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63B1 - Climbing system in the construction comprising a climbing- or guide-shoe - Google Patents
Climbing system in the construction comprising a climbing- or guide-sho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2963B1 KR101152963B1 KR1020097011194A KR20097011194A KR101152963B1 KR 101152963 B1 KR101152963 B1 KR 101152963B1 KR 1020097011194 A KR1020097011194 A KR 1020097011194A KR 20097011194 A KR20097011194 A KR 20097011194A KR 101152963 B1 KR101152963 B1 KR 1011529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mbing
- profile
- shoe
- brake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밍 브래킷(12)과, 건축물 또는 상기 클라이밍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10)는 상승 동작을 위하여 클라이밍 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며,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18)를 구비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형의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를 구비하는 클라이밍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The climbing shoe or guide shoe 10 of the construction climb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climbing bracket 12 and at least one climbing profil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or the climbing bracket is mutually associated with the climbing profile for the ascending operation. And at least one brake 18 that acts on the climbing profile. There is also proposed a climbing system with at least one of these types of climbing shoes or guide shoes.
클라이밍 슈, 가이드 슈, 클라이밍 시스템 Climbing Shoe, Guide Shoe, Climbing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를 갖춘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system for construction with a climbing shoe or a guide shoe.
건설 분야에서는 특히 다층의 건물, 바람직하게 특히 고층의 건물의 건설을 위해 자동 클라이밍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클라이밍 시스템에는 건물의 수직 벽의 건설에 필요한 거푸집이 제공된다. 신축 벽들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소위 프레임 유닛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가 적합한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벽에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직 벽이 상부 영역에서 추가로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신축 섹션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상기 신축 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프레임 유닛을 더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수직 벽이 세워지는 동안 프레임 유닛의 드라이브가 위쪽으로 "따라"(follow) 이동하게 된다.It is know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o use automatic climbing systems, in particular for the construction of multi-storey buildings, preferably high-rise buildings. Such automatic climbing systems are provided with the formwork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walls of the building. As soon as the stretching walls have sufficiently hardened, a lift drive is supported on the wall via a suitable profile to lift the so-called frame unit supporting the formwork, resulting in a vertical wall being further "extended" in the upper region. It becomes possible. As soon as the stretch section is fully cured, the drive of the frame unit is "followed" upward while the vertical wall is erected, in order to lift the frame unit further from the stretch section.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4,962,828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 프레임 유닛은 반드시 거푸집을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신축 건축물에 올려질 지붕을 포함한 신축 건축물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세워질 건축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안전망(safety net) 및/또는 플랫폼을 구비한다. 상기 안전망 및/또는 플랫폼은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있다. 추가의 프로파일들이 건축물의 개별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건축물에 설치할 목적으로 제공된 프레임 유닛 또는 프로파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스위칭될 수 있는 드라이브가 제공되었다.Such a system is known from US Pat. No. 4,962,828. In this case, the frame un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formwork, but rather a safety ne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uilding to be built, for example, to facilitate access to the new building including the roof to be placed on the new building. And / or a platform. The safety net and / or platform is installed in the frame unit. Additional profiles can be installed at individual points in the building, and a drive is provided that can be switched to lift a frame unit or profile provided for installation in the building.
프레임 유닛을 들어올리기 위한 드라이브를 지지할 수 있는 수직 프로파일이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일 출원인의 클라이밍 거푸집 시스템이 SKE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른 대안적인 작동 위치에서는 드라이브가 프레임 유닛에 지지되고, 이 시점에 상기 프레임 유닛은 수직 프로파일을 새로운 섹션 안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위하여 건축물에 현수(hang-up) 및/또는 고정되어 있다.Climbing formwork systems of the same applicant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buildings with a vertical profile capable of supporting a drive for lifting the frame unit are known under the name SKE. In another alternative operating position, the drive is supported on the frame unit, at which point the frame unit is hang-up and / or fixed to the building in order to be able to lift the vertical profile into a new section.
