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2071B1 -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071B1
KR101152071B1 KR1020107004633A KR20107004633A KR101152071B1 KR 101152071 B1 KR101152071 B1 KR 101152071B1 KR 1020107004633 A KR1020107004633 A KR 1020107004633A KR 20107004633 A KR20107004633 A KR 20107004633A KR 101152071 B1 KR101152071 B1 KR 10115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ctro
hole
acoustic transducer
mems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166A (ko
Inventor
요세프 루츠
스테판 레이트너
Original Assignee
놀레스 일렉트로닉스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놀레스 일렉트로닉스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놀레스 일렉트로닉스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3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도전성 경로(3)를 포함하는 기판(2)과, 기판(2)에 부착되어서, 내측 챔버(A) 및 내측 챔버(A) 외측의 공간(B)을 형성하는 커버(4)를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1)가 개시되었으며, 이 커버(4)는 하나 이상의 포트(5)를 포함한다. 변환기(1)의 MEMS 센서(6)는 제 1 면(C)으로부터 제 2 면(D)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7)을 갖는다. 이 홀(7) 내에는 홀 축(E)을 가로지르도록 멤브레인(8)이 배치되어서 제 1 홀 공간(a)과 제 2 홀 공간(b)을 형성한다. 이 센서(6)는, 멤브레인(8)에 작용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전기 커넥터(9)를 갖고 있으며, 이 커넥터(9)는 도전성 경로(3)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MEMS 센서(6)는, 제 2 홀 공간(b)이 하나 이상의 포트(5)를 통해서 외부 공간(B)에 연결되고, 제 1 홀 공간(a)이 내측 챔버(A)에 연결되는 형태로 챔버(A)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MEMS SENSOR}
본 발명은, 도전성 경로를 가진 기판과, 이 기판에 부착되어서 내측 챔버 및 이 내측 챔버 외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 이 커버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포함함 - 와, 초소형 전자 기계 시스템 센서, 줄여서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이 MEMS 센서는 제 1 면 및 제 2 면, 그리고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되, 이 홀 내에 홀 축을 가로지르도록 멤브레인이 배치되어서 제 1 홀 공간 및 제 2 홀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 MEMS 센서는 이 멤브레인에 작용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되, 이 커넥터는 상기 도전성 경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음향 변환기의 예가 미국 특허 출원 제 2006/015784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변환기 유닛, 기판 및 커버를 포함하는 실리콘 콘덴서 마이크 패키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변환기 유닛은 기판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어서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고 있으며, 여기서 변환기 유닛의 백 볼륨은 변환기 유닛과 기판 사이에 형성된다. 변환기 유닛 위에는 커버가 배치되며, 커버 또는 기판 중 하나가 개구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음향 변환기(또는 압력 센서)의 멤브레인은 멤브레인 앞의 압력과 멤브레인 뒤의 압력의 차이만을 검지한다. 이는, 마이크의 경우에, 음파가 멤브레인 앞의 압력은 변화시키지만, 멤브레인 뒤의 압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백 볼륨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이 백 볼륨은 변환기의 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매우 작아야 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백 볼륨은 주어진 감도에 대한 멤브레인의 컴플라이언스에 따라 달라진다. 멤브레인이 임의로 컴플라이언스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백 볼륨이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백 볼륨이 크면,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데 방해가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백 볼륨은 MEMS 센서의 다이에 및/또는 MEMS 센서가 부착되는 기판에 및/또는 변환기가 부착되는 장치의 PCB(인쇄 회로 기판)(예컨대, 휴대 전화의 PCB)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진 백 볼륨을 구현하는 수단은 비교적 고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전자-음향 변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의 기술 분야란에 개시된 종류의 전자-음향 변환기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상기 MEMS 센서는, 제 2 홀 공간이 포트 또는 포트들을 통해서 외부 공간에 연결되고, 제 1 홀 공간이 내측 챔버에 연결되는 형태로, 챔버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종래의 기술과 같이 배치한 경우보다 백 볼륨이 크고 따라서 변환기의 감도도 크다.
- 변환기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 오목부가 필요없기 때문에 장치의 기판과 PCB의 제조가 더 용이하다.
