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9753B1 -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753B1
KR101159753B1 KR1020110048646A KR20110048646A KR101159753B1 KR 101159753 B1 KR101159753 B1 KR 101159753B1 KR 1020110048646 A KR1020110048646 A KR 1020110048646A KR 20110048646 A KR20110048646 A KR 20110048646A KR 101159753 B1 KR101159753 B1 KR 101159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amount
current transformer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영각
표상휴
홍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Priority to KR102011004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6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48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11/50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for measuring real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전력량계에서 적산되는 검침량에 변화를 가하기 위하여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력량계에 접속을 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사용량을 포함하여 사용한 전력량을 모두 계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내부에 단상 전류선 중 제1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1변류기,
내부에 상기 단상 전류선 중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변류기 및 상기 제1, 2 변류기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 신호값을 연산, 판독하며, 검침데이터 및 누설/도전에 의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는 상기 제1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1전력량과 상기 제2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2전력량 중 큰 값을 선택하여 유효 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에 상기 제1전류선과 상기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3변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변류기에서 전류 신호가 감지되, 상기 제2변류기와 상기 제1변류기 중 어느 하나의 변류기에서만 전류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이를 바이패스형 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전력량계{digital power meter}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전되는 전력량을 포함하여 계량될 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사용 전력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를 경유하여 일반 부하에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전력량계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며, 전력공급회사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적산된 전력량계로부터 사용한 전력량을 검침하고 이에 따른 전력 사용 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려는 전력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한 전력이 전력량계에 적산되지 않고 도전(盜電)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단상 전력량계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감지하는 수단으로는 도 1과 같이 변류기(101)를 통하여 활성라인(11)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며, 변류기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 전력량은 중앙제어장치(CPU 미도시됨)에 의해 적산된다.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전력량계의 변류기를 정상적으로 거치지 않으면 전력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전력 사용자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변류기를 거치지 않도록 조작을 하여 도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한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부당한 방법으로 전력량계의 인입선과 부하선 간에 전선을 분기하거나 접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정상적으로 전력량계를 통과하지 않고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정상적으로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요구되어 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력량계에서 적산되는 검침량에 변화를 가하기 위하여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력량계에 접속을 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사용량을 포함하여 사용한 전력량을 모두 계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당한 전력 사용자임을 감지하여 이를 전력량계와 적산된 전력량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접속을 줄일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전력량계에서 적산되는 검침량에 변화를 가하기 위하여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력량계에 접속을 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사용량을 포함하여 사용한 전력량을 모두 계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내부에 단상 전류선 중 제1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1변류기,
내부에 상기 단상 전류선 중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변류기 및 상기 제1, 2 변류기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 신호값을 연산, 판독하며, 검침데이터 및 누설/도전에 의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는 상기 제1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1전력량과 상기 제2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2전력량 중 큰 값을 선택하여 유효 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상기 제1전류선과 상기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3변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변류기에서 전류 신호가 감지되, 상기 제2변류기와 상기 제1변류기 중 어느 하나의 변류기에서만 전류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이를 바이패스형 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력량계에 접속을 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사용량을 포함하여 사용한 전력량을 모두 계량할 수 있어서 도전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당한 전력 사용자임을 감지하여 이를 전력량계 또는 적산된 전력량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내부 CT 결선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내부 CT 결선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바이패스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서로 바꾸어서 역결선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단락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부하측을 접지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기능 및 사용의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조들은 단지 예시적 실시 예들이고, 예시적인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거나 기술되는 특징부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부들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내부 CT 결선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10)는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하여 3개의 변류기(CT1, CT2, CT3)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류기(101, CT1)은 활성라인((11)1S - 1L)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기 위하여 제1변류기(CT1) 내부에 활성라인(1S - 1L)이 관통한다.
