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7484B1 -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484B1
KR101157484B1 KR1020100127276A KR20100127276A KR101157484B1 KR 101157484 B1 KR101157484 B1 KR 101157484B1 KR 1020100127276 A KR1020100127276 A KR 1020100127276A KR 20100127276 A KR20100127276 A KR 20100127276A KR 101157484 B1 KR101157484 B1 KR 10115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trajectory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to KR102010012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484B1/ko
Priority to PCT/KR2010/009187 priority patent/WO2012081755A1/ko
Priority to US13/993,920 priority patent/US9207681B2/en
Priority to CN201080070709.9A priority patent/CN10334778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84B1/ko
Priority to IL226941A priority patent/IL226941A/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8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64F1/027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using net or mes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4Control of altitude or depth
    • G05D1/06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 G05D1/0607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05D1/0653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during a phase of take-off or landing
    • G05D1/0676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during a phase of take-off or landing specially adapted for lan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64U2201/104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3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for capturing UAVs in flight by ground or sea-based arresting gear, e.g. by a cable or a 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항법장비와 전방영상 카메라의 정보에 가중치 방식을 통해 조합하여 활용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에 제공된 회수지점을 이용하여 온보드(On-board) 상에서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하는 기준궤적 생성단계와,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전방영상 카메라로 심볼(그물망)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처리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심볼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고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영상처리단계와,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를 이용해 심볼을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자세명령을 생성하는 자세명령 생성단계 및 상기 기준궤적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기준궤적과 상기 자세명령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세명령을 조합하여 가상궤적을 생성하되,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에 가중치를 두면서 가상궤적을 생성하는 가상궤적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UAV automatic recovering method}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항법장비와 전방영상 카메라의 정보에 가중치 방식을 통해 조합하여 활용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항공기는 자동알고리즘으로 비행을 하므로 완벽한 자동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자동 이착륙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지형이 많은 경우 착륙시 확보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 회수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는데, 짧은 거리에서 효과적으로 회수 가능한 그물망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그물망 회수는 회수지점과 범위가 비행체 크기의 약 2~3배로 정해진 만큼 다른 회수 방법보다 더욱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DGPS, 레이져, 레이다를 이용하면 높은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지형적 조건에 의해 DGPS 신호를 이용하기에 불리하며, 레이져나 레이다를 이용한 방법은 정밀도는 높으나 고가의 구축 비용이 들며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구축 및 개발비용이 저렴하며 근거리에서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순히 영상정보만 이용하게 될 경우 상대위치 및 거리만을 이용하므로 고도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준궤적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기준궤적을 이용할 경우 정해진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최적의 경로를 생성해 추적하므로 원하는 지점으로 향하기 위한 최적의 고도를 유지하는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물망 회수는 회수지점과 범위가 비행체 크기의 약 2~3배로 정해져 있어 이렇게 높은 정밀도는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정보와 기준궤적을 동시에 활용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바람 방향과 임무 수행에 의해 정해진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한 후 회수구간(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 사이) 초기에는 항법장비의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궤적을 추종하되, 회수지점에 가까워질수록 정밀도가 높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명령의 가중치를 높임으로써, 기준궤적을 이용하는 방식의 장점과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인항공기의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에 제공된 회수지점을 이용하여 온보드(On-board) 상에서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하는 기준궤적 생성단계;와,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전방영상 카메라로 심볼(그물망)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처리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심볼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고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영상처리단계;와,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를 이용해 심볼을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자세명령을 생성하는 자세명령 생성단계; 및 상기 기준궤적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기준궤적과 상기 자세명령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세명령을 조합하여 가상궤적을 생성하되,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에 가중치를 두면서 가상궤적을 생성하는 가상궤적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궤적은 상기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까지 하나 이상의 경로점을 지나도록 설정되되, 각 경로점의 통과 전에 다음 경로점을 향하는 가상 기준궤적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기준궤적을 따르도록 탑재된 항법장비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세명령은,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 간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을 산정하고, 산정된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의 크기만큼 무인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는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의 비중이 0 %에서 100 %로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를 위한 거리 산정은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산정된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궤적의 생성은, 초기 정렬 단계에서는 항법정보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을 추종하되, 종말 구간인 회수지점에서는 정밀도가 높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자세명령을 생성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영상정보와 기준궤적을 동시에 활용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바람 방향과 임무 수행에 의해 정해진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한 후 회수구간(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 사이) 초기에는 기준궤적을 추종하되, 회수지점에 가까워질수록 정밀도가 높은 영상처리를 통해 생성된 명령의 가중치를 높여 기준궤적을 이용하는 방식의 장점과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여 더욱 정밀도 높은 무인항공기 자동회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기준궤적 및 영상 기반의 무인항공기 회수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영상기반 자동회수 시나리오를 예시한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상 기준궤적이 생성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상 기준궤적을 이용한 경로점 변경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상 경로점 계산을 위한 변수의 정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전방영상 카메라에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변수의 정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심볼(그물방)의 시선각 성분을 측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의 시행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비행체의 자세조종명령을 생성하는 원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무인항공기는 자동알고리즘으로 비행을 하므로 완벽한 자동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자동 이착륙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지형이 많은 경우 착륙시 확보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 회수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된다.
