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7299B1 - 디스플레이 스트립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299B1
KR101167299B1 KR1020030087805A KR20030087805A KR101167299B1 KR 101167299 B1 KR101167299 B1 KR 101167299B1 KR 1020030087805 A KR1020030087805 A KR 1020030087805A KR 20030087805 A KR20030087805 A KR 20030087805A KR 101167299 B1 KR101167299 B1 KR 10116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g
sealant layer
product
display st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16A (ko
Inventor
이와사키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04005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2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을 봉입한 백들을 접합하여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상기 백을 접합하는 공정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품을 봉입한 백들을 백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도록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상품이 봉입된 복수개의 백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수직으로 나열하여 접합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적어도 기재층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실란트층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스트립,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트립{DISPLAY STRIP}
도1은, 스트립 백(bag) 전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합한 백을 떼어낼 때의 모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합한 백을 떼어낼 때의 모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합한 백을 떼어낼 때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합한 백을 떼어낼 때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상품을 봉입한 백을 붙이는 순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7은, 실링죠(sealing jaw)의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8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작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합한 백을 떼어낼 때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디스플레이 스트립,
2:상품을 봉입한 백,
3:실란트층,
4:기재층,
5:실란트층(백측),
6:인쇄층(백측),
7:실링부위.
본 발명은, 상품을 봉입한 복수개의 백을 나란히 붙여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스낵 과자 등의 상품은, 보통 필로우 포장(pillow packaging; 종(縱)필로우, 횡(橫)필로우)으로 백에 포장된 모양으로 판매된다. 이렇게 상품을 봉입한 백은 상점의 진열대에 나란히 놓여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진열대에 수작업으로 한봉지씩 진열해야 하고, 또한, 소정의 진열대 외에는 전시해서 판매할 수 없다는 장소적 제한을 받고 있었다.
스트립 백 전시(strip bag display)라고 하는, 진열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품의 전시 판매 방법이 알려져있다. 스트립 백 전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스트립이라고 불리는 소정의 폭의 테이프 재에 복수개의 상품을 붙여 매달아놓은 전시 형태다. 이 전시 형태에 의하면 진열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점 의 계산대 옆이나 호텔의 프론트 등의 모든 장소에서 전시 판매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 예컨대, 종이나 수지로 된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구멍을 뚫는 가공을 하고, 이면에 점착테이프를 붙여서, 구멍을 통해서 상품을 봉입한 백을 점착테이프에 붙이는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그 밖에도 예컨대, 종이나 수지로 된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수지로 만든 고리를 설치해 두고 상품이 봉입된 백측에 펀치 구멍을 뚫어서, 그 위치에 상품을 걸어 두어서 붙이는 것도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서는, 상품을 봉입한 백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이는 공정을 기계를 써서 자동화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스트립 백 전시가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한쪽면에 히트실층(heat seal layer)을 마련하므로써, 상품이 봉입된 백을 직접 히트실링해서 접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이 제안되었다. 이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사용하면, 상품을 봉입한 백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이는 공정을, 상품을 백에 봉입하는 일련의 공정과 연속해서 자동화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이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상품을 봉입한 백을 붙일 때에는, 상점에서 전시할 때에 상품의 자체중량에 의해 자연낙하해버리거나, 수송중에 백이 떨어져버리거나 하지 않도록 충분한 실링강도(sealing strength)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링강도를 높게 하면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인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때에, 백의 표면층이 파괴하므로써 인쇄면이 손상되어 상품의 외관이 나빠져버리거나, 최 악의 경우에는 실링부분 이외의 부분까지 전파되어 박리되어버려, 상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백에 흠집이나 구멍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을 봉입한 백을 붙이는 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하고,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때는, 백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이 봉입된 복수개의 백을 나란히 붙여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 적어도, 기재층과 실란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실란트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실란트층과 상품이 봉입된 백의 표면과는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할 수 있고, 동시에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상기 백의 표면층의 인장파단강도(tensile breaking strength)보다 낮은 초기하중에 의해 박리가 시작되고, 박리가 완료될 때까지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하여 걸 필요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8~4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성부여제(adhesive promoting tackifier)는, 로진(rosin) 수지, 테르펜(terpene)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및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트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70~95중량%, 점착성부여제를 5~3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란트층은 