- 기판과 MEMS 센서 사이에 밀봉부가 필요없기 때문에 변환기의 조립이 더 용이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제 1 면에 배치되고, 플립칩 기술을 이용해서 도전성 경로에 연결된다. 이 때의 이점은, - 와이어 본딩이 사용되는 경우에 - 매우 얇아서 깨지기 쉬운 와이어가 더 부착될 접촉부가, MEMS 센서의 상면에는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히 커버가 기판 및 MEMS 센서에 부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상에 대해서 플립칩 기술은 매우 견고해진다. 커버와 센서 사이의 밀봉부가 선택적으로 제 1 면 상에 배치되면(즉, 접촉부가 대향함), 이 밀봉부(일반적으로는 접착제)와의 접촉부가 오염될 위험은 거의 제로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와 도전성 경로 사이의 연결부는, 기판과 MEMS 센서 사이에, 제 1 홀 공간을 내측 챔버로 연결시키는 채널이 형성되는 형태로 설계된다. 이는, MEMS 센서와 기판 사이에 자연스럽게 일정한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홀 공간과 내부 챔버 사이에 필요한 연결부를 제조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여기서 이 간극의 높이는, 사용되는 땜납 또는 도전성 글루(glue)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간극이 더 크면 MEMS 센서의 온도 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면에는, 제 1 홀 공간을 내측 챔버에 연결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MEMS 센서와 기판 사이의 간극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 1 홀 공간과 내부 챔버 사이의 연결부를 매우 유용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제 2 면 상에 배치되고, 와이어 본드를 통해서 도전성 경로에 연결된다. 이는 현존하는 기기를 이용해서 신규한 변환기를 제조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유익하다. 또한, 제 1 면에, 제 1 홀 공간을 내측 챔버로 연결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유익하다. 이로써, MEMS 센서가 기판에 글루로 접착되는 경우에 제 1 홀 공간과 내측 챔버 사이에 필요한 연결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규한 변환기는 챔버와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음향 변환기 주위의 공기압은 소리가 될 뿐만 아니라, 날씨 또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이동으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멤브레인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음향 변환기는 챔버와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일화 수단을 제조하는 가장 간단한, 가능한 방법은, 기판 내의 하나 이상의 홀, 커버 내의 홀, MEMS 센서 내의 홀, 멤브레인 내의 홀 또는 커버와 기판 또는 MEMS 센서에 의해 형성된, 상세하게는 커버와 기판 또는 MEMS 센서 사이의 밀봉부의 단절부에 의해 형성된 포트를 마련하는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 홀의 음향 저항은, 동작 주파수 범위 아래에서만 전자-음향 변환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도록 매우 높아야 한다. 다른 방안으로 동일화 수단은 일종의 통풍구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규한 변환기는 MEMS 센서와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를 챔버 내에 더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MEMS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전기 신호는, 기본적으로 증폭 및 선형화와 같은 후처리를 필요로 한다. 이론적으로, 이는 MEMS 센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MEMS 센서와, 센서 신호를 후처리하는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 기술 및 처리 공정은 서로 상당히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별개의 장치가 이용된다. 후처리를 위해서 이른바 ASIC(A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이 목적으로 표준 회로가 제공될 수도 있다. IC가 내측 챔버 내에 배치되었을 때의 다른 이점은, IC를 광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점이다. 이는 ASIC이 광에 민감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커버가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금속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전자기 차폐가 IC 영역에 있는 홀에 의해서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IC에 대한 전자기 방사의 영향이 감소된다. 따라서,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가 개선된다.
종래의 변환기는 또한 밀봉부가 센서와 기판 사이에 도포되어야 하기 때문에 MEMS 센서와 ASIC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넓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변환기는 커버와 센서 사이에 (적어도) 밀봉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조가 더 용이하다. 따라서, 센서와 ASIC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전자-음향 변환기 전체의 치수는 더 작아진다.
또한, 이 커버는 기판 및 MEMS 센서의 제 2 면에 기밀하게(air-tightly)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와 기판 사이 및 커버와 센서 사이의 간극이 상당히 작다면, 이 부분들 사이의 밀봉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부분들의 허용 오차가 전자-음향 변환기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밀봉부(예컨대, 글루)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밀"이라는 것은 간극과 관련해서는 "동작 주파수 영역 내에서는 변환기의 음향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밀봉부와 관련해서는 그 의미 그대로이다.