그물망 회수는 회수지점과 범위가 비행체 크기의 약 2~3배로 정해진 만큼 다른 회수 방법보다 더욱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DGPS, 레이져, 레이다를 이용하면 높은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지형적 조건에 의해 DGPS 신호를 이용하기 불리하며, 레이져나 레이다를 이용한 방법은 정밀도는 높으나 고가의 구축 비용이 들며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구축 및 개발비용이 저렴하며 근거리에서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순히 영상정보만 이용하게 될 경우 상대위치 및 거리만을 이용하므로 고도제어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의 극복을 위해 기준궤적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며, 기준궤적을 이용할 경우 정해진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최적의 경로를 생성해 추적하므로 원하는 지점으로 향하기 위한 최적의 고도를 유지하는 제어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기준궤적을 이용한 영상기반 자동회수는 바람 방향과 임무 수행에 의해 정해진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한 후 회수구간(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 사이) 초기에는 기준궤적을 추종하되, 회수지점에 가까워질수록 정밀도가 높은 영상처리를 통해 생성된 명령의 가중치를 높이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때, 가중치 값을 거리에 따라 정하게 되므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한 거리계산이 병행되게 된다.
아울러, 도 2에서 보듯이, 내부조종사에 의해 착륙가능지점 즉, 지도상의 그물망 위치가 정해지는데 이때 위치 오차는 약 50m 정도이다. 이 위치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인항공기에 전송되며 탑재된 비행제어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물망 정렬지점(P0)을 정하고 이를 잇는 기준궤적이 생성된다. 이 기준궤적 상에 영상인식 지점(P1)이 위치하며, 이 지점을 기점으로 영상정보의 가중치 값이 증가하게 된다. 회수지점(P4)에 가까워질수록 영상정보의 정밀도가 높아져, 결심지점(P2, 회수 또는 회피 결심)에서는 실제 회수지점(P4, 그물망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영상인식이 불안정하거나 계산 오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자동으로 회피기동을 수행한다.
도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은 기준궤적 생성단계(S 10), 영상처리단계(S 20), 자세명령 생성단계(S 30) 및 가상궤적 생성단계(S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로 전방영상 카메라, 영상처리장비 및 비행제어컴퓨터가 필요하고, 소프트웨어로 기준궤적 생성, 획득영상처리, 제어명령 생성 등의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이하 상술하도록 한다.
기준궤적 생성단계(S 10)는 무인항공기 조종자의 조작으로 비행 중인 무인항공기를 회수하는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영상기반 자동회수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 유도 알고리즘은 도 2의 각 포인트(P0, P1, P2, P3, P4)를 지나는 기준궤적을 생성하여 그 궤적을 추종하는 유도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때 각 경로점(포인트)을 통과하여 다음 경로점을 향하는 과정에서 기준궤적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특히 자동회수 과정에서 고도하강 중 경로점 변경시 원하는 고도보다 낮은 고도로 비행할 경우 지상에 충돌할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로점 통과 전에 다음 경로점을 향하는 새로운 기준궤적을 생성하고 그 궤적을 따르는 유도 명령을 생성한다.
