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5696B1 -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696B1
KR101165696B1 KR1020110029479A KR20110029479A KR101165696B1 KR 101165696 B1 KR101165696 B1 KR 101165696B1 KR 1020110029479 A KR1020110029479 A KR 1020110029479A KR 20110029479 A KR20110029479 A KR 20110029479A KR 101165696 B1 KR101165696 B1 KR 10116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om
excavator
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대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to KR102011002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아암(arm)에 유압식 크레인장치가 장착되어 버킷(bucket) 탑승자가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하면서도 작업효율이 높은 저비용, 고효율의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무한궤도를 이루는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바퀴(10b) 위에는 조종석(10a)이 구비된 회전데크(revolving deck)가 장착되고, 회전데크(10)에 힌지 결합된 제1아암(arm)이 제1실린더(11a)에 의하여 지지되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아암(11)에 힌지 결합된 제2아암(12)이 제2실린더(12a)에 의하여 경사각이 조절되는 굴삭기(1)에 있어서, 받침대(30)에 고정된 지주(20)에는 제1붐(21)이 힌지 결합되어 제4실린더(21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붐(boom)의 내부에는 제2붐(22)이 결합되어 제5실린더(22a)에 의해 직진 이동되며, 제2붐(22)의 내부에는 제3붐(23)이 결합되어 제6실린더(23a)에 의해 직진 이동되고, 제3붐(23)의 헤드에는 버킷(25)이 힌지 결합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수행하는 크레인(2)과;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 사이에는 굴삭기(1)의 제2아암(12)이 결합되어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1힌지핀(31a)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아암(12)에 장착된 제3실린더(13a)의 피스톤로드(13b)에는 제1링크(14a)가 힌지 결합되어 제2링크(14b)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링크(14a)는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2힌지핀(31b)에 의하여 결합되어 크레인(2)이 굴삭기(1)에 연결되고, 버킷(25)에는 조절수단(40)이 장착되어 버킷(25)의 수평 및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a crane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아암(arm)에 유압식 크레인장치가 장착되어 버킷(bucket) 탑승자가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하면서도 작업효율이 높은 저비용, 고효율의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掘削機)는 토목, 건축, 건설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굴삭기가 사용되는 작업현장에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하는 고소작업(高所作業)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골프장과 같이 새로운 라인을 신설하거나 골프장의 조경(造景)을 위하여 주변의 토사나 하천 등을 정리할 때는 굴삭기가 사용되나 수목(樹木)의 가지치기 작업, 나무를 옮겨 심는 작업, 홍보물이나 장식물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는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위한 크레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위한 크레인은 장비를 탑재하는 차량, 다단식 붐(boom)들의 신축 조절장치, 데크의 회전장치, 도르레와 케이블을 이용한 견인장치 등이 장착되어 억대(億臺)를 호가하는 고가의 장비로 구성된 것이므로 크레인을 구입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크레인은 차량에 장착되어 필히 도로에 근접된 부위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로사정이 좋지 않은 나무의 가지치기 작업에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굴삭기에 버킷(bucket)이 달린 크레인장치가 장착되어 버킷 탑승자가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의 유압식 크레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무한궤도를 이루는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바퀴(10b) 위에는 조종석(10a)이 구비된 회전데크(revolving deck)가 장착되고, 회전데크(10)에 힌지 결합된 제1아암(arm)이 제1실린더(11a)에 의하여 지지되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아암(11)에 힌지 결합된 제2아암이 제2실린더(12a)에 의하여 경사각이 조절되며,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이 형성되고, 받침대(30)에 고정된 지주(20)에는 제1붐(21)이 힌지 결합되어 제4실린더(21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붐(boom)의 내부에는 제2붐(22)이 결합되어 제5실린더(22a)에 의해 직진 이동되며, 제2붐(22)의 내부에는 제3붐(23)이 결합되어 제6실린더(23a)에 의해 직진 이동되고, 제3붐(23)의 헤드에는 버킷(25)이 힌지 결합되며. 버킷(25)에는 조절수단(40)장착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수행하는 크레인(2)으로 구성된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 사이에는 굴삭기(1)의 제2아암(12)이 결합되어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1힌지핀(31a)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아암(12)에 장착된 제3실린더(13a)의 피스톤로드(13b)에는 제1링크(14a)가 힌지 결합되어 제2링크(14b)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링크(14a)는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2힌지핀(31b)에 의하여 결합되어 크레인(2)이 굴삭기(1)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유압식 크레인장치는 굴삭기(1)에 장착된 회전데크(10)의 회전력과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제3붐(23)의 헤드에 장착된 지지대(24)에는 가이드프레임(24a)이 고정되고, 버킷(25)에 핀으로 결합된 완충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b) 일단은 가이드프레임(24a)에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완충실린더(4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출입되고, 피스톤로드(41b)의 중앙에 설치된 피스톤(41a)은 완충실린더(41) 내부의 유압에 의하여 양측으로 이동되며, 완충실린더(41)의 외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유압관(42)에는 밸브(42a)가 장착되어 밸브(42a)를 잠그면 피스톤(41a)이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버킷(25)의 균형이 조절되면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굴삭기(1)에 장착된 회전데크(10)의 회전력, 유압펌프의 이용, 중심이 낮은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중량체 바퀴(10b) 및 자유롭게 경사각을 이루는 제1,2아암(11)(12)들의 위치조절 기능은 굴삭기의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고, 붐(boom)들의 길이조절 장치와 버킷만 장착하면 크레인(2)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크레인(2)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최소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어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유압식 크레인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받침대(30)의 브래킷(31)에 굴삭기(1)의 아암(arm)을 연결하면 신속 간편하게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버킷의 균형조절 기능에 의하여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굴삭기 겸용 크레인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와 크레인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킷의 균형조절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궤도를 이루어 회전되는 는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바퀴(10b) 위에는 회전데크(revolving deck)가 장착되어 360°회전된다.
