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773B1 -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1773B1 KR101151773B1 KR1020090048739A KR20090048739A KR101151773B1 KR 101151773 B1 KR101151773 B1 KR 101151773B1 KR 1020090048739 A KR1020090048739 A KR 1020090048739A KR 20090048739 A KR20090048739 A KR 20090048739A KR 101151773 B1 KR101151773 B1 KR 1011517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prestressed
- girder
- concrete
- steel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4156 Clerodendrum quadrilocul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이 적거나, 없는 공간으로서, 넓게 개방된 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층간 라멘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layer ramen slab of a building having a large open space as a space with little or no pillars.
상기 라멘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강합성거더의 상부에 바로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상기 강합성거더의 상부에 마루깔듯이 설치하고 그 위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하는 다층으로 설치된 라멘슬래브구조체로서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install the ramen slab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between a plurality of steel column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stall a slab directly on top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or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as a multi-layered ramen slab structu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installed slab by placing slab concrete there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영장, 로비, 지하주차장, 지하차도, 강당, 극장등 기둥이 없거나, 최소로 설치되어 넓은 개방된 공간이 요구되는 건축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ramen slab structur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s of the building, such as a swimming pool, a lobby,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 underground driveway, an auditorium, a theater, or a minimum open space is required.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위에 바로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로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강합성거더의 상부에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마루깔듯이 설치하고, 그 위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인 것이다.In order to install the ramen slab structure, a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steel pill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lab concrete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slab, or the prestressed concrete is installed thereon. It is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lab is installed by placing slab concrete on it.
본 발명은 정부모멘트가 거더 및 판넬에 교차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에 의하여 거더 및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부분인 양단부에만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 및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건축물의 층간의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치된 강합성거더 위에 판넬을 마루바닥깔듯이 연속으로 설치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콘크리트를 바로 타설하여 슬래브를 조립식으로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ment is acting crosswise to the girder and the panel, the pre-stress non-introducing part is selectively installed only at both ends of the part where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girder and the panel by the generated parent moment, and the prestress is provided at the other part. Introduce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by using girder manufacturing platform, and install slab by continuously installing panel on top of steel composite girder mounted to install slab between floors of the building. Or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the slab is prefabricated by installing concrete directly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종래에 제작되는 프리플렉스빔은 강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타설양생한 후, 릴리스를 시키면,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하부케이싱콘크리트의 단면저항으로 인장응력이 진류하게되고, 또한 상부플랜지에도 하부플랜지에 잔류되는 인장응력의 크기만큼 압축응력이 잔류되게 된다.Th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preflex beam is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steel, and to cure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and then to release,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in this case, Tensile stress is flowed by the cross-sectional resistance of the lower casing concrete, and the compressive stress remains in the upper flange as much as the tensile stress remaining in the lower flange.
상기와 같이 빔내에 잔류응력이 작용되는 빔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완성하였을때, 상기 상하플랜지에 잔류되어진 인장 및 압축응력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응력의 손실이 발생되어 구조물에 저항응력이 손실되는 악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기되어 왔다.When the structure is completed by using the beam with residual stress in the beam 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is generated as a whole due to the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remaining i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which causes the adverse effect of the loss of the resistive stress in the structure. Has been rais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조물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플렉스빔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고, 상기 강선 또는 강봉을 긴장하는 포스트텐션방법에 따라, 강선을 긴장한 후에 상기 긴장 된 강선을 정착할 때 사용되는 강선 정착단의 단면이 너무 커 공간 이용에 많은 제약이 있어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factors adversely affect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sheath on the preflex beam and a steel wire or steel bar in the sheath, according to the post-tension method of tensioning the steel wire or steel rod, Later,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wire fixing end used to fix the tensioned steel wire is too large, there have been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use of space.
또한, 종래에는 층간의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빔을 설치하고, 상기 빔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과 동바리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빔을 설치하고 상기 빔 위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슬래브를 설치하였으나, 콘크리트타설작업에 많은 공사기간이 소요되며, 슬래브 설치를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동바리를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tall the slab between floors, the beam is installed,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on the beam, the formwork and the bundling, t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lab, or the beam is installed on the deck plate And slab of the building by installing concrete on it, but it takes a lot of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ncrete placing work, and installing the copper bar and supporting the formwork to support the concrete to be installed for the slab installation It is a problem that a lot of air consumption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을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기 강선 또는 강봉의 긴장상태를 릴리스하는 프리텐션방법을 이용하면서, 사용된 강재에는 불필요한 긴장력을 전혀 도입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작된 빔에는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설계에 반영된 저항응력이 완전히 발휘되도록 하여 구조물이 설계하중대로 건축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강선 정착단의 설치를 생략하여 보다 넓은 개방된 공간활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fter pouring concrete in a state of pre-installed steel wire or steel bar tension, using a pretension method of releasing the tension state of the steel wire or steel bar, unnecessary to the steel used By not introducing tension at all, unnecessary residual stress is not generated in the manufactured beam so that the resistive stress reflected in the design is fully exhibited so that the structure is built under the design load, and at the same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anchoring end is omitted. It is to use a wide open space.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잔류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정착단의 설치를 생략하기 위하여,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강선 또는 강봉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강재의 부모멘트가 발생되어 강재에는 압축력이 발생되는 강재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상기 거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 설치를 위하여 설치되는 판넬의 양단부에도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합성판넬을 각각 제작하고,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residual stress as described above and to omit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stage,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rods are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by using a girder manufacturing stand, and the parent of the steel is generated After the prestressed non-introduced part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eel wher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the prestressed steel girder, which is cured with concrete, and the prestressed non-introduced parts are also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nel installed for the slab installed on the girder.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s are made by pouring concrete.
