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7736B1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736B1
KR101167736B1 KR1020060004672A KR20060004672A KR101167736B1 KR 101167736 B1 KR101167736 B1 KR 101167736B1 KR 1020060004672 A KR1020060004672 A KR 1020060004672A KR 20060004672 A KR20060004672 A KR 20060004672A KR 101167736 B1 KR101167736 B1 KR 10116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ylinder
mass member
body frame
oil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910A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7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7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수단을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순환시키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연통된 오일공급유로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오일공급유로에 연결된 오일실린더와, 상기 오일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질량부재와, 상기 질량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질량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오일실린더에 설치되는 오일탄성부재를 구비한 오일펌핑수단과, 상기 오일실린더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질량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지지막대와, 상기 질량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재를 구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이다.
리니어 압축기, 오일 공급 장치, 완충 장치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OIL PUMP USED IN A LINEAR COMPRESSO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일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질량부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번의 설명>
52-실린더 53-본체프레임
54-피스톤 62-오일공급유로
72-오일실린더 74-질량부재
76a-제1오일탄성부재 76b-제2오일탄성부재
74a-지지막대 74b-완충탄성부재
74c-완충유로
본 발명은 쉘 내측에 실린더, 피스톤 및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 구조체가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쉘 하부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여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공급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 공급 장치에 질량부재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질량부재의 과도한 왕복 운동을 제한하고, 본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적게 하여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써,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와,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나뉘어진다.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보통,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움직이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마찰되더라도 냉각 및 윤활시키기 위하여 상기 쉘 하부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여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오일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일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쉘(미도시)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2), 피스톤(4) 및 리니어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 구조체(1) 하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실린더(2)와 피스톤(4) 사이에 형성된 오일순환유로(10)와 연통되도록 일측 본체 프레임(3)에 오일공급유로(12)과 오일회수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유로(12) 하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오일실린더(22) 내부에 질량부재(24)가 오일스프링(26a,26b)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압력차를 발생시키되, 상기 오일실린더(22) 일측에 상기 쉘(미도시) 하부에 저장된 오일에 담겨지는 오일공급관(21)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오일공급유로(12)와 오일실린더(22) 사이에는 오일공급을 조절하는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2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3)은 상기 실린더(2)와 리니어 모터를 고정시키되, 상기 피스톤(4)이 상기 실린더(2) 내측에서 상사점(TDC)과 하사점(BDC) 사이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그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간(P)으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행정 후,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압축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 일단에는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밸브(6)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2) 일단에는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밸브(8a)가 상기 실린더(2) 일단에 고정된 토출캡(8b) 내측에 스프링(8c)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상기 오일공급유로(12)와 오일회수유로(14)는 상기 본체 프레임(3) 내부 및 실린더(2)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와 피스톤(4) 사이에 형성된 오일순환유로(10)로 오일을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오일순환유로(10)는 상기 실린더(2) 내주면과 피스톤(4) 외주면에 각각 링 형상의 실린더 홈(2h)과 피스톤 홈(4h)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오일이 순환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오일실린더(22)는 상기 구조체(1)와 함께 동일하게 진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체(1) 하부의 오일공급유로(12) 끝단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질량부재(24)는 상기 오일실린더(22)의 진동에 대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오일실린더(22)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일스프링(26a,26b)은 상기 질량부재(24)의 양단을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오일실린더(22)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물론, 상기 오일실린더(22) 하부에는 상기 오일공급관(21)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오일공급관(21)은 그 끝단이 상기 쉘(미도시)에 저장된 오일에 담겨지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실린더(22)는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3) 하단에 상기 오일공급유로(12)와 연통되는 부분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홈(3h)에 끼워지도록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에 고정캡(27)이 억지 끼움되고, 상기 질량부재(24)는 양단이 상기 오일공급유로의 단차진 고정홈(3h)과 상기 고정캡(27)에 각각 상기 오일스프링(26a,26b)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27)은 타단이 상기 오일실린더(22) 타단에 걸림되는 동시에 일단이 상기 오일실린더(22) 타단 내부에 억지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오일스프링(26a)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이중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중심에 관통홀(27h)이 형성되어 상기 질량부재(24)가 상기 오일실린더(22)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더라도 상기 오일실린더(22) 내부의 일측 공간은 압력차가 발생되지 않고 상기 쉘(미도시) 내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28)는 상기 오일실린더(22)와 오일공급유로(12)가 연통되는 본체 프레임(3) 일측에 설치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흡입밸브(미도시) 및 오일을 토출시키는 오일토출밸브(미도시)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판 형상의 밸브시트(28a)와, 상기 밸브시트(28a)의 외측에 각각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오일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흡입저장공간(A)과 토출저장공간(B)을 형성하는 시트커버(28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시트(28a)와 시트커버(28b) 사이에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스킷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품이 더 포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공급장치는 상기 구조체(1)와 함께 상기 오일실린더(22)가 진동되면, 상기 질량부재(24)가 관성력에 의해 상기 오일실 린더(22)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오일실린더(22) 내부의 일측 공간에 압력차가 발생되어 상기 쉘(미도시) 하부에 