실질적으로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금속박, 종이 또는 이것들의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상기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층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필름과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을 압출성형하면서 적층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층과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층측에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은 적어도 실란트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트층은,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중간층을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실란트층과 중간층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상품이 봉입된 백이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되어서 이루러지는 상품전시체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적어도 기재층과 실란트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란트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한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히트실성(heat sealing property)이 뛰어난 수지이므로 상기 실란트층과 상품을 봉입한 백의 표면과의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70~150℃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히트실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히트실링 공정의 고속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상기 기재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충분히 히트실링이 가능이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트립 전체의 탄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홀 펀치 등에 의해 매달기용 구멍을 뚫었을 경우에도 구멍의 주변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유연한 엘라스토머(elastomer)이기 때문에,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백을 박리할 때에는 상기 실란트층이 파괴되고, 백측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서는 히트실링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인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때에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백의 표면이 응집 파괴될 때의 충격에 의해 백의 인쇄층 등 까지 손상되기 때문에, 백의 인쇄면을 손상하거나, 실링부분 이외의 곳까지 손상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서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측의 실란트층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기 때문에 상기 실란트층이 백의 표면보다도 상대적으로 파괴되기 쉽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박리할 때에는 반드시 디스플레이 스트립측의 실란트층이 신장하면서 파단되도록 해서 실란트층과 백의 표면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서는 또한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실란트층과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백의 표면층의 인장파단강도보다 낮은 초기하중에 의해 박리가 시작되고, 또한 박리가 완료될 때까지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하여 걸 필요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히트실링에 의해 백을 결합했을 경우에, 박리시에 백측이 손상되어버린 사례에 대해서 분석을 했다. 그렇게 하여 백측이 손상되는 경우의 많은 사례에 있어서,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을 박리할 때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과의 거리(distance between chucks; 척간 거리)에 대하여 결과치를 플롯(plot)하여 도 5a에 도시한 모양의 그래프를 얻었다. 이것은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선 박리 초기(척간 거리:A')에 어느 하중에 달하면, 백측의 표면층(여기서, 표면층은 2~5층의 적층 필름으로 형성된 백에 있어서, 백의 외표면측에 있는 1층을 의미하고, 백 외표면측이,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표면의 히트실성 층 뿐만아니라,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을 의미한다.)의 최외표면에 균열이 생기고, 거기로부터 파괴가 표면층 내부로 진행하기 때문에, 하중은 급속히 저하하고, 매우 약한 하중으로 박리의 완료(척간 거리:B')까지 박리가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을 박리할 때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과의 거리(척간 거리)에 대하여 결과치를 플롯하여, 예컨대 도 4a 또는 도 4a'에 도시한 모양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때의 박리 모양을 도시한 모식도를 도 4b 또는 도4b'에 도시했다.
즉, 실란트층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기 때문에, 우선, 백의 표면층의 인장파단강도 보다도 낮은 초기하중에 의해 실란트층이 신장하도록 해서 박리가 시작된다(척간 거리:A). 이것에 의해 백측의 표면층이 파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박리가 시작된 후, 박리가 완료(척간 거리:B)될 때까지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 걸 필요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도 박리가 시작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같이 일단 박리가 시작된 후에 급속히 박리에 필요한 하중이 낮아져서는 상품의 수송시나 전시시에 의도하지 않게 순간적으로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도 간단히 상품이 떨어져버린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박리가 시작된 후 박리가 완료될 때까지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해서 걸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의도하지 않게 상품이 떨어져버리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실란트층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백의 표면이 파손되기 전에 백의 표면과 실란트층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거나, 실란트층의 응집파괴가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실란트층이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층간의 결합력을 높게 해서 층간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또는 층간파괴가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큰 하중을 주지 않으면 층간 파괴가 진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여기에서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거는 것은 초기하중을 준 후에 박리 완료까지 요하는 하중이 초기하중과 같은 정도인 것을 의미하지만, 급격에 하강해버리지 않으면 초기하중에 대하여 다소의 증감이 있어도 괜찮다. 바람직하게는, 초기하중에 대하여 ±50%의 범위내의 하중을 계속해서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하중을 준 후에 박리 완료까지 요하는 하중이 척간 거리가 늘 때마다 커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4a).
