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621B1 - Bill handling machine, recording medium and bill handling method - Google Patents
Bill handling machine, recording medium and bill handl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621B1 KR101162621B1 KR1020090094183A KR20090094183A KR101162621B1 KR 101162621 B1 KR101162621 B1 KR 101162621B1 KR 1020090094183 A KR1020090094183 A KR 1020090094183A KR 20090094183 A KR20090094183 A KR 20090094183A KR 101162621 B1 KR101162621 B1 KR 101162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unit
- counterfeit right
- counterfeit
- depos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권류 처리장치는, 오퍼레이터로부터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ocesses a winding. And the winding-typ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which discriminates whether it is a counterfeit right, or the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means which does not accept the input right discriminated by the counterfeit right by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And, by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a countermeasure accommodating means for accommodating the injectable counterweight discriminated as not being a counterfeit right. According to this, for example, in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ocesses the windings, such as banknotes and securities, the frequency of storing a counterfeit right can be reduced.
권류 처리장치, 지폐 입출금기, 위조권 감별, 권류 수납 Banking equipment, banknote dispensing machin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winding stor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권류(券類)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or processing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and a liquor processing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banknote dispenser used in a financial institution.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지폐 등을 은행원이 입출금하는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일반적인 입금처리에서 입금된 지폐를 진권(眞券)으로 감별할 수 없어 아무리 해도 접수할 수 없는 경우(리젝트되는 경우)에, 은행원이 리젝트된 지폐를 육안 등으로 확인후, 강제로 지폐를 장치 내에 수납하는 처리(이하 「강제 입금처리」라고 한다)가 행해진다.In a banking institution, such as a bank, where a bank employee performs a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received from a customer, the banknotes deposited in a general banking process cannot be discriminated by true bills and cannot be accepted at all. In the case of being rejected, after the bank clerk checks the rejected banknote with the naked eye or the like, a process of forcibly storing the banknote in the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ced deposit processing") is performed.
종래, 지폐의 입출금처리를 행하는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4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가 있지만, 이들 장치를 전술한 강제 입금처리에 적용한 경우에는, 은행원이 미리 돈의 종류를 설정하고, 장치측은 그 돈의 종류가 입금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입금하고, 수납후에는 해당 돈의 종류의 현금 카운터를 매수만큼 플러스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as the apparatus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there are apparatuse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4, but when these apparatuses are applied to the aforementioned forced deposit processing, the banker sets the kind of money in advance, The deposit was made on the premise that the kind of money was deposited, and after receipt, the cash counter of the kind of money was added by the number of copies.
[선행기술 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Documents]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2-23569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235695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07-23998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7-239980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4-240710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40710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 2004-318335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18335
그렇지만,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장치를 강제 입금처리에 적용한 경우, 고객으로부터 은행원이 맡은 지폐로서 확실하게 진권으로 오퍼레이터가 인식한 지폐를, 강제 입금처리로 장치 내에 입금 수납해서 마치 통상 입금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입금 금액을 호스트 컴퓨터에 통지하여 그 거래를 성립시키는 것이지만, 은행원이 잘못해서 위조권에 대해서 강제 입금처리를 적용해서 수납해 버릴 위험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4 is applied to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banknotes that are recognized by the operator as authentic bills by customers from the customer as a banknote entrusted by the customer are stored in the apparatus by the forced deposit process and processed as if they were normally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the deposit amount is notified to the host computer to establish the transac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banker may mistakenly store the counterfeit right by applying a forced deposit process.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in a liqu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liquor such as banknotes or securities, a liquor processing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storing a counterfeit right are required.
제 1의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는, (1)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2)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low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counterfeit right is a counterfeit right, and (2) an input discriminated into a counterfeit right by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The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means which does not accept a plenum, and (3)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plethorace accommodating means which accommodates the injecting sensation discriminated by the said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as being not a counterfeit right.
