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1726B1 -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726B1
KR101161726B1 KR1020090131638A KR20090131638A KR101161726B1 KR 101161726 B1 KR101161726 B1 KR 101161726B1 KR 1020090131638 A KR1020090131638 A KR 1020090131638A KR 20090131638 A KR20090131638 A KR 20090131638A KR 101161726 B1 KR101161726 B1 KR 10116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metal plate
opening
decorative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241A (ko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102009013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7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 내지 차음 등과 같은 기능성이 우수한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 금속판재;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에 설치되고,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와 장식판 사이의 중공부 내에 개재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는 그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기 장식판의 이면에는 불투명 색상의 이면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 패널, 금속판재, 합성수지 발포체, 이면층

Description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INSULATION PANEL WITH DECORATIVE PLATE}
본 발명은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적인 장식성 뿐만 아니라 단열, 차음 등과 같은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 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 때의 벽체를 커튼월이라고 하며, 한국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근대적인 건축양식으로 특히 외장용(外粧用)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커튼월은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된다. 높이가 100 m 이상의 건물이면 외부에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건물의 외관도 공업적인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고층건축에서는 건물의 자체중량이 기둥이나 보의 굵기에 큰 영향이 있으므로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커튼월에는 가벼운 재료가 사용된다. 외면에 사용하는 마무리 재료에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청동 ?법랑철판 등의 금속판이 사용되며, 단열재로는 암면(岩綿) ?유리솜 등의 가볍고 효율이 큰 것이 사용된다. 개구부(開口部)는 유리가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실내를 공기조절하는 건물이 많기 때문에 개폐하는 경우가 적고 따라서 붙박이창도 많다. 사용되는 유리는 열손실을 방지하는 뜻에서 이중유리나 열선흡수(熱線吸收) 유리 등과 같은 유리 장식재가 주로 사용되는데, 외부에 곤돌라를 상설(常設)해 두고 청소하는 방식의 것이 많다. 그 대표적인 건물의 예로 뉴욕에 있는 국제연합 빌딩이 있다.
이와 같은 커튼월에 이용되는 유리 장식재는 그 외부 장식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인해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콘크리트 내지 금속패널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또는 마모 등이 발생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지만, 유리 장식재의 경우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그 유지/보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유리 장식재는 색유리, 반사유리, 선세이드유리, 강화유리 등과 같은 유리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단열 내지 차음 등과 같은 기능성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단열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외부의 직사광선을 유리 장식재가 그대로 받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온도가 급격하게 증대되어 그 냉방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유리 장식재를 통해 실내의 열이 외부로 쉽게 방출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난방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유리 인테리어 장식재는 유리재질이 주재료로 구성됨에 따라 그 시공 내지 취급 시에 파손 내지 흠집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시공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관적인 장식성 뿐만 아니라 단열, 차음 등과 같은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내지 취급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 금속판재;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에 설치되고,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와 장식판 사이의 중공부 내에 개재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는 그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기 장식판의 이면에는 불투명 색상의 이면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장식판은 유리, 아크릴수지, 집광패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패널의 마주보는 양측면부는 상호 대응되게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의 절곡된 측면부에는 조립돌기 및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각각은 그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의 각 개구부에는 한 쌍의 장식판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각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단일의 금속판재;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판; 및
상기 금속판재와 장식판 사이의 중공부 내에 개재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기 장식판의 이면에는 불투명 색상의 이면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와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는 합성수지 발포체를 설치함과 더불어 일측에 유리, 아크릴수지, 집열패널 등과 같은 무색성을 가진 장식판을 적용함으로써 외관적인 장식성 뿐만 아니라 단열, 차음 등과 같은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 측면부에 조립돌기 및 조립홈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내지 취급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열패널(10)은 외부 장식성 및 기능성(단열, 차음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10)은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금속판(11, 1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유리, 아크릴수지, 집광패널 등과 같은 장식판(15)이 설치되며, 장식판(15)의 이면에는 불투명의 이면층(16)이 배치되고, 금속판재(11, 12)들과 장식판(15) 사이의 중공부에는 합성수지 발포체(13)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은 패널의 사용용도, 설치위치, 그외 주변 여건 등에 따라 그 외형이 롤 성형기를 통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은 양 측면부가 절곡됨으로써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의 각 절곡된 측면부 및 중공부들은 서로 근접한다.
