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984B1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984B1 KR101157984B1 KR1020110010314A KR20110010314A KR101157984B1 KR 101157984 B1 KR101157984 B1 KR 101157984B1 KR 1020110010314 A KR1020110010314 A KR 1020110010314A KR 20110010314 A KR20110010314 A KR 20110010314A KR 101157984 B1 KR101157984 B1 KR 101157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information
- room
- detector
- signal
- infrar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인식할 객체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실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감지기, 실내에 소정 크기의 셀 단위로 배치되어, 적외선 신호의 차단 여부에 따라 객체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 제1 및 제2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객체의 식별 정보와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위치정보 처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a tag attached to an object to be recognized, and outputs a first sensing signal for identifying an object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oom, and a cel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the room.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which is arranged in units and outputs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ing posi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whether the infrared signal is blocked, 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And a data collector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and display the position of an object moving indoo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에서 이동하고 있는 객체에 대한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at can provide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for an object moving in an indoor space.
일반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사업자 망으로부터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받아서 사용하는 A-GPS(Assisted GPS) 방법, 갈릴레오(Galileo) 또는 글로나스(Glonass)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 Service) 방법,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Cell ID를 이용하는 Cell-ID 방법,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는 방법 등도 있다. In general, the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method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 A-GPS (Assisted GPS) method that receives and uses Assistance Data from an operator's network, and Galileo. Or using the Glonass satellite. In addition, there is a Wifi Position Service (WPS) method using the wireless Internet, a Cell-ID method using a Cell ID of a base station to which a user belongs, a method using Bluetooth, and a method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그러나, 이와 같은 위치정보 제공 방법은, 기본적으로 실외에 있는 객체의 위치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인식하고자 하는 객체가 실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However, such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asically provide relatively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an object that is outdoors, but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when an object to be recognized is moving indoors. exist.
따라서, 실내 전투훈련장에서 훈련중인 훈련자 등과 같이 실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객체에 대한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accurately searching for and providing a current position of an object moving indoors, such as a trainer training in an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이동하는 객체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precisely searching and providing a current location of an object moving indoo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인식할 객체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실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감지기, 상기 실내에 소정 크기의 셀 단위로 배치되어, 적외선 신호의 차단 여부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 상기 제1 및 제2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와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위치정보 처리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선 감지기로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검출기는 상기 실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recognizing a tag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recognized, and outputting a first det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object entering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room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disposed in a cell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room, and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ing posi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whether an infrared signal is blocked,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s A data collector configur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signal,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from other objects. I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o display. In this case, an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or may be used as the wireless detector, and the infrared detector may be arranged in a grid form in the room.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은, 인식할 객체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실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감지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소정 크기의 셀 단위로 배치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와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recognizing a tag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recognized, the first det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object entering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room Providing at least one wireless detector for outputting, Providing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arranged in the cell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room, and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object,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whe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are received, and the lo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presently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from other obj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객체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탐색하여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 전투훈련장에서 훈련하고 있는 훈련자 등과 같이 실내에서 이동중인 객체에 대한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earc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moving in the room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moving indoors, such as a trainer training in an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정밀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 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t can also provide such location information to a remote device via a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에서 적외선 감지기와 무선 감지기가 실내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내 전투훈련장에 적외선 감지기와 무선 감지기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위치정보 처리서버에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frared detector and a wireless detector are disposed indoors in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frared detector and a wireless detector are disposed in an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4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ope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100)는, 제1 내지 제n적외선 감지기(110a ~ 110n), 제1 내지 제n 무선 감지기(120a ~ 120n), 데이터 수집기(130), 통신기(140), 및 위치정보 처리서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적외선 감지기(110a ~ 110n), 제1 내지 제n 무선 감지기(120a ~ 120n)는 객체의 위치를 검출한 실내(200)에 배치된다. 