제 2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를, (1)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2)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ording medium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computer mounted in the apparatus for handling wind flow is (1) a counterfeit right or not with respect to the inputted flow rate, and (2) the counterfeit. It functions as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means which does not accept the input right into which the discrimination right was discriminated by the counterfeit right means, and (3) the countersew storing means which accommodates the inflow into which the said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was not recognized as a counterfeit right.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제 3의 본 발명의 권류 처리방법은, (1)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2) 위조권 감별수단, 위조권 처리수단, 권류 수납수단을 갖고,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은,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적어도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고, (4) 상기 위조권 처리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고, (5) 상기 권류 수납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20] The third method of handling the present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flow 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the flow of water, comprising (2) a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a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means, and a counterweight accommodating means, and (3)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The means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a counterfeit right is at least a counterfeit right, and (4) The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means does not accept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ed by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by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5) The said winding storage means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the injection winding classified by the said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means as not being a counterfeit right.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ocesses the windings, such as banknotes and securities, the frequency of storing a counterfeit right can be reduced.
(A) 제 1 실시예(A) 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1st Example of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winding process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nknote dispenser will be described.
(A-1) 제 1 실시예의 구성(A-1) Configuration of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this embodiment.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지폐를 출납하는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은행의 은행원 등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지폐가 투입되면 수납하거나, 은행원의 조작에 따라 지폐를 지불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은행의 은행원 등, 지폐 입출금기(100)(권류 처리장치)의 조작을 행하는 자를 「오퍼레이터」라고도 한다.The
지폐 입출금기(100)는, PC부(2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고, 입출금의 결과에 대하여 PC부(20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banknote deposit and
PC부(200)는, 오퍼레이터가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처리를 행할 때의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대하여 지폐의 입출금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PC부(200)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데이터 처리(트랜잭션)를, 호스트 컴퓨터(이하, 「HOST」라고 한다)(300)와의 사이에서 행한다.The PC
지폐 입출금기(100)는, 제어부(101), 입금구(入金口)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 인식부(107)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인 지폐의 출납이나 수납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나, 지폐의 인식을 행하는 센서 부분 등의 이외는, 지폐의 처리에 관한 정보처리, 프로파일 정보의 등록 등을 실행하기 위한 CPU, ROM, RAM 등을 갖고 있어,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권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이 인스톨되어 있다. 전술한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지폐 입출금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면 도 1과 같이 된다.The banknote deposit and
제어부(101)는, 지폐 입출금기(100) 전체의 제어를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PC부(200)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어, PC부(2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The
입금구부(102)는, 오퍼레이터가 지폐 입출금기(100)에 지폐를 입금하는 지폐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출금구부(103)는, 예를 들면, 거래가 취소 등에 의해 확정하지 않은 경우나, 위조권 등, 지폐 입출금기(100)로부 터 지폐를 오퍼레이터에게 내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입금구부(102) 및 출금구부(103)는, 기존의 지폐 출금기 등에서 지폐를 입금/출금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The payment opening
지폐 반송로부(106)는, 지폐 입출금기(100) 내부에서, 각 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 등에 있어서 지폐를 반송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The banknote
지폐 수납부(105)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입금한 지폐나 출금할 지폐를 수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 등에 있어서 지폐를 수납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입금/출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를 돈의 종류마다 다른 카세트(박스)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입금할 지폐와 출금할 지폐에 대하여, 각각 별개의 카세트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전용의 카세트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The
인식부(107)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 등을 감별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인식부(107)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강제 입금처리에 관한 구성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일시 보류부(104)는,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와 HOST(300) 사이에서 거래 확정, 즉, 트랜잭션이 확정될 때까지, 강제 입금처리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보류해 두는 것이다.The