상기 회전데크(10)에는 운전을 위한 조종석(10a)이 구비되어 있고, 회전데크(10)에는 제1아암(11)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제1아암(11)은 제1실린더(11a)의 유압에 의하여 지지되어 경사각이 조절된다.
상기 제1아암(11)에는 제2아암(12)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제2아암(12)은 제2실린더(12a)에 의하여 경사각이 조절된다. 전술한 구성은 이미 알려진 굴삭기(1)의 기술구성이다.
금속 받침대(30)에는 지주(20)가 경사를 이루어 세워져 있고, 지주(20)에는 제1붐(21)이 힌지 결합되어 제4실린더(21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붐(boom)의 내부에는 제2붐(22)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5실린더(22a)에 의해 직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붐(22)의 내부에는 제3붐(23)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6실린더(23a)에 의해 직진 이동된다.
상기 제3붐(23)의 헤드에는 버킷(25)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버킷(25)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고소작업을 위한 크레인(2)의 구성이다.
상기 크레인(2)의 받침대(30)의 상부 양측에는 브래킷(31)이 장착되어 있고, 브래킷(31)들 사이에는 굴삭기(1)의 제2아암(12)이 결합되어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1힌지핀(31a)에 의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아암(12)에는 제3실린더(13a)가 장착되어 있고, 제3실린더(13a)의 피스톤로드(13b)에는 제1링크(14a)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제1링크(14a)는 제2아암(12)과 핀으로 결합된 제2링크(14b)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링크(14a)는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2힌지핀(31b)에 의하여 결합되어 크레인(2)이 굴삭기(1)에 연결된다. 즉, 크레인(2)은 2개의 제1,2힌지핀(31a)(31b)들에 의하여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버킷(25)에는 조절수단(40)이 장착되어 버킷(25)의 수평과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40)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붐(23)의 헤드에 장착된 지지대(24)에는 가이드프레임(24a)이 고정되고, 버킷(25)에 핀으로 결합된 완충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b) 일단은 가이드프레임(24a)에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완충실린더(4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출입되고, 피스톤로드(41b)의 중앙에 설치된 피스톤(41a)은 완충실린더(41) 내부의 유압에 의하여 양측으로 이동되며, 완충실린더(41)의 외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유압관(42)에는 밸브(42a)가 장착되어 밸브(42a)를 잠그면 피스톤(41a)이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버킷(25)의 균형이 조절되면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들 사이에 제2아암(12)과 제3실린더(13a)의 피스톤로드(13b)를 제1,2힌지핀(31a)(31b)으로 결합하면 굴삭기(1)에 크레인(2)이 간편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굴삭기(1)의 회전데크(10)를 회전시켜 방향을 정하고, 유압펌프와 제4실린더(21a)를 작동하여 제1붐(21)의 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제5,6실린더(22a)(23a)를 작동하여 제2,3붐(22)(23)들의 길이를 조절하면 버킷(25)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되므로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버킷(25)이 원하는 곳에 위치되었을 때 경사진 경우에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수평을 이루게되고 이때 밸브(42a)를 잠그면 버킷(25)이 수평상태에서 고정되어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의한 유압식 크레인장치는 굴삭기(1)에 장착된 회전데크(10)의 회전력과 유압펌프를 이용하고, 무한궤도를 이루는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바퀴(10b)는 중량이 무겁고 중심이 낮아 안정성이 양호하므로 유압식 받침다리를 사방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자유롭게 경사각을 이루는 굴삭기(1)의 제1,2아암(11)(12)들을 활용하여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크레인(2)의 구성이 최소화되어 소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어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받침대(30)의 브래킷(31)에 굴삭기(1)의 제2아암(12)을 연결하면 신속 간편하게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굴삭기 10 : 회전데크
10a : 조종석 10b : 바퀴
11 : 제1아암 11a : 제1실린더
12 : 제2아암 12a : 제2실린더
13a : 제3실린더 13b : 피스톤로드
14a : 제1링크 14b : 제2링크
2 : 크레인 20 : 지주
21 : 제1붐 21a : 제4실린더
22 : 제2붐 22a : 제5실린더
23 : 제3붐 23a : 제6실린더
24 : 지지대 24a : 가이드프레임
25 : 버킷 30 : 받침대
31 : 브래킷 31a : 제1힌지핀
31b : 제2힌지핀 40 : 조절수단
41 : 완충실린더 41a : 피스톤
41b : 피스톤로드 42 : 유압관
42a : 밸브

Claims (2)

