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406B1 -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 Google Patents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1406B1 KR101161406B1 KR1020110035290A KR20110035290A KR101161406B1 KR 101161406 B1 KR101161406 B1 KR 101161406B1 KR 1020110035290 A KR1020110035290 A KR 1020110035290A KR 20110035290 A KR20110035290 A KR 20110035290A KR 101161406 B1 KR101161406 B1 KR 101161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underground power
- power tool
- prefabricated underground
-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섹션부(11)와, 이 하부 섹션부(11)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상에 안착될 상부 섹션부(14)로 이루어진 도관(導管)과;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횡방향 빔(31)과 이 한 쌍의 횡방향 빔(31)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빔(32)으로 이루어지고, 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된 하나 이상의 사다리(ladder) 형상의 행거(30);를 구비한 조립식 지중 전력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행거(30)는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사이에 배열되어 도관의 내부공간(20)에 수용된 케이블(40)을 지지하고, 각각의 섹션부(11,12,13,14)가 분리가능하게 상호 체결되어 있으며, 측면 섹션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마다 하나 이상의 교체용 섹션부(13')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ection 11, two side sections 12 and 13 vertically placed on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section 11, and two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duit consisting of an upper section portion 14 to be seated on the two side section portions 12 and 13; A pair of transverse beams 31 arranged in parallel and one or more longitudinal beams 3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transverse beams 31, the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it The at least one ladder-shaped hanger (30) arranged at intervals of the; relates to a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having a. In particular, the hanger 30 is arranged between the two side sections 12, 13 to support the cable 40 received in the inner space 20 of the conduit, each section 11, 12, 13, 14. ) Ar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replacement section 1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ection 13.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지중 전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도로에 매설된 하수 구의 하부 공간에 배열되는 조립식 지중 전력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심지의 경우에는 배전선로 등의 지중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지만, 이면도로의 경우에는 도로가 좁고, 유관 매설물이 많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지중화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생기게 된다.In the case of urban centers, there are some undergroundizations of the distribution lines, but in the case of the backside roads, the roads are narrow and there are many related items, which causes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the undergroundiz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s.
덧붙여서, 종래의 지중화 방식은 도로점용 공간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관매설물이 기 설치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유관매설물을 피해서만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nderground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space for the road point is excessively consumed,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related buried goods are already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avoided buried goods should be installed.
또한, 현재 공지된 지중화 방식으로는 공가(拱架) 설비를 완전히 지중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ly known undergrounding method reveals a limitation in not fully undergrounding the cantilever facility.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로 양측, 더욱 구체적으로 포장도로의 양측면에 설치된 경계용 측구수로관, 예컨대 하수구(下水溝)를 이용하여 전력구를 지중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o this e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the boundary side aqueducts, for example, sewers,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more specifically, on both sides of the pavement, to underground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은, 하부 섹션부와, 이 하부 섹션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2개의 측면 섹션부,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측면 섹션부 상에 안착될 상부 섹션부로 이루어진 도관(導管)과;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lower section portion, two side section portions vertically vertically positioned at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section portion, and an upper section portion to be seated on two side section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nduit made of;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횡방향 빔과 이 한쌍의 횡방향 빔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빔으로 이루어지고, 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된 하나 이상의 사다리 형상의 행거;로 구성되는데, A pair of transverse beams arranged in parallel and one or more longitudinal beams arranged vertically between the pair of transverse beams and of one or more ladder shapes arrang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it Hanger;
행거는 2개의 측면 섹션부 사이에 배열되어 도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케이블을 지지하고,The hanger is arranged between the two side sections to support the cabl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duit,
각각의 섹션부가 분리가능하게 상호 체결되어 있으며, 측면 섹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마다 하나 이상의 교체용 섹션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of the section portions ar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replacement section portion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ection portion.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로점용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전력구를 지중화하도록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make the power sphere underground while minimizing the space for road use.
본 발명은 하수구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에 매설된 각종 지장물(전력선, 통신, 가스, 상수도관 등)로 인해 좁은 도로에서도 배전선로를 지중화시킬 수 있도록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가능하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wer, various obstacles (power lines, communication, gas, water pipes, etc.) buried in the road can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to make the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even in narrow roads.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수구의 하부 공간을 활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구의 폭과 동일하게 설치되어도, 하수구의 하부에서 수직하방으로 그 깊이를 연장시켜 매설할 경우에는 단면적이 깊이에 비례하여 커져 회선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utilize the lower space of the sew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ewer is installed, the cross-sectional area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pth when the depth is embed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wer It has the advantage of adding a line.