또한,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단속적으로 계속해서 건다는 것은 초기하중을 준 후에 일단 하중이 크게 줄어들 때가 있더라도 박리 완료까지는 다시 필요한 하중이 크게 증대해서, 초기하중에 대하여 ±50%의 범위내의 하중이 걸리는 것을 도시하는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도4a).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4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8중량% 미만이면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42중량%를 넘으면, 필름 성형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는 비닐아세테이트 성분의 일부가 비누화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는 적어도 일부가 카르복실 변성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는, 단일인 것을 사용해도 좋고,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등이 다른 2종 이상의 것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점착성부여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및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로진, 로진 유도체, 로진 에스테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증류 로진, 수소화 로진, 2량화 로진, 중합 로진, 천연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 변성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 천연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변성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담색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 중합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및 로진의 페놀성 변성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테르펜, 페놀성 테르펜, 변성 테르펜, α-피넨중합체, β-피넨중합체, 디펜텐중합체 및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부텐, 이소부틸렌, 부타디엔, 1,3-펜타디엔 등의 탄소수 4~5개의 모노 또는 디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스펜트 C4-C5 유분중의 디엔성분을 환형성공정에 의하여 다이머화한 것을 중합시킨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등의 환상 모노머를 중합시킨 수지, 수소첨가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및 수소첨가 석유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비닐 톨루엔, 인덴, 스티렌 중합체, 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성부여제로는, 예컨대 USP 6117945호에 기재된 것 등의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층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70~95중량%, 상기 점착성부여제를 5~3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성부여제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면 실란트층이 용융될 때의 점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30중량%를 넘으면 성형성이 불충분하게 될 때가 있다.
상기 실란트층은 가공적정의 향상 및 점착력 등의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왁스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왁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올레핀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지방족 에스테르계 왁스, 탈산카르나우바 왁스(deoxidation carnauba wax), 포화 지방족산계 왁스, 불포화지방족산계 왁스, 포화 알코올계 왁스, 지방족 알코올계 왁스, 다가 알코올계 왁스, 포화 지방산 아미드계 왁스, 포화 지방산 비스 아미드계 왁스, 불포화산 아미드계 왁스 및 방향족 비스 아미드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트층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plasticizer), 윤활제(lubricant), 안료 및 염료 등의 보통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함유해도 좋다.
상기 실란트층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실질적으로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줄무늬 모양과 같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상품을 붙이는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실질적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임의의 위치에 상품을 부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실질적으로"는, 구멍뚫기 가공을 실시한 위치나 상품을 붙일 수 없는 주변부 등은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재층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수의 상품을 붙여서 매다는 용도에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또한 히트실링을 할 때에 용융하거나 열화하거나 하지 않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박 또는 이것들의 적층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어 전시시나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 때에 파손될 우려가 있고, 200㎛를 넘으면 기재층이 단열재의 역할을 해서 히드실링 때에 실란트층에 충분히 열이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란트층에 함유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저온 히트실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히트실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디스플레이 스트립 전체의 탄력을 강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홀 펀치 등에 의해 매달기용 구멍을 뚫었을 경우에도 구멍 주변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층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은 유연해서 인장 신도가 높은 점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 전체의 강도가 향상하고,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매달기용 구멍뚫기 가공(홀 펀치)을 실시했을 경우, 상품을 떼어낼 때 그 부분에 걸리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층은 기재층과 실란트층을 서로 접합시키는 역할도 한다. 폴리에틸렌의 적층은,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을 압출성형하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이외에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기재층과 실란트층과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해도 좋고, 용제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는 써멀(thermal)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해도 좋다.