합성수지 발포체(13)는 발포폴리스타이렌(EPS)나 우레탄폼과 같은 유기단열재, 폴리에스테르 흡음단열재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 그라스울이나 미네랄울과 같은 무기단열재 등과 같이 단열성, 난연성, 내화성 등이 뛰어난 합성수지계열의 발포체로서,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와 장식판(15) 사이의 중공부에서 발포 내지 양생됨으로써 합성수지 발포체(13)는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와 장식판(15)에 의해 샌드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장식판(15)은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판재(11, 12)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단열패널(10)이 건물의 커튼웰 등을 구성하는 외장재로 이용될 경우,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중에서 건물의 외부공간과 인접하는 금속판재 측에 설치되고,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금속 판재(11) 측에 장식판(15)이 설치됨을 예시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금속판재(11)에는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a)의 개구 가장자리(11b) 내면에는 장식판(15)의 가장자리(15a)가 부착됨으로써 장식판(15)는 제1금속판재(11)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판(15)의 가장자리가 금속판재(11)의 개구 가장자리 측에 부착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장식판(15)이 금속판재(11)측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식판(15)은 유리, 아크릴수지, 집광패널 등과 같이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고, 이에 장식판(15)은 그 자체로 투명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각종 안료, 도료 등이 착색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장식판(15)에 집광패널이 이용될 경우에는 장식판(15)측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접속됨으로써 태양광 발전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식판(15)의 이면에는 불투명한 색상을 가진 불투명 이면층(16)이 배치되고, 이 불투명 이면층(16)에 의해 합성수지 발포체(13)의 색상 또는 모양 등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불투명 이면층(16)은 장식판(15)의 이면에 다양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그외에 다양한 색상을 가진 필름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불투명 이면층(16)은 다양한 색상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식판(15)의 외관 장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패널(10)은 그 양측에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을 형성하고, 이러한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의 절곡된 측면부에서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를 통해 인접하는 단열패널(10, 10')들의 조립 내지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된다.
본 제1실시예의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패널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 각각은 그 일측에 상호 대응하는 2 이상의 단턱(18a, 18b, 19a, 19b)을 가진 구조로 구성되고,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단열패널(10, 10')은 그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이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2 이상의 단턱(18a, 18b, 19a, 19b)을 가진 구조로 인해 그 조립 시에 인접하는 단열패널(10, 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조립간격(t1)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1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2실시예의 단열패널(10)에 따른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단열패널(10)의 중심선(C)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형성되고,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 각각은 그 일측에 상호 대응하는 1개의 단턱(18c, 19c)을 가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는 1개의 단턱(18c, 19c)을 가진 구조로 인해 그 조립 시에 인접하는 단열패널(10, 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조립간격(t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1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3실시예의 단열패널(10)에 따른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단열 패널(1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조립돌기(19) 및 조립홈(19)의 조립간격(t3)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 보다 좁게 형성되어 단열패널(10, 10')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형태의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은 칸막이 등과 같이 건물의 실내공간에 이용되는 내장재에 주로 이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1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4실시예의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에 장식판(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제4실시예의 단열패널(10)은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에 장식판(15)가 설치됨으로써 칸막이 등과 같이 건물의 실내공간에 이용되는 내장재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은 개구부(11a, 12a)를 가지고, 이 개구부(11a, 12a)의 개구가장자리(11b, 12b)에는 내면에는 각 장식판(15)의 가장자리(15a)가 부착됨으로써 장식판(15)는 각 금속판재(11, 12)측에 결합된다.