동일 출원인의 독일 특허 제10 2005 045 527호는 수직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보호- 및 접근 장치를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 프로파일은 기존의 건물 지붕에 설치될 수 있는 브래킷(bracket)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상기 브래킷에는 수직 프로파일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슈가 제공될 수 있다.German Patent No. 10 2005 045 527 of the same applicant describes a protection and access device having a vertical profile, which is guided by a bracket which can be installed on an existing building roof. The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shoe for guiding the vertical profile.
미국 특허 제4,530,648호는 로킹 암(locking arm)을 구비하는 비상 제동 장치(mechanism)가 리프팅 장치 안에 있는 로드(rod)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클라이밍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838,382호는 클라이밍 브래킷, 클라이밍 프로파일 그리고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고 건축물에 설치된 가이드 슈를 갖춘 안전망(safety net)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기술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슈는 마찰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영국 특허 공개 공보 제2 366 828 A호는 건축물에 고정된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갖춘 자동 클라이밍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클라이밍 브래킷이 유압식 구동 장치 및 톱니 휠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도 언급되어 있다.U.S. Patent No. 4,530,648 describes a climbing system in which an emergency brake mechanism with a locking arm is configured to act on a rod in the lifting device.
U.S. Patent No. 4,838,382 describes a climbing system for a safety net with a climbing bracket, a climbing profile and a guide shoe that interacts with the climbing profile and is installed in a building. The guide shoe also has a friction brake.
British Patent Publication No. 2 366 828 A relates to an automatic climbing system with a climbing profile fixed to a building, in which case the climbing bracket is driven by a hydraulic drive and a toothed wheel on the basis of the climbing profile. Can be. Also mentioned are automatic brake systems.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전 측면에서 개선된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작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climbing system for construction improved in terms of safety.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청구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This problem is solved by the subject matter of patent claim 1.
특허 청구항 1에 따르면,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guidance shoe)가 제공된 클라이밍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밍 브래킷(kletterkonsole) 및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통상적으로는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클라이밍 브래킷은 상승의 목적으로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지지되고,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은 클라이밍 브래킷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끌려갈 수 있다.According to patent claim 1, a climbing system provided with a climbing shoe or a guide shoe comprises at least one climbing bracket (kletterkonsole) and at least one climbing profile. The climbing profile can typically be installed in a building, as a result of which the climbing bracket is supported on the climbing profile for the purpose of ascending, and the climbing profile can be drawn with the climbing bracket installed in the building.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는 건축물 또는 클라이밍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다.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가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슈는 가이드 슈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가 클라이밍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는 대안적인 경우에, 상기 슈가 클라이밍 브래킷을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지지시키는 래치(latch) 또는 그와 유사한 요소를 구비한다면 상기 슈는 클라이밍 슈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상승할 때에 또는 이끌려갈 때에는 클라이밍 프로파일과 클라이밍 슈 사이에서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기로는,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에는 직접 그리고 마찰 결합 방식으로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는 오작동의 경우 또는 차단용 래치 등이 고장 난 경우에도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미끄러짐 또는 추락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고의 및 실수로 왕복 장치 안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끌려갈 때에 추락 위험이 존재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는 다른 안전 장치들에 고장 및/또는 오작동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결합 상태를 유지시켜서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고정시킨다.The climbing shoe or guide shoe can be installed in a building or climbing bracket. When a climbing shoe or a guide shoe is installed in a building, the shoe functions as a guide shoe. In an alternative case in which the climbing shoe or guide shoe can be mounted to the climbing bracket, the shoe functions as a climbing shoe if it has a latch or similar element that supports the shoe climbing bracket to the climbing profile. Relative motion occurs between the climbing profile and the climbing shoe when the climbing profile is raised or draw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imbing shoe or guide sho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brake which acts on the climbing profile directly and in a frictionally engaged manner. The brake prevents slipping or falling of the climbing profile in a preferred manner even in the event of a malfunction or in the event of a blocking latch or the like. In such situations, there is a risk of falling when the climbing profile is dragged if intentionally and accidentally engaged in the reciprocating device. At this time, the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oupling state to fix the climbing profile even when there is a failure and / or malfunction in other safety devices.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가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대하여 프리텐션(pretension)을 인가받음으로써 브레이크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브레이크는 프리텐션의 작용 하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전술된 기능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이 추가의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The reliability of the brakes is increased by applying pretension to the climbing profile at least one brake. Thus, the brake remains in engagement with the climbing profile under the action of pretension, thereby ensuring the function described above.