상기 강합성거더를 설치된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 위에 다수개의 판넬을 마루깔듯이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하거나, 바로 상기 거더 위에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한 슬래브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 조체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The steel composite gird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installed steel pillars, and a plurality of panels are installed on the installed steel composite girders as floors and concrete is placed on them to install slab concrete, or the slab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girders. In order to install the slab reinforcement and to pour the concrete to install the ramen slab assembly with the slab concrete.
상기와 같이 강합성거더 위에 판넬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립식으로 슬래브를 설치하면서, 최소한의 콘크리트를 작업을 하면서, 상기 거더를 거푸집으로 이용하여 별도의 거푸집과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 및 판넬에 발생된 부모멘트로 인하여 강합성거더 및 판넬에는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일정범위에 걸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에 상기 압축력이 전달되어 전달된 압축력이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슬래브구조체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Install the panel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as described above, install the slab in the prefabricated manner, while installing a minimum of concrete, while using the girder as a formwork so as not to install a separate formwork and copper bar, Due to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composite girder and the panel, the compr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re-stress non-introduction section sel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mposite girder and the panel wher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t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generated parent.
본 발명은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다수개의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고, 상기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강재의 양단부에만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제작하면서 동시에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steel rods on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and pre-stressed non-introduction portion by selectively applying a solidification time delay resin adhesive to both ends of the steel generating compressive force to the steel wire or steel rods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steel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nstalled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girder
전단면에 다수개의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만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제작하고,A girder fabrication table is provided with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steel bars are installed on the shear surface, and a solidification time delay resin adhesive is selectively applied only to both ends of the steel wires or steel rods in which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By using
상기 강합성거더를 설치된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거더 위에 마루깔듯이 상기 판넬을 거치하고, 상기 판넬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립식으로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바로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슬래브철근을 배치하 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steel composite gird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installed steel pillars and installed, the panel is mounted on the girder like a floor, and concrete is placed on the panels to install slabs in a prefabricated manner, or the slab directly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s. It relates to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slabs are installed by placing rebars and placing concrete.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제작할 때, 상기 거더와 판넬을 설치하여 정부모멘트가 교차적으로 반복되어 발생될때,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거더와 판넬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의하여 거더와 판넬에 압축력이 작용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만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한 후에 긴장된 강선 또는 강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상기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한 부분의 강선 또는 강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when the girder and the panel is installed to generate a repeating moment repeatedly cross-over,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girder and the panel by using a girder production table The application of the coagulation time delay adhesive resin material to only the steel wires or steel rod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and the panel by applying the compressive force, and after casting the concrete containing the tensioned steel wires or steel rods, the steel wire or steel rods are released to release the solidification time delay. Prestress is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including the steel wire or the steel rod of the portion coated with the adhesive resin material.
향후에,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강재기둥의 측면에서 강재기둥과 연결할 때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양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재에 의하여 강재기둥의 연결부재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강합성거더의 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선에 정착클립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히 설치된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와 연결되도록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고,In the future, when the produce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nected to the steel pillar at the side of the steel pillar, the steel composit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steel pillar by exposed steel expos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steel girder, Install the fixing clip on the exposed steel wire exposed at the end of the girder, and install the additional joint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so as to connect with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which is already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서 판넬의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된 부분에 형성된 판넬단부연결부에는 마주보고 설치된 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의 일정부분이 상호 겹치도록 하고 각각 정착클립을 설치하고, 루프철근으로 상기 겹치는 부분을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판넬단부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조립식으로 설치한 슬래브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anel end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panel facing each other on the composite girder has a portion of the exposed steel wir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nel facing each other and overlaps with each other and installs a fixing clip, and the overlapping portion with the loop reinforcement. It is install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lab structure in which the slab is prefabricated by placing concrete in the panel end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거더에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남지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정착단의 설치를 생략하므로서, 거더의 전단면이 유효한 단면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간 길이 확대시 동일한 형고에서 기둥수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확보가 용이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은 점과,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unnecessary residual stress on the girder and at the same time omits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stage, so that the shear surface of the girder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ross section, so that the number of pillars can be reduced at the same height when the span length is enlarged, so that space is easily secured. High space utilization point,
거더의 전단면이 유효한 단면으로 이용할 수 있어 10%정도의 형고를 줄일 수 있어 동일한 높이의 건물인 경우 10% 정도의 형고를 더 설치할 수 있어 건축용적율을 높일 수 있는 점과, Since the shear surface of the girder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ross section, it can reduce the height of about 10%, and in the case of buildings of the same height, it is possible to install more about 10%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o increase the building capacity ratio.