이에,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와, 장식판(15) 사이의 중공부에는 합성수지계열의 발포체가 발포 내지 양생됨으로써 합성수지 발포체(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장식판(15)의 이면에는 불투명 이면층(16)이 배치되고, 이 불투명 이면층(16)에 의해 합성수지 발포체(13)의 색상 또는 모양 등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2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5실시예의 단열패널(20)은 단일의 금속판재(21)를 포함하고, 단일의 금속판재(21)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며, 금속판재(21)의 일면에는 개구부(21a)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1a)의 개구 가장자리(21b) 내면에는 장식판(25)의 가장자리(25a)가 부착됨으로써 장식판(25)는 금속판재(21)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판재(21)의 양 측면은 폐쇄되고, 금속판재(21)의 폐쇄된 양 측면에는 조립돌기(28) 및 조립홈(29)이 상호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재(21)의 개구부(21a)가 장식판(25)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금속판재(21)의 중공부 내에는 합성수지계열의 발포체가 발포 내지 양생됨으로써 합성수지 발포체(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판(25)의 이면에는 불투명 이면층(26)이 배치되고, 이 불투명 이면층(26)에 의해 합성수지 발포체(23)의 색상 또는 모양 등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2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6실시예의 단열패널(20)은 단일의 금속판재(21)를 포함하고, 단일의 금속판재(21)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금속판재(21)의 양면(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개구부(21a)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1a)의 개구 가장자리(21b) 내면에는 장식판(25)의 가장자리(25a)가 부착됨으로써 장식판(25)는 금속판재(21)측에 결합 된다.
그리고, 금속판재(21)의 양 측면은 폐쇄되고, 금속판재(21)의 폐쇄된 양 측면에는 조립돌기(28) 및 조립홈(29)이 상호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재(21)의 각 개구부(21a)가 장식판(25)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금속판재(21)의 중공부 내에는 합성수지계열의 발포체가 발포 내지 양생됨으로써 합성수지 발포체(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판(25)의 이면에는 불투명 이면층(26)이 배치되고, 이 불투명 이면층(26)에 의해 합성수지 발포체(23)의 색상 또는 모양 등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10)을 도시한다.
본 제7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10)은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11, 12)에는 장식판(15)이 설치되는 개구부(11a)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11a)의 가장자리에는 장식판(15)의 가장자리가 끼움결합되는 끼움부(31)가 형성된다.
도 8에서는 제1금속판재(11)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각각에 끼움부(31)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끼움부(31)에는 장식판(15)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이에 끼움부(31)는 장식판(15)의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끼움부(31)는 제1금속판재(11)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금속판재(11)의 끼움부(31)에 인접한 부분 내측에는 중공부(38)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38)는 제1금속판재(11)를 건물의 프레임측에 설치함에 있어 체결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그외에도 중공부(38)에 의해 제1금속판재(11)의 전체 중량 및 제조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끼움부(31)와 장식판(15)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부재(32)가 개재되어 있으며, 밀봉부재(32)로는 부칠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2)에 의해 장식판(15)의 가장자리는 보다 기밀하게 제1금속판재(11)의 끼움부(31)측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금속판재(12) 측에도 도 5와 유사하게 개구부 및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1 및 제2 금속판재(11, 12) 각각에 장식판(15)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6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20)을 도시한 것으로, 본 제8실시예는 단일의 금속판재(21)를 포함하고, 단일의 금속판재(21)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금속판재(21)의 일면에는 개구부(21a)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1a)의 가장자리 측에는 끼움부(31)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끼움부(31)에는 장식판(25)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이에 끼움부(31)는 장식판(25)의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끼움부(31)는 금속판재(21)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금속판재(21)의 끼움부(31)에 인접한 부분 내측에는 중공부(38)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38)는 금속판재(21)를 건물의 프레임측에 설치함에 있어 체결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그외에도 중공부(38)에 의해 금속판재(21)의 전체 중량 및 제조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끼움부(31)와 장식판(25)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부재(32)가 개재되며, 밀봉부재(32)로는 부칠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2)에 의해 장식판(25)의 가장자리는 보다 기밀하게 금속판재(21)의 끼움부(31)측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유사하게 금속판재(21)의 타면에도 개구부 및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단일의 금속판재(21)의 양면에 장식판(25)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6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부분 절취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들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단열패널 11, 12: 제1 및 제2 금속판재
13: 합성수지 발포체 15: 장식판
16: 불투명 이면층