Preferred improvements are described in further claims.
삭제delete
삭제delete
마찰 결합 방식의 결합과 관련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가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브레이크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럼으로써, 자체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특성들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기 브레이크 부재는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브레이크의 기타 부재들 또는 클라이밍 슈 혹은 가이드 슈의 기타 부재들은 브레이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With regard to the engagement of the frictional engagement mode it has proved to be desirable if the at least one brake has at least one replaceable brake member. Thereby, the brake member, which must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to fulfill its function, can be formed in a suitable manner, in which case the other members of the brake or other members of the climbing shoe or the guide shoe are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brake. It doesn't have to be.
브레이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철로 구현된 경우,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브레이크 부재가 강철로 구현된 경우에는 특히 우수한 결과들이 테스트를 통해 나타났다. 그럼으로써, 브레이크 기능뿐만 아니라 마찰 결합 방식의 결합과 관련된 내구성도 보증될 수 있다. 50 HRC 내지 60 HRC, 바람직하기로는 55 HRC 내지 60 HRC, 그리고 특히 약 58 HRC의 경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경도에서는, 롤러의 품질이 통상적인 경우에 특히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 부재보다 상당히 더 연하게 형성된 클라이밍 프로파일과의 상호 작용시에는 유리한 브레이크 작용이 나타난다. 이 경우 브레이킹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 길이가 비교적 긴 클라이밍 프로파일에서는 마모가 나타나지만 길이가 비교적 짧은 브레이크에서는 마모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추가로 언급할 내용은, 클라이밍 프로파일 및/또는 브레이크 및/또는 브레이크 부재가 각각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과, 반드시 강철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Especially good results have been tested in the case where the brake is implemented at least partially in steel, in particular when at least one replaceable brake member is implemented in steel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not only the brake function but also the durability associated with the engagement of the friction engagement method can be ensured. A hardness of 50 HRC to 60 HRC, preferably 55 HRC to 60 HRC, and especially about 58 HRC, has been found to be preferred. In such hardness, advantageous braking action appears in the case where the quality of the roller is conventional, especially when interacting with a climbing profile that is formed significantly softer than the brake or brake memb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wear the braking profile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when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ut not with a brake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climbing profile and / or the brake and / or brake member may be formed of other materials suitable for each, and need not necessarily be implemented in steel.
브레이크와 클라이밍 프로파일 간의 결합과 관련해서는,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구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의 에지에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가 작용하게 하는 것도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With regard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brake and the climbing profile, it has also been found to be advantageous to have the climbing profile have at least one flange so that at least one brake acts on the edge of the flange.
또한,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플랜지와 클라이밍 슈 혹은 가이드 슈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플랜지가 브레이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후방에서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클라이밍 프로파일 간에 선형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테스트 작동 중에는 특히 우수한 특성들에 도달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flange of the climbing profile and the climbing shoe or the guide sho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is engaged with the at least one guide member of the brake at the rear so that linear contact is made between the at least one guide member and the climbing profile. Do. This allowed us to reach particularly good characteristics during the test run.
전술된 클라이밍 슈가 두 개의 클라이밍 슈 중 하부 클라이밍 슈로서 클라이밍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클라이밍 브래킷이 상승되는 동작 상태에서 하부 클라이밍 슈가 끌려가면 제동력이 극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파워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동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예비용(유압식-)구동 장치만으로도 충분하게 된다.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끌려가는 작동 상태에서는 제동력도 마찬가지로 극복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클라이밍 브래킷보다 더 가볍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 경우에는 예비용 구동 장치만으로도 제동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브레이크의 상시 결합에 의해서도 전술된 바와 같은 안전 개선이 성취될 수 있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the climbing shoe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in the climbing bracket as the lower climbing shoe of the two climbing shoes. Thus, the advantage that the braking force can be overcome if the lower climbing shoe is dragged in the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climbing bracket is raised. In this case, relatively little power can be provided, so that a conventionally reserved spare (hydraulic-driven) drive device is sufficient to overcome the braking force. In the operating state where the climbing profile is being dragged, the braking force must be overcome as well. In any case, however, the climbing profile is lighter than the climbing brackets, and consequently, in this case, a spare drive is enough to overcome the braking forc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afety improvement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chieved by always engaging the brakes.
