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8636B1 -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636B1
KR101158636B1 KR1020100085656A KR20100085656A KR101158636B1 KR 101158636 B1 KR101158636 B1 KR 101158636B1 KR 1020100085656 A KR1020100085656 A KR 1020100085656A KR 20100085656 A KR20100085656 A KR 20100085656A KR 101158636 B1 KR101158636 B1 KR 10115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button
switch assembly
cover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2255A (en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10008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636B1/en
Publication of KR2012002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2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63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배치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에 조립되고,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한쪽 면에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면접되도록 배치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와, 상기 메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조립공정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between a case comprising one cover and the other cover mounted on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disposed under the steering handle, and between one cover and the other cover of the case.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formed on only one surface thereof, a main holder arranged to be interview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hinges formed on the main holders It is assembled by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 for ope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in the operation to rotate around the hinge, and a rotary button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holder, Reduces the number of processes and assembly time, as well as manufacturing cos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Description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체의 조립 부품 중 일부 구성품을 모듈화시킴으로써 조립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modularizing some of the assembly components of the assembly,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를 위한 각종 기능 동작부가 실내 또는 실외 곳곳에 산재하고,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립체가 차실 내부 곳곳에 산재 배치되어 있다.In general,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parts for convenience of a driver and a passenger are scattered in various places indoors or outdoors, and switch assemblies for operating the functional operation parts are scattered in various places inside a vehicle.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가 주행시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스위치의 조작시 운전자의 주행 시야를 뺏지 않으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주위에 멀티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펑션 스위치 조립체가 배치된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is disposed around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focus on the driving safely without losing the driver's field of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so as not to distract the dri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펑션 스위치 조립체의 일측에 거치된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mounted on one side of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운전자의 시야를 뺏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게 손으로 들고 조작할 수 있는 위치 및 기능상의 효과는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는 접점 스위치가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 스위치를 접점시키기 위한 버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조립시 별도의 결합 요소 없이(즉,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버튼부의 가고정 과정이 없이) 안착시켜 상기 버튼부를 조립하게 됨으로써, 조립공정이 불편함은 물론 조립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고, 상기 버튼부의 형상이 길어짐으로써 사출공정 후 형상 변형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osition and a functional effect that can be easily held and operated by hand without losing the driver's view, but as shown in FIG. The contact switch to be formed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case consisting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he button portion for contacting the contact switch is formed long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separate By assembling the button unit without a coupling element (that is, without the temporary fixing process of the button unit to the case), the assembly process is inconvenient as well as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assembly time, and the shape of the button unit is increased by inj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shape deformation after the process.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홀더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및 회전 버튼부를 결합시켜 모듈화시킴으로써 조립공정수를 줄이고 조립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부품수를 단축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 and the rotary button unit by using the main holder to modularize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 and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as well as shortening the number of par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배치된 미도시의 거치대에 거치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에 조립되고,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한쪽 면에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면접되도록 배치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와, 상기 메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버튼부를 포함한다.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radle of a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steering wheel, and includes a case formed of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constituting an appearance, and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of the case.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formed on only one surface thereof, a main holder arranged to be interview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formed on the main holders It is coupled to each of the two hinge engaging portion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 for ope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in the operation to rotate the hinge around, and a rotary button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holder.

여기서,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중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는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1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홀더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1버튼 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one of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of the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is formed in the first button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 At least one of the hinge holder is hing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holder may be disposed so as to expose a portion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또한,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메인 홀더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로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xcept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holder, it may be disposed so as to penetrate between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constituting the case. .

아울러,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중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는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2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버튼부는 상기 메인 홀더에 결합되되 상기 제2버튼 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of the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is formed in the second button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and outer parts, the rotary button portion is the main It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but disposed to penetrate the second button hole so that a part thereof is exposed.

