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76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6376B1 KR101166376B1 KR1020060013646A KR20060013646A KR101166376B1 KR 101166376 B1 KR101166376 B1 KR 101166376B1 KR 1020060013646 A KR1020060013646 A KR 1020060013646A KR 20060013646 A KR20060013646 A KR 20060013646A KR 101166376 B1 KR101166376 B1 KR 101166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reservoir
- refrigerant
- pipe
-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냉방 운전과 재열 제습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기에 제 1열교환기와 제 2열교환기가 기류의 경로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열교환기 하부의 유출구로부터 연장되는 배관은 상향 연장되어 있으며, 대략 U자상으로 만곡된 분기부가 설치되고 계속해서 저류기에 접속되어 있다. 저류기의 하부에 접속된 배관은 이방밸브가 설치되고 계속해서 제 2열교환기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부의 가장 위쪽에 돌출한 부분에서는 배관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배관은 제 2감압장치가 설치되고 계속해서 제 2열교환기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조화기, 제 1 열교환기, 제 2열교환기, 저류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efficiently cooling operation and reheating dehumidification operation.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eat exchanger and a second heat exchanger are disposed in a path of an air stream in an indoor unit. The pipe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eat exchanger extends upwardly, and a branch which is curv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is provided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servoir. Th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servoir is provided with an anisotropic valve and subsequently connected to the inlet port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In the uppermost protruding portion of the branch, a pipe extends,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after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device is installed.
Air Conditioner, First Heat Exchanger, Second Heat Exchanger, Reservoi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분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form of branchin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공기조화장치 21: 제 1열교환기1: air conditioner 21: first heat exchanger
21B: 유출구 22: 제 2열교환기21B: outlet 22: second heat exchanger
24: 배관 25, 50: 분기부24:
25A: 단부 26: 저류기25A: end 26: reservoir
28: 이방밸브 29: 배관28: anisotropic valve 29: piping
30: 제 2감압장치(감압장치) 51: 분기 배관30: second pressure reducing device (pressure reducing device) 51: branch piping
51A: 단부(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51A: end (extending end)
51B: 단부(상측으로 연장되는 단부)51B: end (end extending upwards)
본 발명은 냉방 운전과 제습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 cooling operation and a dehumidification operation.
공기조화장치에는 제습 냉방 운전과 제습 난방 운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습 전용형 재열 제습 에어컨이 있다. 일 예로 일본국 특개 2002-60930호 공보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경우에는 제습용 열교환기, 감압장치, 냉매 저류기(貯溜器) 및 방열용 열교환기를 직렬로 배치시키고 있다. 저류기는 방열용 열교환기로부터 감압장치로 보내지는 액 냉매 중에서 잉여 액 냉매를 저장시켜 두는 것으로서, 냉매가 과잉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설치되어 있다. 제습 냉방 운전시에는 가스 냉매가 방열용 열교환기에서 방열되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저류기에 거의 머무르지 않고 방열용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여기에서 약간 방열된다. 제습용 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는 약간 가열되는 것만으로 실내로 분출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ehumidification-only reheat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dehumidification cooling operation and dehumidification heating operation. For exampl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60930, a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a pressure reducing device, a refrigerant reservoir,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 dissipation are arranged in series. The reservoir stores the excess liquid refrigerant in the liquid refrigerant sent from the heat radiating heat exchanger to the decompression device,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becoming excessive pressure. In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operation, the gas refrigerant is radiated and liquefied by the heat radiating heat exchanger. The liquefied refrigerant hardly stays in the reservoir and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where it is slightly dissipated. The dehumidified air in the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is blown into the room only by heating slightly.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공기조화장치의 경우에는 냉방 운전시에도 방열용 열교환기에서의 방열이 제로로 되지는 않아 냉방 운전시의 효율이 좋지 않았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액 냉매가 흐르는 배관의 직경을 크게 하면 되나 냉방 운전시와 제습 운전(재열 제습 운전)시 각각의 최적 냉매량의 차이가 커져 전체적인 공기조화장치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is type of air conditioner, the heat dissipation in the heat dissipating heat exchanger does not become zero even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was not goo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bility of the air conditioner, the diameter of the pipe through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may be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timum amount of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reheating dehumidification operation) is increas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air conditioner.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냉방 운전과 재열 제습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the main objective is to enable efficient cooling operation and reheating dehumidification oper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에 제 1열교환기와 제 2열교환기를 기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 1열교환기에서 상 기 제 2열교환기로 냉매가 흐르는 경로 상에 감압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감압장치를 바이패스하는 회로를 마련하고 이 회로에 제 1열교환기측을 기준으로 차례로 냉매의 저류기와 이방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installs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in the indoor unit along the direction of air flow, and reduces the pressure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In addition to providing a circuit for bypassing the decompression device and provides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ervoir and the anisotropic valve of the refrigerant in order to install the reference to the first heat exchanger side in this circuit.