상기 폴리에틸렌층의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0㎛를 넘으면 디스플레이 스트립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버려 단열 효과에 의해 히트실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다른 기능을 담보하는 층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층으로는, 예컨대, 인쇄층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재층으로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쇄층은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층으로서 종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종이가 적층되어 있지 않는 면에 인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형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테이프 형태, 시트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한쪽 끝에는 상품을 붙인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매달아서 전시하기 위해서 고리에 걸어 두기 위한 구멍뚫기 가공을 하거나, 클립 등을 달거나 해도 좋다. 특히, 구멍뚫기 가공은 일련의 자동화공정 내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단지,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구멍을 뚫어서 고리에 걸어 둘 경우에는 구멍부분에 힘이 걸려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상기 기재층을 강화하거나, 상기 기재층과 상기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층이나 나일론층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일 상품을 봉입하는 백으로는, 보통 사용되고 있는 백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적어도 실란트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의 표면의 실란트층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의 표면의 실란트층은,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 필름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필름으로는, 보통,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의 표면에, 프로필렌-에틸렌-부텐 3원공중합체 등의 히트실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극히 얇은 터폴리머(terpolymer)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히트실성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구미(歐美)에서는 백의 재료로 많이 채용되고 있다. 또, 상기 백 표면의 실란트층은 전술한 응집 파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품을 봉입하는 백을 구성하는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시키는 것에 의해 높은 층간접착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백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백의 층간에서의 파괴가 없고,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과의 계면 또는 디스플레이 스트립 내부에서의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상품을 봉입하는 백을 구성하는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중간층을 개재하여 라미네이트시킨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실란트층과 중간층과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층과 중간층이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에 의해 높은 층간접착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백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백의 층간에서의 파괴가 없고,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과의 계면 또는 디스플레이 스트립 내부에서의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러한 상품을 봉입하는 백은 히트실성의 폴리머를 기재층을 형성하는 폴리머와 함께 공압출하거나, 핫멜트 접착제 등의 히트실성이 있는 폴리머를 기재층 위 에 코팅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붙일 상품을 봉입하는 백으로는 예컨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층/인쇄층/접착제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층/폴리에틸렌(PE)층/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층/인쇄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층/폴리에틸렌(PE)층/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층/인쇄층/알루미늄증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층/인쇄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투명증착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층/인쇄층/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인쇄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인쇄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인쇄층/접착제층/폴리에틸렌(PE)층/알루미늄증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으로 이루어진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압출성형법 등에 의해 각각 별도로 제작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실란트층을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트층은 코팅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코팅법에 의해 상기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상기 기재층 위에 적층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기재층으로서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코팅을 도포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나 앵커 코트 처리 등의 전 처리를 실시해 두거나, 기재층 위에 폴리에틸렌층을 미리 압출 라미네이트 해 두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필름과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을 압출성형하면서 적층하는 방법;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층과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층측에,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란트층이 박리층과 히트실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공압출 성형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상품을 봉입한 백을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순서에 의해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우선 백의 표측이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접하도록 해서 상품을 봉입한 백을 위치시키고, 다음으로 백의 상부를 히트실링해서 백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결합시킨다(도6a). 소정의 수의 상품을 봉입한 백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결합한 상태에서 각 상품을 봉입한 백을 히트실부를 축으로 상하 반전시켜서 백의 표 면이 디스플레이 스트립과는 반대측이 되도록 한다(도6b).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한쪽 끝을 고리 등에 매달아서 전시하면, 백과 디스플레이 스트립과의 접착부는 도 6c와 같이 되기 때문에, 상품을 봉입한 백을 아래 쪽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백과 디스플레이 스트립과의 실(seal)강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0N/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1N/30mm 미만이면, 상품의 중량에 따라서는 자체무게에 의해 상품이 낙하해버리는 경우가 있고, 50N/30mm를 넘으면, 매단 상태에서 상품을 봉입한 백을 잡아 당겨도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N/30mm이다.