제 2변류기(102, CT2)은 중성라인((12)2S - 2L)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기 위하여 제2변류기(CT2) 내부에 중성라인(2S - 2L)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변류기(103, CT3)는 활성라인(1S - 1L)과 중성라인(2S - 2L)에 흐르는 전류를 합산하여 계측하고 누전 또는 도전 전류를 탐지하기 위하여 제3변류기(CT3) 내부에 활성라인(1S - 1L)과 중성라인(2S - 2L)이 모두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력량계(10)의 단자 1S-1L((21)- (31))간에 흐르는 전류(I1)는 CT1에서 측정된다. CT2에는 전력량계의 단자 2S-2L간에 흐르는 전류(I2)가 측정된다. 전류 I2는 전류 I1과 크기가 동일하고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부하측에서 도전이 없다면 CT3를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 I12는 항상 0이다. 즉 CT3에서 전류가 검출되면 도전 또는 누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Pt1은 도 2의 I1으로 흐르는 방향(전원측에서 부하측)을 순방향으로 설정하여 측정되며, Pt2은 도 2의 I2로 흐르는 방향(부하측에서 전원측)을 순방향으로 설정하여 양의 값으로 측정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CT1, CT2, CT3에서 측정된 신호는 중앙제어장치(CPU, 미도시됨)에서 신호값을 연산, 판독하며, 검침데이터 및 누설/도전에 의한 데이터를 연산 및 산출하여 저장하고, 이를 표시부로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바이패스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전력량계의 변류기를 경유하지 않고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활성라인(1S - 1L)의 전원측 IS 단자와 부하측 1L 단자 사이를 바이패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에서는 I1은 검출되지 않으나, CT2와 CT3에는 전류값 I2가 검출된다.
CT1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Pct1) Pct1 = V x I1(= I0 = 0) x cosθ = 0 이다.
I0 은 0이고 CT1에 흐르는 전류는 0(Zero)이다.
I0는 전력량계 자체의 소비전류이며 계량되지 않는 값이므로 Pct1 = 0이다.
그리고 CT2에서 계량된 전력량 Pct2 는, Pct2 = V x I2 x cosθ로 측정된다.
I2 는 실제 사용된 전류이므로, 바이패스 도전이라고 판단될 시에는 CT2에서 계량된 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적산하게 되면 정상적인 전력량이 계량될 수 있다.
즉, CT1에 흐르는 전류가 0이고, CT2에만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바이패스형 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인 Pct2를 다음과 같이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게 된다.
Pt = Pct2 ( Pct1 < Pct2 )
또한, Pct1이 Pct2 보다 작을 경우는 도전으로 판단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큰 쪽의 전력량을 계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I1과 I2의 전류가 도전으로 인해 서로 달라지게 되면 부하 측에서 실제 소비한 전력량은 I1과 I2중에서 큰 전류값이 실제 소비한 전력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서로 바꾸어서 역결선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에서는 CT1은 순방향과 반대 위상인 I1이 검출되고 CT2에는 반대위상의 I1 과 크기가 같은 I2가 흐르게 된다.
즉, CT1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 Pct1 = V x (-I1) x cosθ = V x I1 x cos(180+θ)로 연산되어 전력량은 -값이 연산된다. 이는 역결선임을 의미한다.
CT2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Pct2)은, Pct2 = V x I2 x cosθ 이다.
Pct2의 값은 양의 값을 갖는다.
Pct1과 Pct2는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이므로 Pct1 < Pct2이다.
이 경우 중앙제어장치에서는 공급된 총 유효 전력량 Pt = Pct2 ( Pct1 < Pct2 )로 연산되도록 설정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ct1의 값이 0보다 작게 측정되고 Pct2 의 값이 Pct1과 크기가 같은 양의 값으로 연산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역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인 Pct2를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나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역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인 Pct2를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된다. 즉, CT1에서 측정한 전류의 위상과 전원공급점에서 측정한 전압의 위상이 반대 위상으로 측정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역결선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I1과 I2의 전류가 도전으로 인해 서로 달라지게 되면 부하 측에서 실제 소비한 전력량은 I1과 I2중에서 큰 전류값이 실제 소비한 전력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I1과 I2 중에서 큰 전류값으로 연산된 전력량을 유효 전력량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5는 전원측의 활성단자와 부하측의 활성단자를 단락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전력량계 외부에서 전력량계의 단자 1S와 1L 단자를 전선으로 쇼트시키는 도전 유형이다. 인입선 1S에 흐르는 전류(I1)는 CT1을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I1 -2)와 쇼트시킨 전선을 흐르는 전류(I1 -3)로 분기되어 흐른다.
이때 CT1에서는 CT1을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I1 -2) 부분만 계량된다.
CT2에서는 I2로 흐르는 전류값이 검출된다.
CT1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 Pct1 = V x I1 -2 x cosθ
CT2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 Pct2 = V x I2 x cosθ
I2 = I1 -2 + I1 - 3 이므로 I2 > I1 -2이다. ( I1 -3 > 0 )
이 경우, I2에는 실제 사용되는 전류가 모두 흐르게 되므로 유효전력량은 I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력을 계측하도록 설정된다.