이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방시에 이방밸브를 열어 저류기 및 감압장치 각각을 통해 냉매를 제 1열교환기에서 제 2열교환기로 유입시킨다. 재열 제습시 이방밸브를 닫아 저류기에 잉여 냉매를 모아 두고 그 나머지 냉매를 감압장치로 감압시킨 후 제 2열교환기로 유입시킨다. In the air conditioner, an anisotropic valve is opened during cooling to introduce refrigerant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through each of the reservoir and the pressure reducing device. During reheating dehumidification, the anisotropic valve is closed to collect excess refrigerant in the reservoir, and the remaining refrigerant is depressurized with a decompression device and introduced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공기조화장치의 개략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공기조화장치(1)는 실외기(2)와 실내기(3)가 배관(4, 5)을 통해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The
실외기(2)는 압축기(10)의 토출구에 접속된 토출배관(11)이 실외 열교환기(12)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2)의 유출구에는 배관(4)이 접속되어 있고 배관(4)은 그 경로상에 제 1감압장치(13)가 설치되고 계속해서 실내기(3)측으로 이어져있다.In the
실내기(3)는 제 1열교환기(21)와 제 2열교환기(22)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1, 22)가 송풍팬(23)이 형성하는 기류의 경로(도면에서 화살표 A로 표시함) 상에 제 2열교환기(22), 제 1열교환기(21)의 순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열교환기(21, 22)의 용량은 거의 동일하다. 제 1열교환기(21) 의 상부에는 냉매의 유입구(21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유입구(21A)에 배관(4)이 접속되어 있다. 제 1열교환기(21)의 유출구(21B)는 하부에 형성되며 여기에는 배관(24)이 접속되어 있다.The indoor unit 3 has a
배관(24)은 상측으로 진행하다가 분기부(25)가 형성된다. 분기부(25)는 상향 돌출되도록 대략 U자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분기부(25)는 배관(24)과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배관을 접속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분기부(25)에서 하측으로 굽은 단부(25A)는 저류기(26)에 상측을 통해 인입된다. 저류기(26)는 소정량의 냉매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서 각 열교환기(21, 22)을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기류의 경로(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저류기(26)의 하단에서는 배관(27)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배관(27)은 중도에 이방밸브(28)가 설치되고 제 2열교환기(22)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22A)에 접속된다. 이방밸브(28)는 각 열교환기(21, 22)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기류의 경로(A)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기류의 경로(A)와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나, 기류의 경로(A)의 상측이나 하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n
분기부(25)의 중앙, 즉 가장 높은 위치에는 배관(29)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29)은 분기부(25)에서 상측으로 거의 수직하게 연장된 후 하측을 향해 진행하고 중도에 제 2감압장치(30)가 설치된 후 배관(27)에 접속되는데, 구체적으로 배관(29)은 이방밸브(28)와 제 2열교환기(22)를 연결하는 배관(27)측에 접속되어 있다. The
한편, 제 2감압장치(30)는 기류의 경로(A)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기 류의 경로(A)를 벗어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29)을 지나는 경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항상 개방되어 있어 저류기(26)측의 경로가 배관(29)의 경로를 바이패스하는 회로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제 2열교환기(22)는 상부에 냉매의 유출구(22B)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배관(5)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5)은 실외기(2)로 연결되어 기액분리장치(31)에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기액분리장치(31)로부터는 흡입 배관(32)이 연장되어 있다. 흡입 배관(32)은 압축기(10)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0), 제 1감압장치(13), 이방밸브(28), 제 2감압장치(30)는 제어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In the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s follows.
