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484B1 -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2484B1 KR101152484B1 KR1020110089222A KR20110089222A KR101152484B1 KR 101152484 B1 KR101152484 B1 KR 101152484B1 KR 1020110089222 A KR1020110089222 A KR 1020110089222A KR 20110089222 A KR20110089222 A KR 20110089222A KR 101152484 B1 KR101152484 B1 KR 101152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sensor
- sensor
- state
- unit
- reference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8—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with calibration coefficients stored in memo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센서에 장착되어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는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상기 계측센서의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nd a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same mounted on the measuremen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value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to a memory of the measurement sensor; An operation start unit for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art unit;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벨센서, 유량계 등과 같은 계측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가 테스트에 의해 센서의 오작동 여부를 알려 줄 수 있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와 이러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이용한 계측센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ing sensor such as a level sensor, a flow meter,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asuring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capable of informing a sensor of malfunction by a self test and a measuring sensor using the measuring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플랜트의 액체탱크나 화력발전소의 터빈 등에 연결되는 응축수 탱크 등과 같은 고온, 고압형 탱크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저장 레벨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표시하는 레벨센서와, 유량이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유량계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등의 계측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anks, such as condensate tanks connected to liquid tanks of petrochemical plants or turbines of thermal power plants, etc., are provided with a level sensor that automatically detects and displays the storage level of a storage stored therein, and a flow rate is supplied. It is provided in the place where it is equipped with the measurement sensor, such as a flowmeter which measures the flow volume suppli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of a flowmeter.
이러한 계측센서는 통상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저장 레벨 또는 유량을 검출하므로 센서 주위에는 필연적으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센서 주위에 이물질이 부착되게 된다. 이물질 부착량은 계측센서의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체로 증가하며, 계측센서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쌓이게 되면 계측센서가 오작동하거나 작동 불능상태가 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Such a measuring sensor is usually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n electric field or a magnetic field to detect the storage level or flow rate, so that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is inevitably formed around the sensor, which causes foreign substances to be attached to the sensor. The foreign matter adhesion amount generally increases as the use tim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creases, and when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measurement sensor and accumulates, the measurement sensor may malfunction or become inoperable, which may cause serious problems.
특히, 레벨 센서는 해수 담수화 설비 등의 주요 설비인 대형 펌프의 보호를 위해 연동(interlock) 되어 있으므로 레벨 센서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level sensor is interlocked to protect a large pump, which is a major facility such as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t may lead to a large accide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peration of the level sensor.
그러나, 종래에는 이물질 부착과 같은 오염 등으로 인한 센서의 오작동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 없이 일정 주기마다 작업자가 설치된 제품을 분리하여 오염 여부를 점검하는 수동적인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 manual method of separating a product installed by a worker at regular intervals and checking for contamination is employed without a device or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malfunction of a sensor due to contamination such as foreign matters.
따라서, 계측센서에 대한 사전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특히 계측센서가 점검이 어려운 현장 또는 점검 인원이 부족한 곳에 설치되는 경우 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perform a preliminary check on the measuring sensor, and particularly, when the measuring sensor is installed in a difficult site or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inspecting person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power and cost are high.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계측센서에 대해 자가 테스트 기능을 수행하여 센서 점검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와, 이러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이용한 계측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 device for performing a self-test function on the measurement sensor to check the sensor inspection time, and check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To provide a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계측센서를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센서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와, 이러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이용한 계측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 devi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malfunctions from the outside without removing the measurement sensor, and a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는 상기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상기 계측센서의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value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to a memory of the measurement sensor; An operation start unit for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art unit;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개시부는 리드 스위치 또는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리드 스위치는 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start unit is composed of a reed switch or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reed switch is driven by a