삭제delet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은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고, 클라이밍 슈는 클라이밍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끌려갈 때에는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미끄러짐 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된 브레이킹 기능이 나타나게 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limbing profile can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climbing shoe can be installed in the climbing bracket. Thus, when the climbing profile is dragged, the above-described braking function appears to prevent the climbing profile from slipping or falling.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슈는 브레이킹-가이드 슈로서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상승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지속적인 브레이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이 경우에도 안전성이 증가하게 된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hoe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as a breaking-guide shoe. As a result, even when the climbing profile is raised, continuous braking of the climbing profile can be achieved, and as a result, safety is increased in this case.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시스템을 위해서는 상기 클라이밍 시스템의 클라이밍 브래킷이 이중 프로파일을 갖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이중 프로파일의 개별 프로파일들 사이에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체 클라이밍 브래킷은 건축물에 특히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토크로부터 발생하는 파워도 바람직한 방식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클라이밍 브래킷의 프로파일을 더 가늘고 길게 그리고 더 가볍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중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이중 프로파일은 또한 클라이밍 프로파일 둘레에 일종의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안에는 상부 클라이밍 슈가 특히 공간 절약 방식 및 접근이 용이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for the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at the climbing bracket of the climbing system has a double profile, in which case the climbing profile can be arranged between the individual profiles of the double profile. Thereby, the entire climbing bracket can be installed particularly close to the building, and the power resulting from the torque can be reduced in a desirable manner. This situation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a thinner, longer and lighter profile of the climbing bracket, preferably reducing the weight. The double profile also forms a kind of "frame" around the climbing profile, in which the upper climbing shoe can be integrated, in particular in a space saving and accessible manner.
삭제delete
본 발명은 도면에 예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다.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shoe or guide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상기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의 측 단면도이며;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mbing shoe or guide shoe;
도 3은 클라이밍 슈가 제공되어 있고 클라이밍 슈와 상호 작용하는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구비한 클라이밍 브래킷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bracket provided with a climbing shoe and having a climbing profile that interacts with the climbing sho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슈 또는 가이드 슈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볼 때 하나의 상부면(30) 및 두 개의 측벽을 갖는 하우징의 형태이며, 상기 두 개의 측벽은 아래에서 기술될 브레이크(18)에 의해서 형성되고, 두 개의 측벽 중에 하나의 측벽은 클라이밍 프로파일(14)에 의해서 덮여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면(30)에는 각각이 개구(34)를 갖는 두 개의 돌기부(32)(lug)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클라이밍 슈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에 연결된다. 브레이크(18)는 각각 가이드 부재(36)를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후방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플랜지(16)와 결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6)가 말하자면 이중 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로 향하는 파동 골(wave trough) 영역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과의 선형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시된 경우에 상기 파동 골은 가이드 부재(36)의 상단부 영역 및 하단부 영역에 각각 존재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limbing shoe or the guide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housing having one
