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5997B1 - 착석 가구 물품 - Google Patents

착석 가구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97B1
KR101165997B1 KR1020100034142A KR20100034142A KR101165997B1 KR 101165997 B1 KR101165997 B1 KR 101165997B1 KR 1020100034142 A KR1020100034142 A KR 1020100034142A KR 20100034142 A KR20100034142 A KR 20100034142A KR 101165997 B1 KR101165997 B1 KR 10116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ing
backrest
support
furniture art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992A (ko
Inventor
마티아스 보텔러
Original Assignee
인터슈툴 뷔로뫼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슈툴 뷔로뫼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인터슈툴 뷔로뫼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1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 가구 물품 (1), 특히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이 의자의 착석면 (6) 은 슬라이딩 안내부 (4) 에서 이동가능하고 또한 조인트 (14) 에 의해 프레임 (7) 에 연결된다. 일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착석 프레임 (5) 은, 착석 프레임 (5) 및 지지 프레임 (2) 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운동가능한 프레임 (7) 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된다. 이 프레임 (7) 은, 한편으로는 등받이 (8) 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착석면 (6) 의 후방 영역에 배열되는 골반 지지부 (9) 를 갖는다. 이 골반 지지부 (9) 가 작업 위치에서 착석면 (6) 의 평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중첩된 이동 또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7) 또는 등받이 (8) 를 위한 스러스트 베어링 (13) 이 지지 부재 (11) 상에 배열된다. 이 프레임 (7) 은, 한편으로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13) 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착석 프레임 (5) 의 후단부에서, 힌지 조인트로 구성되는 조인트 (14) 에 의해 착석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등받이를 경사시키면, 등받이 (8) 는 경사와 동시에 하강되지만, 이 등받이 (8) 에 단단히 연결된 골반 지지부 (9) 도 하강되고 또한 전방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석면 (6) 은 또한 운동학적 연결로 인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체공학적으로 및 정형외과적으로 유리한 다양한 착석 위치를 기계적으로 덜 복잡하게 실시한다.

Description

착석 가구 물품 {ITEM OF SEATING FURNITURE}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과, 슬라이딩 안내부에서 전방 작업 위치와 후방 휴식 위치 사이에서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또한 착석면을 가지는 착석 프레임과, 상기 착석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또한 등받이를 위해 착석 프레임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착석 가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착석 가구 물품은 일상 생활에서, 특히 사무실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리하여 명확하게 종래에 사용되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물품의 핵심적인 양태는, 착석시 움푹하고 볼록한 등 간의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전환이다. 특히, 모든 위치에서 등을 지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측방 프레임 부재에 유지되는 등받이에 착석면을 운동학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 부재는 작업 위치로부터 후방 휴식 위치로의 이동으로 등받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동시에 등받이를 하강시키도록 연결 링크 안내부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착석면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동시에 이동된다.
또한, 착석면은 그 후단에, 작업 위치에서는 등받이 앞에서 평행하게 위치되지만 휴식 위치에서는 등받이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는 수직하게 상방으로 배향된 각진부 (angled portion) 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등받이 및 상기 각진부 둘 다에 연결되는 쿠션은, 실제 등받이와 상이한 추가의 경사를 받게 된다.
DE 10 2007 012 728 A1 은 착석부 및 등받이를 구비한 차량, 특히 철도 차량용 승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착석부는 등받이와 공통의 기초 프레임에 대하여 이 착석부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착석부의 전방 이동은 등의 척추 후만증 위치를 위한 지지부로서 요추 영역에서 등받이의 후방으로 배향된 아치부를 동시에 제공하여, 등받이 쿠션의 하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더라도, 전체 착석부의 표면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유형의 승객용 의자에서, 등받이의 쿠션이 요추 영역에 후방으로 배향된 돌출부 또는 아치부를 구비하고, 그 후 이 돌출부 또는 아치부가 등받이 영역의 기초 프레임의 일부에 대하여 가압되어 등받이 쿠션의 전방으로 배향된 아치부를 유발하기 때문에, 착석부의 후방 이동은 강화된 척추 전만 지지부로서 요추 영역에서 등받이의 아치부를 동시에 강화시킨다.