저장된 오일이 상기 오일공급관(21)으로 유입되어 상기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28a,28b)를 통과한 다음, 상기 오일공급유로(12)를 따라 공급되어 상기 오일순환유로(10)를 순환하면서 냉각 및 윤활 작용을 하고, 다시 상기 오일회수유로(14)를 따라 상기 쉘(미도시) 하부로 회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오일 공급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질량부재(24)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생긴 압력차에 의하여 오일을 펌핑하였는데, 상기 질량부재(24)의 과도한 스트로크로 인하여 제2오일스프링(26b)을 통해 본체프레임(3)에 충격이 가해져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 프레임(3) 하단의 상기 오일공급유로(12)와 연통되는 부분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홈(3h)에 파임 마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 공급 장치에 질량부재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질량부재의 과도한 왕복 운동을 제한하고, 본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적게 하여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을 통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마모 발생을 방지 함으로써 리니어 압축기의 내구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순환시키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연통된 오일공급유로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오일공급유로에 연결된 오일실린더와, 상기 오일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질량부재와, 상기 질량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질량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오일실린더에 설치되는 오일탄성부재를 구비한 오일펌핑수단과, 상기 오일실린더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질량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지지막대와, 상기 질량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재를 구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이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완충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막대에 제공된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질량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질량부재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완충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막대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실시예들 또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일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설치된 질량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2)와 피스톤(54) 및 리니어 모터(55)로 구성된 구조체(51)의 하측에 설치된 오일펌핑수단(70)이 오일을 펌핑하여 상기 구조체(51)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를 따라 유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구조체(51)의 양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각 구성부품들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본체 프레임(53)과 모터 커버(80)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펌핑수단(70)은 상기 본체 프레임(53)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 커버(80) 하단에 타단 일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52)는 상기 피스톤(54)의 일단이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되도록 설치되고, 그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간(P)으로 냉매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54)의 일단에는 흡입홀(54h)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흡입홀(54h)을 개폐시키도록 박형의 흡입밸브(56)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52) 일단에 토출커버(58a)가 상기 실린더(52) 일단에 고정된 토출캡(58b) 내측에 토출밸브 스프링(58c)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52) 내주면 및 피스톤(54)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실린더 홈(미도시) 및 피스톤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홈 및 피스톤 홈이 서로 맞물려져 오일이 순환될 수 있는 오일순환유로(60)를 형성한다.
다음, 상기 리니어 모터(55)는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된 이너스테이터(552)와, 상기 이너스테이터(552)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권선된 코일(554a) 주변에 역시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적층된 코어 블록(554b)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아우터스테이터(554)와, 상기 이너스테이터(552)와 아우터스테이터(554)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는 영구자석(55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영구자석(556)이 연결부재(558)에 의해 상기 피스톤(54) 타단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54)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본체 프레임(53)은 중앙에 상기 실린더(52)의 일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52) 방향의 본체 프레임(53) 일면에 상기 아우터스테이터(554)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오일순환유로(60)로 오일을 공급하거나, 공급된 오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오일공급유로(62) 및 오일회수유로(64)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모터 커버(80)는 중앙에 상기 피스톤(54)의 타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H)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52) 방향의 모터 커버(80) 일면에 상기 아우터스테이터(554)의 타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커버(80)의 둘레부분이 상기 아우터스테이터(554)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5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52) 반대방향의 모터 커버(80) 일면에는 상기 피스톤(54)을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프링(미도시)이 탄성 지지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는 상기 오일펌핑수단(70)과 상기 오일공급유로(62)를 포함하는데, 상기 오일펌핑수단(70)은 상기 오일공급유로(62)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53)과 하단에 형성된 단차진 고정홈(53h)에 일단이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 커버(80)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타단이 위치되는 오일실린더(72)와, 상기 오일실린더(72) 내측에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질량부재(74)와, 상기 질량부재(74) 양단을 상기 본체 프레임의 고정홈(53h) 및 상기 모터 커버(80)의 하단에 탄성 지지하는 오일탄성부재(76a,76b)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는 완충수단(74a,74b,74c)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수단(74a,74b,74c)은 상기 질량부재(74)에 설치되고 상기 질량부재(74)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지지막대(74a)와, 완충탄성부재(74b)와, 완충유로(74c)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막대(74a)의 일단은 상기 질량부재(74)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74a)의 타단은 상기 오일실린더(72)의 일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완충탄성부재(74b)는 상기 질량부재(74)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막대(74a)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질량부재(74)의 내부에 상기 완충탄성부재(74b)를 삽입한 후에 상기 지지막대(74a)를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유로(74c)는 상기 완충탄성부재(74b)가 상기 지지막대(74a)에 제공하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질량부재(7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질량부재(74)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유로(74c)의 단면적(A1)은 상기 지지막대(74a)의 단면적(A2) 즉, 상기 지지막대(74a)가 상기 질량부재(74)에 삽입되는 축방향 공간의 단면적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막대(74a)와 완충탄성부재(74b)와 완충유로(74c)를 구비하는 완충수단(74a,74b,74c)이 상기 지지막대(74a)의 삽입 단면적(A2)과 상기 완충유로(74c)의 단면적(A1)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체 저항으로 상기 질량부재(74)의 과도한 진동을 억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탄성부재(74b)는 상기 질량부재(74)의 과도한 진동을 억제시킨후에 상기 지지막대(74a)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서 그 후에 계속되는 과도한 진동의 