또한, 상기 회전 버튼부에는, 상기 메인 홀더에 상기 회전 버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버튼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작동되는 회전 접점부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button unit may be coupled to the main holder so that the rotation button unit is rotatable, and an operating rotation contact unit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butt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

또한, 상기 힌지 결합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좌우 내측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를 향하여 돌출된 힌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 돌출부가 삽입 거치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가 가고정되는 힌지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hinge couplers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portion into which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are inserted and received, and hing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 hing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to temporarily fix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by the hinge protrusion portion.

또한, 상기 힌지 결합 홈의 홈 깊이는 상기 힌지 돌출부의 돌출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depth of the hing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hinge protrusion.

또한, 상기 케이스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는, 변의 길이가 짧은 일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1누름 버튼부와 제2누름 버튼부, 변의 길이가 긴 좌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3누름 버튼부와 제4누름 버튼부 및 변의 길이가 긴 우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5누름 버튼부와 제6누름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are exposed through the first push button portion, the second push button portion, and the left end portion of which the length of the side penetrates and is exposed toward the short end portion of the side. And a fifth push button part and a fourth push button part, and a fifth push button part and a sixth push button part which are exposed through a long right end of the side.

또한, 상기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차량에 설치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된 스위치 조립체로써, 상기 제1누름 버튼부 및 상기 제2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음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음향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3누름 버튼부 및 상기 제4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 및 음악 선곡을 위한 수동 튜닝 조절 버튼이며, 상기 제5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스캔하는 주파수 자동 튜닝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6누름 버튼부는, 나머지 버튼부의 활성을 정지시키는 홀드 버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is a switch assembly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wherein the first push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push button portion of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And a third push button unit and a fourth push button unit, which are manual tuning control buttons for selecting a frequency and music of a radio among the function operation units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The fifth push button unit may be a frequency automatic tuning control button for automatically scanning a frequency of a radio among the function operation units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and the sixth push button unit may be a hold button for stopping activation of the remaining button units.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메인 홀더를 이용하여 조립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및 회전 버튼부를 가고정시켜 모듈화시키기 때문에 조립공정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and assembly time since the pushbutton parts and the rotary button parts are temporarily fixed and modularized during assembly using the main ho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점 스위치를 집중 배치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누름 버튼부에 의하여 누름되는 접점 스위치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테두리 부분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누름 버튼부의 형상을 짧게 형성하여도 되는 바,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부품수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inside the case by arranging the contact switch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 well as the contact switch pressed by the push button unit. The shape of the push button portion may be shortened by being positioned at on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스위치 조립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스위치 조립체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메인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메인 홀더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가 일부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버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top of the switch assembly of FIG. 2;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switch assembly of FIG.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of Figure 2,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main holder of the configuration of FIG. 2;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are temporarily fixed to the main hold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shown in FIG.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shown in FIG. 2;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shown in FIG. 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otary button part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스위치 조립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의 스위치 조립체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top of the switch assembly of Figure 2, Figure 3b is a bottom of the switch assembly of Figure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는, 스티어링 핸들(미도시)의 하부 어느 일측에 배치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미도시)에의 결합(거치)을 매개하는 일측 커버(110a) 및 타측 커버(110b)로 이루어진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에 조립되고,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미도시)가 한쪽 면에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20)과,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한쪽 면에 면접되도록 배치된 메인 홀더(130)와, 상기 메인 홀더(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140)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힌지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와, 상기 메인 홀더(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버튼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side cover 110a for interfacing to (coupling)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not shown) disposed on one side of a lower part of a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a case 110 formed of the other side cover 110b and between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side cover of the case 110,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not shown)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a main holder 130 arranged to be interview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hav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nd a plurality of hinge coupling parts 140 formed on the main holder 130. Is coupled to, but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 (150a ~ 150g) for ope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in a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40, the main holder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in button 160.

상기 케이스(110)는 대략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상기 메인 홀더(130) 및 상기 메인 홀더(130)에 결합되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회전 버튼부(16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다.The case 110 includes the push button unit 150a to 150g coupled between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e main holder 130, and the main holder 130. It has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rotary button unit 160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도면상 상측에 배치된 상기 일측 커버를 상부 커버(110a)라 명명하고, 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상기 타측 커버를 하부 커버(110b)라 명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ne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FIG. 2 will be referred to as the upper cover 110a, and the other cov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will be referred to as the lower cover 110b. .