또, 백과 디스플레이 스트립과의 실(seal)상태나 박리상태에 대해서는, 실(seal)조건에 의해도 크게 변화될 수 있다. 실 조건은, 실링할 때의 온도나 실링죠(sealing jaw)의 접촉 시간, 접촉 압력 등에 의해 변화되는 것 외에, 실링죠의 형상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실링죠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접착 성분이나, 상기 백의 표면층의 소재에 따라, 최적인 실(seal)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죠의 폭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 표면과의 접착면의 원하는 길이에 따라 선택되지만, 이 길이가 전술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백을 벗길 때의 박리의 시작으로부터 박리의 완료까지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사용하면, 히트실링에 의해 상품을 봉입한 백을 고정할 수 있고, 자동화에 의해 용이하게 대량의 상품을 붙일 수 있다. 또한, 상품을 봉입한 백을 디스플레이 스트립으로부터 떼어낼 때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측의 실란트층이 신장하도록 하여 파단되고,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백의 외관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상품이 봉입된 백이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는 상품전시체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50㎛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기재층으로 하고, 실란트층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두께 50㎛의 필름(토소사제, 멜센 MXO9)을 사용하고, 해당 기재층과 해당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두께 30㎛의 층이 되도록 용융 압출을 하면서, 해당기재층과 해당 실란트층을 라미네이트하여, PET(50㎛)/LDPE(30㎛)/실란트층(50㎛)의 3층구조로 되는 시트를 얻었다. 얻은 시트를 35mm 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두께 50㎛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을 기재층으로 하고, 실란트층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비닐아세테이트 함량 19중량%) 80중 량%와 지환족계 수소첨가석유수지(연화점 125℃: 브롬가 2) 20중량%로 이루어진 두께 50㎛의 필름을 사용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두께 30㎛의 층이 되도록 압출하면서 해당 기재층과 해당 실란트층과를 라미네이트하여, PET(50㎛)/LDPE(30㎛)/실란트층(50㎛)의 3층구조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얻었다. 얻은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했다.
(실시예 3)
두께 75㎛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을 기재층으로 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실란트층과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30㎛ 적층필름(토소사제, 멜센 MX302)을 해당 기재층에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하여, PET(75㎛)/폴리에틸렌?실란트층(30㎛)의 2층구조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얻었다. 얻은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했다.
(비교예 1)
평량 환산 70g/m2의 두께의 종이를 기재층으로 하고, 접착제를 개재하여 이 위에 두께 50㎛의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OPH)을 적층해서 종이(35㎛)/실란트층(50㎛)의 2층구조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얻었다. 얻은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도 4에 도시한 순서에 의해 스낵 과자를 봉입한 백을 달았다.
히트실링 조건으로는 각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대해서는 130℃, 200ms로 했다. 다만, 비교예 1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대해서는 이 조건으로 접착하지 않고, 190℃, 200ms에서 히트실링을 행했다. 또한, 백은 하기의 구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백구성: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20㎛)/인쇄층/폴리에틸렌 (PE)층(10㎛)/알루미늄증착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H)층(20㎛)
각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백과의 실링강도를 인장시험기(토요세이키세이사쿠쇼사제, 스트로그래프 V1-C)를 사용하여 300mm/min의 인장속도에서 측정했다.
또한, 각 10개의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대해서 백을 결합한 후,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매단 상태에서 백을 아래로 잡아 당겨 백을 박리하고, 백의 히트실링했던 부분을 눈으로 관찰하여, 인쇄층이 손상된 것 등의 백측의 외관에 문제가 있는 것의 수를 구했다.