즉, 상기 기준궤적은 상기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까지 하나 이상의 경로점을 지나도록 설정되되, 각 경로점의 통과 전에 다음 경로점을 향하는 가상 기준궤적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기준궤적을 따르도록 유도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각 경로점을 연결하는 기준궤적을 추적하기 위한 가상의 기준궤적을 생성하여 실제 기준궤적을 추적하도록 한다. 가상 기준궤적은 무인항공기(10)로부터 목표 경로점까지 남은 거리와 일정한 거리(Virtual reference distance) 차이를 갖도록 기준궤적 위에 가상 경로점(Virtual Waypoint)을 설정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4에서 보듯이, 가상 기준궤적을 이용한 변경된 경로점이 생성된다. 이때 변경된 경로점을 기준으로 가상 기준궤적이 결과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수행하게 되며, 경로점 변경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준궤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보듯이, 가상 경로점 산출을 위해 각 변수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따른 가상 기준궤적을 이용한 경로점 변경 및 무인항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관성 좌표계에서 각 경로점의 위치를 알고 있다면, R, dref 를 식(1)과 같이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설정 변수인 δ를 이용하여 dvir 을 산출하고 Rvir 을 구한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1
식(1)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2
식(2)
기준궤적 상의 가상 경로점을 계산하기 위해 기준궤적의 방향각(ψref)과 경로각(γref)을 구한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3
식(3)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4
식(4)
결과적으로, 가상 경로점의 좌표는 식(5)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5
식(5)
기준궤적 상의 가상 경로점을 향하는 유도 명령을 생성하여 결과적으로 기준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가상 경로점을 향하는 유도 명령은 현재 무인항공기의 위치와 가상 경로점 사이에 생성된 목표점(aiming point)을 설정하여 목표점의 고도와 방향각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무인항공기 위치로부터 목표점까지의 거리를 η라 할 경우 식(6) 및 식(7)을 이용하여 목표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6
식(6)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7
식(7)
목표점의 위치(Xaim, Yaim, Haim)는 하기의 식(8)로 표시된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8
식(8)
식(8)에서 목표점의 위치(Xaim, Yaim, Haim) 및 식(6)에서 가상 기준궤적의 방향각(ψvir)이 산출되었으므로 이 값을 제어기의 유도 명령으로 인가한다. 이때 속도명령은 초기 착륙 진입속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09
식(9)
영상처리단계(S 20)는 무인항공기에 구비된 전방영상 카메라로 심볼(그물망)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처리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심볼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고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무인항공기에 구비된 전방영상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은 관심영역만 처리되며, 심볼(촬영 영상에서의 그물망)의 색 성분을 기준으로 이진화된다. 이진화된 영상은 필터를 거치며 노이즈가 제거되며 이진화 영상에는 심볼만 남게 된다. 영상에서 심볼의 중심위치(up, vp)와 크기(bim)는 식(10) 및 식(11)을 이용해 구한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0
식(10)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1
식(11)
여기서, (up, vp)는 영상에서의 심볼의 위치로, 추출된 픽셀의 수와 면적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또한, bim은 심볼의 크기로, 심볼이 대칭형이므로 가장 오른쪽 픽셀과 가장 왼쪽 픽셀의 x 또는 y축 값을 알면 심볼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심볼의 위치와 크기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그물망 중심의 위치를 구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무인항공기 정렬명령(자세명령)을 생성한다.
도 7에서 보듯이,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과 실제 물체와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면 식(12)의 카메라 특성에 대한 행렬(intrinsic matrix)을 구할 수 있다.(일반적인 캘리브레이션 행렬 이용)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2
식(12)
여기서, kf, kf는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로 도 7에서의 f(초점거리)를 의미한다. γ, (u,v)는 각각 왜곡도와 중심점이다. 카메라의 특성상 획득영상의 중점이 카메라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영상처리과정에서 중심점을 보정해주어야 한다.