상기 하부 커버(110b)의 내측면에 인접하게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PCB : Plastic Circuit Board)이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복잡한 회로부가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판체이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PCB: Plastic Circuit Boar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10b.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a plastic plate body having a complex circuit part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nd the rotary button part 160.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스위칭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부의 전기적 흐름을 변화시키는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만 집중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상기 접점 스위치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일면에 집중 배치함으로써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동작 방향을 일원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구성하는 상기 회로부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 plurality of individual to change the electrical flow of the circuit portion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 (150a ~ 150g) and the rotary button portion 160 Contact switches are respectively formed. Here, the contact switch is preferably arranged concentrat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at is, by plurally arranging the plurality of contact switches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e operation directions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nd the rotary button part 160 may be unified,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ircuit portion constitu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can be simplified.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홀더(130)가 면접 배치된다. 상기 메인 홀더(130)는 상기 하부 커버(110b)에 볼팅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holder 130 is interview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e main holder 130 may be firmly fastened to the lower cover 110b in a bolting manner.

상기 메인 홀더(13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결합을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조립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를 조립함에 있어서, 다수의 부품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를 1차적으로 상기 메인 홀더(130)에 가고정시켜 모듈화한 후, 모듈화된 상기 메인 홀더(130)를 포함한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를 상기 하부 커버(110b)에 조립함으로써 조립자가 보다 간편하고 안정성있게 조립을 할 수 있는 이점을 부여한다.As shown in FIG. 4, the main holder 130 performs a function of mediat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nd the rotation button part 160. That is, in assembling the assembly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push button unit (150a ~ 150g) and the rotary button unit 160 constituting a plurality of parts 1 After temporarily fixing to the main holder 130 and modularizing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including the modular main holder 130 and the rotary button 160 to the lower cover ( 110b) gives the advantage that the assembler can be assembled more easily and stably.

이와 같이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상기 메인 홀더(130)에 의하여 조립자의 조립공정수를 단축시킴은 물론 이로 인하여 조립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이점이 창출됨은 당연하다.As such, the main holder 130 facilitates the assembly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nd the rotary button part 160,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process number of the assembler an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ssembly time. It is natural that benefits can be created.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메인 홀더(130)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메인 홀더(130)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가 일부 가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버튼부(16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main holder 130 of the configuration of FIG. 2, and FIG. 6 illustrates a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partially connected to the main holder 130 of the configuration of FIG. 2.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of a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shown in FIG. 2, and FIG. 8 is a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FIG. 2 shown in FIG. 2. 150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one,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shown in FIG. 2, and FIG. 10 is a rotary button part 160 shown in FIG. ) Is a perspective view.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홀더(130)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131a~131g)가 각각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main holder 130 is a receiving portion 131a to 131g which is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end portions of the push button portions 150a to 150g and the rotary button portion 160. Are respectively provided.

특히,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인 상기 수용부(131a~131g)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홀더(130)의 외곽 테두리 부분에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31a~131g)의 내측면 좌우측에는 상기 수용부(131a~131g)에 수용되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힌지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accommodation portions 131a to 131g, which are spaces in which end portions of the push button portions 150a to 150g are accommodated,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ush button portions 150a to 150g, and the main holder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using,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31a to 131g) end of the push button portion (150a to 150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1a to 131g). Hing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are formed.

상기 힌지 돌출부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 결합 홈(157)에 삽입되는 과정에 의하여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가 상기 힌지 돌출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홀더(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inge protrusion is rotatably centered on the hinge protrusion by the push button part 150a to 150g by a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formed at the end of the push button part 150a to 150g. It performs a function to be coupled to the main holder 130.