Pt = Pct2 ( Pct1 < Pct2 )
즉, 연산결과 Pct1이 0보다 크고 Pct2보다 작게 측정된 때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활성단자 간의 단락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인 Pct2를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I1과 I2의 전류가 도전으로 인해 서로 달라지게 되면 부하 측에서 실제 소비한 전력량은 I1과 I2중에서 큰 전류값이 실제 소비한 전력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T3에서는 다음과 같이 측정이 될 수 있다.
CT3에서 계량된 유효전력량
Pct3 = V x (I2-I1 -2) x cosθ
실제 사용된 전류는 I1 -2
Pt = Pct1 + Pct3 이며, CT3에는 I2 와 I1 -2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류이며, 이 전류값은 I1 -3과 동일하게 된다.
Pt = V x I1 -2 x cosθ + V x (I2 - I1 -2) x cosθ
= V x I1 -2 x cosθ + V x (I1 - I2) x cosθ I2 = V x I2 x cosθ
즉, CT1에 흐르는 전류와 CT3에 흐르는 전류에 합이 CT2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측정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활성단자 간의 단락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부하측을 접지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전력량계 외부에서 전력량계의 단자 1L 또는 2L 단자를 접지하여 사용하는 유형이다.
부하측의 전선 2개 중 하나와 접지 사이에서 도전하는 유형으로 전력량계의 단자 1S가 접지되어 있는 경우 전력량계의 단자 2L과 접지 사이에 전류(I3)가 흐르므로 도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력량계의 단자 1S에 인입되는 전류(I1 -2)와 전력량계의 단자 1L에서 출력되는 전류(I1 -2')는 동일하다. 즉 I1 -2 = I1 -2'이다.
전력량계의 단자 2S-2L 간의 전류(I2)는 전력량계의 단자 1S와 접지 사이의 전류(I1 -4)와 전력량계의 단자 1L에서 출력되는 전류(I1 -2')가 합한 전류가 흐른다. 즉 I2 = I1 -2' + I1 -4이다.
CT3에서는 두 전선(11, 12)과 전류 차이에 해당하는 전류가 측정되며, 측정된 전류값은 I3와 동일하게 된다.
CT1에서 계량된 전력량은(Pct1), Pct1 = V x I2 x cosθ 가 된다.
CT2에서 계량된 전력량(Pct2), Pct2 = V x I2 x cosθ 가 된다.
이 경우, I2' = I1 -2' + I1 -4 =I2 이므로 I2 > I1 -2이다. ( I1 -4 > 0 )
중앙제어장치에서는 이 경우 CT2에서 계량된 전력량(Pct2)을 실제 사용한 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된다.
Pt = Pct2 ( Pct1 < Pct2 )
이와 같이 계량함으로써, 접지 도전인 경우에도 정상 계량을 할 수가 있다.
즉, Pct1이 0보다 크고 Pct2보다 작게 측정된 때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활성단자 간의 단락 또는 부하측의 일선이 접지된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인 Pct2를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I1과 I2의 전류가 도전으로 인해 서로 달라지게 되면 부하 측에서 실제 소비한 전력량은 I1과 I2중에서 큰 전류값이 실제 소비한 전력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T1에 흐르는 전류와 CT3에 흐르는 전류에 합이 CT2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측정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활성단자 간의 단락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고 CT2에 의한 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적산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활성단자와 중성단자로 구분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활성단자와 중성단자는 서로 바꾸어서 적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력량계에 접속을 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사용량을 포함하여 사용한 전력량을 모두 계량할 수 있어서 도전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당한 전력 사용자임을 감지하여 이를 전력량계 또는 적산된 전력량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접속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S: 전원측 활성단자
1L: 부하측 활성단자
2S: 전원측 중성단자
2L: 부하측 중성단자
10: 전력량계
11: 전력량계 내부의 활성라인
12: 전력량계 내부의 중성라인
21, 22:전원측 전선로
31, 32:부하측 전선로
CT1, CT2, CT3: 변류기

Claims (7)

  1. 내부에 단상 전류선 중 제1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1변류기,
    내부에 상기 단상 전류선 중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변류기 및 상기 제1, 2 변류기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 신호값을 연산, 판독하며, 검침데이터 및 누설/도전에 의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는 상기 제1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1전력량과 상기 제2변류기에서 산출한 제 2전력량 중 큰 값을 선택하여 유효 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류기의 전류 측정신호가 0이고, 상기 제2변류기에서 전류 측정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CPU)에서 이를 바이패스형 결선으로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량의 값이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2전력량의 값이 제1전력량과 절대값의 크기가 동일한 값으로 연산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 이를 역결선으로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전력량을 유효전력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류기에서 측정한 전류의 위상과 전원공급점에서 측정한 전압의 위상이 반대 위상으로 측정된 경우에는 중앙제어장치(CPU)에서는 이를 역결선으로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5. 제1항에 있어서
