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196B1 - Dehumidifier - Google Patents
Dehumid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6196B1 KR101166196B1 KR1020050100255A KR20050100255A KR101166196B1 KR 101166196 B1 KR101166196 B1 KR 101166196B1 KR 1020050100255 A KR1020050100255 A KR 1020050100255A KR 20050100255 A KR20050100255 A KR 20050100255A KR 101166196 B1 KR101166196 B1 KR 101166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guide
- cabinet
- barrier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사용자가 버킷을 당기는 힘에 의해 버킷이 사용자 측으로 당겨질 뿐만 아니라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버킷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버킷가이드에 설치되어, 버킷의 조립 시 버킷의 홀로 응축수가 정확히 낙하되며, 버킷 가이드에 안착된 버킷이 버킷의 제 1, 2 가이드부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제습기의 이동시에도 버킷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ulled toward the user side by the force of pulling the bucket by the user but also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an lift the bucket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bucket seating position is installed in the bucket guide The condensed water is accurately dropped into the hole of the bucket when the bucket is assembled and the bucket seated in the bucket guide is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of the bucket. Therefor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bucket from being changed even when the dehumidifier is moved hav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작동도3 is a schematic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bucket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cket assembly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리어가 도시된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rrier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separation process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shown in the bucket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shown in the bucket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humidifi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압축기 20 : 응축기10: compressor 20: condenser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30: expansion valve 40: evaporator
50 : 송풍팬 어셈블리 52 : 하우징50: blowing fan assembly 52: housing
54 : 원심팬 60 : 캐비닛54: Centrifugal fan 60: cabinet
70 : 베이스 71 : 바퀴70: base 71: wheel
72 : 홀 74 : 브래킷72: hole 74: bracket
80 : 배리어 81 : 내측80: barrier 81: inner side
82 : 리브 83 : 드레인팬82: rib 83: drain pan
84 : 설치부 90 : 버킷어셈블리84: installation part 90: bucket assembly
92 : 버킷가이드 92a : 힌지92:
93a : 제 1 가이드부 93b : 제 2 가이드부93a:
94 : 버킷 94a : 홈94: Bucket 94a: Home
94c : 홀 100 : 패널 어셈블리94c: Hole 100: Panel assembly
102 : 측면패널 102a : 흡입구102:
104 : 후면패널 104a : 토출구104:
105 : 루버 106 : 상면패널105: louver 106: upper panel
106a : 토출구 107 : 루버106a: discharge port 107: louver
110 : 만수감지장치 120 : 필터어셈블리110: full water sensing device 120: filter assembly
122 : 필터프레임 124 : 필터케이스122: filter frame 124: filter case
126 : 고정기구 127 : 후크126: Fixture 127: Hook
130 : 컨트롤박스 135 : 디스플레이장치130: Control box 135: Display device
140 : 전면패널 어셈블리 142 : 전면프레임140: front panel assembly 142: front frame
142a : 홀 142b : 슬릿142a:
144 : 전면패널 145 : 브래킷144: Front panel 145: Bracket
146 : 패널가이드 150 : 무게감지유닛146: Panel guide 150: Weight sensing unit
152 : 로드셀 154 : 휨부재152: load cell 154: bending memb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버킷이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버킷의 분리과정이 한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in which a bucket is separated from a cabinet while being rotated forward in a cabinet, thereby separating the bucket.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습도를 낮춘 후, 습도가 낮아진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Generally, a dehumidifier is a device that sucks humid air from the room into a cabinet and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ereby lowering the humidity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having lowered humidity back into the room.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humidifier.