Claims (7)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 금속판재;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에 설치되고,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와 장식판 사이의 중공부 내에 개재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재는 그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기 장식판의 이면에는 불투명 색상의 이면층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와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유리, 아크릴수지, 집광패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패널의 마주보는 양측면부는 상호 대응되게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의 절곡된 측면부에는 조립돌기 및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 각각은 그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재의 각 개구부에는 한 쌍의 장식판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각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5. 삭제
  6.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단일의 금속판재;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무색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판; 및
    상기 금속판재와 장식판 사이의 중공부 내에 개재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 내면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부착되며,
    상기 장식판의 이면에는 불투명 색상의 이면층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판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와 상기 장식판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7. 삭제
KR1020090131638A 2009-12-28 2009-12-28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Active KR10116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38A KR101161726B1 (ko) 2009-12-28 2009-12-28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38A KR101161726B1 (ko) 2009-12-28 2009-12-28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41A KR20110075241A (ko) 2011-07-06
KR101161726B1 true KR101161726B1 (ko) 2012-07-02

Family

ID=4491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38A Active KR101161726B1 (ko) 2009-12-28 2009-12-28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84B1 (ko) * 2011-07-08 2013-07-03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101888032B1 (ko) 2011-07-28 2018-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897581B1 (ko) 2016-10-17 2018-09-13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장식용 건축부재
US12275520B2 (en) * 2020-02-11 2025-04-15 The Boeing Company Liquid-diverting panel assemblies
US12269574B2 (en) 2020-02-11 2025-04-08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forming liquid flow paths on a surface of a structure
KR102473823B1 (ko) 2020-08-25 2022-12-05 (주)동양산기 건축물용 외장 금속판재
CN114382206B (zh) * 2022-01-12 2024-04-30 绿丰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快速更换的金属面夹芯板系统
CN114934664A (zh) * 2022-06-23 2022-08-23 乌鲁木齐鑫诺精城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免拆金属模板及制备方法
KR102582682B1 (ko) * 2023-05-16 2023-09-22 홍성형 다기능 캠핑용 그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52Y1 (ko) 1999-10-29 2000-03-15 박덕일 가구용 문짝
JP2000160721A (ja) * 1998-11-26 2000-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カエアロゲル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259722B1 (ko) 1997-01-31 2000-06-15 김상순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722B1 (ko) 1997-01-31 2000-06-15 김상순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JP2000160721A (ja) * 1998-11-26 2000-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カエアロゲル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76152Y1 (ko) 1999-10-29 2000-03-15 박덕일 가구용 문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4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726B1 (ko)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US20230295917A1 (en) Dynamic, fire-resistance-rated thermally insulating and sealing system for use with curtain wall structures
US7827746B2 (en) Hybrid window wall/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105797B1 (ko)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US7937902B1 (en) Rain screen system
CN203034652U (zh) 防火保温一体化幕墙
WO2018009129A1 (en) A curtain wall system, a composite module for a curtain wall system and a building comprising a curtain wall system
KR101577622B1 (ko) 커튼월의 하부받침대 및 유리 고임목 겸용 단열부재
WO2021088312A1 (zh) 一种应用于建筑物的墙单元及组合式墙体
CN1981105B (zh) 外壁或者屋顶的构造以及外壁用外装材料或者屋顶铺设材料
KR100795711B1 (ko)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RU191078U1 (ru) Навесная тёпло-холодная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CN104769195A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70004414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형 마감판넬
KR20170001383A (ko) 구조적 성능을 보강한 비노출형 단열 커튼월 시스템
WO2008132530A1 (en) Profile for insulating a window frame
KR102775833B1 (ko) 슬림 커튼월 시스템
KR20090003626U (ko) 목복합창호
NO344327B1 (en) An improved cladding panel of exterior building walls
CZ17687U1 (cs) Osazovací rá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