DE 10 2006 056 928 B3 는 착석 패널 및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이 착석 패널은 제 1 연결 수단에 의해 기초 수단에 연결되며 또한 이 기초 수단에 대하여 수직하게 또한 동시에 의자의 경사 방향 및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하다. 그 결과, 2 개의 측방으로 대향하는 전방 연결 레버 및 2 개의 측방으로 대향하는 후방 연결 레버는 기초 수단과 착석 패널 사이에 평행사변형 로드 조립체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 연결 레버의 치수는, 연결 레버의 선회시, 착석 패널이, 그 후방부를 하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착석부 전방 및 상방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대략 수평방향 위치로부터 기초 수단에 대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동시에, 등받이는 하부가 전방으로 또한 숄더부가 후방으로 조절된다.
DE 10 2007 021 782 B3 에는 또한 사무실 의자용 동기화 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한편으로는 기초 캐리어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또한 횡축선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착석 캐리어와, 다른 한편으로는 기초 캐리어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또한 횡축선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등받이 캐리어가 장착되는 기초 캐리어가 의자 기둥에 배치된다. 착석 캐리어 및 등받이 캐리어는, 등받이의 후방 선회 운동으로 착석부의 후단의 하방 하강 운동을 유도하도록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DE 36 35 044 A1 에 있어서, 착석 캐리어와 선회가능한 지지 레버와 기초 캐리어 사이에, 착석 캐리어에 선회방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클램핑되는 압축 스프링이 스프링 장치로서 제공된다.
DE 199 22 446 A1 에는 또한 사무실 의자의 관련된 착석부/등받이 운동을 위한 동기화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유형의 착석 가구의 이미 공지된 물품에서는, 착석면이 이동가능하고 또한 착석면과 등받이간의 인체공학적으로 정확한 상대 위치를 또한 설정할 수 있지만, 착석면의 개별 부분 영역의, 이러한 상이한 착석 위치에 자동적으로 적합화되는 상대 위치가 과거에는 이와 관련하여 실시되지 못하거나 고려되지 않은 단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면의 상대 이동가능한 다수의 부재에 의해, 보다 개선되고 인체공학적으로 또한 정형외과적으로 유리한 착석 위치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시에, 실시하는데 필요한 구성의 복잡성이 비교적 덜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본원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가진 착석 가구 물품에 의해 달성된다. 본원의 다른 구성은 종속항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본원은, 프레임이, 착석면의 후방 영역에 배열되어 작업 위치에서 착석면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골반 지지부를 갖고, 지지 프레임의 지지 부재가 등받이 영역까지 연장하여 스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상에서 프레임은 이동가능하고 또한 선회가능하게 운동하도록 지지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은 착석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조인트에 의해 착석 프레임에 연결되는, 착석 가구 물품을 제공한다. 본원은, 상기와 관련하여, 등받이의 성형 또는 착석면의 이동이 인체공학적으로 또한 정형외과적으로 유리한 착석 위치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착석면을 메인 착석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큰 전방 착석면 영역 및 골반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즉 등받이에 인접하게 되는 작은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착석 자세를 상당히 개선시키는 놀라운 발상으로부터 시작한다. 즉, 골반 지지부는 휴식 위치에서 어떠한 특정 지지 기능을 실시하지 못하지만, 이 골반 지지부는 작업 위치의 이동시 돌출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골반을 지지하며 동시에 전방으로의 동작으로 기분 좋은 압축 부하를 가하고, 그리하여 둔부 영역의 원하지 않는 후방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동시에, 이러한 매우 유리한 효과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달성되는데, 즉 골반 지지부가 등받이에 움직일 수 없도록 연결되고 또한 전방 착석면 영역과 골반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수평 조인트를 중심으로 함께 공동으로 선회된다. 