도 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와, 상기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와, 상기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3)와, 상기 응축기(2) 및 상기 증발기(3)의 열교환을 돕는 송풍팬(4)과, 상기 장치(1)(2)(3)(4)가 설치되는 캐비닛(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1,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compressor 1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
여기서 상기 송풍팬(4)이 작동될 경우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5)을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으로 유동되고, 상기 송풍팬(4)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실내의 습기가 상기 증발기(3)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실내 공기 중의 습기가 제거된다. When the blowing
그리고 상기 실내 공기에서 제습된 응축수는 캐비닛(5) 내부의 버킷(8)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상기 버킷(8)을 분리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버킷(8)에 저장된 응축수 배출시킨다. The condensed water dehumidified in the room air is stored in the bucket 8 inside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버킷(8)을 인출할 때, 상기 버킷(8)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상기 버킷(8)의 전면의 상/하단이 동시에 사용자 측으로 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버킷(8)의 슬라이드 인출과정에서 상기 버킷(8)과 상기 캐비닛(5)의 걸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user pulls out the bucket 8,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face of the bucket 8 must be simultaneously pulled out to the user side by pulling the handle of the bucket 8,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cket 8 and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버킷이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어 버킷의 분리과정이 한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ier in which a bucket is separated from a cabinet while being rotated forward in a cabinet so that the bucket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킷이 분리될 때 사용자가 당기는 방향으로 버 킷이 소정 거리 이동되어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용이한 위치로 버킷을 이동시키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in which a bucket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in which a user pulls the bucket when the bucket is separated, thereby moving the bucket to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lift the bucke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비닛의 전면을 매끈한 평면으로 형성하면서 실내 공기의 흡/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ier in which a front surface of a cabinet is formed in a smooth plane and indoor air is sucked / discharged easily.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에서 수집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버킷과; 상기 캐비닛과 베리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버킷이 착탈되는 버킷 가이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humidifier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n evaporator installed in the cabinet for dehumid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 barrier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collecting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A bucket for storing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barrier; And at least one of the cabinets and the barriers includes a bucket guide rotatably disposed about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ucket.
상기 버킷 가이드는 상기 버킷과 함께 상기 배리어에 삽입될 수 있다.The bucket guide may be inserted into the barrier with the bucket.
상기 버킷 가이드는 양측에 핀 형상의 힌지가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힌지가 회동되게 연결되는 브래킷이 형성될 수 있다. A pin-shaped hinge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bucket guide, and a bracket connected to the hinge so as to be pivotable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상기 버킷가이드에는 상기 버킷의 장착시 상기 버킷의 안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ucket guide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bucket when the bucket is mounted.
상기 버킷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에는 응축수를 상기 홀로 안내하는 집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홀을 상기 집수구에 일치시키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버킷 가이드에 상향 돌출되고, 상기 버킷에는 상기 버킷의 안착시 상기 가이드부와 끼워 맞춤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킷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The bucket is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flows, and the barrier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hol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hole, and the guide portion may protrude to match the hole with the collecting hole.
The guide portion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ucket guide, and the bucket may be formed with a groove to be fitted with the guide portion when the bucket is seated.
The bucket may be formed with a handle at its upper e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ir in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detaching a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0)와, 상기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0)와, 상기 팽창밸브(30)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40)와, 실내 공기가 상기 증발기(40) 및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여 유동되도록 설치된 송풍팬 어셈블리(50)와, 제습기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캐비닛(60)은 바퀴(71)가 부착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70)와,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직립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70)를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는 배리어(80)와, 상기 배리어(80)의 내측(81)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버킷어셈블리(90)와, 상기 배리어(8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6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20)와, 상기 캐비닛의 외관을 이루는 패널어셈블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베이스(70)의 하면에는 상기 바퀴(7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10)가 조립되기 위한 홀(72)이 형성된다. A