PC부(200)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관한 제어와,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의 유 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메인 제어부(201),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 메모리(205)를 갖고 있다. PC부(200)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1대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를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상에, 지폐 입출금기(100)에 관한 제어처리나,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함으로써 구축하여도 되고, 기능적으로는 도 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있어서는, 지폐 입출금기(100)와 PC부(200)는 나뉘어진 장치로 되어 있지만, PC부(200)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폐 입출금기(100)측에 탑재하도록 해도 된다.The
메인 제어부(201)는, PC부(200) 내부의 제어를 행하고, 더구나, I/F부(204)를 통해 지폐 입출금기(100)와 접속하여, 지폐 입출금기(100)에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지시를 주거나, 입출금의 결과에 관한 처리의 실행을 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01)는,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데이터 처리(트랜잭션)를, HOST(300)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The
I/F부(204)는, 지폐 입출금기(100)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The I /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는, 오퍼레이터와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키 입력부(202)에 의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들이고, 화면 표시부(203)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지폐의 처리에 관한 결과 등을 출력한다. 이때,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로서는,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에 탑재되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구성을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The
다음에, 지폐 입출금기(100), 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에 관한 처리 를 행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which performs the process regarding forced deposit in the
강제 입금을 행하는 경우, PC부(200)에서, 오퍼레이터에게,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시키는 것으로 한다. 오퍼레이터에게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시킬 때에는, 화면 표시부(203)에 강제 입금을 행하는 메뉴를 표시(키 입력부(202)의 키 입력에 따라 메뉴 표시를 하도록 하여도 된다)하여, 그 메뉴를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키 입력부(202)에서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하는 전용의 버튼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되며,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구성의 상세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e case of forcibly depositing, it is assumed that the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입금 지폐의 처리에 있어서, 적어도,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와,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의 2개의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키 입력부(202)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한쪽의 모드를 선택하여 적용된다.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식부(107)에서 진권인지의 여부만을 감별하여, 진권으로 감별할 수 있었던 지폐만을, 지폐 수납부(105)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입출금기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되며,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nknote deposit and
PC부(200)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되면, PC부(200)에서는, I/F부(204)를 통해 「강제 입금」의 지시를, 지폐 입출금기(100)에 통지한다. 지폐 입출금기(100)의 제어부(101)에 있어서 강제 입금의 지시가, PC부(200)로부터 통지되면, 제어부(101)는, 우선, 인식부(107)에 이번의 입금이 「강제 입금」인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인식부(107)는, 강제 입금인 취지가 통지되면, 그후에 입금구부(102)에서 입금되는 지폐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한다.In the
인식부(107)에 있어서,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폐의 외형 사이즈를 검지하여 정확한 외형 사이즈인지의 여부에 따라 감별해도 되고(예를 들면, 정확한 외형 사이즈와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라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해도 된다), 지폐의 인쇄 패턴이나 자기 패턴을 검지하여 기지의 위조권 패턴과 일치하는지 아닌지(기지의 위조권 패턴을 미리 등록해 둔다)에 따라 감별해도 되고, 복수의 감별방법을 조합하여 평가하도록 하여도 되고,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인식부(107)에 있어서,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구성으로서는, 기존의 위조권 감별기 등에서 위조권을 감별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인식부(107)에 있어서, 외형 사이즈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지폐의 외형 사이즈(예를 들면, 종횡의 치수나 두께 등)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입금을 예정하고 있는 돈의 종류마다 등록해 두고,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아닌지로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인식부(107)는, 입금된 지폐의 외형 사이즈 등에 근거하여 돈의 종류를 감별 하고, 감별된 지폐의 돈의 종류를 제어부(101)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강제 입금된 지폐의 돈의 종류 및 매수를 인식하도록 해도 된다. 인식부(107)에 있어서,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외형 사이즈에 근거하여 감별해도 되고, 인쇄 패턴에 의해 감별(예를 들면, 지폐의 액면의 부분을 스캐닝하여 감별)해도 되고, 복수의 감별방법을 조합하여 평가하도록 해도 되고,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The
인식부(107)는, 지폐의 외형으로부터 돈의 종류를 확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1)에 통지하고, 인식 완료의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일시 보류부(104)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로부터, 상위 I/F부를 거쳐, 인식한 지폐의 돈의 종류와 매수 정보가, PC부(200)의 메인 제어부(201)에 통지된다.The
그후 오퍼레이터의 「확정」 조작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201)로부터 수납 지시가 제어부(101)에 통지되어 일시 보류부(104)의 지폐는 인식부(107)를 통해 지폐 수납부(105)의 돈의 종류마다의의 카세트에 수납된다. 이때의 인식부(107)의 처리도 외형 및 위조권의 감별을 행하는 강제 입금 모드에서 실시된다.Then, in the "confirmation"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storing instruction is notified from the
(A-2) 제 1 실시예의 동작(A-2)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winding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banknote dispenser of the firs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은,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의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forced deposit in the banknote teller 100 (PC unit 200).