설치되는 강재기둥 및 거더에 피복콘크리트를 별도로 설치하므로서 별도로 강재기둥 및 거더에 대한 내화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단축되어 공사비가 절감되는 점과,By installing the coated concrete separately on the steel pillars and girders to be installed, there is no need to fire-resistant the steel pillars and girders separately, which shortens the process and reduces construction costs,
강재기둥의 설치를 생략하거나, 강재기둥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므로서 수영장, 로비, 지하주차장, 지하차도, 강당 및 극장등과 같이 기둥의 설치가 최소화되어 보다 넓은 개방된 공간이 필요한 건축물에 적용되어 공간활용성이 높도록 한 점에서 매우 유리한 시공방법인 것이다. By omitting the installation of steel columns or minimiz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steel columns, installation of columns such as swimming pools, lobbies, underground parking lots, underground driveways, auditoriums, and theaters is minimized, which is applied to buildings that require more open space. It is a very advantageous construction method from one point to high us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할 때 사전에 제작된 거더와 판넬을 이용하므로서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식으로 경제적인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시공이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girder and panel prepared in advance, without the use of copper bars, to minimize the use of the formwork, and to be economically constructed ramen slab structure construction.
또한, 상기 설치된 거더 및 판넬에 정부모멘트가 교차발생될때 발생된 상기 부모멘트에 의하여 거더 및 판넬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양단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 스미도입에 의하여 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한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arent moment generated by the load acting on the slab by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both ends of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girder and the panel by the parent moment generated when the moment is intersected in the installed girder and the panel.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men slab structure to reduce the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사용되는 강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사용되는 강재의 복부에 설치된 관통공에 관통되어 설치된 전단뿌리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단부지압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가동지압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a)(b)(c)는 본 발명의 강선체결지압강판과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의 강선체결공에 강선의 확대두부가 체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a)(b)(c)(d)(e)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할 때 상기 거더 위에 바로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복부에 앵글을 설치하고 상기 앵글 에 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 위와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위에 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 위와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 위에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에 정착클립을 설치하고 이를 싸도록 한 루프철근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판넬단부연결부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설치를 위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의 설치범위가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교차적으로 발생되어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범위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모멘트도이며,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부재내의 상하부면에 교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부분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휨모멘트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설치를 위하여 거더위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의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의 설치범위가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교차적으로 발생되어 상기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범위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모멘트도이며,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판넬의 부재내의 상하 부면에 교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판넬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부분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휨모멘트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b) (c) (d)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steel used i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b)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is a through hole installed in the abdomen of the steel used i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b) (c) (d) is a view showing a shear root installed in detail through the girder fabrication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end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movable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b) (c) is a steel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Steel wire fastening between fastening steel plate and steel wire fastening steel plate 9 (a) (b) (c) (d) (e) are ramen slabs us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structure,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lab installed directly on the girder when installing a ramen slab structure us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r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an slab concret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n angle on the abdomen of the re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installing a panel on the angle, and placing concrete on the panel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and FIG. 12. The panel is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invention,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anel and the girder Figure is a view showing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the slab concrete is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Figure 13 (a) (b) is the end portion on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nstalled o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both ends After installing the fixing clip on the installed exposed steel wire and installing the loop reinforcement to wrap it, it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panel end connection by pouring concrete, Figure 14 is a prestress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oment showing that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prestressed non-introduction section selective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installed in the range where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due to the alternating parent moment caused by the load acting on the ramen slab structure. Degree, the generated parent is fleece It is a bending moment diagram that shows that the generated parent moment is reduced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a portion where the prestres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is not introduc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member of the rest composite girder, thereby reducing the generated parent moment. 15 shows that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prestressed non-introduced portion sel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nstalled on the gird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es the parent by the load acting on the ramen slab structure. It is a moment diagram showing that it is generated and installed in the range in which the compress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panel, the generated parent momen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member of the panel cross-acting acts as a compressive force to the portion where the pre-stress of the panel is not introduced , The generated parent is reduced It is a bending moment diagram of the.
본 발명은 넓은 개방공간이 요구되는 수영장, 강당 및 극장과 같은 건축물과 건축물의 층내부에 기둥이 적게설치되는 보다 개방된 공간이 요구되는 다수의 층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라멘슬래브에 적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ilding such as a swimming pool, an auditorium, and a theater requiring a large open space, and to a ramen slab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s are required to have a more open space with fewer pillars installed inside the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건축물의 층을 이루는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개 설치된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강재연결부에 의하여 연결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 위에 바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설치하거나, 상기 판넬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install the slab that forms the layer of the building, concrete is placed directly on the prestressed steel girder, which is installed by the steel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teel pillars installed in plural, or the slab is installed, or on the steel gi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s installed or a slab is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on the panel.