그리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버킷어셈블리(90)가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 어셈블리(90)의 하단을 힌지 고정시키는 브래킷(74)이 형성된다. A
그래서 상기 배리어(80)에 의해 구획된 베이스(70)의 상부 전방에는 상기 버킷어셈블리(9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부 후방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된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assembly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버킷 어셈블리(90)는,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0)에 힌지 연결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가이드(92)와, 상기 버킷 가이드(92)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버킷 가이드(92)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or 5, the
상기 버킷 가이드(92)의 양 측단에는 핀 형상의 힌지(92a)가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70)의 브래킷(74)과 결합되고, 상기 힌지(92a)와 상기 브래킷(74)의 결합에 의해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상기 힌지(92a)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A pin-shaped
그리고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상기 버킷(94)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93a)(93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93a)(93b)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93a)는 상기 버킷(94)의 전방 하단에 형성된 홈(94a)과 대응되어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정렬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93b)는 상기 버킷(94)의 배면에 형성된 홈(94b)과 대응되어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93a)(93b)는 상기 배리어(80)의 집수구(83c)와 상기 버킷(94)의 홀(94c)을 정확히 일치시킨다. The
더불어 상기 버킷(94)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9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의 손잡이를 앞으로 잡아당길 경우 상기 버킷(94)은 힌지(92a)를 중심으로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상단이 상기 배리어(80) 내측(81)에서 빠져나온 후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들어올리면 상기 버킷(94)이 상기 버킷가이드(92)와 분리된다.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of the
여기서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상기 버킷(94)의 상단이 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힌지(92a)에 의해 상기 버킷(94)의 회전을 안내한다. The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버킷가이드는 상기 배리어에 힌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Also,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bucket guide may be hinged to the barrier.
한편, 상기 버킷(94)의 상부에는 상기 버킷(94)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감지장치(11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다시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수감지장치(110)는 상기 버킷(94)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플로트스위치 또는 플로트센서이고, 상기 버킷(94)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습기의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수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2 or 5, the water
그래서 만수감지장치(110)는 상기 버킷(94) 내부에 응축수가 한계 높이까지 저장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무게감지유닛(150)은 상기 버킷(94)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를 디스플레이한다. Therefore, when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더불어 상기 버킷어셈블리(90)의 하부에는 상기 버킷(94)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유닛(150)이 더 설치된다. In addition, a
상기 무게감지유닛(150)은 상기 버킷(94)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무게를 점진적으로 감지한다. The
여기서 무게감지유닛(150)은 무게감지 센서의 일종인 로드셀(152)이고, 상기 로드셀(152)은 상기 버킷가이드(92)의 하측에 설치된다. Here, the
특히 상기 로드셀(152)은 상기 베이스(70)와 상기 버킷가이드(92)의 사이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더불어 상기 버킷가이드(92)에는 상기 로드셀(152)에 무게를 전달하기 위해 외팔보 형상의 휨부재(154)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재(154)는 상기 버킷(94)에 눌려 하측으로 휘어짐으로서 상기 로드셀(152)에 하중을 전달한다. The
그래서 상기 버킷(94)의 하면에는 상기 휨부재(154)에 접촉되는 돌출부(96)가 형성되어 상기 휨부재(154)와 접촉되고, 상기 휨부재(154)와 상기 돌출부의 위치정렬은 상기 버킷가이드(92)에 형성된 가이드부(93a)(93b)에 의해 이루어진다. 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rier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에는 전방에서 부터 후방으로 필터어셈블리(120), 증발기(40), 응축기(20) 및 송풍팬 어셈블리(50)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증발기(40) 및 응축기(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증발기(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배리어(80)에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40) 및 응축기(20)가 설치되는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리브(82)가 형성된 드레인팬(83)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40) 및 상기 응축기(20)는 상기 리브(82)가 형성된 상기 드레인 팬(83)에 안착된다. The
더불어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은 높낮이가 다른 단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리브(82)가 형성된 드래인팬(83)은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가 안착되는 설치부(84)에 비해 그 높이가 낮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드래인 팬(83)에는 집수구(83c)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구(83c)로 유동되는 응축수는 상기 버킷(94)의 홀(94c)로 안내된다. A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80)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되는 원심팬(54)과, 상기 하우징(52)과 조립되어 상기 원심팬(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 커버(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blowing
상기 하우징(52)은 중앙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2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52a)를 지나 상기 원심팬(54)에서 가속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56) 및 상기 하우징(52)이 안내하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52)은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모두 상기 흡입구(52a)를 통해서만 상기 원심팬(54)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60)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구획한다. The