또한, 제 1 홀 공간 및/또는 제 2 홀 공간의 체적은 제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이 MEMS 센서의 홀의 중앙에 배치될 때의 이점은, 멤브레인이 센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면 MEMS 센서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응력은 멤브레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통상의 MEMS 센서는 제조 처리가 간단하다는 이유로 홀의 한쪽 끝에 멤브레인을 갖고 있다(미국 특허 출원 제 2006/0157841 호 참조). 여기서, 홈이 다이의 한쪽으로부터만 에칭되어서 멤브레인이 형성된다. 센서가 멤브레인인 만큼 평평한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홀 공간 및/또는 제 2 홀 공간의 체적은 제로로 감소된다. 홀 공간의 체적은 멤브레인의 주요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변환기의 유효한 백 볼륨에만 기여한다(또는 기여하지 않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기는 커버 위에 더스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스트 커버는, 커버의 포트 또는 포트들에 대해서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더스트 입자 및 더 큰 입자는 MEMS 센서에 접근하지 않는다. 커버 내의 포트, 간극 또는 더스트 커버 내의 포트보다 더 큰 입자는 센서에 접근하지 않는다. 더 작은 입자는 커버 내의 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커버 또는 더스트 커버로 이끌릴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중 간극쪽의 표면에 및/또는 더스트 커버 중 간극쪽의 표면에 접착제가 부착되고, 이로써 더스트 입자는 커버 내의 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더 "달라붙게" 될 것이다. 접착제는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스트립, 특히 단절부가 있는 스트립 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더스트 입자가 더스트 커버 내의 포트와 커버 내의 포트 사이의 소리 경로를 막는 일은 없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규한 변환기의 커버는, 변환기가 설치되는 장치의 하우징과 함께 간극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덴트(dent)를 포함한다. 또한, 더스트 입자나 더 큰 입자는 MEMS 센서에 접근할 수 없게 되지만, 특별한 전용 더스트 커버는 필요없다.
바람직하게는, 덴트의 표면에 접착제가 부착되며, 역시 더스트 입자는 커버의 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달라붙게" 될 것이다. 접착제는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스트립, 특히 단절부가 있는 스트립 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더스트 입자가 더스트 커버 내의 포트와 커버 내의 포트 사이의 소리 경로를 막는 일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은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자명할 것이며, 이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비한정의 실시예를 참조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MEMS 센서가 기판에 플립칩되는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MEMS 센서가 기판에 와이어 본딩된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장치의 바닥부에 멤브레인을 갖고 있는 MEMS 센서를 구비한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다른 장치의 PCB에 부착된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5(b)는 백 볼륨이 확장된 PCB에 부착된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6(b)는 추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7(b)는 변환기가 설치되는 장치의 하우징과 전용 더스트 커버 대신 사용되는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전자-음향 변환기(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예에서는 마이크로서 설계되어 있다. 마이크(1)는 기판(2), 커버(4), MEMS 센서(6) 및 추가 집적 회로(14)를 포함한다.
MEMS 센서(6)는 제 1 면(C) 및 제 2 면(D)을 포함하며, 이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MEMS 센서(6)의 바닥면과 상부면이다. 또한, MEMS 센서(6)는 제 1 면(C)으로부터 제 2 면(D)으로 연장하는 홀(7)을 포함한다. 이 홀(7)에서, 홀 축(E)을 가로지르도록 멤브레인(8)이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홀 공간(a) 및 제 2 홀 공간(b)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MEMS 센서(6)는 멤브레인(8)에서 작용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커넥터(9)를 포함한다. 통상, 멤브레인은 뒤판에 대향해서 배치되며, 이 뒤판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멤브레인과 뒤판이 함께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공기압(여기서는 소리의 형태)이 멤브레인에 작용하면, 멤브레인과 뒤판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고, 따라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가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를 이용해서 공지된 방식으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MEMS 센서(6) 내에서 이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예에서는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예에서 MEMS 센서(6)는 순수한 전자-음향 변환기이다.
기판(2)은 도전성 경로(3)(이 특정 예에서는 서로 다른 층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를 포함하며, 이는 MEMS 센서(6) 및 집적 회로(14)가 연결되는 접촉 패드 및 MEMS 센서(6)와 집적 회로(14)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 특정 예에서, 집적 회로(14)는 MEMS 센서(6)로부터의 신호의 후처리, 예컨대, 신호의 증폭 및 선형화를 위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서 설계된다.