상기 강재기둥사이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양단부에 발생되는 압축력과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의 양단부에 발생되는 압축력을 감소시키거나 해소하기 위하여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강재 하부플랜지의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 또는 상기 합성판넬의 전단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강재기둥 사이에 조립식으로 연결거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로 사용하거나,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상기 판넬을 거치하고 상기 판넬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라멘슬 래브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A girder fabrication table is used to reduce or eliminate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nstalled between the steel columns and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nstalled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s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s with prestressed non-introduc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steel wires or steel rods of the lower flange of the prestressed steel girder, or the steel wires or steel rod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composite panel.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s are prefabricated between steel columns, and concrete is placed thereon to be used as slabs, or the panels are mounted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s and concrete is cast on the panels. Ramen Slave ball installed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element.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조립식으로 설치한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의 특징은 강재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에 강선 또는 강봉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강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 위에 슬래브를 설치하는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s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steel rods are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 and prestressed non-introduc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compressive force are generated in the steel. Install the prestressed
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에 강선 또는 강봉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거더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강재기둥과의 사이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 위에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고,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마루깔듯이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것이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rods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of the prestressed steel girder, and the
또한, 상기 거더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할 때, 상기 거더의 상부에 전단연결재(81)를 다수개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거나,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slab by placing concrete on the girder, a plurality of
상기 거더 위에 마주보고 설치된 판넬의 상부에 전단연결재(81)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의 일정길이가 상호겹치는 겹침부를 설치하고, 상기 겹침부가 감싸지도록 루프철근을 교차설치하고, 상기 노출강선 또는 강봉에 정착클립을 설치한 판넬단부연결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120)를 포함한 판넬(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것이다.Install a plurality of
상기 강재기둥사이에 설치된 강합성거더(10)와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설치된 판넬(80)에 정부모멘트가 반복될 경우, 상기 거더 및 판넬의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의 일정범위에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21)하고,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긴장력을 릴리스하면, 상기 도포재가 도포된 부분(21)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게된다.When the moment of repetition is repeated in the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부분(25)에 상기 거더 및 판넬에 발생된 압축력이 전달되어 전달된 압축력이 감소되어 설치된 슬래브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girder and the panel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슬래브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 및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제작할 때, 상기 강합성거더 및 판넬에 하중이 작용할 때 거더 및 판넬에 정부모멘트가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상기 거더 및 판넬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의하여 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양단부에, 또는 상기 판넬의 전단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양단부에 일정범위에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각각 도포(21)하고,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면, 상기 도포재가 도포된 부분(21)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 및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항성판넬(80)을 제작한다. When fabricating the prestressed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층간의 슬래브를 설치하거나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판넬을 설치하여 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거더 위에서 마주보게 설치된 판넬의 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을 겹치도록 하고, 상기 겹침부를 루프철근이 교차되도록 하고, 상기 노출강선 또는 강봉에 정착클립을 설치한 판넬단부연결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판넬단부연결부를 포함한 판넬(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로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이다.The fabricate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s provided with a slab between layers or a panel is installed on the composite girder to install the slab, overlapping the exposed steel wire or steel rod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anel facing the girder, The overlap reinforces the loop reinforcement, and installs the panel
우선,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100)를 조립식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에 대하여 살펴본 후에, First, the prestressed
상기 거더(10)와 판넬(80)에 프리스트레스를 선택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된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거더(10) 및 판넬(80)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마지막으로, 상기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nally,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a slab of a building is installed by using a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to selectively introduce prestress will be described.
먼저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에 대하여 도 1, 도 2에 의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에 대하여 도 3과 4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prestressed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복부가 설치된 강재로서, 강재(14)의 하부플랜지(16)에 다수개의 강선 또는 강봉(11)을 설치하여 긴장하고, 상기 강재(14)의 압축력이 발생되는 하부플랜지(16)의 양단부에 다수개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11)에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1)를 설치하고, 하부플랜지케이싱에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여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를 설치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제작하면서, 상기 거더(10)의 양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재(19)와 강선 또는 강봉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 도 1의 거더(10)로서, 일명 SPC거더이다.The prestressed
도 2는 상기 강합성거더(10)에 사용되는 강재(14)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2 shows various forms of
도 (a)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상하플랜지(15,16)를 연결하는 복부(17)에 다수개의 일정한 면적과 형태를 갖는 통공부(18)를 다수개 설치한 것이다.Figure (a) is a convex down to the steel material by the amount of camber (e), a plurality of through-
상기 통공부(18)는 강재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강재의 복부에 콘크리트로 피복하기 않을 경우, 건축시 시공되는 덕트, 전선등을 설치하는 공간부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The through
상기 통공부(18)의 형태는 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태인 것이다.The through
도 (b)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복부(17)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플랜지(15,16)의 크기가 같은 일반적인 강재인 것이다.Fig. (B) is a convex downward in the steel material by the amount of camber (e), it is a general steel material of the sam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5, 16)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en (17).