그리하여, 프레임을 위한 연결 링크 안내부가 필요 없다. 반대로, 이러한 최적의 운동을 실시하는데는, 프레임이 중첩 선회 및 이동 운동을 실시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함께, 선회 운동을 한정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미끄러짐 운동을 착석면에서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조인트만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은 착석면 상당히 위의 평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골반 지지부는 공통의 쿠션 부재에 의해 덮여지는 착석면 등의 지지 본체와, 상이한 경도를 가진 별개의 성형부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인트는 착석면의 양측에 배열되고 또한 공통의 물리적 또는 가상의 선회 축선을 가진다. 특히, 조인트는 하나의 자유도만을 가진다.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골반 지지부가 작업 위치에서만 착석면의 평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하여, 휴식 위치에서, 골반 지지부는 착석면에 동일한 높이로 인접하게 되어, 이 착석면은 대체로 크기만 커진다. 등받이가 전방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골반 지지부는 세워지고, 그리하여 경사지고 후방이 상승하는 형상으로 인해 그 자체로 공지된 쐐기형 받침대 (wedge pillow) 에 필적하도록 원하는 지지 기능을 수행하여, 골반 및 요부는 전방으로 약간 자동적으로 경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흉곽을 상승시키고 또한 척주를 신장시켜, 골반 및 요추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크게 풀리게 된다. 휴식 위치에서는 등받이의 하강된 위치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더욱이, 경사각은 또한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개인의 선호에 따라서, 상기 골반 지지부는 휴식 위치에서 착석면과의 공통의 평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하면서 동시에 매우 효과적인 실시형태는, 상기 골반 지지부 및 상기 등받이가 작업 위치와 휴식 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을 때 달성된다. 그리하여, 등받이 뿐만 아니라 골반 지지부는 착석 가구 물품의 사용자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효과를 가진다. 그리하여, 본원은, 착석면과 등받이 사이의 일정한 각은 기어코 방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전문가의 편견을 극복한다.
더욱이, 등받이가 작업 위치와 휴식 위치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시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다면 특히 유리하고, 한편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원하는 윤곽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프레임에 대한 등받이의 설정성 (settability) 이 상정가능하고 또한 유리하다.
프레임은 한편으로는 골반 지지부와 관련된 영역, 다른 한편으로는 등받이와 관련된 영역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이 제 1 레그에 의해 등받이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레그에 의해 골반 지지부에 연결되는 각 부재 (angular element) 를 구비하는 변형예는 특히 간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등받이 및 골반 지지부 둘 다는 상기 각 부재에 교체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이는, 미적인 형상과는 무관하게, 큰 적용 면적을 개방시키는 조작 기구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한 형상은,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 복잡성이 덜한 원하는 이동 경로를 실시하도록, 프레임을 착석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조인트가 힌지 조인트로서 구성될 때 달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이 휴식 위치로의 등받이의 운동에 대한 멈춤부를 형성한다면 실제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하여 등받이는 높은 부하가 작용하는 휴식 위치에서 예를 들어 형상 끼워맞춤식 (form-fitting manner) 으로 스러스트 베어링뿐만 아니라 추가로 멈춤부에 대해서도 접하여 놓여 있다. 또한, 외형 평행하게 (contour-flush) 등받이의 후방에 삽입되는 멈춤부는 측방의 힘 도입을 안정화시킨다.