우선, 몇번 입금하여도 리젝트되는 지폐가 존재한 경우, 오퍼레이터에 의해, PC부(200)에 있어서,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메뉴 선택 등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한다(S101). 이때, 강제 입금 이전에, 오퍼레이터가 육안으로 진권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re is a banknote rejected no matter how many times the deposit is made, a signal indicating that a forced deposit is made by the operator using the
PC부(200)에서는,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면, 지폐 입출금기(100)(제어부(101))에 대하여,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어, 제어부(101)에서 그 처리가 개시된다(S102).In the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면, 제어부(101)에 의해 인식부(107)에 강제 입금 지시가 통지된다(S103).When the instruction of the forced deposit start is notified, the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가 입금구부(102)에 투입되면(S104), 입금구부(102)에 의해 투입된 지폐가 받아들여져, 다시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받아들인 지폐가 인식부(107)로 반송되고, 인식부(107)에 의해, 그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외형 사이즈에 의해 감별)하고, 다시 그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가 감별된다(S105).And when a banknote which becomes a target of forced deposit is put into the
그리고, 전술한 스텝 S105의 감별결과에 대하여 평가가 행해지고(S106),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7로부터 동작하고,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8로부터 동작한다.And if the evalu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step S105 mentioned above (S106), and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by the
전술한 스텝 S106에 있어서,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 권이 아니다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일시 보류부(104)에 보내져, 일시 보류부(104)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지폐가 보류된다(S107).In the above-mentioned step S106,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by the
한편, 전술한 스텝 S106에 있어서,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인식부(107)로부터,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출금구부(103)로 보내져, 출금구부(103)에 의해 그 지폐가 오퍼레이터에게 되돌려진다(S108).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mentioned step S106,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전술한 스텝 S107 또는 S108의 처리가 종료하면, 입금구부(102)에 오퍼레이터에게서 투입된 지폐의 남은 것의 유무가 판정되어(S109),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남아있는 지폐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 S105로부터 재차 동작하고,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10으로부터 동작한다.When the process of step S107 or S108 mentioned above is complete | finish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mainder of the banknote thrown in by the operator to the
전술한 스텝 S109에서,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반환되지 않고 일시 보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돈의 종류마다의 매수가, 제어부(101)로부터, PC부(200)에 통지되고, 그 정보가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되어, 오퍼레이터에게 출력된다(S110).In step S109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banknotes remain in the
그리고,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된 내용에 문제가 없으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입력부(202)에서, 확정의 신호가 입력(확정 키의 누름)되면(S111), PC부(200)로부터 지폐 입출금기(100)에, 수납 지시가 통지된다(S112).And if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PC부(200)로부터 수납 지시가 통지되면, 일시 보 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수납이 개시되어(S113), 일시 보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가, 지폐 수납부(105)의 돈의 종류마다 지정된 카세트에 수납된다(S114). 이때, 스텝 S114에서, 지폐 수납부(105)에 있어서는, 강제 입금 전용의 카세트를 구비하여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다음에, 지폐 입출금기(100)로부터, PC부(200)에 거래 종료(지폐의 수납 완료)가 통지되고(S115), 더구나, PC부(200)로부터 HOST(300)에 거래 종료가 통지되어(S116), 강제 입금에 관한 처리가 종료된다(S117).Next, from the
(A-3) 제 1 실시예의 효과(A-3)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있어서, 잘못하여 오퍼레이터가 위조권을 보지 못해, 장치에 입금하여도, 지폐 입출금기(100)측에서 위조권으로 판단한 지폐는 반환되므로, 잘못하여 위조권을 거래 성립으로서 지폐 입출금기(100)에 받아들이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In the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있어서, 위조권까지 감별할 수 없는 지폐는, 모두 리젝트되지 않고 지폐 입출금기(100)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잘못하여 위조권을 거래 성립으로서 지폐 입출금기(100)에 받아들이는 빈도를 저감하고, 또한, 고객에게의 지폐 반환의 빈도도 저감할 수 있다.In the
(B) 제 2 실시예(B)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 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flow processing apparatus,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1) 제 2 실시예의 구성(B-1) Configuration of Second Embodiment
제 1 실시예에서는, 강제 입금의 처리에 있어서는, 고정된 감별 기준에 따라 위조권으로 감별된 지폐에 대해서는, 강제 입금의 처리에 상관없이 반환되는 구성이지만, 고정된 감별 기준을 적용하면, 지폐나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위조권으로 감별되어 반환되는 지폐가 다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해 감별할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forced deposit, the bills discriminated by the counterfeit right according to the fixed discrimination criteria are returned regardless of the process of the forced deposi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apparatus,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banknote which is discriminated by a counterfeit right and returned is bundled, in the second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height of the level to be discriminated against the discrimination criterion discriminated by the counterfeit right is provided. have.