본 발명은 4개의 섹션부로 케이블을 에워싸고 있어 케이블의 손상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cable with four sections,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able.
또한, 본 발명은 각 섹션부를 현장에서 혹은 작업장에서 미리 조립하여 매설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의 단축과 시공비용, 유지보수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edded in each section in advance in the field or in the workshop, so tha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costs, maintenance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조립식 지중 전력구에 구비된 측면 섹션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ide s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Now,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설치도이다.1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지중 전력구(1)에 관한 것으로, 도포점용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배전선로를 땅 속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1), it is designed to embed a distribution line into the ground while minimizing the space for the application point.
본 발명은 포장도로와 인도와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포장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으로 길이연장된 경계용 측구 수로관, 예컨대 하수구(100)의 하부 공간을 활용하여 전력구를 지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시되었듯이 하수구(100) 바로 아래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1)를 배열하여, 도로 밑에 매설된 여러 유관매설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로점용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전력구를 지중화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lower space of the boundary side opening waterway pipe, for example, the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도로에 이미 매설된 각종 지장물에 영향을 받지도 않고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수구(100)의 하부에 설치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섹션부(11,12,13,14)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는 수평으로 배열될 하부 섹션부(11)와, 이 하부 섹션부(11)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상에 안착될 상부 섹션부(14)로 이루어진 도관(導管)으로 형성되되, 4개의 섹션부(11,12,13,14)로 둘러싸인 내부공간(20)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부공간(20)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주지된 바와 같이 지중 케이블(40)의 이동 경로로서 사용된다. The prefabricated
측면 섹션부(12,13)는 그 측면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미도시)을 형성하는데, 이 관통구멍은 도관의 내부공간(20)을 따라 안내되는 케이블(40)의 인입(引入) 및/또는 인출(引出)을 돕는다. 선택가능하기로, 측면 섹션부(12,13)는 그 내부면에 소정의 오목홈, 슬롯(slot), 지지대 등을 형성하여 행거(30)의 장착을 돕는다.The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섹션부(11,12,13,14)는 각각의 섹션부들이 맞물리는 가장자리에 단차부를 형성한다. 각 섹션부(11,12,13,14)의 단차부는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each
각각의 섹션부(11,12,13,14)는 각 모서리에 "ㄴ"자 형상의 앵글을 배치하고 앵커볼트와 앵커너트 등을 통해 위치고정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1)를 조립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각 섹션부(11,12,13,14)는 도시된 나사체결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 예컨대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촉연결시킬 수도 있다.Each section (11, 12, 13, 14) is to place the angle of the "b" shaped at each corner and fixed through the anchor bolt, anchor nut, etc., to assemble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1)는 우선적으로 하부 섹션부(11)를 굴착된 땅 속에 위치시키고 가옥측에 인접한 측면 섹션부(12)를 설치하고, 도로측에 인접한 측면 섹션부(13)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에, 행거(30)를 양 측면 섹션부(12,13)를 가로질러 배치하고, 케이블(40) 등을 포설한 후에, 상부 섹션부(14)를 덮어 마감처리한다. 이렇게 조립된 전력구(1)의 수직상방에 하수구(100)를 시공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시공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공장에서 하부 섹션부(11)와 2개의 측면 섹션부(12,13)를 미리 조립한 후에, 굴착된 땅 속으로 안착시킬 수도 있다.The prefabricated
본 발명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내부공간(20)에는 하나 이상의 행거(30;hanger)를 장착하는데, 도 2를 참조로 하면 3개의 행거(30)를 장착하고 있다. 최하단으로 배열된 행거(30)는 하부 섹션부(11)와 200mm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이격거리를 두는 이유는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내부공간(20)으로 유입된 물의 배수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로 검사용 로봇 혹은 관로 검사용 내시경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One or
바람직하기로, 행거(30)는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사이에 배치된다. Preferably, the
행거(30)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횡방향 빔(31)과 함께 한 쌍의 횡방향 빔(31)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빔(32)으로 이루어진 사다리(ladder)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행거(30)의 종방향 빔(32)의 갯수에 따라 행거(30)에 거치될 케이블(40)의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본 발명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는 그 내부로 케이블의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횡방향 빔(31)과 종방향 빔(32)의 둘레면에 원통형상의 튜브(33)를 설치한다. 원통형상의 튜브(33)는 케이블 포설시 케이블(40)과 행거(30) 사이에, 더욱 구체적으로 케이블(40)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횡방향 빔(31)과 종방향 빔(32)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prefabricated
