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5115B1 -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115B1
KR101155115B1 KR1020110097862A KR20110097862A KR101155115B1 KR 101155115 B1 KR101155115 B1 KR 101155115B1 KR 1020110097862 A KR1020110097862 A KR 1020110097862A KR 20110097862 A KR20110097862 A KR 20110097862A KR 101155115 B1 KR101155115 B1 KR 10115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nonwoven fabric
laminated
forming step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물산
Priority to KR102011009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1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진 양 섬유층 사이에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층이 개재된 상태에서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적층 구조의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 모두를 제1소면기(carding machine)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1섬유 형성단계;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을 동시에 제2소면기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2섬유 형성단계; 상기 제1섬유와 제2섬유 사이에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제3섬유가 개재되도록 적층하는 적층섬유 형성단계; 및 상기 적층섬유에 워터제트(water jet)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적층부직포를 형성하는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포함되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3 레이어 부직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3LAY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3 레이어(layer)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진 양 섬유층 사이에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층이 개재된 상태에서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적층 구조의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물티슈, 키친타월, 청소용 타월 등과 같은 생활용, 반도체 와이퍼 등과 같은 산업용, 외과 수술복, 수술모자, 병원용 침대포, 병원용 베개포 등의 의료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용도에서 알 수 있듯이 부직포는 기능 측면에서 특히 중요시되는 것이 위생과 흡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촉감이 좋을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 측면을 고려하여 흔히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가 이용된다. 스펀레이스 공정은, 소면기(carding machine)에서 소면 처리되어 형성되는 섬유 웹(web)에 워터제트(water jet)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섬유가 얽히도록 함으로써 부직포를 형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부직포의 원료로는 레이온(Rayon)이나 폴리에스테르(PET)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원료는 각기 장단점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레이온은 흡수성이 폴리에스테르보다 뛰어나기는 하나 한계가 있고, 폴리에스테르보다 질기지 못한 단점이 있다. 반면, 폴리에스테르는 질긴 장점은 있으나 흡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부직포는 부피감을 부여하여 손으로 집기 쉽도록 하고 또 오물을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직포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기도 한다.
종래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0728784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부직포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대부분 부직포 형성단계를 거친 후 건조 단계까지 마친 다음에 후가공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방법에서도 엠보싱롤 사이로 가압되어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요철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엠보싱롤에 형성된 요철면이 가압하는 부직포 부위는 국부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섬유가 얇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부직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를 야기하며, 또한 부직포가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구겨지는 등 보관상, 사용상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형성되는 요철 패턴이라고 해봐야, 볼록한 부위와 오목한 부위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패턴이 대부분이어서, 이러한 요철 패턴에 의해서는 접촉면과의 마찰이 미소하게나마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흡수기능에 도움을 주는 등의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생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외층 내부의 속층으로 천연섬유가 개재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강도 면에서 양호하면서 흡수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요철 패턴이 선가공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스펀레이스 공정과 동시에 요철 패턴이 전사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요철 형상의 특징에 기인하여 접촉면을 더욱 깨끗이 닦으면서 흡수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 모두를 제1소면기(carding machine)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1섬유 형성단계;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을 동시에 제2소면기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2섬유 형성단계; 상기 제1섬유와 제2섬유 사이에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제3섬유가 개재되도록 적층하는 적층섬유 형성단계; 및 상기 적층섬유에 워터제트(water jet)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적층부직포를 형성하는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제1섬유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소면기에 의한 소면 처리로 형성된 제1웹에 워터제트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제1부직포를 