도 (c)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복부(17)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플랜지(15,16)의 크기가 다른 강재인 것이다.Fig. (C) is convex downward in the steel material by the amount of camber e, and is a steel material having different sizes of the upper and
도 (d)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상부플랜지(15)의 하부에 복부(17)만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복부(17)의 하부에 다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통공부(18)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통공부(18)를 관통하여 도 4의 전단뿌리(90)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D) is a convex downward in the steel material by the amount of camber (e), it is installed only the abdomen 17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전단뿌리(90)를 설치하는 이유는 추후에 강재(14)의 주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상기 전단뿌리(90)는 도 4에서보는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수평철근(91)을 원형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평철근(91)을 일정한 간격마다 띠철근(92)으로 감싼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4, the
상기 통공부의 형상은 도 (a)의 통공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through part i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through part of FIG.
또한, 일반적으로 프리플렉스빔에 사용된 강재는 위로 볼록하게 휘도록 한 것을 사용하고, 하향의 하중을 작용한 다음, 릴리스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는 것인데 반해, In addition, in general, the steel used in the preflex beam is to be used to bend convex upward, apply a downward load, then release to introduce the prestress,
본 발명의 거더에 사용된 강재(14)는 하향으로 볼록하게 캠버(e)를 도입한 강재를 사용하는데서 차이가 있다.The
이렇게 하향으로 볼록하게 캠버가 도입된 강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강재의 하부플랜지(16)에 다수개의 강선 또는 강봉(11)을 설치하고,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강선 또는 강봉(11)에 긴장력을 도입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 트(13)를 설치하고 긴장력을 릴리스하면, 상기 강선 또는 강봉(11)에 긴장력이 도입되면서 상기 강재(14)도 동시에 위로 볼록하게 변형되게되는데 이때 미리 하향으로 볼록하게 변형을 준상태라면 강선 또는 강봉(11)에 도입된 긴장력에 의해 강재가 위로 휘는 힘과 이미 아래로 휜 상태의 힘이 상쇄되면서 일정량 위로 볼록하게 솟을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상기 강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거더(10) 위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위로 일정량 볼록하게 휘도록 한 것이 평평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다.The reason why the downwardly convex camber is used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즉, 초기에 강재(14)에 일정량의 변형량인 캠버량(e)을 도입하여 강선 또는 강봉(11)의 긴장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양과 추후에 설치되는 슬래브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이 유사치에서 동일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된 거더(10)는 평평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거더에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남지 않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initially, the camber amount e, which is a certain amount of deformation amount, is introduced into the
다음으로는 강합성거더(10) 위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에 대하여 설명하면,Next, the prestressed concrete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콘크리트판형으로서, 길이가 긴방향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길이가 긴방향의 전단면에 걸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5)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80)을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 도 3(a)의 판넬(80)로서, 일명 SPC판넬이다.The prestressed concrete
또 다른 실시예로서, In another embodiment,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으로서, 상부는 수평부(83)를 갖는 콘크리트판형상으로서, 상기 수평부(83)의 양측단부에는 경사부(84)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부(84)의 하부에는 수직부(85)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83)의 경사부가 설치되지 않은 길이가 긴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83)의 경사부가 설치되지 않은 길이가 긴 방향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5)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8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여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 도 3(b)의 판넬(80)로서, 일명 SPC판넬이다.The prestressed concrete
상기 거더(10)의 하부플랜지(16)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과 판넬(80)의 전단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강선 또는 강봉(11)의 일정범위에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를 도포(21)하고, 상기 강선 또는 강봉을 긴장하여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후, 강선 또는 강봉(11)을 릴리스하여, 상기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가 도포된 부분(21)에는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가 설치되도록 한다.The method of selectively installing the
이때, 상기 강봉 또는 강선(11)에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를 도포(21)하여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는 선택적인 범위는 거더(10)에 부모멘트의 발생으로 인하여 거더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 치하고, 중앙부에는 프리스트레스도입부(20)를 설치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lective range of installing the
상기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인 에폭시등이 도포된 도포부(21)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의 경우, 거더 또는 판넬 길이(L)의 0.1L ~ 0.25L의 범위에 걸쳐 설치한 것이며, 상기 도포부(21)의 범위는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의 범위와 같다.The
상기 거더(10)에서 거더의 상부에 바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거더의 상부에 전단연결재(81)를 설치하고, 추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도록 한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 order to install the slab directly on top of the girder in the
상기 거더(10) 위에 설치된 판넬(80)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넬의 상부에 전단연결재(81)를 다수개 설치하여 슬래브 설치를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화 부착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slab using the