선택가능하기로, 원통형상의 튜브(33)가 횡방향 빔(31) 및/또는 종방향 빔(32)에서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을 돕는 베어링을 추가로 구비할 수 도 있다.Optionally,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섹션부와 행거는 지중이라는 특수한 환경하에서 견딜 수 있는, 예컨대 내식성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섹션부(11,12,13,14)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행거(30)와 튜브(33)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The section and the hanger of the prefabricat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평면도로서,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상부 섹션부(14)를 제거한 상태로 도해한 것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bulb shown in FIG. 2, illustrated with the
구체적으로, 도 3은 편평한 사각형상의 하부 섹션부와 이 하부 섹션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측면 섹션부(12,13)로 구획된 내부공간(20)을 따라서 다수의 케이블(40)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하나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하나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길이는 8m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가 일렬로 배열되면서 하수구(100;도 1 참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되도록 한다.Specifically, FIG. 3 shows a plurality of
하나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1)에는 하나 이상의 행거(30)를 구비한다. 예컨대 전술된 바와 같이 만약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길이가 8m 이라면, 4개의 행거(30)를 균등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게 하는바, 제1행거(30)와 제4행거(30)는 조립식 지중 전력구(1)의 양 끝단에서 대략 1m 떨어지게 배열하고, 제2행거(30)와 제3행거(30)는 제1행거로부터 2m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One prefabrica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측면 섹션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측면 섹션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 섹션부(13)를 대신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교체용 섹션부(13')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ide section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ection shown in FIG. 4 has a similar structure except that a separate section 13 'for maintenance is provided instea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중 전력구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혹은 훼손된 측면 섹션부(13)의 부분을 메우기 위해, 측면 섹션부(1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서 교체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교체용 섹션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For maintenance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or to fill a portion of the damaged
이 교체용 섹션부(13')는 본 발명의 조립식 지중 전력구 내부의 보수를 위해 필요시 마다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부 역할도 제공하는데, 내부의 유지보수시 교체용 섹션부(13')를 측면 섹션부(13)에서 분리하고 교체용 섹션부(13')의 분리로 개방된 부분으로 작업자가 조립식 지중 전력구 내부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교체용 섹션부(13')를 통해 측면 섹션부(13)를 밀폐시킨다.The replacement section 13 'also serves as an opening to allow the worker's access whenever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out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lacement section 13' during internal maintenance. ) Is separated from th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체용 섹션부(13')는 측면 섹션부(13)의 윤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편평한 측면 섹션부를 유지되게 한다. 또한, 교체용 섹션부(13')는 측면 섹션부(13)와의 결합시 방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단차지게 형성되고 결합부위를 다양한 접합제로 고정시키도록 한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선택가능하기로, 교체용 섹션부(13')는 측면 섹션부(13)에만 적용되지 않고 조립식 지중 전력구의 각 섹션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Optionally, the
교체용 섹션부(13')는 케이블의 인입 및/또는 인출을 돕는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전술된 바와 같이, 교체용 섹션부(13')는 일부 구간에서 개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행거(30;도 2 참조)의 확실한 고정을 위해서 교체용 섹션부(13')의 배열위치와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행거의 위치와 교체용 섹션부(13')의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각 구성부재 간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배열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placement section 13 'may be open in some sections, the replacement section 13' may be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placement section 13 'for securely fixing the hanger 30 (see FIG. 2). It is preferable.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hanger and the position of the replacement section 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s to minimize damag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경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 조립식 지중 전력구,
11 ----- 하부 섹션부,
12, 13 ----- 측면 섹션부,
14 ----- 상부 섹션부,
20 ----- 내부공간,
30 ----- 행거,
40 ----- 케이블,
100 ----- 하수구.1 ----- prefab underground power bulb,
11 ----- lower section,
12, 13 ----- side section,
14 ----- upper section,
20 ----- internal space,
30 ----- hanger,
40 ----- cable,
100 ----- sewer.