프레임이 안내부, 특히 프로파일에서 측방으로 안내되고, 이 프레임은 제 1 장소에서 원하지 않는 측방 이동, 즉 착석면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이동에 대항하는, 다른 특히 유망한 변형예가 제공된다. 또한, 본질적인 베어링 부재는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추가로, 안내부는 프레임을 위한 미끄러짐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하여 이 안내부는 스러스트 베어링의 기능을 수행하며, 별도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없앨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형상은, 스러스트 베어링이 상이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그리하여 착석면으로부터 스러스트 베어링까지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을 때 달성된다. 이를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은, 예를 들어 조절 수단에 의해, 공구 없이 조절될 수도 있는 조절가능한 플랜지상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스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는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의 기본적인 장점은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필요한 상이한 본체 중량에 대한 복잡한 적합화가 본원에 의하여 제거되는 사실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석면 및/또는 등받이가 스프링 부재의 복원력에 반하여 휴식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면 실제로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고, 그리하여 착석 가구 물품은 사용자가 이로부터 기립하면 수직한 작업 위치를 자동적으로 취한다. 이를 위해, 스프링은 간단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착석면의 슬라이딩 안내부에 일체화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은 단지 베어링면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이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스러스트 베어링상의 프레임의 이동 및 이 스러스트 베어링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운동 둘 다를 동시에 가능하는 변형예가, 한편으로는 특히 유리하다. 볼 베어링 이외에, 프로파일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휠 또는 롤러,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TFE 로 제조되는 마찰 저감 코팅을 바람직하게 구비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상기 목적에 적합하다.
더욱이, 착석 프레임이 전방 착석 쿠션을 갖고 또한 프레임이 골반 지지부의, 전방 착석 쿠션에 바로 인접한 골반 쿠션을 가져 매력적이고 고품질의 미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개량예가 또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착석 가구 물품은 광범위한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상에 따르면, 상기 착석 가구 물품은 작업용 의자, 사무실 의자, 예를 들어 공항의 대기 구역에서의 대기용 의자, 휴식 의자로서, 또는 차량, 비행기 또는 철도 차량의 착석부로서, 또는 의료 및 치료 분야의 치료 의자로서, 또한 미용실 의자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단순한 휴식 암체어에 본원에 따른 운동학이 유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본원의 기본적인 원리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형태 중 하나를 도면에 도시하였고 또한 이하 설명한다.
도 1 은 본원에 따른 착석 가구 물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착석 가구 물품의 지지 프레임 및 회전 장착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착석 가구 물품의 개략적인 전방도.
본원에 따른 착석 가구 물품 (1) 은, 이하 이 착석 가구 물품 (1) 의 상이한 도면을 나타내는 도 1 ~ 도 3 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쿠션 부재는 이 경우에 도시하지 않았다. 착석 가구 물품 (1) 은 그 자체는 공지된 회전 프레임 (3) 상에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 (2) 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 (2) 은, 전방 작업 위치 (점선으로만 도시함) ~ 후방 휴식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안내부 (4) 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외곽선으로만 도시될 수 있는 착석면 (6) 을 구비한 착석 프레임 (5) 을 지지한다. 일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착석 프레임 (5) 은, 이 착석 프레임 (5) 과 지지 프레임 (2) 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이동가능한 프레임 (7) 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된다. 이 프레임 (7) 은, 한편으로는 등받이 (8) 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착석면 (6) 의 후방 영역에 배열되는 골반 지지부 (9) 를 갖는다. 이를 위해, 프레임 (7) 은, 각진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한 제 1 레그에 의해 등받이 (8) 에 연결되고 다른 레그에 의해 골반 지지부 (9) 에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 (10) 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 지지부 (9) 는 작업 위치에서 착석면 (6) 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서 착석면 (6) 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편, 이 골반 지지부 (9) 는 휴식 위치에서 착석면 (6) 에 대하여 하강된다. 이러한 운동을 위해 필요한 기구는, 또한 지지 프레임 (2) 에 연결되어 등받이 (8) 의 영역까지 연장되며 또한 등받이 (8) 의 휴식 위치를 위한 멈춤부 (12) 가 장착되는 지지 부재 (11) 를 포함한다. 이 영역에서, 지지 부재 (11) 상에는 중첩된 이동 또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기재된 변형예에서 롤러에 의해 구현되는, 프레임 (7) 또는 등받이 (8) 를 위한 스러스트 베어링 (13) 이 배열된다. 그리하여, 프레임 (7) 은, 한편으로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13) 상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착석 프레임 (5) 의 후단부에서, 힌지 조인트로서 구성되는 조인트 (14) 에 의해 착석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 위치 (점선으로 표시) 에서 휴식 위치로 등받이가 경사지면, 등받이는 경사와 동시에 하강되지만, 이 등받이 (8) 에 단단히 연결된 골반 지지부 (9) 도 하강되고 또한 전방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석면 (6) 은 또한 운동학적 연결로 인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개별적인 적합화를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 (13) 은, 상기 방식으로 착석면 (6) 에서부터 스러스트 베어링 (13) 까지의 거리 (a) 를 설정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 베어링 (13) 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리세스 (15) 에 대응하는 상이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체공학적으로 및 정형외과적으로 유리한 다양한 착석 위치를 기계적으로 덜 복잡하게 실시한다.