상기 판넬(80)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한 경사부(84)를 설치한 이유는 거더(10)에 거치할 때 경사부(84)의 경사높이만큼 수평부(83)가 위로 높이 설치되게되어 판넬 하부의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경사부(84)가 헌치부로 자연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우각부를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또한 상기 경사부(84)의 하부에 수직부(85)를 설치한 것은 상기 수직부(85)의 하단부가 거더 위에 거치될 때 안정성을 갖도록 평평한 부분이 거더 위에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H형강재등의 강재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에 강선 또는 강봉 (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골고루 배치하고, 상기 골고루 배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인 긴장력을 도입하거나,As described above, the steel wire or the
전단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선택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때, When selectively applying tension to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ro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hear surface,
부모멘트의 발생으로 인하여 거더(10) 및 판넬(80)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 및 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프리스트레스도입부(20)를 설치하도록 하면서, The
상기 거더의 양단부에 일정길이 노출된 노출강재(19)와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는 일정길이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이 설치되도록 제작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과 같은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한다.Install the exposed
또한, 본 발명의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거더(10) 및 판넬(80)을 제작할 때, 강선 또는 강봉(11)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한 형태, 즉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태의 거더 및 판넬뿐만아니라 거더 및 판넬이 사용되는 장소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거더 및 판넬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거더 및 판넬의 부위별로 선택적으로 긴장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도입하던지 또는 특정의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으며, 다수개 배치된 강선 또는 강봉에 각기 다른 크기의 긴장력을 차별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상기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거더(10) 및 판넬(80)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5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지반(31)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대(40)를 마주보게 한쌍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40)의 수직지지부(41)에 관통공(43)을 다수개 설치하면서 상기 관통공(43)내에 관(44)을 도 5(a)와 같이 설치한다.In the through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각각의 수직지지부(41)의 양측단면에 관통공(51)이 다수개 형성된 단부지압강판(50)을 설치하고,When the process is completed, the end pressure-bearing
상기 각각의 수직지지부(41)에서 간격을 두고 외측에 다수개의 관통공(61)이 형성된 가동지압강판(60)을 설치하고,Install a movable
상기 각각의 수직지지부(41)에서 간격을 두고 내측에 다수개의 관통공(71)과 강선체결공(72)이 동시에 형성된 강선체결지압강판(70)을 설치하고,Steel wire fastening pressure-bearing
상기 각각의 수직지지부(41)에 형성된 관통공(43)을 관통하여, 수직지지부(41)와 간격을 두고 내외측에 각각 설치된 가동지압강판(60)과 강선체결지압강판(70)의 관통공(61,71)을 관통하여 강봉(32)으로 상호연결하여 너트(36)로 각각 고정설치한 도 5(b)를 설치한다.Through
이어서, 도 5(c)와 같이,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70)에 형성된 다수개의 강선체결공(72)에 강선 또는 강봉(11)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 (c), the ends of the steel wire or the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수직지지부(41)와 가동지압강판(60)과의 사이에 유압잭(34)을 설치한 거더제작대(30)를 설치하고,When the process is completed, the girder manufacturing table 30 is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의 양단부의 일정범위에 걸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한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도포부(21)를 형성한 거더 또는 판넬을 설치하고,Installing a girder or a panel formed with a solidification time delay adhesive
상기 유압잭(34)에 스트로크를 발생시켜 가동지압강판(60)을 외측으로 밀면 강봉(3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강선체결지압강판(70)이 수직 지지부(41)쪽으로 이동하게되어,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70)의 강선체결공(72)에 체결연결된 강선 또는 강봉(11)도 당겨지게되어 강선 또는 강봉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면서 체결너트(35)로 강봉(32)과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 매입된 단부지압강판(50)에 체결고정하고,When the
상기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40)와의 사이에 설치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다수개의 강선 또는 강봉(11)을 포함하면서 다수개의 거더 또는 판넬을 제작할 수 있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작업을 도 5(c)와 같이 하고,5 (c) the operation of pouring concrete to produce a plurality of girders or pa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or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거더의 양단부에 노출강재를 설치하면서 거더사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릴리스하고, 절단하되, 노출강선 또는 강봉이 설치되도록 하고After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while installing the exposed steel on both ends of the girder to release the steel wire or
또는 상기 판넬사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절단하되,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이 설치되도록 하고, Or cut the steel wire or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70)에 설치된 강선체결공(72)에 체결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이탈시키는 도 5(d)의 과정을 거쳐, 원하는 부분에만 선별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도 1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 및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다수개 동시에 제작한 것이다.1 through which the prestress is selectively introduced only to a desired part through the process of FIG. 5 (d) of detaching the steel wire or the
또 다른 방법으로 판넬의 양측단부에만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하는 것을 제작할때에는, Alternatively, when manufacturing the prestressed non-introduced part only at both ends of the panel,
수평부(83)의 양측단부에는 경사부(84)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부(84)의 하부에는 수직부(85)가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부(83)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83)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5)를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8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여 판넬을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하여 제작한 것이다.