이 기판(2)에 커버(4)가 부착되어서 내측 챔버(A) 및 이 챔버(A) 외측의 공간(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4)는 포트(5)를 포함한다. MEMS 센서(6) 및 집적 회로(14)는 이 내측 챔버(A) 내에 배치되지만, MEMS 센서(6)는 특별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홀 공간(a)은 매체(media)가 각각 흘러서 매체 교환이 가능하도록 내측 챔버(A)에 연결되어 있고, 유사하게 제 2 홀 공간(b)은 외측 표면(B)에 연결되어 있다.
첫번째 연결은 기본적으로는 기판(2)과 MEMS 센서(6)의 제 1 면(C) 사이의 간극인 채널(10)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이는 MEMS 센서(6)가 기판(2)에 납땜될 때(또는 도전성 글루에 의해서 접착될 때) 형성된다. MEMS 센서(6)가 한정된 높이의 커넥터(9)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도전성 경로(3)(특히 접촉 패드)는 기판(2)의 표면에서 연장된다. 환언하면, 간극의 높이는 커넥터(9)의 높이와 도전성 경로(3)의 높이의 합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땜납 또는 접착제의 두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극은 땜납 또는 접착제보다 넓다. 커넥터(9)나 도전성 경로(3) 어느 것도 제 1 면(C) 또는 기판(2)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경우에, 간극은 땜납 또는 접착제의 두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제 2 홀 공간(b)과 외측 표면(B) 사이의 연결부는 커버(4)의 포트(5)에 의해서 쉽게 이루어진다.
전자-음향 변환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한다. 외측 표면(B)에 음원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소리가 전자-음향 변환기(1)에 접근하면 포트(5) 및 제 2 홀 공간(b)을 통과해서 마지막으로 멤브레인(8)에서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8)과 뒤판에 의해 형성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이용해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전자-음향 변환에 더해서, 멤브레인(8)에서 작용하는 소리는, 전자-음향 변환기(1)의 이른바 "백 볼륨"을 형성하는 제 1 홀 공간과 내측 챔버(A)의 압력의 변동도 야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채널(10)은 제 1 홀 공간(a)과 내측 챔버(A) 사이의 음향 저항을 형성하고,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음향 저항은 전자-음향 변환기(1)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채널(10)의 높이를 설정하는 가능한 방법은 일정량의 땜납 또는 글루를 이용하는 것이다. 땜납 또는 글루가 더 많이 사용될 수록, 더 높아지고, 이에 따라서 저항은 더 낮아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제 1 홀 공간(a)의 체적, 내측 챔버(A)의 체적 및 멤브레인(8)의 컴플라이언스가 전자-음향 변환기(1)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음향 저항을 더 낮추는 다른 가능한 방법은 MEMS 센서(6)의 제 1 면(C)에 하나 이상의 홈(11)을 마련하는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자-음향 변환기(1) 주위의 공기압은, 예컨대 날씨 또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이동으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변화되는 경향이 있다. 멤브레인(8)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음향 변환기(1)는 챔버(A)와 외부 공간(B) 사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일화 수단의 해법은, 기판(2) 내의 홀(13a) 및/또는 커버(4) 내의 홀(13b) 및/또는 MEMS 센서(6) 내의 홀(13c) 및/또는 멤브레인(8) 내의 홀(13d)이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해서, 동일화 수단은 커버(4)와 기판(2)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세하게는 커버(4)와 기판(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밀봉부의 단절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포트(13e)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다른 해법은 커버(4) 내의 홈으로, 이는 커버(4)가 기판(2)에 부착될 때 홀이 된다. 유사하게, 동일화 수단은 커버(4)와 MEMS 센서(6)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세하게는 커버(4)와 MEMS 센서(6)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밀봉부의 단절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포트(13f)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다른 해법은 커버(4) 내의 홈으로, 이는 커버(4)가 MEMS 센서(6)에 부착될 때 홀이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 홀의 음향 저항은 동작 주파수 범위 내에서만 전자-음향 변환기(1)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도록 매우 높아야 한다.