도 4는, 본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 및 관련되는 각종 장치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anknote machine and the various device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A)는, 제어부(101A), 입금구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 인식부(107A)를 갖고 있다. 이때, 입금구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이하,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와의 차이를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의 인식부(107)는, 고정된 감별 기준에 근거하여 입금된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고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인식부(107A)는, 후술하는 PC부(200A)로부터 통지되는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을 행하는 레벨(이하, 「위조권 감별 레벨」이라고 한다)에 따른 기준으로 위조권 감별을 행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Although the
예를 들면, 입금 지폐의 외형 사이즈에 따라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권의 정확한 외형 사이즈와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하는 경우에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은 경우에는, 보다 낮은 임계값을 설정하고,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보다 높은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검사 항목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을 경우에는, 보다 많은 검사 항목을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인쇄 패턴이나 자기 패턴 등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센서를 사용하여 지폐를 스캐닝할 때에,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을 경우에는, 보다 고정밀도(고선명)로 스캐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위조권 감별 레벨에 따른 위조권 감별의 기준은, 보다 낮은 위조권 감별 레벨에서 감별되었을 경우에, 인식부(107A)에서 위조권이라고 감별되어 반환되는 확률이 보다 낮아지는 것이면, 그 기준의 설정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discriminating whether it is a counterfeit right or not according to the external size of a banknote, when discriminating that it is not a counterfeit right when the difference with the exact outline size of a true ticket is below a threshold, When the level is higher, a lower threshold value may be set, and when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lower, a higher threshold value may be set. For example, when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counterfeit right is based on a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when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higher, more inspection items may be applied. For example, when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counterfeit right is based on a printing pattern, a magnetic pattern, or the like, when scanning a bill using a sensor, when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higher, more high precision (high definition) Scanning may be performed. As such,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on of counterfeit right according to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that if the discrimination level at the lower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lowered, the probability that the
제 2 실시예의 제어부(101A)는, 전술한 인식부(107A)에, 위조권 감별에 있어서 적용할 위조권 감별 레벨의 정보가, PC부(200A)에서 주어지면, 그것을 인식부(107A)에 통지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01)와 다르다.The
제 2 실시예의 PC부(200A)는, 메인 제어부(201A),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 메모리(205)를 갖고 있다. 이때,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다.The
메인 제어부(201A)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키 입력부(202)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입력하게 하여,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205)에 유지시키고, 지폐 입출금기(100A)에 강제 입금의 처리의 개시를 지시할 때, 메모리(205)가 유지하고 있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지폐 입출금기(100A)에 제공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The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에 있어서, 장치 설정 모드 등의 특수 모드 또는 특수 유틸리티 등을 구비하여, 키 입력부(202)에서 설정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을 입력시키고, 화면 표시부(203)에서 그 레벨을 확인한 후, 키 입력부(202)에서 「확정」에 상당하는 키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지면, 그 데이터를 메모리(205)(전원이 OFF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키 입력부(202)에 있어서, 위조권 감별 레벨을 높이는 버튼이나, 낮추는 버튼을 구비하도록 해도 되고,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As a method for inputting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formation to the operator, for example, the
(B-2) 제 2 실시예의 동작(B-2)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및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setting of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and the operation of forced deposit processing (winding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banknote machin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2-1)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동작(B-2-1) Setting operation of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도 5는, 지폐 입출금기(100A)(PC부(200A))에 있어서,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 the
우선, 오퍼레이터의 키 입력부(202)에의 조작에 따라, PC부(200A)에서, 위조권 감별 레벨 설정 모드의 메뉴 조작으로 이행한 것으로 한다(S201).Firs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to the
그리고, 그 위조권 감별 레벨 설정 모드의 메뉴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오퍼레이터의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입력(S202)되면, 설정된 위조권 감별 레벨이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되고, 그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입력부(202)의 확인 키가 눌러지면(S203, S204), 전술한 스텝 S202에서 입력된 위조권 감별 레벨이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로서, 메모리(205)에 보존된다(S205).In the menu of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setting mode, when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to be set is input by the operator using the
(B-2-2) 강제 입금처리의 설정 동작(B-2-2) Setting operation of forced deposit processing
도 6 및 도 7은,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의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forced deposit in the banknote teller 100 (PC unit 200).