상기 거더제작대에 지지대의 양측에 가동지압강판과 강선체결지압강판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들을 강봉(32)으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에 강선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와 가동지압강판과의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강선에 간접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movable acupressure steel plate and the steel wire fastening pressure steel plate are separat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on the girder production stand, and these are interconnected with
첫째, 강선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직접도입할때에는 50개 이상의 수많은 가닥의 강선 하나 하나에 긴장력을 균일하게 도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강봉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하도록 하였다.First, when the tension force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teel wire by using the hydraulic jac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uniformly introduce the tension force to each of the wires of more than 50 strands.
둘째, 직접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유압잭을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50개 이상의 강선이 설치된 공간에 유압잭을 설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유압잭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간접적으로 강봉을 이용하여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도록 한 것이다.Second, a number of hydraulic jacks should be installed in order to directly introduce tension to the steel wires. A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install hydraulic jacks in a space where more than 50 steel wires ar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ndirect steel bars may be used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hydraulic jacks. It is to use the tension to introduce the steel wire.
셋째, 유압잭이 설치된 곳까지 강선을 연장하여 설치한 다음 유압잭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할때보다 본 발명과 같이 강봉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때 설치되는 강선의 길이를 상기 설치된 강봉길이만큼 짧게 설치할수 있어 그 만큼 강선의 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rd, the length of the steel wire to be installed when the tension is introduced indirectly using the steel ro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n when the tension is installed using the hydraulic jack to extend the steel wire to the place where the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s short as the length of the steel rod installed. As it can be installed, the loss rate of steel wire can be reduced by that much, so that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거더(10) 및 판넬(80)의 원하는 부분에만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에폭시와 같은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강선 또는 강봉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표면이 거칠게 일정범위에 걸쳐 도포하는 이유는 상기 거더(10) 및 판넬(80)의 양단부에 일정길이에 걸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강선 또는 강봉(11)의 일정범위에 걸쳐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한 다음, 상기 접착수지재가 경화되기 전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긴장한 상태에서, 강선 또는 강봉(11)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경화시키고, 강선 또는 강봉을 강선체결공(72)으로부터 이탈시켜 릴리스하면,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가 도포된 강선 또는 강봉에는 상기 접착수지재가 경화되지 않고 겔상태로 있어 콘크리트가 접착되지 않아 강선 또는 강봉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거더 및 판넬에 도입되지 않는 반면에, 상기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가 도포되지 않은 강선 또는 강봉(11)은 콘크리트와 접착되어 강선 또는 강봉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거더(10) 및 판넬(80)의 콘크리트에 전달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ensure that prestress is introduced only to the desired portions of the
한편, 상기 강선 또는 강봉(11)에 도포된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의 경화시간을 24 ~ 36시간이 경과된 후에 경화가 진행되도록 한 것이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고,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후에, 강선 또는 강봉에 도포된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가 경화되어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강선 또는 강봉에 도포된 표면을 거칠게 일정두께로 한 것은 상기 일정시간 경과되어 접착수지재가 경화되어 콘크리트와 일체화될때 표면의 거 친면에 의하여 접착력이 강화되어 일체거동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uring time of the coagulation time delay adhesive resin material applied to the steel wire or
상기 강선 또는 강봉(11)을 릴리스하여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가 경화되기 전에 겔상태로 일정한 시간(24 ~ 36시간)동안 있도록 하여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강선 또는 강봉이 줄어들때에도 상기 강선 또는 강봉외부에 도포된 겔상태에 응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Release the steel wire or
결국, 시간차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원하는 부분인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거더 및 판넬의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인 양단부에는 접착수지재가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경화되어 콘크리트와 접착되어 일체거동하도록 하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As a result, the prestress is selectively introduced to the center of the girder and the panel where the moment of action, which is desired for prestress, is applied by the time difference. It is to be united but not to introduce prestress.