도 2는 다른 전자-음향 변환기(1)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다. 도 1에서, MEMS 센서(6)는 플립칩 기술에 의해서 기판(2)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달리 MEMS 센서(6)는 기판(2)에 와이어 본딩되어 있다. 따라서, MEMS 센서(6)의 전기 커넥터(9)는 제 1 면(C)(기판(2)에 글루로 접착된)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MEMS 센서(6)의 상부인 제 2 면(D)에 있다. 기판(2) 상에서 커넥터(9)와 도전성 경로(3) 사이의 연결부는 와이어 본드(1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3은 다른 전자-음향 변환기(1)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다. 도 1에서는, 멤브레인(8)은 홀(7)의 한 가운데에 배치된다. 이는, 멤브레인이 센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면 MEMS 센서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응력은 멤브레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MEMS 변환기는 홀(7)의 한쪽 단부에 멤브레인(8)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8)은 제 1 면(C)과 일직선으로 배치되어서 제 1 홀 공간(a)은 제로로 줄어든다. 그러나, 멤브레인(8)은 제 2 면(D)과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때는 제 2 홀 공간(b)이 제로로 줄어든다. 마지막으로, 멤브레인(8)의 두께는 MEMS 센서(6)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 1 홀 공간(a)과 제 2 홀 공간(b) 모두의 체적은 제로로 줄어든다. 홀 공간(a, b)의 체적은 멤브레인(8)의 주요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한다. 제 1 홀 공간(a)은 변환기(1)의 유효한 백 볼륨에 기여할 가능성만 있다. 도 1 및 2에서 멤브레인(8)은 MEMS 센서(6)와 분리된 부분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에서 멤브레인(8)과 MEMS 센서(6)는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1 및 2의 멤브레인(8)이 MEMS 센서(6)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의 멤브레인(8)은 MEMS 센서(6)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전자-음향 변환기(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4의 단면도는 도 3의 단면도와 교차하는 것으로, 따라서 집적 회로(14)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한가지 차이점은 포트(5)가 깔때기 형상이 아니라 커버(4) 내의 단순한 홀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전자-음향 변환기(1)는 도 3의 전자-음향 변환기(1)보다 납작하다. 또한, 밀봉재(15)(단순히 글루가 될 수 있음)를 이용해서 커버(4)와 기판(2) 사이 및 커버(4)와 MEMS 센서(6)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한다. 아울러, 전자-음향 변환기(1)는 다른 장치, 예컨대 휴대 전화의 인쇄 회로 기판(16)(줄여서 PCB)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도전성 경로(3)는 기판(2)의 상부면부터 바닥면까지의 비아를 갖고 있으며, 여기서 도전성 경로(3)는 PCB(16)에 배치된 장치 접촉부(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PCB(16)는 기판(2) 내의 홀(13a)과 일직선인 홀(17)을 포함하며, 이는 내측 챔버(A)와 외부 공간(B) 사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판(2)과 PCB(16) 사이의 간극이 충분이 크다면, 이 홀(17)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전자-음향 변환기(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면 Z-Z에 따른 단면도). 이 실시예에서, 커버(4)는 복수의 작은 포트(5)를 포함한다. 이로써 더스트 입자가 MEMS 센서(6)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기판(2)은 내측 챔버(A)를 PCB 챔버(F)로 연결하는 홀(19)을 포함한다. 이 PCB 챔버(F)는 PCB(16) 내의 오목부(20), 및 장치 밀봉부(21) 내에서 기판(2)과 PCB(16) 사이의 간극에 의해 이루어진 체적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백 볼륨은 전자-음향 변환기(1)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 실시예는 내측 챔버(A)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백 볼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소형의 변환기(1)가 요구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6(a) 및 6(b)는 전자-음향 변환기(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6(a)는 면 Y-Y에 따른 단면도, 도 6(b)는 정면도). 이 실시예에서, 커버(4)는 평면형의 상부 표면 및 포트(5)를 갖고 있다. 더스트 입자 및 더 큰 입자가 MEMS 센서(6)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더스트 커버(22)가 커버(4) 위에 배치된다. 커버(4)와 더스트 커버(22) 사이에는 작은 간극(23)이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22)는 포트(5)에 대해서 오프셋된 포트(24)를 갖고 있다. 따라서, 포트(5), 간극(23) 또는 포트(24)보다 큰 입자는 센서(6)에 접근할 수 없다. 더 작은 입자는 포트(5)에 도달하기 전에 커버(4) 또는 더스트 커버(22)에 의해 끌어당겨질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접착제가 커버(4) 중 간극(23)쪽의 표면 및/또는 더스트 커버(22) 중 간극(23)쪽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더욱 커질 수 있다. 이 접착제는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의 접착제(25)가 될 수도 있다. 도 4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부가, 이 실시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커버(4)의 측부 표면과 더스트 커버(22)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도 있으며, 또는 더스트 커버(22)가 기판(2)에는 없지만 커버(4) 바로 위에 있는 경우에 평행한 측벽이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 및 7(b)는 전자-음향 변환기(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6(a) 및 6(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7(a)는 면 X-X에 따른 단면도, 도 7(b)는 정면도). 커버(4)는 상부 표면의 중앙 영역에 덴트(26)를 갖고 있다. 전용 더스트 커버(22) 대신, 변환기(1)가 설치되는 장치(예컨대, 휴대 전화)의 하우징(27)이 제공된다. 하우징(27)은 소리 개구부로서 포트(28)를 포함한다. 