한편, 상기 힌지 결합 홈(157)은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 돌출부가 일측으로 끼워지면서 최종적으로 상측에서 걸림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힌지 결합 홈(157)의 홈 깊이는 상기 수용부(131a~131g)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상기 힌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 돌출부의 돌출량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ush button portion (150a ~ 150g),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rotrusion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finally caught from the upper side while being fitted to one side, The groove depth of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hinge protrusion so that the hinge protrusion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s 131a to 131g are inserted.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메인 홀더(1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홀더(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수용부(131a~131g)의 소정거리 외측으로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다. 상기 접점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 각각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바, 상기 수용부(131a~131g)에 힌지 결합된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가 눌림되면 상기 접점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ain holder 130, the contact switch out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131a ~ 131g) formed in the main holder 130 Is placed. The contact switch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when the push button portion 150a to 150g hing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1a to 131g is pressed, the contact switch is opened. It works.

상기 메인 홀더(130)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 홀(131g)과 제2관통 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 홀(131g)에는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131g)가 되며, 상기 수용부(131g)에는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 결합 홈(157)에 삽입 체결되는 힌지 돌출부(134)가 각각 형성된다.A first through hole 131g and a second through hole 133 ar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holder 130, and a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are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31g. At least one of ˜150g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1g, and a hing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1g and inserted into a hinge coupling groove 157 formed at an end of the push button portion 150a to 150g. 134 are formed respectively.

한편, 상기 상부 커버(110a)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1버튼 홀(17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 홀(131g)의 수용부에 결합된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상단 일부가 상기 제1버튼 홀(170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ver (110a) is formed with a first button hole (170a) that is open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case 110, the push button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131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150a to 150g passes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170a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메인 홀더(130)의 제2관통 홀(133)에는 상기 회전 버튼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 버튼부(160)는, 상기 관통 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전단 및 후단의 거치부가 거치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button unit 160 is dispos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133 of the main holder 130. The rotary button unit 16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mounting portion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한편, 상기 상부 커버(110a)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2버튼 홀(170b)이 상기 제1버튼 홀(170a)의 전방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 홀(133)의 수용부(133)에 결합된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상단 일부가 상기 제2버튼 홀(170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ver (110a)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button hole (170a) the second button hole (170b) that is open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case 110, the second through hole (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rotary button unit 160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133 of 133 passes through the second button hole 170b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회전 버튼부(160)에는, 상기 메인 홀더(130)에 상기 회전 버튼부(1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결합된 미도시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회전 접점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button unit 160, the coupling of the rotation button unit 160 to the main holder 130 so as to be rotatable, a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button unit 160 in accordance with the printed circuit Rotating contact portions (not shown) for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s (not shown) coupled to the substrate 120 may be combined.

또한, 상기 회전 버튼부(160)에는 상기 전단 거치부(135a)에 거치되는 제1거치단(도면부호 미표기)과 상기 후단 거치부(135b)에 거치되는 제2거치단이 양단에 형성된 작동 노브(161)가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노브(161)의 후단 측에는 상기 회전 접점부가 배치되어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 노브(161)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접점부를 접점시킴으로써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otary button 160 has a first knob end (not shown) mounted on the front end mounting portion 135a and a second knob end mounted on the rear end mounting portion 135b at both ends. 161 may be dispos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The rotary contact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operation knob 161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by contacting the rotation contact portion when the operation knob 161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utton portion 160. will be.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메인 홀더(130)의 수용부에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를 상기 힌지 돌출부(134)가 상기 힌지 결합 홈(157)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가고정시켜 하나의 조립체로 모듈화시킨다.Referring to FIG. 6, in order to assemble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re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main holder 130. The hinge protrusion 134 is temporarily fixed by installing the hinge protrusion 134 into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to be modularized into one assembly.