또한, 위치정보 처리서버(16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기(140)와 접속하지만, 통신기(140) 또는 데이터 수집기(130)와 유선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제1 내지 제n 적외선 감지기(110a ~ 110n)는 각각 적외선 발광센서를 구비하는 제1 감지기(110a-1 ~ 110n-1)와, 적외선 발광센서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는 적외선 수광센서를 구비하는 제2 감지기(110a-2 ~ 110n-2)를 포함한다. 제2 감지기(110a-2 ~ 110n-2)는 제1 감지기(110a-1 ~ 110n-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1 감지기(110a-1 ~ 110n-1)와 제2 감지기(110a-2 ~ 110n-2) 사이로 인식 객체가 지나가면서 적외선을 차단하여, 제2 감지기(110a-2 ~ 110n-2)가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데이터 수집기(130)로 전송한다. Each of the first to nth
제1 내지 제n 무선감지기(120a ~ 120n)는 각각 인식 객체에 부착된 태그를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데이터 수집기(130)로 전송한다.The first to nth
제1 내지 제n 무선 감지기(120a ~ 120n)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RFID 는 물체나 동물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의 무선 주파수 내에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킨 기술이다. RFID의 장점은 직접 접촉을 하거나 특정 부위를 보여주며 스캐닝을 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An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or may be used as the first to nth
RFID 감지기는, RFID 태그와, RFID 판독기로 구성할 수 있다. RFID 태크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RFID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RFID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An RFID sensor can be comprised with an RFID tag and an RFID reader. An RFID tag consists of an antenna and an integrated circuit, which records information in the integrated circuit and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RFID reader via the antenna. This information is used to identify the object to which the RFID tag is attached. The difference between RFID and bar code systems is that they use radio waves instead of light. Thus, RFID tags can be read over long distances rather than operating at short distances, such as bar code readers, and can even receive information through objects in between.
RFID는 사용하는 동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오직 RFID 판독기의 동력만으로 RFID 태그의 칩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RFID를 수동형(Passive) RFID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RFID란 RFID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데는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RFID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RFID 태그의 동력을 사용한다.RFID can be classified by the power used. In other words, RFID that reads and communicates chip information of an RFID tag only by the power of an RFID reader is called passive RFID. Semi-passive RFID is a battery with an RFID tag that uses its power to read chip information and a reader's power to communicate. Finally, active RFID uses the power of RFID tags to both read and communicate information on the chip.
RFID를 동력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하기도 한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를 LFID(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는데, 120~140 킬로헤르츠(KHz)의 전파를 사용한다. HFID(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메가헤르츠(MHz)의 전파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UHFID(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68 ~ 956 메가헤르츠(M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RFID is sometimes classified as the frequency of radio waves used for communication instead of power. Low frequency RFID is called Low-Frequency IDentification (LFID), which uses radio waves of 120 to 140 kilohertz (KHz). High-Frequency IDentification (HFID) uses 13.56 megahertz (MHz) radio waves, and UHFID (Ultra High-Frequency IDentification) uses radio waves in the 868 to 956 megahertz (MHz) band.
데이터 수집기(130)는 제1 내지 제n 적외선 감지기(110a ~ 110n)와 제1 내지 제n 무선 감지기(120a ~ 120n)으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특정 실내 공간에서 이동중인 객체의 식별 정보와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The
데이터 수집기(130)에서 생성한 위치정보는 통신기(140)를 통해 유선이나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 위치정보 처리서버(160)에 전달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데이터 수집기(130)만을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 응용에서는 복수의 데이터 수집기(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위치정보 처리서버(16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에 따라 실내(200)에 위치하는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의 현재 위치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처리서버(160)에서 실내(200)에 위치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한 화상 정보와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검출한 음향 신호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처리서버(16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실내(200)에 음성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location
도 2는 적외선 감지기와 무선 감지기가 실내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실내 공간(300)을 네 개의 영역(301, 303, 305, 307)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의 바닥이나 천장 등에 인식할 객체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무선 감지기(120a ~ 120d)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300)에는 격자 형태의 셀 단위로 제1 내지 제6 적외선 감지기(110a ~ 110f)가 배치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frared detector and a wireless detector are disposed indoors. As shown in FIG. 2, the specific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무선 감지기(120a ~ 120d)와 제1 내지 제6 적외선 감지기(110a ~ 110f)를 실내 공간(300)에 배치하여, 제1 내지 제4 영역(301, 303, 305, 307) 중 어느 한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제1 내지 제4 무선 감지기(120a ~ 120d)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인식할 객체에 부착된 태그정보를 통해 진입한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first to fourth
또한, 객체의 이동에 따라, 제1 내지 제6 적외선 감지기(110a ~ 110f)에서 적외선이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객체의 이동에 따른 이동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감지기가 배치되는 간격에 따라 실내(300)에서 객체의 위치 이동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 감지기를 30cm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 인식할 객체가 30cm 이상 이동할 때마다 적외선 차단에 의해 객체의 이동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infrared rays are blocked by the first to sixth