냉방 운전을 수행할 때에는 도 1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를 순환시킨다. 즉, 제어장치(40)는 제 1감압장치(13)를 미리 정해진 소정 개도로 설정한다. 또한 이방밸브(28)를 열고 제 2감압장치(30)를 완전 개방한다. When perform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s indicated by arrow B in FIG. That is, the
압축기(10)를 운전시키면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가스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2)로 유입된다. 제 1감압장치(13)가 소정 개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2)에서는 가스 냉매가 응축되어 액 냉매가 된다. 이에 의해 제 1감압장치(13)에서 감압된 2상 냉매가 실내기(3)로 유입된다. 실내기(3)에서는 제 1열교환기(21)의 상부로 2상 냉매가 유입되어 송풍팬(23)에 의해 송풍되는 기류와 열교환하여 증발되면서 하측을 향해 흐른다. 이 2상 냉매는 배관(24)을 통해 분기부(25)에서 단부(25A)측과 배관(29)으로 분기된다. 분기부(25)는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2상 냉매일지라도 유동 저항이 감소되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 다.When the
저류기(26)측으로 흐른 냉매는 이방밸브(28)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저류기(26)에 체류하지 않고 제 2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저류기(26)는 기류 경로(A)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류기(26)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즉, 저류기(26)를 흐르는 액 냉매가 저류기(26) 주위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일부가 기화되면서 배관(27)으로 유출된다. 한편 배관(29)으로 흐른 냉매는 제 2감압장치(30)가 완전 개방되어 있으므로 크게 감압되지 않고 흘러 배관(27)을 흐르는 냉매와 합류되어 제 2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제 2열교환기(22)에서는 2상 냉매가 열교환에 의해 증발되어 포화 냉매 또는 가스 냉매가 형성된다. 송풍팬(23)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및 제 2열교환기(21, 22)에서 냉각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2열교환기(22)에서 유출되는 냉매는 배관(5)을 통해 실외기(2)로 유입되고 기액분리장치(31)를 지나 각 압축기(10)로 흡입된다. 그리고 다시 압축되어 토출배관(11)으로 토출된다.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two
재열 제습 운전을 수행할 때에는 도 1에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를 순환시킨다. 즉, 제어장치(40)는 제 1감압장치(13)를 완전 개방시킨다. 또한 이방밸브(28)는 닫고 제 2감압장치(30)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개도로 설정한다. When performing the reheat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s indicated by arrow C in FIG. 1. That is, the
압축기(10)를 운전시키면 고압의 가스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2)로 유입된다. 제 1감압장치(13)는 완전 개방되어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2) 및 제 1열교환기(21)에 의해 고압의 가스 냉매로부터 액 냉매가 형성된다. 이 때, 제 1열교환기(21)의 주위로 방열이 이루어진다. 제 1열교환기(21) 하부를 통해 유출되는 고 압의 액 냉매는 분기부(25)에서 단부(25A)측과 배관(29)으로 분기되어 흐른다. 단부(25A)로 흐르는 액 냉매는 저류기(26)로 유입되고, 이방밸브(28)가 닫혀 있으므로 저류기(26)에 액 냉매가 고여있게 된다. 배관(29)으로 흐르는 액 냉매는 제 2감압장치(30)에서 감압되면서 제 2열교환기(22)로 유입되고 열교환에 의해 기화된다. 이 때의 흡열에 의해 주위의 공기가 제습 냉각된다. 제 2열교환기(22)에 의해 제습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23)에 의해 제 1열교환기(21) 주위로 보내지게 되고 제 1열교환기(21)의 방열에 의해 덥혀져 제습공기로서 실내로 토출된다. 제 2열교환기(22)에서 유출되는 냉매는 실외기(2)의 압축기(10)로 흡입되어 다시 압축되어 토출된다.When the