magne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개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start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는 저장물의 저장레벨 또는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센서에 있어서, 상기 계측센서에 장착되어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는 상기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storage level or flow rate of the stored object, is attached to the measurement sensor includes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the measurement The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includes: a reference value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to a memory; An operation start unit for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art unit; And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계측센서 또는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mory may b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sensor or the measurement state sens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측센서는 레벨스위치, 레벨 트랜스미터, 유량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measuring sensor is any one of a level switch, a level transmitter, a flow meter.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된 제품을 분리하지 않고 계측센서의 상태이상 여부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교체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by diagnosing an abnormal state of the measuring sensor without separating the installed product and informing the user of an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계측센서의 상태이상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variety of communication equipment to enable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abnormal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 the remote loca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power and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이용하여 계측센서의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제1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제2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제3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ecking a state of a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first application example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third application example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of a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of a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는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110)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점검버튼)(120)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서신호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130)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개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는 계측센서(200)의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계측센서의 헤더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easurement sensor
상기 기준값 입력부(110)는 계측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허용 범위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계측센서(200)의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버튼식, 터치패널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기준값은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 판단의 기초가 되는 값으로, 계측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계측센서가 레벨 트랜스미터인 경우, 탱크 내의 레벨변위를 표시하기 위한 전류값은 레벨이 0일 때는 직류 4mA의 신호가, 완전히 충만된 레벨 100%의 상태에서는 20mA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값을 표준값의 ±10% 범위로 설정하면 기준값은 3.6mA~4.4mA, 또는 18mA~22mA로 세팅할 수 있다. 기준값 범위는 레벨 스위치를 제조하는 회사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직접 제품을 제조하므로 센서신호가 어느 정도일 때, 즉 표준값과의 오차가 어느 정도일 때, 이상 신호를 출력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계측센서의 점검시마다 저장탱크를 완전히 비우고 점검하는 것은 장비운용상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레벨이 0일 때보다 레벨 100% 상태일 때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실제 적용 및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동작개시부(점검버턴)(120)는 본 발명의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의 구동을 개시하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면, 리드 스위치(REED S/W) 또는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된다. 동작개시부(120)가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리드 스위치 부분에 자석을 가까이 대어 구동시킨다. 이때, 동작개시부(120) 즉, 리드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동작상태 표시부(150)를 더 구성하여 리드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 되고 있는지를 가시 또는 가청 신호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The reference
상기 비교부(130)는 상기 동작개시부(1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기준값 입력부(110)에 의해 메로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상기 상태알림부(140)로 전송한다. The
상기 상태알림부(140)는 상기 비교부(130)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가시 또는 가청 신호로써 표시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태 이상 여부를 가시 신호로써 표시하는 경우, 상기 비교부(130)의 비교 결과 센서신호가 기준값을 벗어나면 빨간색 경보등으로 표시하고, 상기 비교부(130)의 비교 결과 현재의 센서신호가 기준값 이내이면(즉, 허용범위 이내이면) 초록색 경보등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The state notification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whether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abnormal or not as a visible or audible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이용하여 계측센서의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ecking a state of a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상태 점검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S110)과, 상기 동작개시 신호에 따라 계측센서의 메모리로부터 현재의 센서신호와 기준값을 수신하는 과정(S120)과, 상기 센서신호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센서신호가 허용범위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과정(130)과, 상기 판단 결과 센서신호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태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 센서신호가 허용범위 이내이면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과정(S140-1, S140-2)을 포함한다. 1 and 2, a method for checking a state of a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receiving an operation start signal from a user (S110) and from a memory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rt signal. Receiving a current sensor signal and a reference value (S120); comparing the sensor signal with a stor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signal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130);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ensor signal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And displaying a normal state when the sensor signal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S140-1, S140-2).