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301B1 - Receptacle - Google Patents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5301B1 KR101155301B1 KR1020100061788A KR20100061788A KR101155301B1 KR 101155301 B1 KR101155301 B1 KR 101155301B1 KR 1020100061788 A KR1020100061788 A KR 1020100061788A KR 20100061788 A KR20100061788 A KR 20100061788A KR 101155301 B1 KR101155301 B1 KR 101155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holes
- main body
- touch
-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용 돌기들을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a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a pair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and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ov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ouch projec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플러그의 연결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plug can be easily connected even in a dark place.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An outlet is a mechanism which connects to a wire and inserts a plug in order to connect the cord used indoors in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이러한 콘센트(100)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10)의 단자(111)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120)이 수평한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수평타입과, 상기 한 쌍의 구멍(120)이 수평선에 대해 약간 경사진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경사타입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가정에서는 상기 수평타입의 콘센트와 경사타입의 콘센트가 함께 사용되고, 그 콘센트(100)들이 가구 뒤쪽 또는 책상 아래 등 보이지 않는 위치에 은폐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이서, 야간에 플러그(110)를 연결시키는 과정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In the home, the horizontal type outlet and the inclined type outlet are used together, and the
따라서, 이러한 플러그(110)의 연결작업의 어려움으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노약자의 경우 혈압의 상승 또는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nnection work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lu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용 돌기들을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 pair of holes into which the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And a pair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and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ov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ouch projections.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protrusions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ortion.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발광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protrusions are preferably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본 발명은,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용 홈을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a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a pair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and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portion having a groove for a touch.
본 발명은,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단자가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a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a body of the plug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nd disposed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pair of holes is formed, and which the terminal is suppor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 cover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And a guid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ver part and having a pair of touch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한 쌍의 터치용 돌기들이 한 쌍의 구멍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쌍의 구멍과 동일한 선상에 한 쌍의 터치용 돌기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한 쌍의 구멍의 형성라인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플러그와 콘센트의 연결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the touch projections are formed along a line parallel to the pair of holes, so that the user is a pair of touch projections on the same line as the pair of holes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nection work of the plug in the pos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the connection work of the plug and the outlet without visually confirming the line forming the pair of hole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본체부(10)와 커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본체부(10)는, 플러그(30)의 단자(32)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11)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터치용 돌기(21)들을 구비한다.As for the said main-
상기 한 쌍의 터치용 돌기(21)들은, 상기 한 쌍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11)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The pair of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용 돌기(21)들은 상기 커버부(20)와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터치용 돌기(21)들의 상기 커버부(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터치용 돌기(21)들은 야간에도 빛을 발할 수 있는 예컨대 야광소재와 같은 발광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상기 한 쌍의 터치용 돌기(21)들이 상기 한 쌍의 구멍(11)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구멍(11)과 동일한 선상에 상기 한 쌍의 터치용 돌기(21)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3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구멍(11)의 형성라인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상기 플러그(30)를 콘센트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 플러그(30) 연결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한편,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상기 커버부(20)에 한 쌍의 터치용 돌기(21)들이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한 쌍의 터치용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ir of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본체부(40)와 커버부(50)와 안내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ncludes a
상기 본체부(40)는, 플러그(60)의 단자(61)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41)이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본체부(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본체부(40)와의 사이에 상기 단자(61)가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러그(60)의 몸체(62)가 삽입되는 삽입홈(51)을 가진다. The cover portion 50 has an
상기 안내부재(70)는, 상기 커버부(50)의 삽입홈(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41)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부(71)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부(71)는 돌기형 또는 요입형으로 상기 안내부재(70)와 일체로 형성된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전통적인 콘센트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 상기 안내부재(70)를 이용하여 콘센트와 플러그(6)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센트의 설계변경에 따른 제작비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outlet and the plug (6) using the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about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defined by what was described in the claim, and it is clear that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are possibl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o.
10:본체부 11:구멍
20:커버부 21:터치용 돌기
30:플러그 32:단자10: body part 11: hole
20: Cover part 21: projection for touch
30: Plug 32: Terminal
Claims (7)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용 돌기들을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a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 pair of provid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And a cover part having touch protrusions.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ouch protrusion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art.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발광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projections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용 홈을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 pair of provid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An outlet comprising: a cover part having a groove for a touch.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touch protrusion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art.
상기 터치용 돌기들은 발광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ouch projections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과 평행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단자가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구멍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터치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air of holes into which a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An inser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disposed on another plane parallel to the plane where the pair of holes are formed, and the body of the plug in which the terminal is support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A cover part having a groove; And
And a guid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n insertion groove of the cover part and having a pair of touch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in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air of holes. Out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788A KR101155301B1 (en) | 2010-06-29 | 2010-06-29 | Recepta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788A KR101155301B1 (en) | 2010-06-29 | 2010-06-29 | Recepta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137A KR20120001137A (en) | 2012-01-04 |
KR101155301B1 true KR101155301B1 (en) | 2012-06-15 |
Family
ID=4560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1788A Active KR101155301B1 (en) | 2010-06-29 | 2010-06-29 | Recepta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53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379B1 (en) | 2013-01-09 | 2020-03-05 | 이철윤 | Jig for power concent |
KR101381412B1 (en) * | 2013-12-06 | 2014-04-04 | 주식회사 디에스이 | Receptacle having plug gui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10421A (en) * | 1992-10-31 | 1994-05-26 | 남희철 | consent |
KR200355820Y1 (en) | 2004-04-02 | 2004-07-09 | (주)무림설계기술단 | Wall outlets having covers of versatile talents |
KR20080001684U (en) * | 2006-12-06 | 2008-06-11 | 김민수 | Outlet having constant and power saving power and power saving and leakage prevention system using the same |
-
2010
- 2010-06-29 KR KR1020100061788A patent/KR1011553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10421A (en) * | 1992-10-31 | 1994-05-26 | 남희철 | consent |
KR200355820Y1 (en) | 2004-04-02 | 2004-07-09 | (주)무림설계기술단 | Wall outlets having covers of versatile talents |
KR20080001684U (en) * | 2006-12-06 | 2008-06-11 | 김민수 | Outlet having constant and power saving power and power saving and leakage prevention system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137A (en) | 2012-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675994S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USD549649S1 (en) | Stepped oval socket electrical connector | |
USD786796S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USD870051S1 (en) |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 |
USD575742S1 (en) |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 |
USD884639S1 (en) | Multihead cable connector | |
USD495999S1 (en) | Retainer for electrical cord connector | |
USD890702S1 (en) | Multihead cable connector | |
USD585830S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D829666S1 (en)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
USD543942S1 (en) | Male/femal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 |
KR101155301B1 (en) | Receptacle | |
USD939447S1 (en) | Electrical plug adapter | |
US7264374B1 (en) | Decorative lighting assembly | |
USD603340S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D978804S1 (en) | Mezzanine connector housing | |
USD917397S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USD650756S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CN203300933U (en) | Power supply extension socket | |
USD591687S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D577685S1 (en) | Twist-on wire connector | |
USD937219S1 (en) | Wire connector for terminal block | |
USD577680S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201403556Y (en) | Cap capable of connecting with MP3 music player | |
USD579409S1 (en) | Power recepta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