억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더불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 공급 유로(62)는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단이 오일에 담겨지는 동시에 상단이 상기 오일실린더(72)와 연통되는 공간에 위치된 오일공급관(71)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공급유로(62)와 오일실린더(72) 사이에 오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78)가 설치되는데, 상기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78)는 상기 오일공급유로(62)가 연통되는 본체 프레임(53) 일측에 밀착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흡입밸브(미도시) 및 오일을 토출시키는 오일토출밸브(미도시)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판 형상의 밸브시트(78a)와, 상기 밸브시트(78a)의 외측에 각각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오일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흡입저장공간(A)과 토출저장공간(B)을 형성하는 시트커버 (78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오일실린더(7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53)의 하단 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고정홈(53h)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모터 커버(80)의 일면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53)과 모터 커버(8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측에 상기 오일실린더(7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질량부재(74)가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질량부재(74)의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고정홈(53h)에 압축 코일스프링의 일종인 제1오일탄성부재(76a)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질량부재(74)의 타단이 상기 모터 커버(80)의 하단에 역시 압축 코일스프링의 일종인 제2오일탄성부재(76b)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이너스테이터(552)가 상기 실린더(52)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52) 일단 및 아우터스테이터(554)의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5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54)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52)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54)의 타단이 상기 이너스테이터(552)와 아우터스테이터(554) 사이에 위치된 영구자석(556)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오일실린더(72)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고정홈(53h)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오일실린더(72)의 타단으로 상기 제1오일스프링(76a)과 질량부재(74) 및 제2오일스프링(76b)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고정캡(77)이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오일 공급 장치에 질량부재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질량부재의 과도한 왕복 운동을 제한하고, 본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적게 하여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을 통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마모 발생을 방지 함으로써 리니어 압축기의 내구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순환시키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연통된 오일공급유로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오일공급유로에 연결된 오일실린더와, 상기 오일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진동으로 인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질량부재와, 상기 질량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질량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오일실린더에 설치되는 오일탄성부재를 구비한 오일펌핑수단과,
    상기 오일실린더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질량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지지막대와, 상기 질량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재를 구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완충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막대에 제공된 탄성력 으로 인하여 상기 질량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질량부재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완충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막대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KR1020060004672A 2006-01-16 2006-01-16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672A KR101167736B1 (ko) 2006-01-16 2006-01-16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672A KR101167736B1 (ko) 2006-01-16 2006-01-16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910A KR20070075910A (ko) 2007-07-24
KR101167736B1 true KR101167736B1 (ko) 2012-07-23

Family

ID=3850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6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736B1 (ko) 2006-01-16 2006-01-16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805A1 (ko) * 2020-12-30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0257B (zh) * 2014-06-26 2019-06-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供油装置和直线压缩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448B1 (ko) * 1995-12-29 1999-03-20 구자홍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0129267Y1 (ko) * 1994-07-09 1999-03-20 전성원 편심캠을 이용한 오일 펌프
KR19990084940A (ko) * 1998-05-12 1999-12-06 구자홍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20050074101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급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267Y1 (ko) * 1994-07-09 1999-03-20 전성원 편심캠을 이용한 오일 펌프
KR0162448B1 (ko) * 1995-12-29 1999-03-20 구자홍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19990084940A (ko) * 1998-05-12 1999-12-06 구자홍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20050074101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급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805A1 (ko) * 2020-12-30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12241460B2 (en) 2020-12-30 2025-03-04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910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5908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JP2009523940A (ja) リニア圧縮機用の冷媒吐出構造
CN102338058A (zh) 往复式压缩机
KR10116773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KR20070075909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밸브 어셈블리
CN109653987B (zh) 一种带有供油装置的线性压缩机
US12297821B2 (en) Linear compressor
JP2005194995A (ja) 往復動式圧縮機
KR10198109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90058440A (ko) 리니어 압축기
JP2005061411A (ja) 往復動式圧縮機の潤滑油供給装置
KR20080052786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714594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유닛
KR20070075903A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9729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05507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
KR10069014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밸브 어셈블리
KR20060086674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060086677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052758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074642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유닛
KR102494949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60041041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결합체
KR20070075895A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1990061B1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