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4092B1 -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92B1
KR101154092B1 KR1020110000066A KR20110000066A KR101154092B1 KR 101154092 B1 KR101154092 B1 KR 101154092B1 KR 1020110000066 A KR1020110000066 A KR 1020110000066A KR 20110000066 A KR20110000066 A KR 20110000066A KR 101154092 B1 KR101154092 B1 KR 10115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edium
guide mechanism
light receiving
receiving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1000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92B1/ko
Priority to PCT/KR2012/000054 priority patent/WO2012093838A2/ko
Priority to CN201280004538.9A priority patent/CN10329934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4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물체감지장치는, 물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는 감지부; 및 상기 물체가 상기 센서를 향하도록 상기 물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Object sensing apparatu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감지장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로는 일 례로, 접촉이미지센서(Contact image sensor: CIS) 또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물체의 이미지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물체감지장치는 일 례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장치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물체감지장치는 매체의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선명하고 해상도가 높아야 감지정확도가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되는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물체감지장치는, 물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는 감지부; 및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센서를 향하도록 상기 물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고, 제1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체가 상기 가이드 기구와 접촉에 의해 상기 센서 측을 향하여 제2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매체가 이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롤러; 이송되는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는 감지부; 상기 롤러에 의해서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센서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수광센서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상기 수광센서와 매체가 이격된 경우보다 획득되는 이미지가 선명해지고, 해상도가 높아지므로, 상기 매체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2매 이상의 매체나 접혀진 매체 또는 이상 매체가 가이드 기구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경우, 탄성 부재에 의해서 가이드 기구가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가이드 기구와 수광센서 사이에 매체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물체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매체가 수광센서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출입부(12)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출입부(13)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와,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출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기본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매체(medium)는, 지폐, 수표, 상품권 등과 같은 유가증권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물체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감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체감지장치(20)는 상기 금융자동화기(1)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체감지장치(20)는 일 례로 매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체감지장치(20)가 일 례로 매체를 감지하나 매체 외의 다른 물체를 감지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장치(20)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물체감지장치(20)의 사용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물체감지장치(20)는, 매체(M)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21)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1)는 광(光)을 조사하는 발광센서(22)와, 상기 발광센서(22)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여 이미지(image)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센서(23)를 포함한다. 상기 수광센서(23)는 일 례로, 접촉이미지센서(Contact image sensor: CIS) 또는 전하결합소자(Charged Coupled Device: CC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장치(20)는,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수광센서(23) 측을 향하도록 상기 매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guide device: 25)를 더 포함한다. 이송되는 매체는 상기 가이드 기구(25)에 의해서 상기 수광센서(23) 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수광센서(2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광센서(23)에서 상기 매체(M)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센서(23) 및 상기 발광센서(22)의 좌우 길이(L1)는 상기 매체(M)의 좌우 길이 보다 길다. 그리고, 상기 매체(M)를 전체 부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다수의 가이드 기구(25)가 상기 하부 가이더(32)에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 기구(25)는 좌우 방향(B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광센서(23)는 일 례로,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더(guider: 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22)는 일 례로,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더(3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광센서(23)가 상기 발광센서(22)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발광센서(22)와 상기 수광센서(2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센서(22)와 상기 수광센서(23) 사이에 매체가 이송되는 제2경로(P1)가 위치된다. 상기 상부 가이더(31)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롤러(roller: 33)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가이더(32)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 롤러(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더(31)와 하부 가이더(32) 사이에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P, P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매체(M)가 상기 수광센서(23) 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므로,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하부 가이더(3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매체를 기준으로 상기 수광센서(23)는 상기 매체의 일측방(일 례로 매체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매체의 타측방(일 례로 매체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매체가 상기 수광센서(23)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므로, 상기 매체(M)의 이송 방향(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광센서(23)의 앞쪽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하부 가이더(33)에 힌지(hinge: 25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탄성 부재(26)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6)는 일 례로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 기구(25)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26)는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매체를 상기 수광센서 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이드 기구(25)로 제공한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 부재(26)가 상기 힌지(252)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기구(25)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상면(251: 가이드면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경사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상면(251)은 상기 매체(M)가 접촉하는 초기 지점에서 상기 수광센서(23)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다. 즉, 상기 상면은 상기 매체가 접촉하는 초기지점에서 상기 수광센서(2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매체(M)가 제1경로(P)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상면(251)에 접촉하면, 상기 매체(M)는 상기 제1경로(P)에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매체(M)의 상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상면(251) 중 일부는 상기 매체(M)의 제1경로(P) 상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최고점(253)과, 상기 수광센서(23)의 최저점(231)까지의 수직 거리(H1)는 상기 매체(M)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최고점(253)과 상기 최저점(231) 사이 공간이 상기 매체의 제2경로(P1)가 되므로, 상기 수직 거리(H1)가 상기 매체(M)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상기 매체(M)가 상기 가이드 기구(25)에 의해서 상기 수광센서(23)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광센서(23)가 상기 발광센서(22)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일 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수광센서(23)가 상기 발광센서(22)의 하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광센서(23)가 상기 하부 가이더(32)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센서(22)가 하부 가이더(3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기구(25)는 상기 상부 가이더(3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발광센서(22)와 상기 수광센서(23)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발광센서(22)와 상기 수광센서(23)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매체가 수광센서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M)가 이송되는 중에 상기 매체(M)가 상기 가이드 기구(25)의 상면(25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매체(M)는 상방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수광센서(23)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M)는 상기 수광센서(23)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된다.
상기 매체(M)가 이송되는 중에는 상기 발광센서(22)에서 광이 조사되므로, 상기 발광센서(22)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매체(M)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센서(23)에서 감지되고, 상기 수광센서(23)에서 이미지 신호가 출력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수광센서(23)에서 출력된 이미지 신호를 이용하여 매체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상기 수광센서(23)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상기 수광센서(23)와 매체가 이격된 경우보다 획득되는 이미지가 선명해지고, 해상도가 높아지므로, 상기 매체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2매 이상의 매체나 접혀진 매체 또는 이상 매체가 상기 가이드 기구(25)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26)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기구(25)가 하방(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기구(25)와 상기 수광센서(23) 사이에 매체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상기 감지부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감지부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센서와 대응됨)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카메라의 하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카메라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물체감지장치
25: 가이드 기구