더불어 상기 증발기/응축기(40)(20)와 상기 하우징(52)이 서로 조립된 후 상기 증발기/응축기(40)(20) 및 상기 하우징(52)의 상부에는 상기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30)가 조립되어 설치된다. After the evaporator / condenser 40 (20) and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filter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40)에 조립되는 필터 프레임(122)과,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열리는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케이스(124)를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고정시키는 고정기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or 7, the
여기서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는 상기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128)가 슬라이드 장착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의 하단에 조립되어 회동된다. A
특히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하단과 상기 필터 프레임(122)의 하단은 서로 힌지(124a) 연결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는 상기 힌지(124a)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열린다. 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126)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기구(1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127)가 형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고정시키고, 상기 후크(127)와 상기 고정기구(126)의 걸림고정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124a)에는 탄성부재인 비틀림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의 분리 시 상기 필터 케이스(124)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가 상기 필터 프레임(122)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을 상기 필터 프레임(122) 측으로 밀 경우,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 후방으로 밀렸다 나오면서 걸림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가 상기 필터 프레임(122)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을 상기 필터 프레임(122) 측으로 밀 경우,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에 삽입된 후 전방으로 소정 거리 밀려나오면서 걸림 고정된다.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어셈블리(100)는 상기 캐비닛(60)의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패널(102)과, 상기 캐비닛(60)의 배면을 이루는 후면패널(104)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패널(106)과, 상기 캐비닛(6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panel assembly 100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측면패널/후면패널/전면패널 어셈블리(102)(104)(140)는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다. Here, the side panels / rear panel /
상기 측면패널(102)에는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106) 및 후면패널(104)에는 상기 캐비 닛(60) 내부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6a)(104a)가 형성된다. A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102)의 흡입구(102a)에는 공기의 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루버(103)가 설치되고, 상기 후면패널(104) 및 상기 상면패널(106)의 토출구(104a)(106a)에도 토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루버(105)(107)가 설치된다. A
여기서 상기 측면 패널(102)에 설치된 루버(103) 및 상기 후면패널(104)에 설치된 루버(105)는 사용자가 손으로 공기의 흡입/토출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상면패널(106)에 설치된 루버(107)는 제습기의 제어부 또는 사용자에 의해 공기의 토출방향이 조절된다. The
그래서 상기 루버(107)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핀(106b)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루버(107)가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 및 동력전달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The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는 상기 측면패널(102)에 힌지 연결되어 전면으로 회동되는 전면 프레임(142)과,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전면패널(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가장자리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틈을 통해 실내 공기가 캐비닛(60) 내부로 흡입된다. At this time, the
그래서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 사이에는 각각 패널가이드(146)가 개재되고, 상기 패널가이드(146)는 상기 전면프레임(142)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A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142)에는 후방 측에 위치된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 측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42a) 및 슬릿(142b)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더불어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측면 패널(10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브래킷(145)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가 여닫이 방식으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145)은 상기 측면 패널(102)의 측면 가장자리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제습기가 작동되면, 상기 컨트롤박스(130)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10)를 작동시키고, 상기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0)에 공급하며, 상기 응축기(20)는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고,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30)에서 분무 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된 후 증발기(40)에서 기체로 증발된다. First, when the dehumidifier is operate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이때, 상기 증발기(40)에서 기체로 증발되는 냉매는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실내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는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한다.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vaporized in the evaporator (40) is heat-exchanged with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cabinet (60) to cool the room air. In the cooling process of the room air,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Condensate water is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room air is dehumidified.
이후, 상기 증발기(40)에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로 유동되어 기/액 상태로 분리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10)로 이동된다. Thereafter,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다음으로, 제습기에 의한 공기의 이동과정을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by the dehumidifi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r FIG.