우선, 몇번 입금하여도 리젝트되는 지폐가 존재한 경우, 오퍼레이터에 의해, PC부(200A)에서,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메뉴 선택 등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한다. 이때, 강제 입금 이전에, 오퍼레이터가 육안으로 진권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re is a banknote rejected no matter how many times the deposit is made, the operator in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a forced deposit is made by the operator using the
PC부(200A)에서는,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면, 지폐 입출금기(100A)(제어부(101A))에 대하여, 강제 입금 개시의 통지(S301)와 함께, 메모리(205)에 유지되어 있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가 통지되어(S302), 제어 부(101A)에서 그 처리가 개시된다(S303).In the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면, 제어부(101A)에 의해 인식부(107A)에 강제 입금 지시가 통지된다(S304).When the instruction of the forced deposit start is notified, the forced deposit instruction is notified by the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가 입금구부(102)에 투입되면(S305), 입금구부(102)에 의해 투입된 지폐가 받아들여지고,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받아들인 지폐가 인식부(107A)로 더 반송되어, 인식부(107A)에 의해, 그 지폐의 돈의 종류가 감별(외형 사이즈에 의해 감별)되고, 그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가, 전술한 스텝 S302에서 통지된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에 근거한 위조권 감별 레벨의 모드를 사용하여 더 감별된다(S306).And when a banknote which becomes a target of forced deposit is put into the
그리고, 전술한 스텝 S305의 감별 결과에 대하여 평가가 행해져(S307),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08로부터 동작하고,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09로부터 동작한다.Then, the evaluation is performed on the differentiation result of step S305 mentioned above (S307), and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전술한 스텝 S307에서,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니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일시 보류부(104)로 보내져, 일시 보류부(104)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지폐가 보류된다(S308).In the above-mentioned step S307,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by the
한편, 전술한 스텝 S307에서,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인식부(107A)로부터, 지폐 반송 로부(106)를 통해, 출금구부(103)로 보내져, 출금구부(103)에 의해 그 지폐가 오퍼레이터에게 되돌려진다(S309).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knote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전술한 스텝 S308 또는 S309의 처리가 종료하면, 입금구부(102)에 오퍼레이터에 투입된 지폐의 남은 것의 유무가 판정되어(S310),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남아있는 지폐에 대해 전술한 스텝 S306으로부터 다시 동작하고,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11로부터 동작한다.When the process of step S308 or S309 mentioned above is complete | finish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mainder of the banknote put into the operator in the
이후, 스텝 S311~S318의 동작은, 상기 한 제 1 실시예의 스텝 S110~S117과 동일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bsequently, the operations of steps S311 to S318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S110 to S117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3) 제 2 실시예의 효과(B-3) 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덧붙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제 1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지폐 입출금기(100)측에서 위조권으로 판단한 지폐는 반환하기 때문에, 강제 입금에도 불구하고 반환율이 많아졌을 경우 편리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A)에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해 감별하는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환율을 저감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 다른 실시예(C)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은, 상기 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서 예시하는 것과 같은 변형 실시예도 들 수 있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said Example, The modified example as illustrated below is also mentioned.
(C-1) 상기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대하여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품판매나 서비스업 등의 점포에서 설치되는 레지스터 단말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C-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roll processing apparatus is applied to the banknote dispenser is described, but may be applied to a register terminal provided at a store such as merchandise sales or a service business.
또한,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가 처리대상으로 하는 권류는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수표, 금권, 주권, 어음 등의 유가증권이라도 된다.In addition, in each said Example, although the example which applied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o the banknote dispenser was demonstrated, the banknote which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argets a process is not limited to a banknote, but checks, a banknote, Securities such as sovereignty and bills may be used.
(C-2)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진권으로 감별할 수 없어 리젝트된 지폐에 대해,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지폐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진권으로 감별할 수 없었던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치에서 감별된 지폐 등이라도 되고,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C-2) 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forced deposit processing is performed on banknotes that cannot be discriminated by true bills and rejected i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has been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o the bill which cannot be discriminated by a true ticket in a teller machine, The banknote etc. which were discriminated by another apparatus may be used, and it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한 각 실시예에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강제 입금처리가 아닌 통상시의 모드에 있어서는, 입금된 지폐를 진권인지 아닌지 감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해당 지폐 입출금기를 강제 입금처리 전용의 장치로서 구축하고, 상기 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구성을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is described as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that have been deposited are authentic in the normal mode other than the forced deposit process. In addition, you may abbreviate | omit the structure which performs the process regarding the above-mentioned normal deposit process.