식(12)에서 얻어진 카메라의 특성은 무인항공기의 심볼의 위치, 시선각 성분을 구하는 과정에 사용된다. 하기의 식(13)에서 보듯이,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을 구할 수 있으며, 심볼의 크기(bim)를 알 때 심볼까지의 거리(Zc)를 식(14)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3
식(13)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4
식(14)
자세명령 생성단계(S 30)은 상기 영상처리단계(S 20)에서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를 이용해 심볼을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자세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상기 식(13) 및 식(14)를 이용하여 심볼의 위치 간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을 산정하고, 산정된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의 크기만큼 무인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가상궤적 생성단계(S 40)은 상기 기준궤적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기준궤적과 상기 자세명령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세명령을 조합하여 가상궤적을 생성하되,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에 가중치를 두면서 가상궤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한데,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의 비중이 0 %에서 100 %로 선형적으로 커지는 방식이나 지수함수(exponential) 방식으로 커지는 방식 가능하다. 물론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이나 방식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를 위한 거리 산정은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산정된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와 회수지점 간의 거리에 따라 기준궤적 추종과 영상처리 결과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정밀도가 높고 안정한 제어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각 알고리즘은 지속적으로 연산되며, 말단의 가중치 부여 부분(Weighting Function)에서 어떤 알고리즘을 더 신뢰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장 간단하면서 거리에 대한 가중치 부여가 가능한 선형 가중치 부여 함수를 사용한다. 식(15)는 최종 제어명령 생성을 위한 가중치 부여에 대한 식이다.
Figure 112010082116340-pat00015
식(15)
여기서, W, I-W는 가중치 함수로 합이 1이다. 가중치 함수에 곱해지는 B는 고각과 방위각으로 이루어진 행렬이며 첫 번째 항(BTRJcmd)은 항법정보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을 추종하도록 생성된 자세명령이며, 두 번째 항의 B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자세명령과 비행체 특성을 고려한 명령, 그리고 영상처리카메라의 장착에 의한 보정명령을 합한 것이다.
이러한 조합을 통해 비행체 고유특성을 반영하고 영상처리카메라에 의한 장착 또는 특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소거하여 더욱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아울러, 도 9에서 보듯이, 종말 구간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측풍의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예측하여 횡방향 자세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무인항공기
20 : 그물망
21 : 심볼(영상 속의 그물망)
30 : 촬영 영상

Claims (6)

  1. 무인항공기의 자동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에 제공된 회수지점을 이용하여 온보드(On-board) 상에서 회수지점과 정렬지점을 잇는 기준궤적을 생성하는 기준궤적 생성단계;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전방영상 카메라로 심볼(그물망)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처리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심볼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고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영상처리단계;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를 이용해 심볼을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자세명령을 생성하는 자세명령 생성단계; 및
    상기 기준궤적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기준궤적과 상기 자세명령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세명령을 조합하여 가상궤적을 생성하되,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에 가중치를 두면서 가상궤적을 생성하는 가상궤적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궤적은 상기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까지 하나 이상의 경로점을 지나도록 설정되되, 각 경로점의 통과 전에 다음 경로점을 향하는 가상 기준궤적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기준궤적을 따르도록 탑재된 항법장비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명령은,
    획득된 영상 중심에서 심볼의 위치 간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을 산정하고, 산정된 방향각(ψVPUCmd)과 고각(θVPUCmd)의 크기만큼 무인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는 정렬지점에서 회수지점으로 갈수록 자세명령의 비중이 0 %에서 100 %로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궤적 생성단계에서의 가중치 부여를 위한 거리 산정은 상기 영상처리단계에서 산정된 무인항공기와 심볼 간의 거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궤적의 생성은, 초기 정렬 단계에서는 항법정보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을 추종하되, 종말 구간인 회수지점에서는 정밀도가 높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자세명령을 생성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궤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영상기반 자동회수 방법.