Claims (13)

  1. 지지 프레임 (2) 과,
    슬라이딩 안내부 (4) 에서 전방 작업 위치와 후방 휴식 위치 사이에서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또한 착석면 (6) 을 가지는 착석 프레임 (5)과,
    상기 착석 프레임 (5) 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또한 등받이 (8) 를 위해 착석 프레임 (5) 에 연결되는 프레임 (7) 을 구비하는 착석 가구 물품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7) 은, 착석면 (6) 의 후방 영역에 배열되어 작업 위치에서 착석면 (6) 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골반 지지부 (9) 를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 (2) 의 지지 부재 (11) 가 등받이 (8) 영역까지 연장하여 스러스트 베어링 (13) 을 지지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상에서 상기 프레임 (7) 은 이동가능하고 또한 선회가능하게 운동하도록 지지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 (7) 은 착석 프레임 (5) 의 후단부에서 조인트 (14) 에 의해 착석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지지부 (9) 는 작업 위치에서만 착석면 (6) 의 평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지지부 (9) 는 휴식 위치에서 착석면 (6) 과의 공통의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지지부 (9) 및 상기 등받이 (8) 는 작업 위치와 휴식 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8) 는 작업 위치와 휴식 위치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시 프레임 (7) 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7) 은 제 1 레그에 의해 등받이 (8) 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레그에 의해 골반 지지부 (9) 에 연결되는 각 부재 (angular element)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2) 은 휴식 위치로의 등받이 (8) 의 운동에 대한 멈춤부 (12)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7) 은 안내부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13) 은 상이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 (13) 은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면 (6) 및 등받이 (8) 중 하나 이상은 스프링 부재의 복원력에 반하여 휴식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프레임 (5) 은 전방 착석 쿠션을 갖고, 상기 프레임 (7) 은 골반 지지부 (9) 의, 전방 착석 쿠션에 바로 인접한 골반 쿠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가구 물품 (1) 은 작업용 의자, 사무실 의자, 대기용 의자 또는 휴식 의자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 가구 물품.