냉매의 일부가 저류기(26)에 고여있게 됨으로써 재열 제습 운전시에 공기조화장치(1)를 순환하는 냉매량이 감소된다. 저류기(26)의 용적은 냉방 운전에 가장 적합한 냉매량과 재열 제습 운전에 가장 적합한 냉매량의 차에 거의 상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재열 제습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전환되면 이방밸브(28)가 열리므로 저류기(26)에 고여 있던 액 냉매가 제 2실외열교환기(22)로 공급되어 공기조화장치(1)를 순환하는 냉매량이 증가한다.A portion of the coolant accumulates in the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류기(26)와 제 2감압장치(30)를 병렬로 접속시키고 저류기(26)측에 이방밸브(28)을 설치하여 제 2감압장치(30)의 경로에 대한 바이패스 회로로 하여 냉방 운전시와 재열 제습 운전시의 냉매의 경로를 다르게 구성했으므로 2개의 열교환기(21, 22)를 모두 증발기로 사용하는 냉방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열 제습 운전시에는 이방밸브(28)를 닫음으로써 잉여 냉매를 저류기 (26)에 모아두어 냉매의 순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냉방 운전과 재열 제습 운전 각각을 최적의 냉매량으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제 1열교환기(21)의 하부에서 제 2열교환기(22)로 냉매가 흐르도록 했으므로 제 1열교환기(21)에서 액 냉매가 형성될 때 액 냉매를 신속하게 제 2열교환기(22)를 향해 유출시킬 수 있게 되어 제 1열교환기(21) 내에 액 냉매가 체류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열교환기(21)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coolant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제 1열교환기(21)에서 연장되는 배관(24)에 상향 돌출되는 분기부(25)을 마련했으므로 2상 냉매를 통과시킬 때의 유동 저항을 최소로 하면서 가스 냉매와 액 냉매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재열 제습 운전시에 잉여 액 냉매를 저류기(26)로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다.Since the
실내로 토출되는 기류의 경로(A) 상에 저류기(26)가 노출되도록 배치하였으므로 냉방 운전시 저류기(26)를 증발기로 사용할 수 있어 냉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방밸브(28)는 기류의 경로(A)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했으므로 제 1 및 제 2열교환기(21, 22)에 발생하는 결로수에 이방밸브(28)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여기서, 분기부의 변형예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분기부(50)는 제 1열교환기(21)에서 연장되는 배관(24)이 분기 배관(51)에 거의 수직하게 접속된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기 배관(51)은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51A)에는 저류기(26)가 접속된다.Here, the modification of a branch part is shown in FIG. The
상측으로 연장되는 단부(51B)에는 제 2감압장치(30)가 접속된다. 이 분기부 (50)에 2상 냉매를 흐르게 하면 배관(24)을 흐르는 2상 냉매가 분기 배관(51)의 내벽에 충돌하게 되어 액 냉매와 가스 냉매의 분리가 쉬워진다. 냉방 운전에서 재열 제습 운전으로 전환한 직후에는 정상(定常)운전이 될 때까지 분기 배관(51)으로 2상 냉매가 흐른다. 이 때 분기 배관(51)에서 액 냉매와 가스 냉매가 분리되어 액 냉매는 저류기(26)에 멈추어 있게 된다. 가스 냉매는 제 2감압장치(30)를 통과하여 제 2열교환기(22)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재열 제습에는 직접 기여하지 않는 액 냉매인 잉여 냉매가 저류기(26)로 회수된다. 즉, 운전 전환 후 저류기(26)로 신속하게 액 냉매가 저장되므로 재열 제습 운전에 적절한 냉매량을 사용하는 운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second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can be widely applied.