Claims (9)
이 하부 섹션부(11)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된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상에 안착될 상부 섹션부(14)로 이루어진 도관(導管)과;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횡방향 빔(31)과 이 한 쌍의 횡방향 빔(31)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빔(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된 하나 이상의 사다리(ladder) 형상의 행거(30);를 구비하여,
상기 행거(30)는 상기 2개의 측면 섹션부(12,13)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도관의 내부공간(20)에 수용된 케이블(40)을 지지하고,
상기 각각의 섹션부(11,12,13,14)가 분리가능하게 상호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섹션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마다 하나 이상의 교체용 섹션부(13')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중 전력구.
The lower section 11,
Two side section portions 12, 13 vertically entere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section portion 11, and
A conduit consisting of an upper section portion 14 to be seated on said two side section portions 12, 13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air of transverse beams 31 arranged in parallel and one or more longitudinal beams 32 arranged vertically between the pair of transverse beams 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it And one or more ladder-shaped hangers 3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The hanger 30 is arranged between the two side section portions 12, 13 to support the cable 40 received in the inner space 20 of the conduit,
Each of the section portions 11, 12, 13, 14 ar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more replacement section (13 ') for each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ection (13).
2. The prefabricated underground power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section portions (12, 13) form at least one through hole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5290A KR101161406B1 (en) | 2011-04-15 | 2011-04-15 |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5290A KR101161406B1 (en) | 2011-04-15 | 2011-04-15 |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1406B1 true KR101161406B1 (en) | 2012-07-02 |
Family
ID=4671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5290A KR101161406B1 (en) | 2011-04-15 | 2011-04-15 |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140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998Y1 (en) | 1998-08-04 | 2002-04-22 | 박정규 | Prefabricated culvert |
KR100400406B1 (en) | 2001-06-15 | 2003-10-01 | 코리스산업 주식회사 | pipe line supporting device by non-welding assembly |
KR100859013B1 (en) * | 2008-04-21 | 2008-09-22 |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 Power transmission and substation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 installation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2011
- 2011-04-15 KR KR1020110035290A patent/KR1011614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998Y1 (en) | 1998-08-04 | 2002-04-22 | 박정규 | Prefabricated culvert |
KR100400406B1 (en) | 2001-06-15 | 2003-10-01 | 코리스산업 주식회사 | pipe line supporting device by non-welding assembly |
KR100859013B1 (en) * | 2008-04-21 | 2008-09-22 |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 Power transmission and substation and power distribution device installation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1004478A (en) | Draining metal fitting, drainage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of drainage block having draining metal fitting | |
KR20180073546A (en) | Fluid holding structure | |
KR101089099B1 (en) | Cable trough | |
KR100982819B1 (en) | A prefabricated drain-road | |
KR101682541B1 (en) | Culvert crossing buried pipeline construction and pipelin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61406B1 (en) | A built-up passage of electric power line under the ground | |
KR100618199B1 (en) | Central roadway separator with vegetation and wiring route. | |
JP2013113010A (en) | Connecting fitting for u-shaped groove and pipe, and vertical drainage method for slope using the same | |
KR101454015B1 (en) | Protector for underground line | |
KR100891105B1 (en) | Powerline protector | |
KR100681843B1 (en) | Hume pipe laying structure of road | |
KR20120008560A (en) | Cylindrical Manholes with Reinforcement Ribs | |
JPH07133631A (en) | Block for common channel and side channel | |
KR102206864B1 (en) | Lay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ies | |
RU2197667C2 (en) | Method of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ipeline in section of tectonic faults | |
KR200407625Y1 (en) | Sewage pipe instal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settlement | |
KR101737410B1 (en) | Common duct pipe with steel pipe with epoxy resin | |
KR101737411B1 (en) | Common duct pipe with downcomer with epoxy resin | |
KR101309211B1 (en) | Pedestal structure for water pipeline used in waterworks and drainage, road, river bank and drainage works | |
KR20020090445A (en) | Prefabricated Unit Way Of Underground Pipes | |
RU136457U1 (en) | REINFORCED CONCRETE COLLECTOR FOR OPERATION OF UNDERGROUND COMMUNICATIONS | |
KR100905548B1 (en) | Multipurpose sewage pipe buried underground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complex | |
KR100694817B1 (en) | Valve manhole | |
KR101037869B1 (en) | Gallery Hall for Promotion | |
KR20120005078A (en) | Concrete manholes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to which multiple pipeline assemblies with inclination angles are fix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