KR1020100034142A 2009-04-14 2010-04-14 착석 가구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165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6968.7 2009-04-14
DE102009016968A DE102009016968B4 (de) 2009-04-14 2009-04-14 Sitzmö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992A KR20100113992A (ko) 2010-10-22
KR101165997B1 true KR101165997B1 (ko) 2012-07-18

Family

ID=4271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5997B1 (ko) 2009-04-14 2010-04-14 착석 가구 물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00259082A1 (ko)
EP (1) EP2243398B1 (ko)
JP (1) JP2010246922A (ko)
KR (1) KR101165997B1 (ko)
CN (1) CN101862081B (ko)
AT (1) ATE526852T1 (ko)
AU (1) AU2010201435A1 (ko)
CA (1) CA2699926C (ko)
DE (1) DE102009016968B4 (ko)
DK (1) DK2243398T3 (ko)
IL (1) IL205088A0 (ko)
MX (1) MX2010004006A (ko)
MY (1) MY145857A (ko)
PL (1) PL2243398T3 (ko)
TW (1) TW2010365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4509B2 (ja) 2009-10-26 2014-06-04 株式会社イトーキ ロッキング椅子
CN102462231A (zh) * 2010-11-12 2012-05-23 许心悦 影剧院坐凳地下升降装置
DE102011008345B4 (de) * 2011-01-12 2014-08-07 Sato Office Gmbh Sitz mit einer Sitzplatte und einer Rückenlehne
DE202011004160U1 (de) * 2011-03-19 2012-06-26 Klöber GmbH Stuhl mit Beckenstütze und horizontal verschiebbarer Sitzfläche
DE102012107778B4 (de) * 2012-08-23 2018-08-16 Haworth Gmbh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CN105307937B (zh) * 2013-04-05 2018-07-20 新加坡科技宇航 用于乘客座椅的座椅结构以及乘客座椅
WO2016074723A1 (en) * 2014-11-13 2016-05-1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ilt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seating furniture
CN105235555A (zh) * 2015-10-21 2016-01-13 无锡惠山泵业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旋转椅
WO2017152998A1 (de) * 2016-03-11 2017-09-14 Innotec Motion GmbH FUßSTÜTZENCHASSIS ZUR BEFESTIGUNG AN EINEM SITZMÖBELCHASSIS
KR102270286B1 (ko) * 2016-09-01 2021-06-29 유이 퍼니쳐 컴퍼니., 리미티드. 의자 구조 및 의자
FR3082108B1 (fr) * 2018-06-06 2020-06-05 Herve Thomas Dispositif d'assise physiologique
DE102019113582B4 (de) * 2019-05-21 2022-06-15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SG10202000095XA (en) * 2020-01-06 2021-08-30 Secretlab Sg Pte Ltd A bracket and related methods
DE102021104004A1 (de) * 2021-02-19 2022-08-25 Eb-Invent Gmbh Sitzmöbel
US11744375B2 (en) 2021-07-14 2023-09-05 Anthro Form, Llc Seat configuration
NO348812B1 (en) * 2023-10-30 2025-06-10 H2 Norway As Reclining seat with concealed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2199A1 (en) * 2001-06-15 2002-12-27 Hon Technology Inc. Improved ergonomic chair
KR200431469Y1 (ko) * 2006-06-20 2006-11-23 치 치이엥 왕 등받이 조절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25516U1 (de) * 1980-09-24 1981-01-15 Zapf, Otto, 6240 Koenigstein Sitzmoebel
US4462486A (en) * 1983-01-07 1984-07-31 The Eastern Company Folding foot step
JPH046979Y2 (ko) * 1984-11-26 1992-02-25
JPS61194344U (ko) * 1985-05-28 1986-12-03
DE8614186U1 (de) * 1986-05-26 1986-07-17 Drabert Söhne GmbH & Co, 4950 Minden Stuhl
DE3635044A1 (de) 1986-10-15 1988-04-28 Rolf Voelkle Sessel
JPH0517957Y2 (ko) * 1988-03-31 1993-05-13
JP3080585B2 (ja) * 1996-06-05 2000-08-28 株式会社イトーキ 椅 子
DE19752355C2 (de) * 1996-10-14 2001-12-06 Mathieu Ernst Ulrich Verstellbare Sitzfläche
DE19642348C2 (de) * 1996-10-14 2000-05-18 Mathieu Ernst Ulrich Verstellbare Sitzfläche
US6086153A (en) * 1997-10-24 2000-07-11 Steelcase Inc. Chair with reclineable back and adjustable energy mechanism
DE19922446B8 (de) 1999-05-07 2009-02-19 Bock-1 Gmbh & Co. Synchronmechanik für eine korrelierte Sitz-Rückenlehnen-Bewegung eines Bürostuhles
EP1234529A4 (en) * 2000-10-16 2004-08-11 Kokuyo Kk CHAIR
WO2002032262A1 (fr) * 2000-10-16 2002-04-25 Kokuyo Co., Ltd. Chaise
JP2003199641A (ja) * 2001-01-25 2003-07-15 Hirobumi Tad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2336154A (ja) * 2001-05-14 2002-11-26 Towa Kogyo Kk 入浴用チェア
DE10200355A1 (de) * 2002-01-08 2003-07-17 Dauphin Friedrich W Gmbh Stuhl
ITMI20022194A1 (it) * 2002-10-16 2004-04-17 Icf Spa Sedia avente sedile e schienale mobili.
