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23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223B1 KR101162223B1 KR1020110057268A KR20110057268A KR101162223B1 KR 101162223 B1 KR101162223 B1 KR 101162223B1 KR 1020110057268 A KR1020110057268 A KR 1020110057268A KR 20110057268 A KR20110057268 A KR 20110057268A KR 101162223 B1 KR101162223 B1 KR 101162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input
- pattern
- menu
- poi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 1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1 메뉴 및 제 2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2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와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소인 제 1 이동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대인 제 2 이동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제 1 이동거리 및 상기 제 2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과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한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터치 입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리 입력받은 복수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제 1 패턴의 터치입력과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한 포인터 임계거리를 결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입력을 오류로 처리하고 기존의 포인터 임계 이동거리를 유지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플리킹 입력을 받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포인터에 대해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플리킹 입력을 받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플리킹 입력을 기초로 제 1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시간 간격 동안 복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받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포인터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받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제 2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8)
- 제 1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1 메뉴 및 제 2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2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소인 제 1 이동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대인 제 2 이동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제 1 이동거리 및 상기 제 2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과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한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은 플리킹 입력이고,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은 아이콘 또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리킹 입력 중 적어도 한번 이동 방향이 변경된 플리킹 입력을 오류 입력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이동거리는 상기 제 1 이동거리 및 상기 제 2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동거리가 상기 제 1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기존의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동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기존의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동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류로 판단하고 기존의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패턴의 터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 1 이동거리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는 기 설정된 복수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패턴의 터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 2 이동거리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1 메뉴 및 제 2 패턴의 터치를 복수회 입력받기 위한 제 2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소인 제 1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 중 최대인 제 2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거리 및 상기 제 2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과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한 포인터의 임계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은 플리킹 입력이고,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은 아이콘 또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이동거리는 상기 제 1 이동거리 및 상기 제 2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를 통해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패턴의 터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 1 이동거리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의 터치는 기 설정된 복수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패턴의 터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 2 이동거리는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포인터 이동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268A KR101162223B1 (ko) | 2011-06-14 | 2011-06-1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EP12153663.5A EP2535796B1 (en) | 2011-06-14 | 2012-02-02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3/365,118 US8963837B2 (en) | 2011-06-14 | 2012-02-02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268A KR101162223B1 (ko) | 2011-06-14 | 2011-06-1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2223B1 true KR101162223B1 (ko) | 2012-07-05 |
Family
ID=4560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2223B1 (ko) | 2011-06-14 | 2011-06-1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963837B2 (ko) |
EP (1) | EP2535796B1 (ko) |
KR (1) | KR1011622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99358B (zh) * | 2012-06-20 | 2017-08-08 |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 光标显示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
US9317183B2 (en) * | 2013-08-20 | 2016-04-19 | Google Inc. | Presenting a menu at a mobile device |
US10891044B1 (en) * | 2016-10-25 | 2021-01-12 | Twitter, Inc. | Automatic positioning of content items in a scrolling display for optimal viewing of the items |
US11526235B1 (en) * | 2021-05-18 | 2022-12-1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nhancing a touch driver oper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11456B2 (en) * | 1992-06-08 | 2011-03-22 | Synaptics Incorporated |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
US7761814B2 (en) * | 2004-09-13 | 2010-07-20 | Microsoft Corporation | Flick gesture |
JP4646991B2 (ja) * | 2008-02-14 | 2011-03-09 |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 選択判定装置、選択判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KR20110015585A (ko) * | 2008-05-14 | 2011-02-16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다중 터치 입력의 위치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
US8174503B2 (en) * | 2008-05-17 | 2012-05-08 | David H. Cain |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
CA2739760C (en) * | 2008-10-06 | 2016-12-06 | Tat The Astonishing Tribe Ab |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invocation |
US8542251B1 (en) * | 2008-10-20 | 2013-09-24 | Google Inc. | Access using image-based manipulation |
US20100097324A1 (en) * | 2008-10-20 | 2010-04-22 | Dell Products L.P. | Parental Controls Based on Touchscreen Input |
KR101521925B1 (ko) | 2008-11-07 | 2015-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
KR101650102B1 (ko) * | 2009-09-22 | 2016-08-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
CN101963863B (zh) * | 2010-09-30 | 2015-07-08 | 华为终端有限公司 | 用户触摸操作模式自适应的方法和装置 |
US9104308B2 (en) * | 2010-12-17 | 2015-08-11 |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Multi-touch finger registration and its applications |
JP5651494B2 (ja) * | 2011-02-09 | 2015-01-14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WO2013032187A1 (en) * | 2011-09-01 | 2013-03-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unlock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
TWI436234B (zh) * | 2011-11-07 | 2014-05-01 | Shuttle Inc | 行動裝置的解鎖方法,使用該方法的行動裝置及應用程式 |
JP5869316B2 (ja) * | 2011-11-25 | 2016-02-24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型電子機器 |
US9071970B2 (en) * | 2011-12-05 | 2015-06-30 | Sony Corporation | Terminal device |
US20130160095A1 (en) * | 2011-12-14 | 2013-06-20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challenge response input mechanism |
-
2011
- 2011-06-14 KR KR1020110057268A patent/KR1011622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2-02 US US13/365,118 patent/US896383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2 EP EP12153663.5A patent/EP253579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35796B1 (en) | 2019-04-03 |
EP2535796A3 (en) | 2017-09-20 |
US8963837B2 (en) | 2015-02-24 |
US20120319948A1 (en) | 2012-12-20 |
EP2535796A2 (en) | 2012-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501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 |
KR10180276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07184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33332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11384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7927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3012552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5614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 |
KR101688150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 |
KR10206376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0002332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4998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 |
KR1018421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46968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 |
KR101521925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 |
KR10116222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80315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29922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13037B1 (ko) | 터치센서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 |
KR20110061235A (ko) | 단말기 및 제어 방법 | |
KR2013008191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9538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 |
KR2010010177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08061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2977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