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2901B1 -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01B1
KR101152901B1 KR1020100026985A KR20100026985A KR101152901B1 KR 101152901 B1 KR101152901 B1 KR 101152901B1 KR 1020100026985 A KR1020100026985 A KR 1020100026985A KR 20100026985 A KR20100026985 A KR 20100026985A KR 101152901 B1 KR101152901 B1 KR 10115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rim
toilet
drained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700A (ko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9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에 따른 대.소변 레버를 작동시켜 용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수조로부터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때, 림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세척수량 증가 및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의 증가에 따라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경사진 배출공을 통해 보울의 상단부로 분사되면서 보울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에 의하면,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을 증대시키면서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경사진 림 배수공을 통해 보울의 상단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보울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흘러내리면서 세척하므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Structure for controled washing water drainage quantity to rim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자의 용변 후, 대.소변 레버를 작동시켜 용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수조로부터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때, 림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증가 및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의 증대에 따라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경사진 배출공을 통해 보울의 상단부로 분사되면서 보울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에 앉은 용변자의 용변 후,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수조에 저장한 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는데, 이는 용변자의 용변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킴으로 소변 세척시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세척수를 소비시키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용변자의 대.소변에 대응하는 설정된 양의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2단으로 배수시키는 배수장치를 개발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2단 배수밸브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변 세척시, 필밸브로부터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많이 배수되어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증가시키면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을 증대시킴으로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경사진 림 배수공을 통해 보울의 상단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보울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는,
대.소변 레버 작동에 따라 덮개가 회전하면서 수조의 배수공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으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가 림과 수로로 배수되면서 보울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는 양변기로서,
상기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증가에 따라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림에 세척수 제어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에 의하면,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을 증대시키면서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에 의하면,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경사진 림 배수공을 통해 보울의 상단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보울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흘러내리면서 세척하므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는, 대.소변 레버(20) 작동에 따라 덮개(21)가 회전하면서 수조(11)의 배수공(1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1')으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가 림(12a)과 수로(12b)로 배수되면서 보울(12)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는 양변기(10)로서, 상기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12a)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12b)로 배수시켜 수로(12b)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증가에 따라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림(12a)에 세척수 제어부재(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100) 내부에 세척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관통된 세척수 배수공(11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수공(110)은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100) 상단부에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100)가 림(12a) 선단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100)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고정시키도록 림(12a) 내면에 다수의 밀림방지돌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림(12a)의 내부 공간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림(12a) 내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림(12a)에 세척수 제어부재(1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100)(100')는 림(12a)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림(12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보울(12)의 상단부로 배수되면서 보울(12)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림(12a) 저면에 관통된 다수의 림 배수공(300)이 보울(12)의 내면 상단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양변기(10)에 앉은 용변자의 용변 후,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용변에 대응되는 대.소변 레버(20)를 작동시킨다.
상기 대.소변 레버(20)의 작동에 따라 덮개(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어관(미도시)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조(11)의 배수공(11')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개방된 배수공(11')을 통해 수조(11)에 저장된 세척수가 수조(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림(12a)과 수로(12b)가 연통된 공간으로 배수된다.
상기 공간으로 배수된 세척수의 일부는, 수로(12b)를 경유하면서 배출구(12')를 통해 보울(12) 내부로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으로 배수된 세척수의 일부는 림(12a)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림(12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림(12a) 선단부에 림(12a) 내부의 공간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한 세척수 제어부재(100)를 억지끼움으로 장착하거나 밀림방지돌기(200)에 장착되어 림(12a) 내부의 개방된 면적을 줄이면서 림(12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세척수 제어부재(100)에 관통된 세척수 배수공(110)보다 더 높기 전까지는 수로(12b)로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공간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세척수 배수공(110)보다 더 높을 경우는, 상기 세척수 배수공(110)을 통해 세척수가 림(12a)으로 공급되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12a)의 내부 공간 높이보다 작은 높이의 세척수 제어부재(100')가 밀림방지돌기(200)에 고정되면서 림(12a) 상부의 개방된 공간 즉, 세척수 제어부재(100')와 림(12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림(12a)으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상기 림(12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림(12a)의 저면에 관통된 다수의 림 배수공(300)으로 배수되는데, 상기 림 배수공(300)은, 보울(12)의 내면 상단부 쪽으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울(12)의 내면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세척수가 흘러내리면서 보울(12)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세척수가 림(12a)으로 배수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세척수의 수위가 세척수 제어부재(100)보다 낮으면,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세척수는 림(12a)으로 공급되지 못하면서 수로(12b)로 배수되고, 상기 수로(12b)를 통해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보울(12)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울(12)에 위치한 용변은,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12a)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12b)로 배수시켜 세척하므로 수로(12b)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증가시키면서 세척수의 공급 지속시간을 증대시키므로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울(12)에 위치한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덮개(21)가 오버플로우어관(미도시)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조(11)의 배수공(1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보울(12)과 수조(11)에 담수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양변기 11: 수조
12: 보울 12a: 림
12b: 수로 20: 대.소변 레버
100: 세척수 제어부재 110: 세척수 배수공
200: 밀림방지돌기 300: 림 배수공

Claims (8)

  1. 대.소변 레버 작동에 따라 덮개가 회전하면서 수조의 배수공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으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가 림과 수로로 배수되면서 보울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는 양변기로서,
    상기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에서 림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수로로 배수시켜 수로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증가에 따라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림에 장착되는 세척수 제어부재와;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고정시키도록 림 내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밀림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 내부에 세척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관통된 세척수 배수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 상단부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가 림 선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의 내부 공간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림 내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림에 세척수 제어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제어부재는 림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보울의 상단부로 배수되면서 보울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림 저면에 관통된 다수의 림 배수공이 보울의 내면 상단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KR1020100026985A 2010-03-25 2010-03-25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Active KR10115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85A KR101152901B1 (ko) 2010-03-25 2010-03-25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85A KR101152901B1 (ko) 2010-03-25 2010-03-25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700A KR20110107700A (ko) 2011-10-04
KR101152901B1 true KR101152901B1 (ko) 2012-06-05

Family

ID=4502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985A Active KR101152901B1 (ko) 2010-03-25 2010-03-25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7280A (zh) * 2018-12-07 2020-06-16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座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7279B (zh) * 2018-12-07 2022-06-07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座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55A (ja) * 1996-07-29 1998-04-14 Inax Corp 便器洗浄装置
KR100663920B1 (ko) * 2005-09-22 2007-01-04 신원테크 (주)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55A (ja) * 1996-07-29 1998-04-14 Inax Corp 便器洗浄装置
KR100663920B1 (ko) * 2005-09-22 2007-01-04 신원테크 (주)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7280A (zh) * 2018-12-07 2020-06-16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座便器
CN111287280B (zh) * 2018-12-07 2021-11-23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座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700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901B1 (ko)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JP2013104271A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12522199A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20120136647A (ko) 양변기 배수트랩 구조
KR101152900B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WO1999007952A1 (en)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1323345B1 (ko) 양변기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CN206428779U (zh) 一种喷射旋涡式座便器
KR20130023470A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CN200996161Y (zh) 一种射流式具有自动清洗功能的拖把池
CN203420332U (zh) 一种具有洗手功能的坐厕
CN203669054U (zh) 一种带洗手池的抽水马桶
CN101864795A (zh) 双腔双孔节水马桶
KR101007055B1 (ko) 양변기 구조
KR200491751Y1 (ko) 양변기 청결 기구
KR101028846B1 (ko)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CN106049628A (zh) 多功能马桶
KR200281585Y1 (ko) 변기의 오수 재활용 구조
KR200177904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