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4112B1 -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112B1
KR101164112B1 KR1020120027118A KR20120027118A KR101164112B1 KR 101164112 B1 KR101164112 B1 KR 101164112B1 KR 1020120027118 A KR1020120027118 A KR 1020120027118A KR 20120027118 A KR20120027118 A KR 20120027118A KR 101164112 B1 KR101164112 B1 KR 10116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hock
shoe
lower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필
Original Assignee
신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필 filed Critical 신선필
Priority to KR102012002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 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되고,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바닥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금형에 복수의 상기 완충 부재를 삽입하는 완충 부재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밸런스 서포터를 자력으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밸런스 서포터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상기 하부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형상 변경 방지판을 삽입하는 형상 변경 방지판 삽입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과 대응되는 상부 금형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사출하여 상기 완충 부재와, 밸런스 서포터 및 형상 변경 방지판이 일체화된 중창을 제조하는 중창 제조 공정과; 상기 중창의 저면 테두리와 기제작된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중창과 신발 갑피를 부착하는 신발 갑피 부착 공정; 및 상기 중창에 부착된 상기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 외측면과 기제작된 밑창의 내측면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갑피와 밑창을 부착하는 밑창 부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흡수가 용이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제조하되,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완충 부재를 삽입하여 중창의 저면에 완충 부재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보행시 충격 흡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며, 완충 부재가 중창에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 공정의 감소로 제조 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SHOCK-ABSORBING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형상 변경 방지판과 밸런스 서포터 및 완충 부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하도록 하는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신고 걷는 데에 쓰이는 것으로, 이러한 신발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며 그 종류만도 수십가지에 이르고 있으며, 또한 신발은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운동화, 구두, 슬리퍼, 농구화, 축구화, 등산화, 작업화, 군화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능을 추가하여 편안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신발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교통수단 등과 같이 과학의 발달에 의하여 운동부족 및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비만 등의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아침에 공원 등에서 조깅 등의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신발과 트레이닝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다리 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능이 미흡하여 관절의 연골과 척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신발은 구조적으로 쿠션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의 피로가 빨리 오고 운동량을 높일 수 없으므로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걷거나 뛸 때에 착용자의 체중에서 오는 충격이 여과 없이 발로 전달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완충 기능이 구비된 신발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98959호, 10-0481701호와 같이 다수개가 출원되었다.
이러한 완충 신발은 코일 스프링 형태의 완충 스프링을 자바라 형태의 완충 부재에 삽입한 다음, 완충 부재를 신발의 중창 또는 밑창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완충 신발은 완충 부재를 수작업을 통해 중창 또는 밑창에 부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완충 부재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완충 부재의 코일 스프링이 틀어져 완충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며, 작업 공정의 증대로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완충 신발은 완충 부재의 높이로 인해 중창의 형상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흡수가 용이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제조하되,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완충 부재를 삽입하여 중창의 저면에 완충 부재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보행시 충격 흡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며, 완충 부재가 중창에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 공정의 감소로 제조 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형상 변경 방지판과 밸런스 서포터를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완충 부재의 높이로 인해 중창의 형상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걸을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코일 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되고,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바닥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금형에 복수의 상기 완충 부재를 삽입하는 완충 부재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밸런스 서포터를 자력으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밸런스 서포터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상기 하부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형상 변경 방지판을 삽입하는 형상 변경 방지판 삽입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과 대응되는 상부 금형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사출하여 상기 완충 부재와, 밸런스 서포터 및 형상 변경 방지판이 일체화된 중창을 제조하는 중창 제조 공정과; 상기 중창의 저면 테두리와 기제작된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중창과 신발 갑피를 부착하는 신발 갑피 부착 공정; 및 상기 중창에 부착된 상기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 외측면과 기제작된 밑창의 내측면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갑피와 밑창을 부착하는 밑창 부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금형은 발의 앞굼치에 해당되는 부분과, 뒷굼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사각 형태의 제 1, 2돌출 부재가 돌출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2돌출 부재에 상기 완충 부재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밸런스 서포터는 판 형태의 금속 재질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 1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1관통홀에 자석이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중단 양측에 제 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2관통홀에 상기 자석이 고정되는 연장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밸런스 서포터는 상기 하부 금형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상기 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 금형의 제 2돌출 부재의 양측면에 위치시켜 고정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형상 변경 방지판은 상기 하부 금형의 크기와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펄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밑창은 상기 중창에 고정된 각각의 상기 완충 부재와 대응되는 면에 각각 수평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충격 흡수가 용이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제조하되,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완충 부재를 삽입하여 중창의 저면에 완충 부재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보행시 충격 흡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며, 완충 부재가 중창에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 공정의 감소로 제조 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재질로 중창을 사출시 금형 내부에 형상 변경 방지판과 밸런스 서포터를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완충 부재의 높이로 인해 중창의 형상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걸을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완충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밸런스 서포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형상 변경 방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하부 금형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완충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밸런스 서포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중 형상 변경 방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하부 금형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1)은, 신발 갑피(10)와, 중창(20)과, 완충 부재(30)와, 밸런스 서포터(40)와, 형상 변경 방지판(50)과, 밑창(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신발 갑피(10)는 통상의 구조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중창(미드솔)(20)의 저면 테두리에 이의 하단 테두리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되고, 이의 하단 테두리 외측면이 하기에서 설명할 밑창(아웃솔)(60)의 내측면 테두리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중창(20)은 발바닥 모양을 가지며 폴리우레탄으로 사출 형성된다. 이때, 중창(20)은 발의 앞굼치에 해당되는 부분과, 뒷굼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사각 형태의 제 1, 2충격 흡수턱(21, 23)이 단차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완충 부재(30)는 특허등록공보 10-0481701호에 개시된 공지된 구성으로, 중창(20)의 폭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된 각각의 완충 부재(30a)가 제 1충격 흡수턱(21)의 저면에 복수개가 배열되고, 중창(20)의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된 각각의 완충 부재(30b)가 제 2충격 흡수턱(23)의 저면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여기에서, 완충 부재(3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1연장판(31a)에 의해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저면 중앙부에 제 1고정턱(31b)이 형성되는 본체(31)와, 본체(31)의 상면과 결합되고, 제 2연장판(33a)에 의해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 저면 중앙부에 제 2고정턱(33b)이 형성되는 덮개(33) 및 본체(31)의 제 1고정턱(31b)에 일단이 고정되고, 덮개(33)의 제 2고정턱(33b)에 타단이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덮개(33)는 중창(20)을 제조할 시 중창(20)을 제조하는 하부 금형(70)에 삽입되어 중창(20)과 일체로 사출된다.