FR2859890B1 (fr) * 2003-09-24 2005-12-02 Yann Paul Christian Guehria Systeme de siege a assise suspendue ergonomique et relaxante, ajustable, a inclinaison complete et securisee, equilibree par le seul poids du corps sans mecanisme ni cran
NL1024413C2 (nl) * 2003-09-30 2005-03-31 Paul Arthur Engels In hoogte verstelbare werkstoel.
DE202005010097U1 (de) * 2005-06-26 2006-11-09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JP4945781B2 (ja) * 2005-11-11 2012-06-06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DE102006056928B3 (de) 2006-12-04 2008-06-05 Sato Office Gmbh Sitz mit einer Sitzplatte und einer Rückenlehne
DE102007012728B4 (de) 2007-03-16 2009-06-10 Grammer Ag Passagiersitz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Bahnfahrzeuge
DE102007021782B3 (de) 2007-05-07 2008-09-18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für Bürostüh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2199A1 (en) * 2001-06-15 2002-12-27 Hon Technology Inc. Improved ergonomic chair
KR200431469Y1 (ko) * 2006-06-20 2006-11-23 치 치이엥 왕 등받이 조절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2081A (zh) 2010-10-20
CN101862081B (zh) 2012-10-03
US20100259082A1 (en) 2010-10-14
DE102009016968A1 (de) 2010-11-04
KR20100113992A (ko) 2010-10-22
CA2699926A1 (en) 2010-10-14
EP2243398A1 (de) 2010-10-27
EP2243398B1 (de) 2011-10-05
IL205088A0 (en) 2010-11-30
TW201036576A (en) 2010-10-16
DK2243398T3 (da) 2012-01-30
CA2699926C (en) 2013-01-08
MX2010004006A (es) 2010-10-20
JP2010246922A (ja) 2010-11-04
MY145857A (en) 2012-05-03
AU2010201435A1 (en) 2010-10-28
ATE526852T1 (de) 2011-10-15
PL2243398T3 (pl) 2012-07-31
DE102009016968B4 (de)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997B1 (ko) 착석 가구 물품
US8414073B2 (en) Seating arrangement
JP3162325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EP1401306B1 (en) Seats
CA2882241C (en) Chair having laterally tilting seat plate and linked backrest supports
RU23976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с движением откидывания
US1038344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US6695404B2 (en) Chair
US20030075961A1 (en) Chair, especially an office chair
JP4856911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US5366273A (en) Chair or the like
NO328092B1 (no) Ryggestotteanordning
EP0941679B1 (en) Rocking and gliding mechanism
JP201113995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US20190200763A1 (en) Seating furniture
CN106108443B (zh) 一种可调节的椅子
KR102349577B1 (ko) 의자 시트 각도조절장치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CN202086049U (zh) 椅座的线性轴承滑轨刹车及腰靠调整装置
EP1579787A1 (en) Chair having automatic back inclination adjustment
KR102098952B1 (ko) 의자의 전후방향 틸팅 기구
CN115281476B (zh) 一种人体工学办公椅
CN211092812U (zh) 高安全性坐站工作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5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