형성하는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1섬유가 상기 제1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2섬유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2소면기에 의한 소면처리로 형성된 제2웹에 워터제트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제2부직포를 형성하는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섬유가 상기 제2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홀 패턴이 형성된 제1드럼에 의해 상기 제1웹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상기 제1부직포에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거나, 또는 외주면에 홀 패턴이 형성된 제2드럼에 의해 상기 제2웹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상기 제2부직포에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는 홀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되고, 외주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제3드럼에 의해 상기 적층섬유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적층부직포에 상기 요철 패턴이 전사되는 요철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3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은 완곡면과 수직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프돔(half-dome)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 패턴 전사단계에 의해 상기 적층부직포에 하프돔형 패턴이 전사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재생섬유는 레이온(Rayon)이고,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PET)이며, 상기 천연섬유는 셀룰로오스 펄프(cellulose pul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3 레이어 부직포는,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는 제1섬유층;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는 제2섬유층; 및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섬유층;이 포함되고, 상기 제1섬유층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된 제1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2섬유층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된 제2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섬유층이 상기 제1섬유층와 제2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1섬유층, 제2섬유층 및 제3섬유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거쳐 형성되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부직포에 완곡면과 수직면을 포함하는 하프돔형의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재생섬유는 레이온(Rayon)이고,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PET)이며, 상기 천연섬유는 셀룰로오스 펄프(cellulose pulp)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면에서 우수한 재생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제1섬유 및 제2섬유의 사이에 흡수성이 매우 우수한 천연섬유가 개재된 적층 구조의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제시됨으로써, 질기면서도 흡수성이 양호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제조됨으로써, 단순히 합성섬유 또는 재생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비해 제조원가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부직포 또는 제2부직포에 홀 패턴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3섬유와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외층을 이루는 제1섬유 또는 제2섬유의 홀 패턴을 통해 제3섬유가 노출됨으로 인해 부직포의 흡수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펀레이스 공정과 동시에 요철 패턴이 전사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적층부직포에 요철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이 더욱 깨끗이 닦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요철 부위에 상술한 제3섬유의 노출 부위가 형성됨으로써 흡수성 또한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드럼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3드럼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제1섬유 형성단계, 제2섬유 형성단계, 적층섬유 형성단계 및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포함되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제1섬유 형성단계는, 재생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원료로 하면서, 이러한 원료를 제1소면기(carding machine)(110)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여 제1섬유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재생섬유로는 흡수성이 어느 정도 양호한 레이온(Ray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섬유로는 강도 면에서 장점이 있는 폴리에스테르(PET)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양 섬유의 장점이 겸비되도록 양 섬유를 동시에 제1소면기(110)에 투입하여 소면 처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소면 처리하여 형성되는 제1섬유는 섬유 웹(web)(이하에서는 제1웹(101)이라 한다)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2섬유 형성단계는 제1섬유 형성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2섬유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제2섬유 또한 섬유 웹(이하에서는 제2웹(311)이라 한다)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적층섬유 형성단계는, 제1섬유와 제2섬유 사이에 제3섬유가 개재되도록 제1섬유, 제2섬유 및 제3섬유가 적층되는 단계이다. 제3섬유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셀룰로오스 펄프(cellulose pul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1섬유를 이루는 제1웹(101)은 제1소면기(110)로부터 배출된 이후 다양한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 과정에서 제1웹(101) 위로 제3섬유(211)가 적층된다. 제3섬유(211)는 공급롤(210)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제1웹(101) 위로 적층될 수 있다. 이렇게 적층된 제1웹(101) 및 제3섬유(211)가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3섬유(211) 위로 제2소면기(310)로부터 배출되는 제2웹(311)이 적층된다.