이때, 상기 힌지 결합 홈(157)에 삽입되는 상기 힌지 돌출부(134)의 결합력은 조립자가 임의로 조립체를 흔들어도 탈거되지 않을 정도이면 족하다. 이는, 상기 상부 커버(110a)와 상기 하부 커버(110b)가 결합되면서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는 큰 결합력이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hinge protrusion 134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may be sufficient so as not to be detached even if the assembler arbitrarily shakes the assembly. This is because the upper cover (110a) and the lower cover (110b) is coupl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ush button portion (150a ~ 150g) is because a large coupling force is not necessary in the assembly process.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상기 제1버튼 홀(170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누름 버튼부(150g)를 제외한 나머지 누름 버튼부(150a~150f)는 상기 메인 홀더(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힌지 결합부(140)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110)를 구성하는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6, the remaining push button except the push button portion 150g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170a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150a ~ 150g) The parts 150a to 150f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hinge coupling parts 140 formed on the main holder 130,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by penetrating between the one cover and the other cover constituting the case 110.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장방형의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제1누름 버튼부(150a) 및 제2누름 버튼부(150b)는, 사용자가 누름시키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누름부(151)와, 상기 누름부(151)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작동시 상기 힌지 결합 홈(157)을 중심으로 상기 누름부(151)가 회전될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된 상기 접점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접촉 돌기부와,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의 단부를 상기 힌지 돌출부(134)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힌지 결합 홈(157)이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 돌기부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접점 스위치를 누름시키는 면적을 가지면 족하다.Referring to FIG. 7, a user presses the first push button part 150a and the second push button part 150b that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ctangular case 110 among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When the pressing portion 151 and the pressing portion 151 formed on the flat side, and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151, the pressing portion 151 is rotated around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during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A contact protrusion for contacting the contact switch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the hinge coupling groove 157 is formed to connect end portions of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to the hinge protrusion 134. It consists of a connection part. The contact protrusions need not be formed to have a large area, but only need to have an area for pushing the contact switch.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장방형의 상기 케이스(110)의 변의 길이가 긴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제3누름 버튼부(150c) 내지 제6누름 버튼부(150f)는, 상기 제1누름 버튼부(150a) 및 제2누름 버튼부(150b)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 형상이 다르지만, 상기 누름부(151)와 상기 접촉돌기부(153) 및 상기 연결부(155)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third push button part 150c to the sixth push button part 150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tangular side of the case 110 among the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re long. Although the shape is different so as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push button part 150a and the second push button part 150b, the push part 151 and the contact protrusion 153 and the connection part 155 It consists of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중 상기 제1관통 홀(131g)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버튼 홀(170a)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7누름 버튼부(150g)는, 상기 제1누름 버튼부(150a) 내지 제6누름 버튼부(150f)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 형상이 다르지만, 상기 누름부(151)와 상기 접촉돌기부(153) 및 상기 연결부(157)로 구성된다. 9, a seventh push button part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131 g among the push button parts 150 a to 150 g and ex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170 a. The shape of 150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ush button part 150a to the sixth push button part 150f, but the press part 151 and the contact protrusion 153 and the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157).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버튼부(160)는, 상기 작동 노브(161)의 회전축(도면부호 미표기)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 홀(166)과, 상기 작동 노브(161)의 작동 로드(도면부호 미표기)가 관통되어 상기 회전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작동 로드 관통 홀(167)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사용자가 회전시키기에 용이하도록 마찰부(168)가 복수개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the rotary button unit 160 includes a rotating shaft through hole 166 through which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operating knob 161 passes, and an operating rod of the operating knob 161. (Not shown) is formed through the operation rod through hole 167 to contact the rotary contact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so that the friction portion 168 to facilitate the user to ro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누름 버튼부(150a) 내지 제7누름 버튼부(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의 차량에 설치된 각 기능 동작부와의 관계를 예시한다면 다음과 같다.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ush button unit (150a) to the seventh push button unit (150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each function operation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rotary button unit 160 is as follow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150a~150g)는, 변의 길이가 짧은 도면상 전방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1누름 버튼부(150a)와 제2누름 버튼부(150b), 변의 길이가 긴 도면상 좌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3누름 버튼부(150c)와 제4누름 버튼부(150d) 및 변의 길이가 긴 도면상 우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5누름 버튼부(150e)와 제6누름 버튼부(150f)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150a to 150g include the first push button portion 150a and the second push button portion 150b and the side lengths of which the side lengths penetrate toward the front side and are exposed. Push button portion 150c and fourth push button portion 150c exposed through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 view and the fifth push button portion 150e penetrating and extending toward the right end portion in the long view. And a sixth push button unit 150f.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는, 차량에 설치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된 스위치 조립체(100)로써, 상기 제1누름 버튼부(150a) 및 상기 제2누름 버튼부(150b)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음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음향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3누름 버튼부(150c) 및 상기 제4누름 버튼부(150d)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 및 음악 선곡을 위한 수동 튜닝 조절 버튼이며, 상기 제5누름 버튼부(150e)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스캔하는 주파수 자동 튜닝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6누름 버튼부(150f)는, 나머지 버튼부의 활성을 정지시키는 홀드 버튼으로 설정되어 각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assembly 100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audio and video system installed in a vehicle, and includes the first push button unit 150a and the second press. The button unit 150b is a sound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sound up and down among the function operation units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and the third push button unit 150c and the fourth push button unit 150d are the It is a manual tuning control button for selecting the frequency and music of the radio among the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and the fifth push button unit 150e automatically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radio among the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A frequency automatic tuning control button to scan, and the sixth push button portion 150f is set as a hold button for stopping the activation of the remaining button portions to operate each function operation portion. May be set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그러나, 상술한 구체화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will not affec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조립자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홀더(130)에 복수개의 상기 누름 버튼부(150a~150g) 및 상기 회전 버튼부(160)를 각각 가조립하여 모듈화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4, the assembler preassembles and modularizes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150a to 150g and the rotary button part 160 to the main holder 130,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하부 커버(110b)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설치한 후 모듈화 조립된 상기 메인 홀더(13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 면접촉하여 고정시킨다.Next, after install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on the lower cover 110b, the main holder 130, which is modularized and assembled, is fix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 커버(110b)의 상측에 상기 상부 커버(110a)를 옮겨서 결합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100)의 조립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Finally, when the upper cover 110a is mov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110b, the assembly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스위치 조립체 110: 케이스
120: 인쇄회로기판 130: 메인 홀더
131a~131f: 수용부 133: 수용부
134: 힌지 돌출부 135a: 전단 거치부
135b: 후단 거치부 140: 힌지 결합부
150a~150g: 누름 버튼부 160: 회전 버튼부
161: 작동 노브 170a: 제1버튼 홀
170b: 제2버튼 홀
100: switch assembly 110: case
120: printed circuit board 130: main holder
131a to 131f: accommodating part 133: accommodating part
134: hinge protrusion 135a: shear mount
135b: rear end mounting portion 140: hinge coupling portion
150a to 150g: push button portion 160: rotary button portion
161: operation knob 170a: first button hole
170b: second button hole