덴트(26)와 하우징(27)을 함께 이용해서 간극(23)을 형성한다. 따라서, 밀봉부(예컨대, 글루)가 커버(4)와 하우징(2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더스트를 끌어당기도록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라이프의 접착제(29)가 제공되고, 이는 간극(여기서는 가운데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을 갖고 있다. 이런 식으로, 더스트 입자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포트(5)와 포트(28) 사이의 소리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용량성 MEMS 센서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피에조 센서, 일렉트릿 센서 및 유도성 센서(inductive sensor)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위에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없이 대안의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청구의 범위에서, 괄호안의 참조 번호는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포함한다' 및 그 파생어는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 전체에 개시된 구성 요소 또는 단계 이외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의 참조 번호가 하나 개시되어 있다고 해서 이러한 구성 요소의 참조 번호가 복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다수의 수단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 다수의 수단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같은 아이템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 청구항에 특정 수단이 인용되어 있다고 해서,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익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Claims (16)

  1. 전자-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1)로서,
    도전성 경로(3)를 포함하는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부착되어 내측(inner) 챔버(A) 및 상기 내측 챔버(A) 외부 공간(B)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포트(5)를 포함하는 커버(4)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ensor) 센서(6)를 포함하되,
    상기 MEMS 센서(6)는 제 1 면(C), 제 2 면(D), 상기 제 1 면(C)으로부터 상기 제 2 면(D)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7), 상기 홀(7) 내에서 홀 축(E)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 1 홀 공간(a)과 제 2 홀 공간(b)을 형성하는 멤브레인(8) 및 상기 멤브레인(8) 상에서 작용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경로(3)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9)를 포함하며,
    상기 MEMS 센서(6)는, 상기 제 2 홀 공간(b)이 상기 하나 이상의 포트(5)를 통해서 상기 외부 공간(B)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홀 공간(a)이 상기 내측 챔버(A)에 연결되도록 상기 챔버(A)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면(C)에는 상기 제 1 홀 공간(a)을 상기 내측 챔버(A)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11)이 형성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9)는 상기 제 1 면(C) 상에 배치되고, 플립칩 기술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경로(3)에 연결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9)와 상기 도전성 경로(3) 사이의 상기 연결은, 상기 기판(2)과 상기 MEMS 센서(6) 사이에 상기 제 1 홀 공간(a)을 상기 내측 챔버(A)로 연결시키는 채널(10)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9)는 상기 제 2 면(D)에 배치되고 와이어 본드(12)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경로(3)에 연결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A)와 상기 외부 공간(B) 사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하는 동일화 수단(equaliz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화 수단은, 상기 기판(2) 내의 홀(13a), 상기 커버(4) 내의 홀(13b), 상기 MEMS 센서(6) 내의 홀(13c), 상기 멤브레인(8) 내의 홀(13d), 상기 커버(4)와 상기 기판(2) 또는 상기 커버(4)와 상기 MEMS 센서(6)에 의해 형성된 포트(13e, 13f) 중 하나 이상으로서 설계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EMS 센서(6)와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14)를 상기 챔버(A) 내에 더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기 기판(2) 및 상기 MEMS 센서(6)의 상기 제 2 면(D)에 기밀하게(air-tightly) 부착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 공간(a) 및/또는 상기 제 2 홀 공간(b)의 부피는 0인
    전자-음향 변환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 위에 더스트 커버(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4)와 상기 더스트 커버(22) 사이에 간극(gap)(23)이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22)는 상기 커버(4)의 상기 포트 또는 포트들(5)에 대해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24)를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23)과 대향하는 상기 커버(4)의 표면 및/또는 상기 간극(23)과 대향하는 상기 더스트 커버(22)의 표면에 접착제(25)가 부착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기 전자-음향 변환기(1)가 설치된 장치의 하우징(housing)(27)과 함께 간극(23)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덴트(dent)(26)를 포함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덴트(26)의 표면에 접착제(29)가 부착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13e, 13f)는, 상기 커버(4)와 상기 기판(2) 사이 또는 상기 커버(4)와 상기 MEMS 센서(6) 사이의 밀봉부(sealing)의 단절(break)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음향 변환기.