적층부직포 형성단계는, 적층섬유(103)에, 앞서 설명된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거치면서 적층부직포(10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적측섬유에 워트제트(water jet)에 의한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제1섬유, 제2섬유 및 제3섬유가 서로 엉켜 결속되면서 적층부직포(104)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렇게 형성된 적층부직포(104)는, 대체로 3 레이어(layer) 적층구조가 된다. 즉 제3섬유가 제1섬유 및 제2섬유 사이에 개재되면서, 제1섬유 및 제2섬유는 바깥 섬유층이 되고, 제3섬유는 속 섬유층이 되는 3 레이어 적층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섬유 및 제2섬유는 앞서 설명된 섬유로 이루어짐에 따라 천연섬유에 비해 흡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강도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반면, 제3섬유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제1섬유 및 제2섬유에 비해 강도 측면에서 약한 단점이 있으나, 흡수성 측면에서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적층부직포(104)는 제1섬유 및 제2섬유가 갖는 강도 면에서의 장점으로 인해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제3섬유에 의해 사용시 매우 뛰어난 흡수성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직포가 동일한 부피로 제조된다고 볼 때,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한 바의 원료로 이루어지는 3 레이어(layer) 적층부직포(104)로 제조되는 경우가, 단순히 폴리에스테르 또는 레이온 원료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제조되는 경우보다 제조원가 측면에서도 훨씬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제1섬유 형성단계에서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제2섬유 형성단계에서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섬유 형성단계와 제2섬유 형성단계에서 제1부직포 형성단계와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각각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제1부직포 형성단계와 제2부직포 형성단계는 각각 제1웹(101)과 제2웹(311)에 상술한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도록 하여 제1웹(101)이 제1부직포(102), 제2웹(311)이 제2부직포가 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에서는 일 예로서 제1섬유 형성단계에서만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정의 예를 제시한다. 즉, 제1소면기(110)로부터 배출된 제1웹(101)이 제1드럼(120)에 감겨 이송되는 과정에서 워터제트(11)에 의한 물 분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제1부직포(102)가 되는 과정이 제시되고 있다. 이 경우 제1섬유는 제1부직포(102)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웹(101)에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도록 하여 제1웹(101)을 먼저 결속시켜 일체로 된 제1부직포(102)를 형성함으로써, 제1섬유는 단순히 제1웹(101)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강도 면에서 더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적층부직포 형성단계를 거치면서 2회째 스펀레이스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층부직포(104)가 전체적으로 더욱 우수한 결속력(강도)을 갖게 된다. 제1섬유가 이처럼 복수의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면서 더욱 견고한 강도를 갖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친 제1부직포(102)에 한번 더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추가드럼(130)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부직포(102)가 추가드럼(130)에 감겨 이송되는 과정에서 워터제트(12)에 의한 물 분사 과정을 한번 더 거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섬유 형성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웹(311)도 제1웹(101)과 마찬가지로 제2드럼(미도시) 및 추가드럼(미도시)에 감기는 과정에서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부직포 형성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제1부직포(102)에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도록 홀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부직포(102)에 다수의 홀(구멍)이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제1부직포(102)에 이렇게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면, 적층부직포 형성단계를 거칠 때, 제1부직포(102)에 관통 형성된 홀 부위를 통해 제3섬유(211)가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제3섬유(211)의 노출 부위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부직포는 흡수력이 뛰어난 제3섬유(211)의 특성에 의해 사용시 더 뛰어난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 패턴 전사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드럼(120) 외주면에 홀(121)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1웹(101)이 제1드럼(120)에 감겨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1드럼(12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감기면서 이송되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워터제트(11)로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제1웹(101)이 제1부직포(102)로 되는 동시에 제1부직포(102)에 다수의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홀 패턴 형성단계는 제2부직포 형성단계에서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드럼에 제1드럼(120)에서와 마찬가지의 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적층부직포 형성단계를 거칠 때 요철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된다. 그 외 공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중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것에 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요철 패턴 전사단계에 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요철 패턴 전사단계는 적층섬유(103)에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는 과정, 즉 적층부직포(104)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요철 패턴이 전사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적층섬유(103)는 외주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제3드럼(410)에 감겨 가압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며, 제3드럼(410)에 가압된 적층섬유(103)의 부위로 워터제트(13)에 의한 물 분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적층섬유(103)는 적층부직포(104)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요철 패턴이 전사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직포에 종래 부직포 제조방법처럼 후가공으로 요철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가공으로 요철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동시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3드럼(410)의 요철 패턴에 의한 가압이 있더라도 적층부직포(104)에 국부적인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3드럼(410)의 요철 패턴에 의해 적층섬유(103)가 가압된 상태에서 비로소 섬유가 결속되는 스펀레이스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러한 요철 패턴 전사단계를 거치게 되더라도 적층부직포(104)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3드럼(410)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의 일 예로서, 도 4에서는 돔(dome)부(411)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 이러한 돔부(411)가 제3드럼(410)의 외주면에서 다수로 형성되면서 요철 패턴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5에서는 하프돔(half-dome)부(412)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 이러한 요철 패턴이 제3드럼(410)에 형성됨으로써 적층부직포(104)는 돔형 또는 하프돔형의 요철(104a, 104b, 도 6 및 도 7 참조) 패턴이 전사되어 형성된다. 