이것들의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표1
구분 실링강도(N/30mm) 외관이 손상된 백의 수
실시예 1 18.99 0
실시예 2 24.06 0
실시예 3 12.80 0
비교예 1 6.65 8
표1에서, 실시예 1~3에서 제작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사용하면,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에 비교해서 높은 실링강도로 백을 결합할 수 있었고, 또한 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박리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사용하여, 주식회사 이시다의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2-251846호 명세서에 기재된 스트립 백 어플리케이터(Strip bag Applicator)로 연속적으로 백을 붙였다. 이때 실링조건으로는, 105℃, 275msec로 하고, 실링죠로는 도 7b에 도시한 폭 30mm, 길이 2mm의 2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얻은 샘플을, 인장시험기(토요세이키세이사쿠쇼사제, 스트로그래프 V1-C)를 사용하여 300mm/min의 인장속도에서 실링부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8에 도시했다.
도 8에 있어서는 실링죠가 접촉하고 있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강한 피크가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하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커브는 실링죠의 형상에도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2의 피크는 제1의 피크에 비교해서 하중이 ±50%의 범위내에 있었다.
(실시예 4)
두께 50㎛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위에 용융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두께 2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층을 설치하였다. 이 라미네이트층 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미리 230℃의 온도로 가열한 EVA계 핫멜트제(히로다인사제, 7500시리즈 7571)를 30㎛의 두께가 되도록 코팅해서 실란트층을 형성하였다. 얻은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두께 50㎛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을 기재층으로 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수지 펠렛(토소사제, 멜센 MXO6)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수지 펠렛을 탠덤(tandem) 라미네이터로 2층으로 압출하여, PET(50㎛)/LDPE(30㎛)/실란트층(30㎛)의 3층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
평량 환산 100g/m2의 종이를 기재층으로 하고, 이 기재층 위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펠렛(토소사제, 멜센 MXO6)을 용융압출해서 두께 50㎛의 실란트층을 형성하여, 종이(50㎛)/실란트층(50㎛)의 2층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두께 50㎛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앵커 코트제(다이이치세이카코교사제, 2710A와 2710B를 1:2의 비율로 용제를 사용하여 혼합한 것)를 1g/m2의 농도가 되도록 도공하고, 건조시켰다. 또한, 이 앵커 코트층 위에, 핫멜트제 (니혼마타이사제, Elphan OH)를 40㎛의 두께가 되도록 코팅해서 실란트층을 형성하였다. 얻은 시트를 35mm폭으로 재단하여,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봉입한 백을 붙이는 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하고, 상품을 봉입한 백을 떼어낼때에는 백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트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상품이 봉입된 백을 복수개 나란히 붙여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트립과, 상품이 봉입된 백이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품전시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트립은, 적어도, 기재층과 실란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실란트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며, 70℃ 이상의 온도에서 히트실링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트립의 실란트층과 상품이 봉입된 백의 표면은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2. 제 1항에 있어서, 실란트층과 상품이 봉입된 백의 표면은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할 수 있고, 또한,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3. 제 1항에 있어서, 실란트층과 상품이 봉입된 백의 표면은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할 수 있고, 히트실링에 의해 결합한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고, 또한 상기 실란트층과 상기 백의 표면을 박리할 때, 상기 백의 표면층의 인장파단강도보다도 낮은 초기하중에 의해 박리가 시작되고, 박리가 완료될때까지 초기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 거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성부여제는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수지, 지환족계 탄화수소수지 및 방향족계 탄화수소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란트층은 실질적으로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금속박, 종이 또는 이것들의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9.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필름과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을 압출 성형하면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점착성부여제를 함유하는 층과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층측에,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2.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은 적어도 실란트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실란트층은 히트실성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5. 제 12항에 있어서, 실란트층과 기재층은 중간층을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실란트층과 중간층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전시체.