KR1020107004633A 2007-08-02 2008-07-29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 Active KR101152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3710 2007-08-02
EP07113710.3 2007-08-02
PCT/IB2008/053037 WO2009016587A1 (en) 2007-08-02 2008-07-29 Electro-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mems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166A KR20100037166A (ko) 2010-04-08
KR101152071B1 true KR101152071B1 (ko) 2012-06-11

Family

ID=4004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633A Active KR101152071B1 (ko) 2007-08-02 2008-07-29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26665B2 (ko)
EP (1) EP2177049A1 (ko)
KR (1) KR101152071B1 (ko)
WO (1) WO2009016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4305B2 (en) 2000-11-28 2008-10-14 Knowles Electronic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phone
US8771204B2 (en) 2008-12-30 2014-07-08 Masimo Corporation Acoustic sensor assembly
US8280080B2 (en) * 2009-04-28 2012-10-02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icrocap acoustic transducer device
CN101651913A (zh) * 2009-06-19 2010-02-1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麦克风
WO2011047207A2 (en) 2009-10-15 2011-04-21 Masimo Corporation Acoustic respiratory monitoring sensor having multiple sensing elements
US8523781B2 (en) 2009-10-15 2013-09-03 Masimo Corporation Bidirectional physiological information display
US8870792B2 (en) 2009-10-15 2014-10-28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acoustic monitoring system
WO2011047216A2 (en) 2009-10-15 2011-04-21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acoustic monitoring system
US10463340B2 (en) 2009-10-15 2019-11-05 Masimo Corporation Acoustic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326712B1 (en) 2010-06-02 2016-05-03 Masimo Corporation Opticoustic sensor
US9192351B1 (en) 2011-07-22 2015-11-24 Masimo Corporation Acoustic respiratory monitoring sensor with probe-off detection
US8948420B2 (en) * 2011-08-02 2015-02-03 Robert Bosch Gmbh MEMS microphone
US8879767B2 (en) * 2011-08-19 2014-11-04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TO20110980A1 (it) 2011-10-27 2013-04-28 St Microelectronics Srl Struttura incapsulante schermata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EP2774390A4 (en) 2011-11-04 2015-07-22 Knowles Electronics Llc EMBEDDED DIELEKTRIKUM AS A BARRIER IN AN ACOUS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402118B2 (en) 2012-07-27 2016-07-26 Knowles Electronics, Llc Housing and method to control solder creep on housing
US9491539B2 (en) 2012-08-01 2016-11-08 Knowles Electronics, Llc MEMS apparatus disposed on assembly lid
US9955937B2 (en) 2012-09-20 2018-05-01 Masimo Corporation Acoustic patient sensor coupler
CN104756523B (zh) * 2012-09-27 2018-01-16 美商楼氏电子有限公司 Mems器件中的嵌入电路
US9343455B2 (en) 2012-12-19 2016-05-17 Knowles Electron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voltage I/O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9467785B2 (en) 2013-03-28 2016-10-11 Knowles Electronics, Llc MEMS apparatus with increased back volume
US9301075B2 (en) 2013-04-24 2016-03-29 Knowles Electronics, Llc MEMS microphone with out-gassing openin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3213891A1 (de) 2013-05-21 2014-11-27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Mikrofonanordnung
US10828007B1 (en) 2013-10-11 2020-11-10 Masimo Corporation Acoustic sensor with attachment portion
GB2521448B (en) * 2013-12-20 2021-07-2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covering por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307328B2 (en) 2014-01-09 2016-04-05 Knowles Electronics, Llc Interposer for MEMS-on-lid microphone
US9554214B2 (en) 2014-10-02 2017-01-24 Knowles Electronics, Llc Signal processing platform in an acoustic capture device
US9800971B2 (en) 2015-03-17 2017-10-24 Knowles Electronics, Llc Acoustic apparatus with side port
US9538274B1 (en) * 2015-10-05 2017-01-03 Hit Incorporated Smart microphone with voice control functions