예를 들면 저류기(26)는 제 2열교환기(22)와 제 1열교환기(21) 사이에서 기류의 경로(A)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외기(2)의 구성이나 개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제 1 및 제 2감압장치(13, 30)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방밸브(28)는 개폐밸브 등 유로의 전환이 가능한 밸브라면 어떠한 밸브도 사용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열교환기에서 제 2열교환기에 이르는 경로 도중에 감압장치를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마련하고 이 경로상에 저류기를 설치함으로써 냉매의 일부를 제 2열교환기로 공급하면서 냉매를 저류기에 저장시켜둘 수 있다. 따라 서, 공기조화장치의 운전 모드에 맞도록 냉매의 순환량을 실내기측에서 변화시킬 수 있어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효율적인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ath for bypassing the decompression device in the middle of the path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and installing a reservoir on the path, the refrigerant is stored in the reservoir while supply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You can do it. Therefore, the amount of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changed on the indoor unit si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regardless of the operation mode.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02726 | 2005-10-18 | ||
JP2005302726A JP4209881B2 (en) | 2005-10-18 | 2005-10-18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2437A KR20070042437A (en) | 2007-04-23 |
KR101166376B1 true KR101166376B1 (en) | 2012-07-23 |
Family
ID=3805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3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376B1 (en) | 2005-10-18 | 2006-02-13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209881B2 (en) |
KR (1) | KR101166376B1 (en) |
CN (1) | CN100453923C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76646B (en) * | 2008-09-19 | 2013-01-23 | Tcl集团股份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operating modes of air conditioner |
CN109386887B (en) * | 2014-02-21 | 2021-01-01 | 大金工业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6680601B2 (en) | 2016-04-14 | 2020-04-15 |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 Vehicle air conditioner |
CN107631464A (en) * | 2017-09-13 | 2018-01-2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Heat exchanger assembly, design method thereof and air condition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2368U (en) | 1981-04-22 | 1982-10-29 | ||
JPH1183209A (en) * | 1997-09-08 | 1999-03-26 | Hitachi Ltd |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93019Y (en) * | 1997-03-10 | 1998-09-30 | 广东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Two-driven-by-one split air conditioner |
JPH10267504A (en) * | 1997-03-25 | 1998-10-09 | Toshiba Corp | Refrigerator |
CN2327931Y (en) * | 1998-03-14 | 1999-07-07 | 广东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with plurality of indoor units |
JP2002060930A (en) * | 2000-08-24 | 2002-02-28 | Sharp Corp | System and method for vapor deposition |
JP2002162124A (en) * | 2000-11-21 | 2002-06-07 | Saginomiya Seisakusho Inc | Refrigeration cycle device for refrigerator |
JP4348610B2 (en) * | 2003-09-29 | 2009-10-21 |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 Refrigeration cycle |
CN1291196C (en) * | 2004-02-18 | 2006-12-20 | 株式会社电装 | Ejector cycle having multiple evaporators |
-
2005
- 2005-10-18 JP JP2005302726A patent/JP420988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2-13 KR KR1020060013646A patent/KR1011663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4-19 CN CNB2006100767080A patent/CN10045392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2368U (en) | 1981-04-22 | 1982-10-29 | ||
JPH1183209A (en) * | 1997-09-08 | 1999-03-26 | Hitachi Ltd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2437A (en) | 2007-04-23 |
CN1952528A (en) | 2007-04-25 |
JP4209881B2 (en) | 2009-01-14 |
CN100453923C (en) | 2009-01-21 |
JP2007113796A (en) | 2007-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23637B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US20150159920A1 (en) | Dehumidifier | |
JP2003254555A (en) | Air conditioner | |
JP5061929B2 (en) | Dehumidification unit and air conditioner | |
US20210048200A1 (en) | Air conditioner | |
JP2020506362A (en) | Heat source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heat source unit | |
KR101166376B1 (en) | Air conditioner | |
WO2006003860A1 (en) | Multi-type air conditioner | |
KR101679574B1 (en) | Air conditioner | |
JP2009133613A (en) | Air conditioner | |
JP2004293904A (en) | Air conditioner | |
JP2005133976A (en) | Air conditioner | |
CN114857681A (en) | device for dehumidification | |
WO2021054249A1 (en) |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appratus equipped with dehumidifying function | |
JP5386849B2 (en) |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ing element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 |
JP5262916B2 (en) | Heat exchanger | |
KR101218862B1 (en) | Multi-type air conditioner for cooling/heating the same time | |
EP1645811A2 (en) | Air conditioner | |
JPWO2018163373A1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JP6886701B2 (en) | Dehumidifying blower | |
JP2003214723A (en) | Air conditioner | |
JP4495090B2 (en) | Air conditioner | |
TWI731588B (en) | air conditioner | |
JP6653431B1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JP7194882B2 (en) |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