cap 500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to protect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of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wind A plurality of gauge parts 230, 240, 330, and 340 for detecting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gauge unit 230, 240, 330, 340, and signal process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gauge unit 230, 240, 330, 340, to calculat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400, and
The plurality of gauge parts 230, 240, 330, and 340 include a pair of first strain gauges 230 and 240 and second strain gauges 330 and 340, respectively.
The first strain gauges 230 and 240 installed on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strain gauges 330 and 340 installed on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maintain an angle of 90 ° to each other.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device installed.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게이지부(230, 240, 330, 3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팅 회로부(420);
상기 게이지부(230, 240, 330, 34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저항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증폭 및 필터링회로부(410);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430);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풍향 및 풍속을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40);
를 포함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400,
A regulating circuit unit 4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gauge unit 230, 240, 330, 340;
An amplification and filtering circuit unit 410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 signal represent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utput from the gauge unit 230, 240, 330, 340, and filtering the amplified signal;
An A / D converter 430 for converting the filtere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microprocessor (440) for receiv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calculat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clud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apparatus.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40)에 의하여 계산된 풍향 및 풍속을 표시하는 표시부(450)를 더 포함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400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450 which displays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calculated by the microprocessor 440.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device.
상기 원통형의 지지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300)가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제2 탄성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320)가 구성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A first protrusion 220 and a second protrusion 320 are formed below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so as to fit in the fixing groov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device.
상기 게이지부(230, 240, 330, 340)는 상기 제1 탄성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300)의 X축과 Y축의 탄성변형에 의해 변하는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auge unit 230, 240, 330, 340 to measure th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X-axis and Y-axis of the first elastic plate 200 and the second elastic plate 300,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measur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274A KR101168568B1 (en) | 2010-03-22 | 2010-03-22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274A KR101168568B1 (en) | 2010-03-22 | 2010-03-22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060A KR20110106060A (en) | 2011-09-28 |
KR101168568B1 true KR101168568B1 (en) | 2012-07-25 |
Family
ID=4542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5274A KR101168568B1 (en) | 2010-03-22 | 2010-03-22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856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3779A (en) | 2020-11-09 | 2022-05-18 | 한국광기술원 |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using FBG sensor |
WO2022265284A1 (en) * | 2021-06-18 | 2022-12-22 | 주식회사 칼리테라 | Portable golf environment measur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032B1 (en) | 2015-07-13 | 2017-01-06 | 오철규 |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using stepping motor and strain gauge |
-
2010
- 2010-03-22 KR KR1020100025274A patent/KR101168568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3779A (en) | 2020-11-09 | 2022-05-18 | 한국광기술원 |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using FBG sensor |
WO2022265284A1 (en) * | 2021-06-18 | 2022-12-22 | 주식회사 칼리테라 | Portable golf environment measuring device |
KR20220169320A (en) * | 2021-06-18 | 2022-12-27 | 주식회사 칼리테라 | Portable Golf Environment Measuring Device |
KR102650414B1 (en) * | 2021-06-18 | 2024-03-22 | 주식회사 칼리테라 | Portable Golf Environment Measu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060A (en) | 2011-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24241A1 (en) | Mechanical strain-based weather sensor | |
KR101476986B1 (en) | Control device for a wind power plant | |
CA2560600C (en) |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experienced by a wind turbine | |
JP2017090145A (en) | Windmill blade de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windmill blade deformation evaluation system | |
EP323205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detection of blade of wind power turbine | |
EP2202407A2 (en) | Wind turbine yaw bearing determination | |
ES2911511T3 (en) |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 wind turbine rotor imbalance | |
CN201589784U (en) | Parallel three-dimensional wind-measuring sensor | |
CN107290563A (en) | Wind direction and speed instrument | |
CN103438848A (en) | Power transmission line sag monitoring method | |
KR101168568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nd and wind velocity | |
CN212111471U (en) | Portable wind field wind measuring device | |
KR20160032585A (en) | Hybrid anemoscope and anemometer | |
CN205643379U (en) | Wind direction air velocity transducer | |
CN108691727B (en) | Wind turbine guide sleeve | |
CN105486889B (en) | The bearing calibration of wind vane zero correction system | |
KR20010110286A (en) | Measurement device of the wind and wind velocity | |
KR100910391B1 (en) | Wind detection sensor | |
CN208140182U (en) | A kind of movable type environmental monitoring prior-warning device | |
KR20190109368A (en) | Integrated environment-measuring instrument for micro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 |
KR101288404B1 (en) | Smart anemometer | |
CN214660646U (en) | A static tilt angle and vibration monitoring system | |
CN110253276B (en) | Method for accurately mounting mechanical anemoscope on wind power generation anemometer tower | |
KR101746437B1 (en) | Two-dimensional vane using bimorphs | |
WO2017031508A1 (en) | Electronic wind measur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