  17. 삭제
KR1020030087805A 2002-12-26 2003-12-05 디스플레이 스트립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7790 2002-12-26
JP2002377790 2002-12-26
JPJP-P-2003-00358157 2003-10-17
JP2003358157A JP2004217308A (ja) 2002-12-26 2003-10-17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及び商品展示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16A KR20040057916A (ko) 2004-07-02
KR101167299B1 true KR101167299B1 (ko) 2012-07-19

Family

ID=3291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299B1 (ko) 2002-12-26 2003-12-05 디스플레이 스트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217308A (ko)
KR (1) KR101167299B1 (ko)
CN (1) CN100366424C (ko)
TW (1) TWI3189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5811B2 (ja) * 2004-08-17 2010-11-24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系多層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08239183A (ja) * 2007-03-27 2008-10-09 Ishida Co Ltd ストリップパック装置
JP2009102034A (ja) * 2007-10-23 2009-05-14 Ishida Co Ltd ストリップパック装置
JP5600834B2 (ja) * 2007-12-19 2014-10-08 株式会社イシダ 商品展示体
DE102015209034A1 (de) * 2015-05-18 2016-11-24 Robert Bosch Gmbh Klebe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345A (ja) * 1996-09-06 1998-03-31 Lion Corp 物品陳列用台紙
JPH11165765A (ja) * 1997-12-02 1999-06-22 Ueno Hiroshi 開閉部を有する密封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61U (ko) * 1989-11-10 1991-07-10
CN2166948Y (zh) * 1993-01-30 1994-06-01 李诗通 滑带
US5433060A (en) * 1994-02-10 1995-07-18 Recot, Inc.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achably securing flexible packages to a display strip
JPH07289398A (ja) * 1994-04-21 1995-11-07 Tentatsuku Kk 小物商品陳列袋
FR2739102B1 (fr) * 1995-09-26 1998-03-13 Ceca Sa Colle thermofusible auto-adhesive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eparation de rubans adhesifs
JPH10202801A (ja) * 1997-01-24 1998-08-04 Idemitsu Petrochem Co Ltd 多層シート及び易開封容器
JPH10230971A (ja) * 1997-02-19 1998-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易開封性包装袋
ES2274545T3 (es) * 1997-05-20 2007-05-16 Kraft Gid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parato para asegurar paquetes flexibles a una tira de muestrario.
JP2000142650A (ja) * 1998-08-24 2000-05-23 Toyo Ink Mfg Co Ltd 感熱ラベルの貼付方法,感熱ラベルおよびホットメルト型接着剤
JP3715175B2 (ja) * 2000-05-02 2005-11-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ージーピール包装用積層フィルム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345A (ja) * 1996-09-06 1998-03-31 Lion Corp 物品陳列用台紙
JPH11165765A (ja) * 1997-12-02 1999-06-22 Ueno Hiroshi 開閉部を有する密封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7308A (ja) 2004-08-05
TWI318925B (en) 2010-01-01
CN1522852A (zh) 2004-08-25
CN100366424C (zh) 2008-02-06
TW200417466A (en) 2004-09-16
KR20040057916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441B2 (en) Display strip and display strip and product assembly
US7011883B2 (en) Display strip
EP1394042B1 (en) Display strip
US8435613B2 (en) Display strip
JP4043471B2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及び商品展示体
JP3973661B2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
KR101167299B1 (ko) 디스플레이 스트립
US20040043175A1 (en) Display strip
KR101136625B1 (ko) 디스플레이 스트립
JP4551671B2 (ja) 商品展示体及び商品展示体の製造方法
EP1857376B1 (en) A display strip and a display strip and product assembly
JP2004168418A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及び商品展示体
JP4426938B2 (ja) 商品展示体
JP2004359353A (ja) 商品展示体
JP4739285B2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及び商品展示体
JP6435643B2 (ja) 商品展示用再シール性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商品展示体
JP4532934B2 (ja) 商品展示体
JP4612653B2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商品展示体
JP4522429B2 (ja) ディスプレイストリップを用いた商品展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