Claims (9)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배치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에 조립되고,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한쪽 면에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면접되도록 배치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와;
상기 메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메인 홀더에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사이로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A case comprising one cover and the other cover mounted to the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disposed under the steering handle;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ed between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of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formed on only one surface thereof;
A main holder disposed to be interview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A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s coupled to a plurality of hinge coupling units formed in the main holder, respectively, for operating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by the pivoting of the hinges;
Rotating button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holder,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hinge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main holder, respectively, and the satellite remote of the vehicle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between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cover constituting the case. Control switch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중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는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1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홀더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1버튼 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utton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arts is hing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holder,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is disposed so as to expose a portion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 중 상기 복수개의 개별 접점 스위치가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는 내외부를 관통되게 개구된 제2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버튼부는 상기 메인 홀더에 결합되되 상기 제2버튼 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button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one side cover and the other side cover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ntact switches are formed;
The rotary button unit is coupled to the main holder,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is disposed so as to expose a portion through the second button ho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버튼부에는,
상기 메인 홀더에 상기 회전 버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버튼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작동되는 회전 접점부가 결합되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rotary button portion,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is coupled to the main button so that the rotary button portion is rotatable, and the rotary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butt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좌우 내측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를 향하여 돌출된 힌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 돌출부가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의 단부가 가고정되는 힌지 결합 홈이 형성된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An accommodation portion into which end portions of the push button portions are accommodated;
A hing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s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having a hing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end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portion is temporarily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hinge protrusion is inser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 홈의 홈 깊이는 상기 힌지 돌출부의 돌출량보다 크게 형성된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6,
And a groove depth of the hinge coupling groove is greater than a protrusion amount of the hinge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누름 버튼부는,
변의 길이가 짧은 일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1누름 버튼부와 제2누름 버튼부;
변의 길이가 긴 좌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3누름 버튼부와 제4누름 버튼부; 및
변의 길이가 긴 우측단부 쪽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제5누름 버튼부와 제6누름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formed in a rectangle,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unit,
A first push button portion and a second push button portion which are penetrated toward one end of a short side length;
A third push button part and a fourth push button part, wherein the length of the side penetrates toward the long left end; And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comprising a fifth push button portion and a sixth push button portion which penetrate toward a long right end of a sid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는 차량에 설치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된 스위치 조립체로써,
상기 제1누름 버튼부 및 상기 제2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음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음향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3누름 버튼부 및 상기 제4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 및 음악 선곡을 위한 수동 튜닝 조절 버튼이며,
상기 제5누름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의 기능 동작부 중 라디오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스캔하는 주파수 자동 튜닝 조절 버튼이고,
상기 제6누름 버튼부는, 나머지 버튼부의 활성을 정지시키는 홀드 버튼인 차량의 세틀라이트 리모트콘트롤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is a switch assembly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audio and video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first push button unit and the second push button unit is a sound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sound up and down among the function operation unit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The third push button unit and the fourth push button unit are manual tuning control buttons for selecting the frequency and music of the radio of the function operation unit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The fifth push button unit is a frequency automatic tuning control button for automatically scanning the frequency of the radio of the function operation unit of the audio and video system,
The sixth push button unit is a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which is a hold button to stop the activation of the remaining button unit.