상기 제어부는 송풍팬 어셈블리(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 공기를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시킨 후 후 다시 실내로 토출시킨다.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blowing
이때, 측면 패널(102)에 형성된 흡입구(102a)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에 형성된 홀(142a)/슬릿(104b)을 통해 실내 공기가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로 이동되어 여과된다. At this time, the room air is introduced into the
여기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 설치된 필터(128)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필터(12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지나 상기 증발기(40)와 열교환된다.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여과된 상기 공기는 상기 증발기(40)에 형성된 방열핀(미도시) 등과 열교환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여과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맺히게 되며, 상기 증발기(40)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0)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팬(83)에 수집된다. The filtered air is cooled while exchanging heat with heat dissipating fins (not shown) formed in the
더불어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40) 후방에 설치된 응축기(20)와 다시 열교환되고,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한 제습 공기와 상기 응축기(20)가 서로 열교환되어 상기 제습 공기는 다시 가열된다. The cooled air passing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응축기(20)에서는 기체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열이 발산되는 바 상기 제습 공기와 상기 응축기(20)의 열교환과정에서 상기 제습공기는 실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다시 가열된다. In the
이후,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의 하우징(52)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52)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하우징(52)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원심팬(54)에 의해 가속되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토출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52) 및 하우징커버(56)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안내된다.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52)의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형성된 토출구(106a) 및 상기 후면패널(104)에 형성된 토출구(104a)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전면/측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 한 후 상면/후면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제습기가 설치된 실내의 전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Therefore,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ks air through the front / side and then discharges the air to the upper surface / rear surface, so that the air flows in all directions of the room where 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설치된 루버(107)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및 유량을 조절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그래서 캐비닛(60)의 상부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 시킬 경우 상기 루버(107)는 폐쇄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부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경우 폐쇄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토출구를 형성한다. Therefore,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에서 응축수의 이동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상기 증발기(40)에서 응축되어 상기 드레인팬(83)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83)의 집수구(83c)를 통해 상기 버킷(94)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상기 버킷(94)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만수감지장치(110) 또는 무게감지유닛(150)에 의해 그 양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제습기의 디스플레이장치(135)에 이를 표시한다.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특히 상기 무게감지유닛(150)은 상기 응축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버킷(94) 내부의 응축수 높이를 실험식에 의해 계산 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35)에 응축수의 높낮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응축수의 저장 높이를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응축수가 상기 버킷(94)에서 만수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35)의 엘이디(LED, 미도시)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버킷(94)의 배수 시기를 알린다. Particularly, the
더불어 상기 만수감지장치(110)는 상기 버킷(94) 내부의 응축수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저장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작동되던 상기 압축기(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응축수가 상기 버킷(94)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densate in the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만수감지장치(110)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압축기(10)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설치되어 응축수의 만수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압축기(10)로 인가되는 전원을 직접 단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ull-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버킷이 분리되는 과정을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bucket by the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r FIG.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해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열고,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는 좌측 측면패널(102)의 브래킷(14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상기 캐비닛(60) 내부를 개방한다. The user opens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손잡이(95)를 잡아당겨 상기 버킷(94)을 상기 배리어(80)로부터 분리한다. Then, the user pulls the