플랜지의 에지(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는 스트립 형태의 브레이크 부재(20)가 작용하며, 상기 브레이크 부재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 브레이크(18)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브레이크(18)가 클라이밍 프로파일(14)에 대해 프리텐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스프링 패킷(38)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브레이크(18)들이 서로 합쳐지는 방향으로 프리텐션을 받고 있으므로,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은 결과적으로 브레이크들 사이에서 "조여진다". 브레이크(18)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클라이밍 프로파일에서 나타날 수 있는 치수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아래에서 기술될 래치의 결합 영역의 대략 중앙에 클라이밍 슈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리텐션은 디스크 스프링 패킷(38)에 의해 브레이크(18)의 하부 영역에 인가될 뿐만 아니라 상부 영역에도 인가된다. At the edge of the flange (not shown in FIG. 1), a
도 2에 도시된 클라이밍 슈 내부에서는 두 개의 래치 중에서 하나의 래치(40)를 볼 수 있으며, 클라이밍 브래킷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클라이밍 슈는 상기 래치에 의해서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지지된다. 이 대목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이 I-프로파일로서 구현되었다는 것이며, 이 경우 중간 바(bar)(26)의 다른 측면에는 마찬가지로 개구(44)를 구비한 플랜지(16)의 연장부가 존재한다. 상기 영역에서 클라이밍 슈에는 추가의 래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영역에는 추가의 브레이크가 존재하며, 이 추가의 브레이크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브레이크(18)에 대하여 대략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끌려가게 되는 대안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클라이밍 브래킷에 제공된 구동 장치와 클라이밍 프로파일 간에 이루어지는 파워 전달도 역시 상기 래치를 통해서 행해진다.Inside the climbing shoe shown in FIG. 2, one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밍 슈(10)의 래치(40)와 클라이밍 프로파일 간의 상호 작용을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2의 상부 영역에서는 우선 클라이밍 슈(10)의 돌기부(32)에 유압 실린더의 형태로 된 구동 장치(4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클라이밍 브래킷이 건축물에 설치된 작동 상태에서는 유압 실린더(42)를 끌어당김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하부 가이드 슈(10)가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클라이밍 프로파일(14) 내부에 형성된 개구(44) 안으로 래치(4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래치의 상부 에지는 클라이밍 프로파일(14)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은 당연히 돌출 캠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래치(40)는 전환 레버(46)에 의해서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하부 클라이밍 슈(10)가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을 기준으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환 레버(46)와 래치(40) 사이의 결합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유압 실린더(42)가 완전히 삽입되고 클라이밍 프로파일이 상부 클라이밍 슈에 고정된 경우에 실시되며, 이는 유압 실린더(42)의 인출 동작을 이용해서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이 더 들어 올려지기 시작하는 위치로 클라이밍 슈(10)를 보내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는 래치(40)에 의해서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추락 방지는 오작동의 경우 또는 그 밖의 비정상적인 사건들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그러한 경우에는 개구를 구비한 클라이밍 프로파일의 플랜지에 대하여 투영면에 수직인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에 의해서 추락이 방지된다.2, the interaction between the
래치 장치의 방향 전환은 방향 전환 레버(46)가 사점(dead point)을 통과하도록 아래로 선회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그 다음에는 래치(44)의 하부 에지가 클라이밍 프로파일(14)과 결합되고, 이에 의해 클라이밍 슈(10)는 그 작동 상태에서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밍 프로파일(14)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42)의 인출에 의하여 클라이밍 브래킷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클라이밍 슈(10)가 위로 끌려감으로써 클라이밍 슈는 상기 클라이밍 브래킷의 추가 클라이밍 단계가 시작될 수 있는 더 높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The direction change of the latch device is achieved by turning down the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도 3에서는 클라이밍 브래킷(12)이 건축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쪽을 향하고 있는 측에 이중 프로파일(48, 50)로 형성된 수직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클라이밍 브래킷(12)의 상부면에는 수평 프로파일(5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프로파일에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slide)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에 구비된 거푸집 부재들이 벽에 콘크리트를 도포하기 위한 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수직 프로파일(52)의 지지 동작은 대각 지지부(5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For clarity, the climbing