Claims (9)

  1. 물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는 감지부; 및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센서를 향하도록 상기 물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고,
    제1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체가 상기 가이드 기구와 접촉에 의해 상기 센서 측을 향하여 제2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물체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는 상기 물체의 일 측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물체의 타 측방에 위치되는 물체감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물체를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체가 상기 센서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기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체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물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물체가 접촉하는 최초지점에서 상기 센서 측을 향하여 상기 센서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물체감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물체는 상기 센서와 접촉하는 물체감지장치.
  7.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매체가 이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롤러;
    이송되는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를 가지는 감지부;
    상기 롤러에 의해서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센서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더 및 하부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 가이더 및 상기 하부 가이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상부 가이더 및 상기 하부 가이더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더 및 상기 하부 가이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기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매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매체가 접촉하는 최초지점에서 상기 센서 측을 향하여 상기 센서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10000066A 2011-01-03 2011-01-03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5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66A KR101154092B1 (ko) 2011-01-03 2011-01-03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PCT/KR2012/000054 WO2012093838A2 (ko) 2011-01-03 2012-01-03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CN201280004538.9A CN103299349B (zh) 2011-01-03 2012-01-03 物体检测装置及金融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66A KR101154092B1 (ko) 2011-01-03 2011-01-03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092B1 true KR101154092B1 (ko) 2012-06-11

Family

ID=464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0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4092B1 (ko) 2011-01-03 2011-01-03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54092B1 (ko)
CN (1) CN103299349B (ko)
WO (1) WO201209383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25A (ko) * 2019-09-11 2021-03-1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의 걸림 방지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237010U (zh) * 2019-07-25 2020-08-11 日本金钱机械株式会社 硬币识别单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318A (ko) * 2005-12-23 2007-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감지용 포토센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987B2 (ja) * 1994-12-26 2006-11-22 サンデン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の光学検出部
JP3166968B2 (ja) * 1996-06-14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読取装置
JP4023973B2 (ja) * 1999-12-09 2007-12-19 三洋電機株式会社 紙幣収容装置
JP4329484B2 (ja) * 2003-03-07 2009-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事務機器
KR20070079635A (ko) * 2006-02-03 2007-08-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투입감지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318A (ko) * 2005-12-23 2007-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감지용 포토센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25A (ko) * 2019-09-11 2021-03-1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의 걸림 방지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715280B1 (ko) * 2019-09-11 2024-10-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의 걸림 방지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9349A (zh) 2013-09-11
CN103299349B (zh) 2016-02-24
WO2012093838A2 (ko) 2012-07-12
WO2012093838A3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512B1 (ko) 매체두께 감지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
US7762547B2 (en) Bill processing apparatus
RU27136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154092B1 (ko)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101146454B1 (ko) 매체의 자기성분 검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매체인식방법과 매체인식장치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348868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금융기기
JP4650568B2 (ja) 紙幣識別装置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10826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매체감지장치
KR101182916B1 (ko)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10109458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23439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20090062006A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250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20160001063A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정렬 장치
KR101152992B1 (ko) 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1439B1 (ko) 매체 이송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그의 금융기기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KR10229470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090073738A (ko) 금융자동화기기
JP2010024010A (ja) シート状媒体の斜め送り検出方法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