또한, 실내 공간(300)에 복수의 인식할 객체가 진입한 경우, 무선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각 객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최초 파악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적외선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어느 객체가 어디로 이동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recognized enters the
도 3은 실내 전투훈련장과 같은 실내에 무선감지와 적외선 감지기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된 각 영역별로 무선감지기(120a ~ 120c)를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하고, 이와 함께 격자 형태로 적외선 감지기(110a, 110b, ...)를 배치한다. 그리고, 실내 전투훈련자에 진입하는 훈련자의 몸에 무선감지기(120a ~ 120c)가 감지할 수 있는 태그를 부착한다.Figure 3 shows an example where the wireless detection and infrared detectors are arranged in the room, such as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s.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해, 무선감지기(120a ~ 120c) 및 적외선 감지기(110a, 110b,...)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실내 전투훈련장에서 움직이고 있는 훈련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훈련자의 현재 위치(350)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tector (120a ~ 120c) and the infrared detectors (110a, 110b, ...),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o is the trainer who is moving in the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The
또한, 무선 감지기와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하게 되므로, 연막 등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훈련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탐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전투훈련장에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통제 센터에서 실내 전투훈련장의 영상과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통제 센터에서 실내 전투훈련장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detector and the infrared detector are use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iner can be precisely searched and displayed even in a state where the vision is not secured by the smoke screen or the like. In addition, by installing a microphone, a speaker, a camera, etc. in the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from the control center,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voice signal from the control center to the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ope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기(130)는 제1 내지 제n 무선감지기(120a ~ 120n)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데이터 수집기(130)는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수집기(130)는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어떤 객체가 어느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405). Referring to FIG. 4, the
그리고 데이터 수집기(130)는 제1 내지 제n 적외선 감지기(110a ~ 110n)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수집기(130)는 특정 영역에 진입한 객체의 이동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415).In addition, the
데이터 수집기(130)는 무선 감지기로부터 전송받은 제1 감지신호와 적외선 감지기로부터 전송받은 제2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객체의 식별 정보와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420). The
데이터 수집기(130)는 생성한 위치정보를 통신기(140)를 통해 위치정보 처리서버(160)로 전달한다(S425). 위치정보 처리서버(160)는 수신한 위치정보에 따라,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의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43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내에서 이동중인 객체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end of the operation is selected (S430). In addition, by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moving in the room, and to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objects.
도 5는 위치정보 처리서버에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처리서버(1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실내 구조를 나타내는 화면(500)을 표시하고, 수신한 위치정보에 따라 파악한 객체의 현재 위치(550)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553)을 화면(5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위치에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As shown in FIG. 5, a
이와 같은 화면은 위치정보 처리서버(160)에서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도 현재 위치 및 위치정보와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 Such a screen may be displayed by the lo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실내 전투훈련장에서 훈련하고 있는 훈련자와 같이 실내에서 이동 중인 객체의 현재 위치를 식별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침입자의 탐지 등과 같이 보안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moving indoors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trainer training in an indoor combat training ground.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ecurity purposes, such as detection of intrud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높은 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만, 무선감지기와 적외선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적고,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igh-precision position information, but by using a wireless sensor and an infrared detector,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the configuration can be made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are also low.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적외선 감지기 120 : 무선 감지기
130 : 데이터 수집기 140 : 통신기
150 : 위치정보 처리서버 110: infrared detector 120: wireless detector
130: data collector 140: communicator
150: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Claims (10)
상기 실내에 소정 크기의 셀 단위로 배치되어, 적외선 신호의 차단 여부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
상기 실내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
상기 제1 감지신호, 상기 제2 감지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며,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정보 처리서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At least one wireless detector recognizing a tag attached to an object to be recognized and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for identifying an object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oom;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disposed in the room by a cel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ing posi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whether an infrared signal is blocked;
A microphone detecting an acoustic signal in the room;
Based on the first detection signal, the second detection signal, and the sound signal,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formation on a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is generated. A data collector; And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bjec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objects,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상기 무선 감지기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sensor i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or.
상기 적외선 검출기는 상기 실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frared detector is located in the room in the form of a gri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room.