도 3의 상부 영역에서는 브래킷(12)에 설치된 상부 클라이밍 슈(28)를 볼 수 있다. 상기 상부 클라이밍 슈는 유압 실린더(42)의 구동 장치를 통해서 하부 클라이밍 슈(1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라이밍 프로파일(14)은 클라이밍 브래킷(12)의 수직 프로파일의 프로파일(48, 50)들 사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수직 프로파일에 의해서 어느 정도 둘러싸여 있다. 그럼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전체 장치는 발생하는 파워 및 모멘트를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특히 가깝게 설치된다. 완전한 구성을 위하여 클라이밍 브래킷(12)의 수직 프로파일의 개별 프로파일(48, 50)은 도시된 예에서 I-프로파일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I-프로파일의 중간 바는 각각 수평 캐리어(52)의 연장부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의 클라이밍 프로파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건축물의 반대쪽에 있어서 클라이밍 브래킷(12) 쪽을 향하고 있는 플랜지에는 개구(44)가 2열로 제공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단지 1열의 개구만을 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클라이밍 슈(10, 28)의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래치가 상기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보완적으로 말하자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클라이밍 브래킷(12)의 하부 영역에는 클라이밍 프로파일을 가이드 하기 위한 보완적인 가이드 슈가 제공될 수 있다.In the upper region of FIG. 3, the
Claims (1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6055374A DE102006055374B3 (en) | 2006-11-23 | 2006-11-23 | Climbing or guide shoe of a climbing system in construction and climbing system with such a climbing or guide shoe |
DE102006055374.8 | 2006-11-23 | ||
PCT/EP2007/062320 WO2008061922A1 (en) | 2006-11-23 | 2007-11-14 | Climbing or guide shoe of a climb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limbing system having a climbing or guide shoe of said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5912A KR20090105912A (en) | 2009-10-07 |
KR101152963B1 true KR101152963B1 (en) | 2012-06-08 |
Family
ID=3892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1194A Active KR101152963B1 (en) | 2006-11-23 | 2007-11-14 | Climbing system in the construction comprising a climbing- or guide-shoe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EP (1) | EP2089597B1 (en) |
JP (1) | JP5288136B2 (en) |
KR (1) | KR101152963B1 (en) |
CN (1) | CN101600841B (en) |
AT (1) | ATE494437T1 (en) |
DE (2) | DE102006055374B3 (en) |
ES (1) | ES2358620T3 (en) |
PL (1) | PL2089597T3 (en) |
WO (1) | WO2008061922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335B1 (en) | 2020-11-05 | 2021-03-31 | 신성홍 | Guide and fixing device for Gang-form Guide-rail Climb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0178A1 (en) | 2009-07-21 | 2011-01-27 | Tüfekç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 Carrier head with bolt mechanism for ram actuated climbing systems |
EP2789772B1 (en) * | 2013-04-09 | 2016-06-15 | MEVA Schalungs-Systeme GmbH | Holder for a guide sleeve of a climbing system for concrete formwork |
ES2695626B2 (en) | 2017-06-30 | 2020-05-19 | Hws Concrete Towers S L | Self-climbing device for vertical and quasi-vertical concrete surfaces and operating procedure. |
DE102019115346A1 (en) | 2019-06-06 | 2020-12-10 | Peri Gmbh | ARRANGEMENT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RAIL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
ES2804038B2 (en) * | 2019-07-30 | 2021-11-18 | Hws Concrete Towers S L | ANCHOR FOR SELF-CLIMBING STRUCTURE |
DE102021214963A1 (en) | 2021-12-22 | 2023-06-22 | Doka Gmbh | suspension sho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768819U (en) * | 1957-03-22 | 1958-06-19 | Ind Gleitbaugesellschaft Ahl & | LIFTING DEVICE FOR SLIDING FORMS FOR CONCRETE STRUCTURES. |
DE2521622A1 (en) * | 1975-05-15 | 1976-11-25 |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 CLIMBING FORMWORK |
US4530648A (en) * | 1984-04-18 | 1985-07-23 | Economy Forms Corporation | Wall climbing form hoist |
US4732234A (en) * | 1987-09-08 | 1988-03-22 | Morley Brickman | Perimeter safety net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
US4838382A (en) | 1988-10-26 | 1989-06-13 | Arthur Nusbaum | Building safety net |