KR1020100127276A 2010-12-14 2010-12-14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Active KR10115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76A KR101157484B1 (ko) 2010-12-14 2010-12-14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PCT/KR2010/009187 WO2012081755A1 (ko) 2010-12-14 2010-12-22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US13/993,920 US9207681B2 (en) 2010-12-14 2010-12-22 Automatic recovery method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201080070709.9A CN103347785B (zh) 2010-12-14 2010-12-22 一种无人机自动回收方法
IL226941A IL226941A (en) 2010-12-14 2013-06-13 Automatic recovery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76A KR101157484B1 (ko) 2010-12-14 2010-12-14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484B1 true KR101157484B1 (ko) 2012-06-20

Family

ID=4624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276A Active KR101157484B1 (ko) 2010-12-14 2010-12-14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7681B2 (ko)
KR (1) KR101157484B1 (ko)
CN (1) CN103347785B (ko)
IL (1) IL226941A (ko)
WO (1) WO201208175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92B1 (ko) * 2013-12-30 2015-06-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파일 재고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인항공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CN105185163A (zh) * 2015-06-02 2015-12-23 北京航空航天大学 飞行路径选择方法和装置、飞行器和空中交通管理系统
KR101733677B1 (ko) * 2015-06-11 2017-05-08 주식회사 두시텍 인공표식 및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무인비행기 정밀착륙 장치 및 방법
CN106950991A (zh) * 2017-04-27 2017-07-14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无人机返航方法
US10303172B2 (en) 2015-08-19 2019-05-28 Eyedea Inc.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utomatic track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506109A (zh) * 2014-12-31 2020-08-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传感器数据的选择性处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6472B2 (en) * 2013-08-30 2017-06-13 Insitu,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ble user interfaces
CN103693206B (zh) * 2013-12-31 2015-11-04 东北大学 一种无人机的自主循环发射、回收装置
EP3120111B1 (en) * 2014-03-18 2019-06-12 BAE Systems PLC Path planning
WO2016094543A2 (en) 2014-12-09 2016-06-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av launch and recovery
FR3033769B1 (fr) * 2015-03-20 2018-06-29 Delair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ssistance de la phase d’atterrissage d'un aeronef a voilure fixe
CN108227741B (zh) * 2015-09-23 2021-03-05 郑州大学 一种生态文明监测飞行装置
JP6767802B2 (ja) * 2015-11-30 2020-10-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人飛行体及びその飛行制御方法
CN106945839B (zh) * 2016-01-06 2022-06-17 吕智慧 飞行装置及其飞行方法
CN106155081B (zh) * 2016-06-17 2018-02-16 北京理工大学 一种旋翼无人机大范围目标监测和精确定位方法
CN108645403B (zh) * 2018-05-15 2021-03-23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基于卫星导航及姿态测量的无人机自动跟拍系统
CN109204860B (zh) * 2018-10-29 2022-03-22 西北工业大学 一种舰载无人机弹射/回收一体化装置
CN111694370B (zh) * 2019-03-12 2024-05-24 丰翼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人机多阶段定点定向降落的视觉方法及系统
CN110530374B (zh) * 2019-10-08 2023-06-23 西安爱生技术集团公司 一种无人机天钩回收阶段航迹偏差显示方法
CN111273679A (zh) * 2020-02-14 2020-06-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视觉引导的小型固定翼无人机撞网回收纵向制导方法
CN112937902B (zh) * 2021-03-16 2022-11-1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无人机通用共轨发射与回收装置及方法
US20240111310A1 (en) * 2021-07-30 2024-04-04 Ronan Xavier Ehasoo Methods for uav routing combining uav flights and uav assisted travel
US11738867B2 (en) * 2021-07-30 2023-08-29 Ronan Xavier Ehasoo Drone routing combining autonomous flight and assist vehicle travel
CN114020014B (zh) * 2021-10-27 2023-08-15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无人机回收过程航线规划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408201B (zh) * 2022-01-07 2024-04-19 北京理工大学 一种固定翼无人机回收系统及方法
CN115421490B (zh) * 2022-09-02 2023-07-14 武汉理工大学 一种浮绳联接的双无人船艇协同拖曳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513A (en) * 1988-11-02 1993-08-10 Mordekhai Velger Aircraft automatic landing system
US5716032A (en) * 1996-04-22 1998-02-10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landing system
KR100842101B1 (ko) 2007-06-15 2008-06-30 주식회사 대한항공 영상정보를 이용한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KR100985195B1 (ko) 2010-01-21 2010-10-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영상기반 자동 이착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20643C2 (ru) * 2001-04-18 2004-01-10 Самсунг Гванджу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чистящ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ой системой (варианты)
US7542828B2 (en) * 2005-07-01 2009-06-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nmanned air vehicle, integrated weapon platform, avionics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0567898C (zh) * 2007-01-16 2009-12-09 北京航空航天大学 无人直升机着陆引导方法及其装置