이때, 상기 버킷(94)은 버킷가이드(92)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전방의 힌지(92a)가 상기 베이스(70)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구조인 바,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잡아 앞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버킷(94)의 상단은 전방으로 회동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버킷(94)은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의 손잡이(95)를 잡아당기는 과정에 의해 상단 일부가 상기 배리어(80) 내측으로부터 빠져나와 사용자가 들기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되고, 사용자는 전방으로 회동된 손잡이(95)를 들어서 상기 버킷(94)의 하단을 상기 버킷가이드(92)로부터 분리하여 이동한다. Here, the
그래서 상기 버킷(94)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95)를 잡은 상태에서 한번에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킷(94)의 분리과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한편, 상기 버킷(124)의 조립과정은 상기 분리과정의 역 순서로 진행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eanwhile, sinc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다음으로 필터 어셈블리에서 필터의 교체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filter in the filter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분리과정과 같이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열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분리시킨다. First, the user opens the
여기서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은 고정기구(126)에 의해 걸림 고정된 바, 사용자는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을 눌러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 형성된 후크(127)와 상기 고정기구(126)를 분리시키고 상기 필터케이스(12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 필터(128)를 꺼낸다. The
그래서 상기 필터(128)의 교체는 사용자가 위치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필터케이스(124)가 개방되고, 상기 필터케이스(124)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케이스(124)에 수납된 필터(128)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필터(128)의 조립과정은 분리의 역 순서로 진행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eanwhile, since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in which a bucke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의 버킷어셈블리(190)는 제 1 실시예의 버킷가이드와 버킷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버킷어셈블리(190)와 배리어(18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어셈블리(190)의 힌지(192a)가 상기 배리어(180)에 형성된 홈(182)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9, the
상기 홈(182)은 상기 버킷어셈블리(190)가 상기 배리어(180)에서 분리될 때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The
여기서 상기 버킷어셈블리(190)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95)를 잡아당기면 상기 배리어(180)의 홈(182)에 안착된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는 힌지(192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When the user first pulls the
이때 버킷어셈블리(190) 내부에는 응축수가 다량 저장된 바, 상기 버킷어셈블리(190)의 무게중심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는 상기 힌지(192a)가 안착된 홈(182)의 내측단(182a)에 안착되어 회전된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를 들어 올리면, 상기 힌지(192a)는 상기 홈(182)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배리어(180)와 분리된다. When the
여기서 상기 배리어(180)에 형성된 홈(182)은 사용자가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를 들어올릴 때 상기 배리어(180)와 상기 버킷어셈블리(190)가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외측단(182b)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버킷어셈블리(190)의 상단을 회전시키는 과정과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를 들어올리는 과정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손잡이(95)를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버킷어셈블리(190)는 회전 및 직선이동이 동시에 발생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has separately described the process of rotating the upper end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킷어셈블리가 도시된 제습기의 분 해사시도이다. 10 is an exploded view of a dehumidifier in which a bucke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버킷가이드(92)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힌지(92a)가 브래킷(도 2의 74)과 연결되지 않고 배리어(80)에 형성된 홈(85)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여기서 상기 홈(85)은 사용자가 버킷(94)을 잡아당길 때 상기 버킷가이드(92)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로서,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Here, the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의 손잡이(95)를 잡아당기면, 상기 버킷(94) 및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상기 배리어(80)에 형성된 홈(85)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들어 올리면, 상기 버킷(94)은 상기 버킷가이드(92)와 분리된다. When the user pulls the
이때, 상기 버킷가이드(92)에 형성된 힌지(92a)는 버킷(94)의 인출시에는 상기 홈(85)을 따라 직선이동되고, 상기 홈(85)의 전방단(85a)에 걸림되면, 상기 버킷가이드(92)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버킷가이드(92)를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버킷가이드(92)의 직선이동 및 회동은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인출하는 각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다. The linear movement and the rotation of the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배리어의 홈은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베이스의 브래킷(도 2의 74) 및 캐비닛(도 2의 60) 내측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grooves of the barrier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74 of FIG. 2)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60 of FIG. 2) of the base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더불어 버킷어셈블리를 배리어에 장착하는 과정은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진행 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ucket assembly to the barrier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eparation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버킷어셈블리 가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cket assembly for storing condensed wat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forward, thus facilitating drainage of condensed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전면패널과 전면프레임 