적층부직포(104)에 이러한 요철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부직포는 사용시 접촉면에 대하여 마찰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닦고자 하는 면을 더욱 깨끗이 닦을 수 있다. 특히, 하프돔형의 요철(104b) 패턴은 일측이 완곡면(104c)인 반면, 타측이 수직면(104d)을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수직면(104d)을 닦고자 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접촉면을 훨씬 더 깨끗이 닦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제1부직포(102) 또는 제2부직포에 형성된 홀 패턴을 통해 노출되는 제3섬유(211) 부위가 하프돔형 요철의 수직면(104d)에 또는 수직면(104d)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흡수력 또한 더욱 양호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표시된 도면 부호 500은 건조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건조수단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건조수단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 건조수단을 이용하여 적층부직포 형성단계 이후에 적층부직포(104)를 건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 600은 슬릿팅(slitting) 및 롤링(rolling)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또한 공지된 다양한 슬릿팅 및 롤링 수단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한 건조단계를 거친 적층부직포(104)를 일정한 크기가 되도록 잘라 롤 형태로 마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도면부호 413은, 제3드럼(410)으로 워터제트(13)에 의해 물을 분사할 때 분사된 물이 제3드럼(41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3드럼(410)에 형성되는 홀(구멍)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제3드럼(410) 내부에는 물 흡수가 더욱 용이하도록 모터에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수 수단(미도시)이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적층부직포(104)에 상술한 돔형 요철(104a) 패턴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적층부직포(104)에 상술한 하프돔형 요철(104b) 패턴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3 레이어 부직포가 제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의 3 레이어 부직포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의 요철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플랫형(flat type)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12,13; 워터제트 101; 제1웹
102; 제1부직포 103; 적층섬유
104; 적층부직포 110; 제1소면기
120; 제1드럼 121; 홀
130; 추가드럼 210; 공급롤
211; 제3섬유 310; 제2소면기
311; 제2웹 410; 제3드럼
411; 돔부 412; 하프돔부

Claims (10)

  1.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 모두를 제1소면기(carding machine)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1섬유 형성단계;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를, 또는 둘을 동시에 제2소면기에 투입하고 소면 처리하는 제2섬유 형성단계;
    상기 제1섬유와 제2섬유 사이에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제3섬유가 개재되도록 적층하는 적층섬유 형성단계; 및
    상기 적층섬유에 워터제트(water jet)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적층부직포를 형성하는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제1섬유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소면기에 의한 소면 처리로 형성된 제1웹에 워터제트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제1부직포를 형성하는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1섬유가 상기 제1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2섬유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2소면기에 의한 소면처리로 형성된 제2웹에 워터제트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제2부직포를 형성하는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섬유가 상기 제2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홀 패턴이 형성된 제1드럼에 의해 상기 제1웹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상기 제1부직포에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거나, 또는 외주면에 홀 패턴이 형성된 제2드럼에 의해 상기 제2웹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상기 제2부직포에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되는 홀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되고,
    외주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제3드럼에 의해 상기 적층섬유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적층부직포 형성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적층부직포에 상기 요철 패턴이 전사되는 요철 패턴 전사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3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은 완곡면과 수직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프돔(half-dome)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 패턴 전사단계에 의해 상기 적층부직포에 하프돔형 패턴이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섬유는 레이온(Rayon)이고,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PET)이며, 상기 천연섬유는 셀룰로오스 펄프(cellulose pul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레이어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는 제1섬유층;
    재생섬유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는 제2섬유층; 및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섬유층;이 포함되고,
    상기 제1섬유층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된 제1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2섬유층이 워터제트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홀 패턴이 관통 형성된 제2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섬유층이 상기 제1섬유층와 제2섬유층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1섬유층, 제2섬유층 및 제3섬유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거쳐 형성되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부직포에 완곡면과 수직면을 포함하는 하프돔형의 요철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레이어 부직포.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생섬유는 레이온(Rayon)이고,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PET)이며, 상기 천연섬유는 셀룰로오스 펄프(cellulose pul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레이어 부직포.