US8521339B2 (en) * 2008-09-09 2013-08-27 Aeryon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unmanned vehicles
KR101021799B1 (ko) * 2008-11-12 2011-03-17 주식회사 대한항공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유도 제어 방법
US8375837B2 (en) * 2009-01-19 2013-0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tch and snare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9127908B2 (en) * 2009-02-02 2015-09-08 Aero Vironment, Inc. Multimode unmanned aerial vehicle
IL201681A (en) * 2009-10-22 2014-06-30 Abraham Abershitz System and method for UAV
US9064222B2 (en) * 2010-05-14 2015-06-23 The Boeing Company Real time mission planning
EP2423873B1 (en) * 2010-08-25 2013-12-11 Lakeside Lab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verview Image of a Plurality of Images Using a Reference Plane
EP2538298A1 (en) * 2011-06-22 2012-12-26 Sensefly Sàrl Method for acquiring images from arbitrary perspectives with UAVs equipped with fixed imagers
KR20150019771A (ko) * 2013-08-16 2015-02-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항공기의 착륙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513A (en) * 1988-11-02 1993-08-10 Mordekhai Velger Aircraft automatic landing system
US5716032A (en) * 1996-04-22 1998-02-10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landing system
KR100842101B1 (ko) 2007-06-15 2008-06-30 주식회사 대한항공 영상정보를 이용한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KR100985195B1 (ko) 2010-01-21 2010-10-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영상기반 자동 이착륙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92B1 (ko) * 2013-12-30 2015-06-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파일 재고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인항공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CN111506109A (zh) * 2014-12-31 2020-08-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传感器数据的选择性处理
CN111506109B (zh) * 2014-12-31 2023-08-2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传感器数据的选择性处理
CN105185163A (zh) * 2015-06-02 2015-12-23 北京航空航天大学 飞行路径选择方法和装置、飞行器和空中交通管理系统
KR101733677B1 (ko) * 2015-06-11 2017-05-08 주식회사 두시텍 인공표식 및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무인비행기 정밀착륙 장치 및 방법
US10303172B2 (en) 2015-08-19 2019-05-28 Eyedea Inc.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utomatic track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950991A (zh) * 2017-04-27 2017-07-14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无人机返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7681B2 (en) 2015-12-08
CN103347785B (zh) 2015-10-21
US20130325222A1 (en) 2013-12-05
WO2012081755A1 (ko) 2012-06-21
CN103347785A (zh) 2013-10-09
IL226941A (en)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484B1 (ko)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EP3833600B1 (en) Landing site localization for dynamic control of an aircraft toward a landing site
US11126201B2 (en) Image sensor based autonomous landing
US106566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racking moving targets from air vehicles
Kong et al. Autonomous landing of an UAV with a ground-based actuated infrared stereo vision system
US10643346B2 (en) Target tracking method performed by a drone, related computer program, electronic system and drone
KR101021799B1 (ko)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유도 제어 방법
KR101445216B1 (ko) 항공기의 종말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EP2818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AV landing
CN107407937B (zh) 航空器着陆的自动辅助方法
US10642272B1 (en) Vehicle navigation with image-aided global positioning system
WO2022101895A1 (ja) 航空機の位置制御システム、航空機及び航空機の位置制御方法
US11687097B2 (en) Method and system allowing automatic take-off of an aircraft
US1106114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djusting position information
CN112797982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无人机自主着陆测量方法
Morais et al. Trajectory and Guidance Mode for autonomously landing an UAV on a naval platform using a vision approach
CN119043343B (zh) 一种复杂环境下惯导辅助的无线电测向修正方法
CN114689030A (zh) 一种基于机载视觉的无人机辅助定位方法及系统
CN108873031B (zh) 一种2自由度吊舱的外参标定优化方法
US20180164122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Related Drone,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862065B1 (ko) 비행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바람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79881A (ko) 고정 표적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의 표적 위치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5183780A (zh) 飞行器进近阶段的飞行导引系统、用于其图像采集模块的验证方法和飞行导引方法
KR20230116530A (ko) 무인 비행체 및 gps 신호 스푸핑 판정 방법
Esin Vision-aided landing for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