US4892169A (en) * | 1989-02-21 | 1990-01-09 | Sinco, Inc. | Perimeter debris net lifting system |
DE4302197A1 (en) * | 1993-01-27 | 1994-07-28 | Peri Gmbh | Climb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limbing frame |
JPH08144514A (en) * | 1994-11-17 | 1996-06-04 | Hory Corp | Form device having scaffold having raising-lowering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wall or the like by using form device having scaffold |
US6557817B2 (en) * | 2000-01-18 | 2003-05-06 | Wilian Holding Company | Wall climbing form hoist |
GB2366828A (en) | 2000-09-11 | 2002-03-20 | Gerard Doheny | Automatic formwork climbing system |
AU2003282129A1 (en) * | 2003-11-27 | 2005-06-24 | Ulma C Y E, S. Coop. | Rigging system for formwork, scaffolding or moving loads in general |
DE102005045527A1 (en) * | 2005-09-23 | 2007-04-19 | Doka Industrie Gmbh | Protection and access device |
-
2006
- 2006-11-23 DE DE102006055374A patent/DE102006055374B3/en active Active
-
2007
- 2007-11-14 CN CN2007800502773A patent/CN101600841B/en active Active
- 2007-11-14 KR KR1020097011194A patent/KR101152963B1/en active Active
- 2007-11-14 WO PCT/EP2007/062320 patent/WO200806192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11-14 PL PL07822579T patent/PL2089597T3/en unknown
- 2007-11-14 EP EP07822579A patent/EP2089597B1/en active Active
- 2007-11-14 DE DE502007006211T patent/DE502007006211D1/en active Active
- 2007-11-14 AT AT07822579T patent/ATE494437T1/en active
- 2007-11-14 ES ES07822579T patent/ES2358620T3/en active Active
- 2007-11-14 JP JP2009537602A patent/JP5288136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335B1 (en) | 2020-11-05 | 2021-03-31 | 신성홍 | Guide and fixing device for Gang-form Guide-rail Climb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06055374B3 (en) | 2008-07-10 |
CN101600841A (en) | 2009-12-09 |
EP2089597A1 (en) | 2009-08-19 |
JP5288136B2 (en) | 2013-09-11 |
JP2010510417A (en) | 2010-04-02 |
DE502007006211D1 (en) | 2011-02-17 |
CN101600841B (en) | 2013-01-23 |
PL2089597T3 (en) | 2011-05-31 |
KR20090105912A (en) | 2009-10-07 |
ES2358620T3 (en) | 2011-05-12 |
ATE494437T1 (en) | 2011-01-15 |
EP2089597B1 (en) | 2011-01-05 |
WO2008061922A1 (en) | 2008-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2963B1 (en) | Climbing system in the construction comprising a climbing- or guide-shoe | |
US7134529B2 (en) |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 |
RU2652340C2 (en) | Safety device for platform | |
US7475756B2 (en) | Mechanism for indenting a safety gear for an elevator car | |
KR101231280B1 (en) |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 |
JPH069178A (en) | Elevator | |
JP2000203774A (en) | Stop locking device for elevator car | |
CN1982195A (en) | Foldable self-locking toe guard for elevator car | |
AU2006225212A1 (en) |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 lift cage to a lift cage and to a lift shaft as well as a lift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 |
KR20090122934A (en) | lift | |
KR100862694B1 (en) | Automotive safety breaker that opens automatically in case of power failure | |
CA251382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the shaft equipment | |
EA016364B1 (en) | Arrangement in the supply of rope to the speed limiter | |
WO2006006228A1 (en) | Elevator | |
JP2008184271A (en) | Elevator device | |
KR101045224B1 (en) | elevator | |
WO2000078660A1 (en) | Emergency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systems | |
CN106672756A (en) | Intelligent home elevator | |
US20080067012A1 (en) | Brake Assembly for In-Vehicle Platform Lift | |
KR102500326B1 (en) | Lift apparatus for construction | |
KR200457792Y1 (en) |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landing door | |
KR101213694B1 (en) |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 |
KR101009872B1 (en)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 |
KR100329129B1 (en) | A test assembly for facilitating safety tests in an elevator | |
JP3979056B2 (en) | Apron for preventing elevators from fal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