(C-3)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외형 사이즈 등에 근거하여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 지만, 지폐의 돈의 종류의 감별을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입금되는 지폐의 돈의 종류의 감별을 생략할 때에는, 오퍼레이터에게 미리 입금하는 지폐의 돈의 종류이나 매수를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된다.(C-3)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lthough the processing of discriminating the types of money of the bills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appearance and the like of the bills deposited therein, the types of money of the bills are discriminated. You may omit it. When omitting discrimination of the kind of money of the banknote to be deposited, an operator may be made to input the kind and number of money of the banknote to deposit beforehand.
(C-4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PC부의 메모리에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미리 등록시키고, 강제 입금 처리시에 지폐 입출금기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강제 입금 처리시마다,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미리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등록할 때에는, 지폐 입출금기측에서 그 정보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된다.(C-4)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emory of the PC unit, and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banknote dispenser is provided at the time of forced deposit processing. Forgery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formation may be input. In addition, when registering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formation beforehand, you may make it hold | maintained at the banknote machine.
(C-5)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기 및 PC부는, HOST의 아래에서 동작하는 단말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지폐 입출금기 및 PC부는,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장치로서 구축해도 된다.(C-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banknote teller and the PC part are described as terminals operating under the HOST, but the banknote teller and the PC part may be constructed as a device that operates in a standalone manner.
(C-6)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강제 입금된 지폐가 위조권이었을 경우에는, 출금구부로부터 지폐를 오퍼레이터에게 반환하는 것 뿐이었지만, 그 밖에도 강제 입금의 처리결과에 대해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식부에 의한 감별 결과에 따라 점등하는 램프를 구비하여, 오퍼레이터에게 감별결과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스피커를 구비하여 음성에 의해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PC부의 화면 표시부 위에 감별 결과(예를 들면, 「위조권을 발견했으므로 반환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시켜서, 오퍼레이터에 출력 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에서, 감별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C-6)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banknote dispensing machine, when the forced banknote was a counterfeit right, only the banknote was returned from the withdrawal unit to the operator. You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to output. For example, a lamp may be provided that lights up in accordance with the discrimination result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operator may output the discrimination result, or a speaker may be output by audio. In addition, you may display a discrimination result (for example, "I returned it because I found a counterfeit right") on the screen display part of a PC part, and output it to an operator. In this way, a method of outputting a discrimination result in a banknote machine is possible. It is not limited.
(C-7)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강제 입금 처리시에, 오퍼레이터에게, PC부의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하려고 하는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입력시키록 하여, 인식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감별에서, 입력시킨 정보도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강제 입금처리를 행할 때에, 오퍼레이터에게 「1만엔 짜리×3매, 천엔 짜리×2매」 등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돈의 종류에 대하여, 돈의 종류의 감별이나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 등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미리 강제 입금되는 돈의 종류가 입력됨으로써, 그 이외의 돈의 종류에 대해서는 감별이 필요가 없어지므로, 인식부에서의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다.(C-7)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during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the operator is allowed to input the type and number of bills to be forcibly deposited using the
(C-8)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하여 감별하는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입금 지폐의 반환율을 조절할 수 있다. 더구나,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지 않고 지폐를 수납하는 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위조권 감별 레벨을 최저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입금 지폐가 반환되어 버리는 경우에도, 전술한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그 지폐를 확실하게 입금할 수 있다.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전술한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지 않는 모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기동하도록 해도 되고, 연속하여 소정 회수 입금 지폐가 반환되어 버리는 경우 등에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C-8) In Example 2, since the structure which sets the height of the level which discriminates with respect to the discrimination standard discriminated by a counterfeit right is provided, the return rate of a banknote can be adjusted. Moreover,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mode which accommodates a banknote, without making a judgment as to whether a banknote is a counterfeit right or not. For example, even when the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s set to the minimum, even when the banknote is returned, the banknote can be reliably deposi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ode. In the banknote dispensing machine, for the mod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deposit banknote is not judged as a counterfeit right or not, the mode may be activated by an operator's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collected banknotes are continuously returned. You may do so.
도 1에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nknote teller machine (window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1)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1 of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wind flow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2)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2 of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wind flow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nknote teller machine (window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or setting counterfeit right discrimination level information in a banknote teller machine (window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1)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1 of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window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2)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2 of the forced deposit processing in the banknote teller machine (window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100... Banknote Teller Machine (Wound Processing Device)
101…제어부 102…입금구부101...