KR1020100085656A 2010-09-01 2010-09-01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56A KR101158636B1 (en) 2010-09-01 2010-09-01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56A KR101158636B1 (en) 2010-09-01 2010-09-01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55A KR20120022255A (en) 2012-03-12
KR101158636B1 true KR101158636B1 (en) 2012-06-26

Family

ID=4613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636B1 (en) 2010-09-01 2010-09-01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6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378A1 (en) 2001-10-05 2003-04-1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hicle steering wheel
KR200417972Y1 (en) 2006-02-22 2006-06-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KR100692491B1 (en) * 2005-10-18 2007-03-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KR100917568B1 (en) 2008-02-20 2009-09-1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ring wheel and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378A1 (en) 2001-10-05 2003-04-1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hicle steering wheel
KR100692491B1 (en) * 2005-10-18 2007-03-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KR200417972Y1 (en) 2006-02-22 2006-06-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KR100917568B1 (en) 2008-02-20 2009-09-1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ring wheel and remo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55A (en)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9892B1 (en) Miniature switch
US8220204B2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U2012367474B2 (en) Battery holder
US7635821B2 (en) Remote controller
US2006021954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anual operation button
CN1617275A (en) Steering switch device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KR101158636B1 (en) Satellite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EP0917170B1 (en) Operating mechanism of rotary electric component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20070193865A1 (en) Control panel assembly in washer
KR200456539Y1 (en) Switch unit
KR200467435Y1 (en) Steering wheel switch device
KR101582738B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CN115241006B (en) Steering wheel switch button structure and steering wheel
KR200465882Y1 (en) Remote Control Switch Mounted on Steering Wheel
JP5191952B2 (en) Tabletop
JP3902436B2 (en) Automotive steering switch
US8058581B2 (en) Rotary control switch mounted on control panel of electrical appliance
JP2011210525A (en) Composite operation type input device
CN1979706A (en) Button fitting structure of drum washer control panel assembly
EP2157844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JP2006050602A (en) Multimedia player
KR200286253Y1 (en) Audio switch for car
JPH084655Y2 (en) Structure of button operation part of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