    제1전력량의 값이 0보다 큰 값을 가지며, 제1전력량이 제2전력량보다 적게 측정된 때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는 이를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 간의 단락 또는 부하측의 일선이 접지된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전력량을 유효전력량으로 계측하여 적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제1전류선과 상기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3변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3변류기에서 전류 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제2변류기와 상기 제1변류기 중 어느 하나의 변류기에서만 전류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이를 바이패스형 결선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제1전류선과 상기 제2전류선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제3변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변류기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제3변류기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 상기 제2변류기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측정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이를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 간의 단락 또는 부하측의 일선이 접지된 유형으로 인식하여 표시 및 저장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KR1020110048646A 2011-05-23 2011-05-23 전자식 전력량계 Active KR101159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46A KR101159753B1 (ko) 2011-05-23 2011-05-23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46A KR101159753B1 (ko) 2011-05-23 2011-05-23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753B1 true KR101159753B1 (ko) 2012-06-28

Family

ID=4668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46A Active KR101159753B1 (ko) 2011-05-23 2011-05-23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43A (ko) 2021-07-13 2023-01-20 한국전력공사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61A (ko) * 1995-11-30 1997-06-24 이종훈 광 전력용 변성기를 이용한 광전자식 전력량계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KR20070048485A (ko) * 2005-11-04 2007-05-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장 시험용 이동식 전력량계 시험장치
KR20100029932A (ko) * 2008-09-09 2010-03-18 (주)한국아이이디 계기용 변압변류기 및 전력량계의 오차 측정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61A (ko) * 1995-11-30 1997-06-24 이종훈 광 전력용 변성기를 이용한 광전자식 전력량계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KR20070048485A (ko) * 2005-11-04 2007-05-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장 시험용 이동식 전력량계 시험장치
KR20100029932A (ko) * 2008-09-09 2010-03-18 (주)한국아이이디 계기용 변압변류기 및 전력량계의 오차 측정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43A (ko) 2021-07-13 2023-01-20 한국전력공사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230146502A (ko) 2021-07-13 2023-10-19 한국전력공사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230147027A (ko) 2021-07-13 2023-10-20 한국전력공사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818B2 (en) Voltage measurement
US10088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agnose current sensor polarities and phase associations for a three-phase electric power system
BR112015032630B1 (pt) Método para medir uma resistência de um elemento e circuito para uso em um medidor de eletricidade
KR100947342B1 (ko) 디지탈 전력량계의 오결선 감지방법
KR101079848B1 (ko) 계기용변성기 오차 보정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AU2011371437B2 (en) Electric energy meter on-line detection method
CN103503262B (zh) 用于监控差动保护系统中电流互感器的方法和装置
WO2015087098A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an ungrounded dc power network and for localizing the earth fault, and current injecting two-pole device
EA202191916A1 (ru) Блок измерения тока и напряжения
EP3779474B1 (en) Measuring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EP1889076A1 (en) An electricity meter
KR101159753B1 (ko) 전자식 전력량계
US11585866B2 (en) Loss of neutral voltage connection detection
KR20140018687A (ko) 전력량계 및 이의 이상 상태 검출 방법
JPH02263170A (ja) 電力線路の不平衡監視装置
WO2020181044A1 (en) Position sensing module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940476B2 (en) Three-phase power meter monitoring for star and delta configurations
KR101817005B1 (ko) 지능형 전력망용 계통 보호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계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보호 장치
US11726147B2 (en) Energy monitor
KR200410792Y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20180022387A (ko) 오결선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44278B1 (ko) 계기용 변성기 보호용 단자대
CN209086326U (zh) 用于确定电流测量布置的传递函数的设备和电度表
KR101041166B1 (ko)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Ayanlade et al. Application of Current Differential Principle in The Detection of Energy Theft in A Gsm-Based Single-Phase Smart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