KR1020110097862A 2011-09-27 2011-09-27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62A KR101155115B1 (ko) 2011-09-27 2011-09-27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62A KR101155115B1 (ko) 2011-09-27 2011-09-27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115B1 true KR101155115B1 (ko) 2012-06-11

Family

ID=4660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8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115B1 (ko) 2011-09-27 2011-09-27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1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103A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벌키성이 우수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방법
KR20160002820U (ko) * 2015-02-05 2016-08-16 위너 인더스트리스(션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부직포 거즈 제품 및 그 제조 시스템
WO2017039238A1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210711A (ja) * 2017-08-01 2017-1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凹凸パターン付き不織布の製造方法
KR101875531B1 (ko) * 2016-12-16 2018-07-06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펠트 또는 부직포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패턴 펀칭 방식의 완충 부직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564A (ko) * 1999-01-29 2000-12-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피브릴화된 레이온을 함유하는 수해성 섬유 시이트
KR20020041313A (ko) * 2000-11-27 2002-06-01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60038922A (ko) * 2003-05-01 2006-05-04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패턴화 시트 제품
KR100882825B1 (ko) * 2008-09-30 2009-02-10 주식회사 로지텍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용 기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564A (ko) * 1999-01-29 2000-12-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피브릴화된 레이온을 함유하는 수해성 섬유 시이트
KR20020041313A (ko) * 2000-11-27 2002-06-01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60038922A (ko) * 2003-05-01 2006-05-04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패턴화 시트 제품
KR100882825B1 (ko) * 2008-09-30 2009-02-10 주식회사 로지텍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용 기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103A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벌키성이 우수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방법
KR101654366B1 (ko) 2015-01-26 2016-09-07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벌키성이 우수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방법
KR20160002820U (ko) * 2015-02-05 2016-08-16 위너 인더스트리스(션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부직포 거즈 제품 및 그 제조 시스템
KR200483052Y1 (ko) 2015-02-05 2017-03-29 위너 인더스트리스(션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부직포 거즈 제품 및 그 제조 시스템
WO2017039238A1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5531B1 (ko) * 2016-12-16 2018-07-06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펠트 또는 부직포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패턴 펀칭 방식의 완충 부직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7210711A (ja) * 2017-08-01 2017-1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凹凸パターン付き不織布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328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non-woven fabric having a surface covered with microfiber and fabric obtainable with said process
KR101155115B1 (ko)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3559533B2 (ja) 絡合不織布と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JP6423578B2 (ja) 積層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製品
US4537819A (en) Scrub-wipe fabric
WO2017149903A1 (ja) ウェットワイプス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7121619B2 (ja) 複合不織布を用いたウエットティシューおよび複合不織布の製造方法
JP4722222B2 (ja) 化粧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21572A1 (en) A tissue paper/nonwoven laminate product
KR20160090836A (ko) 다목적 심한 얼룩 제거 용품
CN119730765A (zh) 用于生产多层布制品的方法
US20120003432A1 (en) Wipes having a non-homogeneous structure
US20040018794A1 (en) Cleaning article exhibiting reduced surface occlusion
US20120003447A1 (en) Wipes having a non-homogeneous structure
US7047606B2 (en) Two-sided nonwoven fabrics having a three-dimensional image
JP4721788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348147B1 (en) Process of making a non-woven cleaning cloth
CN211467703U (zh) 一种湿法无纺布复合擦拭巾
JP4073928B2 (ja) 清掃用物品
JP2017128107A (ja) 清拭シート
JPH0268346A (ja) 吸水性布帛
KR20240076821A (ko) 생분해성 와이프
CN201835163U (zh) 一种高强度复合水刺布
CN215051130U (zh) 一种高吸液强去污的水刺复合无纺布
JP3578859B2 (ja) 清拭用スパンレース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