  1. 무한궤도를 이루는 크롤러 타입(crawler type)의 바퀴(10b) 위에는 조종석(10a)이 구비된 회전데크(revolving deck)가 장착되고, 회전데크(10)에 힌지 결합된 제1아암(arm)이 제1실린더(11a)에 의하여 지지되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아암(11)에 힌지 결합된 제2아암이 제2실린더(12a)에 의하여 경사각이 조절되며,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이 형성되고, 받침대(30)에 고정된 지주(20)에는 제1붐(21)이 힌지 결합되어 제4실린더(21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붐(boom)의 내부에는 제2붐(22)이 결합되어 제5실린더(22a)에 의해 직진 이동되며, 제2붐(22)의 내부에는 제3붐(23)이 결합되어 제6실린더(23a)에 의해 직진 이동되고, 제3붐(23)의 헤드에는 버킷(25)이 힌지 결합되며. 버킷(25)에는 조절수단(40)장착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高所作業)을 수행하는 크레인(2)으로 구성된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의 양측 브래킷(31) 사이에는 굴삭기(1)의 제2아암(12)이 결합되어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1힌지핀(31a)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아암(12)에 장착된 제3실린더(13a)의 피스톤로드(13b)에는 제1링크(14a)가 힌지 결합되어 제2링크(14b)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링크(14a)는 브래킷(31)을 관통하는 제2힌지핀(31b)에 의하여 결합되어 크레인(2)이 굴삭기(1)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유압식 크레인장치는 굴삭기(1)에 장착된 회전데크(10)의 회전력과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제3붐(23)의 헤드에 장착된 지지대(24)에는 가이드프레임(24a)이 고정되고, 버킷(25)에 핀으로 결합된 완충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b) 일단은 가이드프레임(24a)에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완충실린더(4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출입되고, 피스톤로드(41b)의 중앙에 설치된 피스톤(41a)은 완충실린더(41) 내부의 유압에 의하여 양측으로 이동되며, 완충실린더(41)의 외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유압관(42)에는 밸브(42a)가 장착되어 밸브(42a)를 잠그면 피스톤(41a)이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버킷(25)의 균형이 조절되면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2. 삭제
KR1020110029479A 2011-03-31 2011-03-31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KR10116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479A KR101165696B1 (ko) 2011-03-31 2011-03-31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479A KR101165696B1 (ko) 2011-03-31 2011-03-31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696B1 true KR101165696B1 (ko) 2012-07-18

Family

ID=4671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479A KR101165696B1 (ko) 2011-03-31 2011-03-31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437B1 (ko) * 2016-08-24 2018-12-20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신축 연결 구성요소와 공중 작업 플랫폼
CN110005010A (zh) * 2019-04-16 2019-07-12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用于岩石山体的破碎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72Y1 (ko) * 2001-07-23 2001-11-26 조성학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JP2009269719A (ja) * 2008-05-08 2009-11-19 Aichi Corp 高所作業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972Y1 (ko) * 2001-07-23 2001-11-26 조성학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JP2009269719A (ja) * 2008-05-08 2009-11-19 Aichi Corp 高所作業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437B1 (ko) * 2016-08-24 2018-12-20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신축 연결 구성요소와 공중 작업 플랫폼
CN110005010A (zh) * 2019-04-16 2019-07-12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用于岩石山体的破碎机装置
CN110005010B (zh) * 2019-04-16 2024-05-17 泰安嘉和重工机械有限公司 用于岩石山体的破碎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0788C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RU2007139810A (ru) Самоход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его работы (варианты)
JP6413012B2 (ja) 作業車両の昇降ステップ
KR101165696B1 (ko)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JP4730343B2 (ja)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の分解輸送用架台
US20070134075A1 (en) Vehicle for setting utility poles in a remote location
KR20140139256A (ko) 붐 길이 조절되는 파이프 레이어
US20040237353A1 (en) Hydraulic excavator
RU2425927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ого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JP6489389B1 (ja) 斜路開閉機構及びインバート桟橋
JP5445403B2 (ja)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脱着装置
KR20130008997A (ko) 보조 붐 가스실린더가 구비된 굴삭기
KR102576444B1 (ko) 개선된 굴삭기
RU96579U1 (ru) Боковое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автогрейдера
CN210264515U (zh) 一种工程钻掘设备行走装置
CN208137003U (zh) 全套管施工装置
KR20120094318A (ko)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JP5936194B2 (ja) 傾斜地用作業機械
KR102027731B1 (ko) 굴착기용 절단 장치
WO2002059427A1 (en) Carrier arrangement for a working device
GB2524996A (en) Support assembly
US7739813B2 (en) Telescoping boom for excavating apparatus
KR101124473B1 (ko) 다목적 중장비
KR20210083438A (ko) 버켓의 수평을 유지해주는 로우더 장치
JP2011140287A (ja) 作業機械のアウトリ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