103…출금구부 104…일시 보류부103...
105…지폐수납부 106…지폐 반송로부105...
107…인식부 200…PC부107...
201…메인 제어부 202…키 입력부201... ..
203…화면 표시부 204…I/F부203...
300…HOST300... HOST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00480A JP2010160532A (en) | 2009-01-06 | 2009-01-06 | Ticket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
JPJP-P-2009-000480 | 2009-0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915A KR20100081915A (en) | 2010-07-15 |
KR101162621B1 true KR101162621B1 (en) | 2012-07-05 |
Family
ID=4250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4183A KR101162621B1 (en) | 2009-01-06 | 2009-10-05 | Bill handling machine, recording medium and bill handling method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0160532A (en) |
KR (1) | KR101162621B1 (en) |
CN (1) | CN10177066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65241B2 (en) * | 2010-09-28 | 2014-08-06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
CN103971447B (en) * | 2013-02-04 | 2017-11-14 |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 Paper money identifier and its processing method and bill handling state recording method |
JP6225476B2 (en) * | 2013-05-16 | 2017-11-08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Cash transaction equipment |
CN103996240B (en) * | 2014-05-06 | 2016-08-24 |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bank note turnover money system |
JP2016206873A (en) * | 2015-04-21 | 2016-12-08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JP2017102843A (en) * | 2015-12-04 | 2017-06-08 |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Currency processing machine |
JP6680742B2 (en) | 2017-10-31 | 2020-04-15 | 大研医器株式会社 | Magnetic particle collection method and test set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1159B2 (en) * | 1988-02-17 | 1996-03-27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Bill handling equipment |
JPH03113590A (en) * | 1989-09-28 | 1991-05-14 | Oki Electric Ind Co Ltd | Paper money discriminating method |
JP2942136B2 (en) * | 1994-02-28 | 1999-08-30 |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POS money handling system |
JP3537697B2 (en) * | 1999-03-10 | 2004-06-14 |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Banknote sorter |
JP2003308553A (en) * | 2002-04-16 | 2003-10-31 | Toshiba Corp | Bill receiving/paying device and bill receiving device |
KR100729299B1 (en) * | 2005-12-27 | 2007-06-19 | 코어뱅킹서비스(주) | Multifunctional Cash Dispenser |
JP2007226592A (en) * | 2006-02-24 | 2007-09-06 | Toshiba Corp | Paper sheet processor |
-
2009
- 2009-01-06 JP JP2009000480A patent/JP2010160532A/en active Pending
- 2009-10-05 KR KR1020090094183A patent/KR10116262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0 CN CN200910206087.7A patent/CN10177066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160532A (en) | 2010-07-22 |
KR20100081915A (en) | 2010-07-15 |
CN101770664A (en) | 2010-07-07 |
CN101770664B (en) | 201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2621B1 (en) | Bill handling machine, recording medium and bill handling method | |
CN102768782B (en) | Banknote deposit machine | |
CN101339676B (en) | Paper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101301A1 (en) |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 |
US9495844B2 (en) | Money handling machine, money handling system and money handling method | |
JP4309232B2 (en) | Banknote transaction apparatus, banknote transaction method, and banknote transaction program | |
JP5778073B2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 |
KR101223316B1 (en) | Paper sheet discrimination system, paper sheet discrimination method, and paper sheet treating apparatus | |
JP2009146309A (en) |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JP2017041116A (en) | Currency processing device | |
JP5866834B2 (en) | Cash processing equipment | |
JP2008052486A (en) |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 |
CN102870141B (en) | Pay the method for bank note by ATM and perform the ATM of the method | |
KR10233622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escrow function of paper money depositor | |
JP2014220001A (en) | Paper money processing apparatus | |
JP6175950B2 (en) | Cash processing equipment | |
JP6245029B2 (en) | Media trading device | |
JP5463744B2 (en) | Tick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70042698A (en) | Financial automated equipment and method equipped with bad bank deposit | |
JP2010282256A (en) | Transaction processing equipment | |
JP2017134509A (en) | Transaction device | |
JP4128666B2 (en) |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 |
JP6631211B2 (en) | Cash processing equipment | |
JP2003162751A (en) | Cash processing equipment | |
WO2015087605A1 (en) | Cash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