사이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캐비닛의 전면이 전면패널에 의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frame, but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is formed as a smooth surface by the front panel,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front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어셈블리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킷어셈블리를 분리할 때, 한번의 동작으로 버킷어셈블리를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bucket assembly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when the user detaches the bucket assembly, the bucket assembly is separated in a sing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버킷어셈블리가 사용자 측으로 소정거리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킷어셈블리를 용이한 위치에서 들어올릴 수 있다. Furth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lift the bucket assembly in an easy position because the bucket assembly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user side by the pulling forc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사용자가 버킷을 당기는 힘에 의해 버킷이 사용자 측으로 당겨질 뿐만 아니라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bucket is not only pulled toward the user side by the force of pulling the bucket by the user, but also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an lift the bucket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버킷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버킷가이드에 설치되어, 버킷의 조립 시 버킷의 홀로 응축수가 정확히 낙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bucket to the bucket guide,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densed water falls accurately into the hole of the bucket when the bucket is assemb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버킷 가이드에 안착된 버킷이 버킷의 제 1, 2 가이드부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제습기의 이동 시에도 버킷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bucket from being changed even when the dehumidifier is moved, because the bucket seated on the bucket guide is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of the bucke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0255A KR101166196B1 (en) | 2005-10-24 | 2005-10-24 | Dehumidifier |
US11/988,100 US7891206B2 (en) | 2005-10-24 | 2006-10-24 | Dehumidifier |
CN2006800351336A CN101548137B (en) | 2005-10-24 | 2006-10-24 | Dehumidifier |
PCT/KR2006/004347 WO2007049903A2 (en) | 2005-10-24 | 2006-10-24 | Dehumidifier |
EP06799411.1A EP1941214B1 (en) | 2005-10-24 | 2006-10-24 | Dehumidifier |
ES06799411.1T ES2439575T3 (en) | 2005-10-24 | 2006-10-24 | Dehumid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0255A KR101166196B1 (en) | 2005-10-24 | 2005-10-24 | Dehumid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4209A KR20070044209A (en) | 2007-04-27 |
KR101166196B1 true KR101166196B1 (en) | 2012-07-23 |
Family
ID=3817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0255A KR101166196B1 (en) | 2005-10-24 | 2005-10-24 | Dehumidifi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6196B1 (en) |
CN (1) | CN10154813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865B1 (en) * | 2012-06-11 | 2019-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ehumidifier |
KR102166445B1 (en) | 2014-04-29 | 2020-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
KR101588126B1 (en) * | 2014-07-09 | 2016-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humidifier |
KR102108356B1 (en) * | 2018-03-07 | 2020-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
CN108981013A (en) * | 2018-06-25 | 2018-12-11 | 安徽贵杰软件开发有限公司 | A kind of airdryer shel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16217Y (en) * | 1995-01-20 | 1995-12-27 | 程蕾 | Miniature dehumidifier |
JP3857248B2 (en) * | 2003-04-04 | 2006-12-13 | 株式会社フジクラ | Optical wiring unit |
CN1584421A (en) * | 2003-08-22 | 2005-02-23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Water tank replenishing inducing structure of dehumidifier |
-
2005
- 2005-10-24 KR KR1020050100255A patent/KR10116619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10-24 CN CN2006800351336A patent/CN10154813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548137A (en) | 2009-09-30 |
KR20070044209A (en) | 2007-04-27 |
CN101548137B (en) | 201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02868B2 (en) | Dehumidifier | |
US7891206B2 (en) | Dehumidifier | |
US8097073B2 (en) | Dehumidifier | |
KR101811206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73808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166196B1 (en) | Dehumidifier | |
KR20070047102A (en) | dehumidifier | |
KR10138415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166197B1 (en) | Dehumidifier | |
KR20070047103A (en) | dehumidifier | |
KR101123321B1 (en) | Dehumidifier | |
KR101161375B1 (en) | Dehumidifier | |
KR101233197B1 (en) | Dehumidifier | |
KR20070044210A (en) | Dehumidifier and its condensate level detection method | |
KR101166198B1 (en) | Dehumidifier | |
CN101178209A (en) | Dehumidifier | |
KR20070048464A (en) | dehumidifier | |
KR20070078250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2576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259809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70074283A (en) | dehumidifier | |
KR20070078254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70048463A (en) | dehumidifier | |
CN101178228A (en) | Dehumidifier | |
KR200154579Y1 (en) | Front grill installation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