또, 밸런스 서포터(40)는 중창(20)과 함께 사출되어 고정되고, 보중창(20)의 꺽임을 방지하고, 탄성을 유지하여 보행자의 발 아치 부분에 부드럽게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밸런스 서포터(40)는 판 형태의 금속 재질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 1관통홀(41a)이 형성되고, 제 1관통홀(41a)에 자석(45)이 고정되는 본체(41)와, 본체(41)의 하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중단 양측에 제 2관통홀(43a)이 형성되고, 제 2관통홀(43a)에 자석(45)이 고정되는 연장판(4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밸런스 서포터(40)는 중창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본체(41)의 양단이 중창의 제 2충격 흡수턱(23)의 양측면에 위치시킨다. 즉, 밸런스 서포터(40)는 자석(45)에 의해 하부 금형(70)에 고정시켜 중창(20)의 사출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 형상 변경 방지판(50)은 중창(2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펄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중창(20)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어 중창(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형상 변경 방지판(50)을 하부 금형(70)에 삽입하여 중창(20)의 사출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밑창(60)은 신발의 바닥면으로서 통상의 구조로 형성되고, 중창(20)에 고정된 각각의 완충 부재(30)와 대응되는 면에 각각 수평면(61)이 형성된다.
한편, 중창(20)을 제조하는 하부 금형(70)은 중창(20)에 제 1, 2충격 흡수턱(21, 23)이 형성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2돌출 부재(71, 73)가 돌출되고, 각각의 제 1, 2돌출 부재(71, 73)에 완충 부재(3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75)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1)은 선택에 따라 깔창(인솔)(미도시)을 중창(20) 상면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완충 부재 고정 공정-S100》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70)의 제 1, 2돌출 부재(71, 73)에 형성된 삽입홀(75)에 각각 완충 부재(30)를 삽입한다.
《밸런스 서포터 고정 공정-S110》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70) 내에 밸런스 서포터(40)를 고정하되, 사출시 압력에 의해 이탈되도록 것을 방지하도록 자석(45)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밸런스 서포터(40) 본체(41)의 양단이 하부 금형(70)의 제 2돌출 부재(73)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형상 변경 방지판 삽입 공정-S120》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서포터(40)의 상부에 하부 금형(7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형상 변경 방지판(50)을 삽입한다.
《중창 제조 공정-S130》
그런 다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70)과 대응되는 상부 금형(8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사출하여 완충 부재(30)와, 밸런스 서포터(40) 및 형상 변경 방지판(50)이 일체화된 중창(20)을 제조한다. 이때, 중창(20)의 상면에는 제 1, 2충격 흡수턱(21, 23)이 단차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갑피 부착 공정-S140》
중창(20)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의 저면 테두리와 기제작된 신발 갑피(10)의 하단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중창(20)과 신발 갑피(10)를 부착한다.