상기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 처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mmunicator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rough a network.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는 각각,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발광센서를 구비하는 제1 감지기; 및
상기 제1 감지기와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적외선 발광센서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며, 상기 적외선의 차단시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A first detector having an infrared light emitting sensor for emitting infrared light; And
And a second detect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or to receiv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sensor, and outputting the second detection signal when the infrared light is blocked. .
상기 위치정보에는, 상기 실내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taken in the room.
상기 실내에 소정 크기의 셀 단위로 배치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내의 음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감지신호, 상기 제2 감지신호, 및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를 다른 객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며,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Providing at least one wireless detector that recognizes a tag attached to an object to be recognized and outputs a first det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an object ent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oom;
Providing at least one infrared detector disposed in the room by a cel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ement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ing an acoustic signal of the room;
Upon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on the basis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the second detection signal, and the sound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sou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data corresponding to a signal; And
And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object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상기 무선 감지기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detector is a method of ope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tector.
상기 실내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photographing the room.
상기 적외선 검출기는 상기 실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동작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rared detector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room in the form of a gri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314A KR101157984B1 (en) | 2011-02-01 | 2011-02-01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314A KR101157984B1 (en) | 2011-02-01 | 2011-02-01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7984B1 true KR101157984B1 (en) | 2012-06-26 |
Family
ID=4668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314A KR101157984B1 (en) | 2011-02-01 | 2011-02-01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98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482B1 (en) * | 2012-06-29 | 2014-03-13 |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tracking objects |
KR101571736B1 (en) | 2014-11-28 | 2015-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KR101617540B1 (en) * | 2014-09-30 | 2016-05-03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tion of moving object in the area for creation of content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1372A (en) | 2003-03-10 | 2004-09-30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JP2006003157A (en) * | 2004-06-16 | 2006-01-05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Position detection system |
KR100647461B1 (en) | 2004-11-25 | 2006-1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Indoor location recognition device with complex sensors and location recognition method |
KR20080054537A (en) * | 2006-12-13 | 2008-06-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RDF Tag-based Location Recognition System |
-
2011
- 2011-02-01 KR KR1020110010314A patent/KR1011579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1372A (en) | 2003-03-10 | 2004-09-30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JP2006003157A (en) * | 2004-06-16 | 2006-01-05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Position detection system |
KR100647461B1 (en) | 2004-11-25 | 2006-1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Indoor location recognition device with complex sensors and location recognition method |
KR20080054537A (en) * | 2006-12-13 | 2008-06-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RDF Tag-based Location Recognition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482B1 (en) * | 2012-06-29 | 2014-03-13 |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 Sensor node device and system for tracking objects |
KR101617540B1 (en) * | 2014-09-30 | 2016-05-03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tion of moving object in the area for creation of content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
KR101571736B1 (en) | 2014-11-28 | 2015-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9084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devices in venues | |
US202003343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ite Augmentation | |
EP3213031B1 (en)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y using earth's magnetic fields | |
US12248737B2 (en) | Agent supportable device indicating an item of inter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
KR101550302B1 (en) | Location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Beacons and Smart terminal | |
US10521627B2 (en) | RFID module for through boundary location accuracy | |
KR101697546B1 (en) |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beacon | |
US10412700B2 (en) | Portable-device-locating system that uses room-level motion sensors and RSSI measurements to determine precise room-location | |
US11418980B2 (en) |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naly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field coverage in a venue | |
US1099747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 detection, tracking, and identification utilizing wireless signals and images | |
US10943155B2 (en) | System of recognizing identity of object and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identity of object | |
KR101157984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EP310435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devices in predetermined premises | |
KR10085724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obile posit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mobile position | |
US8774459B2 (en) | Indoor user positioning method using motion recognition unit | |
JP2009014646A (en) | Stray child searching system in building | |
KR20160124543A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parated position of object by mobile device with antenna | |
WO2018051507A1 (en) |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and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 |
GB2549195A (en) |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naly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field coverage in a venue | |
KR20080054537A (en) | RDF Tag-based Location Recognition System | |
Kawai et al. | Identification and positioning based on motion sensors and a video camera | |
JP4703072B2 (en) | IDENTIFICATION SYSTEM, PROCESSING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PROGRAM, AND MEDIUM | |
KR200361351Y1 (en) | Dual band terminal for possessor search in a area | |
KR20160125663A (en) | Location system using RF receiver and Camera | |
KR101808589B1 (en) | System for managing items using tag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