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레벨 스위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 4는 레벨 트랜스미터에 적용된 경우를, 도 5는 유량계에 적용된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3 to 5 show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pplied to a level switch, FIG. 4 is applied to a level transmitter, and FIG. 5 is applied to a flow meter.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레벨 스위치(210)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장치(100)가 헤드부에 장착된 레벨 스위치(210)를 저장탱크(5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초기 설치 후, 저장탱크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레벨 스위치(210)의 메모리(미도시)에 기준값을 세팅한다. 본 예에서는 기준값을 레벨 스위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성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다른 예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에 별도의 메모리를 구성하여 기준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a) of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도 3의 (b)는 일정 기간 경과 후 레벨 스위치(210)의 센서부(215)에 이물질(40)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점검버튼에 자석을 가까이 대어 점검동작을 개시하면 레벨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센서신호는 허용 기준값 이내이거나 허용 기준값을 벗어날 수 있다. 센서신호가 허용 기준값 이내이면 점검 장치의 표시부에서는 정상상태 신호가 출력되며, 센서신호가 허용 기준값을 벗어나면 경보신호가 출력된다. 3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3의 (c)는 오랜 기간 경과 후 레벨 스위치(210)의 센서부(215)에 이물질(40)이 다량 부착되어 쌓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물질(40)이 다량 부착되어 쌓이게 되면 레벨 스위치(210)는 저장탱크의 수위레벨을 정확히 측정할 수가 없다. 이때, 점검동작을 개시하면 센서신호는 허용 기준값을 벗어날 것이며 상태 점검 장치의 표시부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된다. 3 (c) shows a state where a large amount of
따라서, 저장탱크 내부를 비우지 않고도 외부에서 일정 주기마다 상태 점검 장치의 점검버튼을 눌러 레벨 스위치의 정상동작 여부를 미리 점검함으로써 레벨 스위치 교체 여부,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place the level switch by checking in advance whether the level switch is in operation by pressing the check button of the status check device at regular intervals from outside without emptying the storage tank.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가 레벨 트랜스미터(220)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a)는 레벨 트랜스미터(220)를 저장탱크(50)에 초기 설치한 상태를, 도 4의 (b)는 일정 기간 경과 후 레벨 트랜스미터(220)의 센서부(225)에 이물질(40)이 부착된 상태를, 도 4의 (c)는 오랜 기간 경과 후 레벨 트랜스미터(220)의 센서부(225)에 이물질(40)이 다량 부착되어 쌓인 상태를 나타낸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가 유량계(230)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의 (a)는 유량계(230) 초기 설치한 상태를, 도 5의 (b)는 일정 기간 경과 후 유량계(230)의 센서부(235)에 이물질(40)이 부착된 상태를, 도 5의 (c)는 오랜 기간 경과 후 유량계(230)의 센서부(235)에 이물질(40)이 다량 부착되어 쌓인 상태를 나타낸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easuring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는 현장에서 직접 동작개시부를 구동하여 계측센서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법 외에 각종 전기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구동 및 점검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and checked remotely by using a variety of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by driving the operation start unit directly in the fiel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1000 of a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1000)은 계측센서(200)에 장착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를 중앙감시반(또는 컨트롤룸)(3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점출력 여부를 통해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1000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measurement senso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2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센서의 오작동 감지 시스템(2000)은 계측센서(200)에 장착된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규격, 예를 들면, RS-232, RS-484, RS-422, RS-485 등을 가진 통신선로(a, b, c)를 통해 PLC, 제어용 단말기 및 각종 통신장비(400)와 연결함으로써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2000 of a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2000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measurement sensor
비록 첨부도면 및 상세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레벨 스위치, 레벨 트랜스미터, 유량계 외에 다른 계측센서의 사용,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의 위치, 기준값 설정범위, 상태 이상 여부 표시방법 등 이들 상세 기술적 구성수단을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개시 및 인용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개선, 수정, 대체 및 치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set forth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For example, it can be carried out by changing these technical details such as the use of a level switch, a level transmitter, a flow meter, other measuring sensors, a location of a memory for storing a reference value, a reference value setting range, and a method of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state. Self-explanatory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improvement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s disclosed and recited in the following claims.
50 : 저장탱크 100 :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
110 : 기준값 입력부 120 : 동작개시부(점검버튼)
130 : 비교부 140 : 상태알림부
150 : 동작상태 표시부 200 : 계측센서
210 : 레벨스위치 215, 225, 235 : 센서부
220 : 레벨 트랜스미터 230 : 유량계
300: 중앙감시반 400 : 각종 통신장비50: storage tank 100: measuring sensor status check device
110: reference value input unit 120: operation start unit (check button)
130: comparison unit 140: status notification unit
150: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200: measurement sensor
210:
220: level transmitter 230: flow meter
300: central monitoring panel 400: various communication equipment
Claims (6)
상기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상기 계측센서의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개시부는,
리드 스위치 또는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리드 스위치는 자석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작개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
As a measuring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mounted on a measuring sensor and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state of the measuring sensor,
A reference value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to a memory of the measurement sensor;
An operation start unit for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art unit; And
It includes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The operation start unit,
Reed switch or pushbutton switch, the reed switch is driven by a magnet,
Measurement status sensor device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start unit.