《밑창 부착 공정-S150》
신발 갑피(10)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에 부착된 신발 갑피(10)의 하단 테두리 외측면과 기제작된 밑창(60)의 내측면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신발 갑피(10)와 밑창(60)을 부착하여 신발을 완성한다. 이때, 선택에 따라 깔창을 중창(20) 상면에 삽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신발 갑피 20 : 중창
30 : 완충 부재 40 : 밸런스 서포터
50 : 형상 변경 방지판 60 : 밑창
70 : 하부 금형

Claims (7)

  1. 코일 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되고,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바닥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금형에 복수의 상기 완충 부재를 삽입하는 완충 부재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밸런스 서포터를 자력으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밸런스 서포터 고정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상기 하부 금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형상 변경 방지판을 삽입하는 형상 변경 방지판 삽입 공정과;
    상기 하부 금형과 대응되는 상부 금형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사출하여 상기 완충 부재와, 밸런스 서포터 및 형상 변경 방지판이 일체화된 중창을 제조하는 중창 제조 공정과;
    상기 중창의 저면 테두리와 기제작된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중창과 신발 갑피를 부착하는 신발 갑피 부착 공정; 및
    상기 중창에 부착된 상기 신발 갑피의 하단 테두리 외측면과 기제작된 밑창의 내측면 테두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고, 상기 갑피와 밑창을 부착하는 밑창 부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발의 앞굼치에 해당되는 부분과, 뒷굼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사각 형태의 제 1, 2돌출 부재가 돌출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2돌출 부재에 상기 완충 부재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서포터는,
    판 형태의 금속 재질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 1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1관통홀에 자석이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중단 양측에 제 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2관통홀에 상기 자석이 고정되는 연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서포터는,
    상기 하부 금형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상기 본체의 양단이 상기 하부 금형의 제 2돌출 부재의 양측면에 위치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경 방지판은,
    상기 하부 금형의 크기와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펄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상기 중창에 고정된 각각의 상기 완충 부재와 대응되는 면에 각각 수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의 충격 완충 신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신발.
KR1020120027118A 2012-03-16 2012-03-16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6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18A KR101164112B1 (ko) 2012-03-16 2012-03-16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18A KR101164112B1 (ko) 2012-03-16 2012-03-16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112B1 true KR101164112B1 (ko) 2012-07-12

Family

ID=4671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18A KR101164112B1 (ko) 2012-03-16 2012-03-16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1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229B1 (ko) * 2014-10-31 2015-06-02 신선필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KR200477324Y1 (ko) * 2014-10-31 2015-06-02 신선필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KR101528971B1 (ko) * 2013-01-17 2015-06-15 최병환 완충기능을 가지는 신발
CN111698922A (zh) * 2018-08-06 2020-09-22 纽斯泰普株式会社 用于预防糖尿病和糖尿病并发症引起的糖尿病足并缓解糖尿病性坏死溃疡疼痛的定制鞋
KR20220128817A (ko) * 2021-03-15 2022-09-22 박문환 신발 깔창 금형 및 신발 깔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582A (ja) 2008-07-18 2010-02-04 Mizuno Corp 靴底および靴底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582A (ja) 2008-07-18 2010-02-04 Mizuno Corp 靴底および靴底の製造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971B1 (ko) * 2013-01-17 2015-06-15 최병환 완충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1524229B1 (ko) * 2014-10-31 2015-06-02 신선필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KR200477324Y1 (ko) * 2014-10-31 2015-06-02 신선필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CN111698922A (zh) * 2018-08-06 2020-09-22 纽斯泰普株式会社 用于预防糖尿病和糖尿病并发症引起的糖尿病足并缓解糖尿病性坏死溃疡疼痛的定制鞋
US20210212892A1 (en) * 2018-08-06 2021-07-15 Newstep Customized shoe for preventing diabetes, preventing diabetic foot due to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alleviating pain from diabetic necrotic ulceration
EP3756500A4 (en) * 2018-08-06 2021-11-17 Newstep PERSONALIZED SHOE FOR PREVENTION OF DIABETES, PREVENTION OF DIABETIC FOOT DUE TO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ALLEVATION OF PAIN CAUSED BY NECROTIC DIABETIC ULCERATION
US12053432B2 (en) * 2018-08-06 2024-08-06 Newstep Custom shoes for preventing diabetes, preventing diabetic foot caused by diabetic complications and easing ulcer pain of diabetic necrosis
KR20220128817A (ko) * 2021-03-15 2022-09-22 박문환 신발 깔창 금형 및 신발 깔창
KR102497156B1 (ko) * 2021-03-15 2023-02-08 박문환 신발 깔창 금형 및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319B2 (ja) 靴、及び靴底部品
JP5444528B2 (ja) 歩行具
US20140144045A1 (en) Transparent shoe sole associated with internal gel with common shock absorbers ovals to cushion the impact when walking
KR101164112B1 (ko)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US20110179672A1 (en) Multi-function shoe pad
CN115413860A (zh) 用于鞋类物件的地面接合结构
CN104939422A (zh) 具有可缩回牵引元件的物品
US20130091739A1 (en) Shoe sole
WO2015061436A1 (en) Flexible shoe sole
CN204426866U (zh) 舞蹈鞋总成以及与舞蹈鞋连用的脚跟构件
US20100024246A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838051A1 (en) An article of footwear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200371505Y1 (ko) 다양한 칼라, 비중, 경도를 갖는 이단으로 자유롭게분리되는 신발
KR101524229B1 (ko)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KR101249696B1 (ko) 신발
KR101144963B1 (ko) 조립식 슬리퍼
CN206822110U (zh) 减震运动鞋底
KR200437114Y1 (ko) 기능성 신발 굽
CN205040756U (zh) 一种运动鞋底
KR20120003743U (ko) 판 스프링 점핑 신발
KR200467738Y1 (ko)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KR101167259B1 (ko) 중량 조절 신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