CN108702574B (zh) * 2016-02-04 2021-05-25 美商楼氏电子有限公司 差分mems麦克风
GB2557717A (en) * 2016-10-12 2018-06-27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Transducer packaging
EP3376778B8 (en) * 2017-03-13 2020-08-12 ams International AG Microphone and method of testing a microphone
WO2018201471A1 (en) * 2017-05-05 2018-11-08 Goertek Inc. Mems microphone
US10694297B1 (en) * 2019-03-25 2020-06-23 Fortemedia, Inc. Back chamber volume enlargement microphone package
EP3770112A1 (en) * 2019-07-22 2021-01-27 Infineon Technologies AG Pressure sensor
CN212559450U (zh) * 2020-03-05 2021-02-19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mems传感器封装结构
CN211240079U (zh) * 2020-03-05 2020-08-1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Mems麦克风
CN111918187B (zh) * 2020-07-08 2021-10-29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Mems扬声器
US20230211755A1 (en) * 2022-01-06 2023-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pacitive/acoustic sensor lenses for cleaning feedb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7605A1 (en) * 2004-03-08 2005-09-22 Infineon Technologies Ag Microphone and method of producing a micropho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15417A1 (en) * 1999-08-11 2001-02-11 Hiroshi Une Electret capacitor microphone
US6522762B1 (en) * 1999-09-07 2003-02-18 Microtronic A/S Silicon-based sensor system
US7166910B2 (en) * 2000-11-28 2007-01-23 Knowles Electronics Llc Miniature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US7439616B2 (en) 2000-11-28 2008-10-21 Knowles Electronics, Llc Miniature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DE102004011148B3 (de) 2004-03-08 2005-11-10 Infineon Technologies Ag Mikropho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krophons
DE102005008512B4 (de) * 2005-02-24 2016-06-23 Epcos Ag Elektrisches Modul mit einem MEMS-Mikrofon
DE102005016243B3 (de) * 2005-04-08 2006-09-28 Austriamicrosystems Ag Mikromechanisches Bauele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060280319A1 (en) * 2005-06-08 2006-12-14 General Mems Corporation Micromachined Capacitive Microphone
DE102005053765B4 (de) * 2005-11-10 2016-04-14 Epcos Ag MEMS-Pack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GB0605576D0 (en) * 2006-03-20 2006-04-26 Oligon Ltd MEMS device
US8081783B2 (en) * 2006-06-20 2011-12-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iniature acoustic transdu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7605A1 (en) * 2004-03-08 2005-09-22 Infineon Technologies Ag Microphone and method of producing a micro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26665B2 (en) 2013-09-03
WO2009016587A1 (en) 2009-02-05
EP2177049A1 (en) 2010-04-21
US20100195864A1 (en) 2010-08-05
KR20100037166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71B1 (ko) Mems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음향 변환기
US10334339B2 (en) MEMS transducer package
US10455309B2 (en) MEMS transducer package
JP6311376B2 (ja) マイクロフォン
US9156680B2 (en) Packages and methods for packaging
JP5252104B1 (ja) 静電容量型センサ、音響センサ及びマイクロフォン
CN108366330B (zh) 微机电封装结构
JP4779002B2 (ja) Pcbに音孔が形成されたmems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US8779535B2 (en) Packaged integrated device die between an external and internal housing
US8520878B2 (en) Microphone unit
JP6175873B2 (ja) マイクロフォン
JP6160160B2 (ja) マイクロフォン
US10252906B2 (en) Package for MEMS device and process
CN109845294B (zh) 压力传感器,特别是具有改进布局的麦克风
US10405102B2 (en) MEMS transducer package
KR101303954B1 (ko) 광대역 및 방수 특성을 위한 보텀 포트형 마이크로폰 조립체
JP2011176533A (ja) 音響センサ
US20150139467A1 (en) Acoustic device and microphone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2020036180A (ja) Memsマイクロホン
JP2007060389A (ja)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KR100870991B1 (ko) 세라믹 패키지를 이용한 콘덴서 마이크로폰
JP2007060285A (ja)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JP2011176532A (ja) 音響センサ
JP2006332799A (ja) 音響センサ
JP2007060228A (ja)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