상기 계측센서에 장착되어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는
상기 계측센서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메모리에 입력하는 기준값 입력부와;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개시부와;
상기 동작개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계측센서의 상태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계측센서 또는 상기 계측센서 상태 점검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계측센서는,
레벨스위치, 레벨 트랜스미터, 유량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센서.In the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storage level or flow rate of the storage,
A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mounted to the measurement sensor to detect whether a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s abnormal.
A reference value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ference value representing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into a memory;
An operation start unit for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state checking device;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art unit; And
It includes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The memory comprising:
It is included in the measuring sensor or the measuring state sensor,
The measurement sensor,
Measuremen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level switch, level transmitter, flow me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22A KR101152484B1 (en) | 2011-09-02 | 2011-09-02 |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22A KR101152484B1 (en) | 2011-09-02 | 2011-09-02 |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2484B1 true KR101152484B1 (en) | 2012-06-01 |
Family
ID=4668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92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2484B1 (en) | 2011-09-02 | 2011-09-02 |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24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42510A (en) * | 2016-03-17 | 2016-08-1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 | Electronic transformer with self-calibration function and self-calibration method thereof |
CN118447890A (en) * | 2024-03-20 | 2024-08-06 | 韵航智能科技(常州)有限公司 |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627B1 (en) * | 2008-12-23 | 2009-07-21 | (주)화진티엔아이 | Automatic rain alarm system using self-diagnostic rainfall measuring device |
-
2011
- 2011-09-02 KR KR1020110089222A patent/KR1011524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627B1 (en) * | 2008-12-23 | 2009-07-21 | (주)화진티엔아이 | Automatic rain alarm system using self-diagnostic rainfall measur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42510A (en) * | 2016-03-17 | 2016-08-1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 | Electronic transformer with self-calibration function and self-calibration method thereof |
CN118447890A (en) * | 2024-03-20 | 2024-08-06 | 韵航智能科技(常州)有限公司 |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0145B1 (en) | Maintenance expert system for measuring instrument | |
KR101948742B1 (en) | Pressure se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100763881B1 (en) | Digital diagnosis method for measuring breaker operating time | |
KR101530674B1 (en) | Rainfall observation system with a rainfall measuring instrument checking and through the rain sensing rainfall measuring instrument check method | |
CN106556439B (en) | Entrained flow detection diagnostics | |
KR101152484B1 (en) | Apparatus for checking sensor and measuring sensor using the same | |
JP2004053587A (en) | K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gging data | |
US10962173B2 (en) | Failure indicator supplemental vessel for primary vessel | |
JP5750224B2 (en) | Storag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 |
JP5035572B2 (en) | Leak detection device | |
CN110243539B (en) | Online pressure ratio is to detection device | |
JP5469416B2 (en) | Fuel supply system | |
JP2505068B2 (en) | Leak inspection method for liquid products | |
CN210270227U (en) | Intelligent base test box capable of realizing self diagnosis | |
CN208672497U (en) | Oil-immersed transformer insulation ag(e)ing detection system | |
JP2009186300A (en) | Gas meter diagnosing device, gas meter equipped with this device, and gas meter diagnosing method | |
CN113203453A (en) | Quick calibration device and method for tuning fork switch | |
JP4335173B2 (en) | Gas station unloading system | |
CN217761232U (en) | Liquid recovery device | |
KR100470969B1 (en) | Digital Automatic Exhausting System Using Load Cell | |
GB2475323A (en) | Alarm system for an oil-fired heating system that monitors pressure in the fuel supply line | |
CN111103160B (en) | Fully automatic function detection system for water dispenser, fully automatic function detection method for water dispenser and fully automatic function detection equipment for water dispenser | |
JP7228999B2 (en) | fuel supply system | |
CN119565384A (en) | Automatic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for single membrane shell of reverse osmosis membrane group | |
JP2005308540A (en) | Opening/closing inspection method of valve and it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