상기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인 에폭시등이 도포된 도포부(21)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의 경우, 거더길이(L)의 0.1L ~ 0.25L의 범위에 걸쳐 설치한 것이며, 상기 도포부(21)의 범위는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의 범위와 같다.The
상기와 같이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은 부분을 거더(10) 및 판넬(80)의 양단부에 설치한 것은 향후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100) 시공시 기둥사이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거치하면서, 상기 거더(10)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의 양단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에 정착클립을 설치하고,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를 타설경화시키도록 하고, 상기 거더의 상부에 설치된 판넬의 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과 루프철근이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한 판넬단부연결부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슬래브와 거더 및 판넬이 일체연결되어 일체거동할 때,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s of the
상기 거더 및 판넬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거더 및 판넬에 교차적으로 정부모멘트가 발생되어, 상기 작용하는 부모멘트가 거더 및 판넬에는 압축력으로 작용하게되므로, 상기 거더 및 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에 상기 발생된 압축력이 전달되면, 상기 거더(10) 판넬(80)의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력이 감소되도록 한 것이다.The front moment is generated in the girder and the panel by the load acting on the girder and the panel, the acting parent moment acts as a compressive force to the girder and the panel, the prestress non-introduction portion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and the panel When the generated compr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25),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by the prestress unintroduced portion of the
결국, 일반적인 거더 판넬에 발생되는 압축력의 크기보다 획기적으로 크기를 감소시켜 슬래브 자체 또는 연결부의 파괴등을 방지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안정성이 보다 크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4와 도 15의 도시된 것과 같이 부모멘트가 발생된 부분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것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size of the compression force generated in the general girder panel is significantly reduc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he slab itself or the connection part, thereby ensuring a greater stability of the ramen slab structure. As such, pre-stressed non-introduction is provided at the portion where the parent moment is generated.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하므로서 종전의 프리플렉스빔에 의할 때 보다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포스트텐션방법에 의하여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강선을 정착하는 정착단의 크기로 인하여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반면에 본 발명의 강합성거더는 정착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보다 넓은 공간 확보에 유리한 것이다. By installing the prestressed non-introduce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of the girder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no unnecessary residual stress is generated when using the conventional preflex beam, and the tension is introduced into the steel wire by the post tension method. While the space is difficult to secure due to the size of the fixing stage for fixing the steel wire, the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fixing st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a wider space.
상기 거더제작대(30)의 각각의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지지대(40)는 철근콘크리트로 수직지지부(41)와 수평지지부(42)의 ㄴ자형으로 설치하되, 수평지지부(42)를 지반(31)내에 매입설치하되, 상기 수평지지부(42)가 내측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이 도 5(a)이다.The
상기 수평지지부(42)를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설치하면, 수평지지부(42)의 측 면에서 유압잭(34)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트로크에 의하여 수직지지부(41)가 내측으로 전도되려는 힘을 상기 스트로크힘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설치되는 수평지지부(42)의 지지력에 의한 힘보다 작게 하여 지지대(40)가 안전하게 지지되어 거더(10) 및 판넬(80)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상기 수직지지부(41)에는 다수개의 관통공(4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3)내에는 관(44)을 삽입한 것이다.A plurality of through
상기 관통공(43)내에 관(44)을 삽입한 이유는 관(44)내에 향후에 설치되는 강봉(32)이 유압잭(34)에 의하여 관(44)내에서 이동할 때 관통공(43)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관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도 5(b)는 수직지지부(41)의 내외면에 도 5의 단부지압강판(50)이 매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FIG.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nd pressure bearing
상기 단부지압강판(50)은 직각사각형의 강판으로 다수개의 관통공(51)이 형성된 것이다.The end pressure-bearing
상기 관통공(51)은 수직지지부(41)의 관통구(43)에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이다.The through hole 51 is installed to coincide with the through
상기와 같이 단부지압강판(50)의 관통공(51)과 수직지지부(41)의 관통공(43)을 일치시켜 설치하고, 양단부에 나사산(33)이 형성된 강봉(32)을 관통설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51 of the end pressure-bearing
상기 단부지압강판(50)을 수직지지부(41)의 내외면에 매입설치하는 이유는 유압잭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강선 또는 강봉(11)에 긴장력이 도입될때 수직지지부(41)의 단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end pressure-bearing
또한, 수직지지부(41)의 외측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7의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다수개의 관통공(61)이 설치된 가동지압강판(60)이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outside of the
상기 관통공(61)은 상기 단부지압강판(50)의 관통공(51)과 수직지지부(41)의 관통공(43)이 하나의 강봉(32)으로 상호 관통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hrough
상기 가동지압강판(60)은 향후 유압잭(34)에 의하여 뒤쪽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유압잭의 스트로크 힘을 전부 받아야 하므로 강판의 강성이 높아야 한다.Since the movable
도 8(a)의 강선체결지압강판(70)은 수직지지부(41)의 내측에서 일정거리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의 강판에 다수개의 관통공(71)과 강선체결공(72)이 동시에 형성된 것이다.The steel fastening bearing
상기 관통공(71)은 수직지지부(41)의 관통공(43)과 상기 수직지지부의 내외면에 매입된 단부지압강판(50)의 관통공(51)과 가동지압강판(60)의 관통공(61)을 모두 관통하여 강봉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through
상기 강봉(32)이 관통공(61,71)에 삽입된 상기 가동지압강판(60)과 강선체결지압강판(70)과 강봉(32)을 너트(36)에 의하여 각각 체결고정한다. The
상기와 같이 관통공(61,71)에 삽입된 각각의 강판(60,70)을 너트(36)로 고정체결하여야 유압잭(34)에 의하여 가동지압강판(60)이 외측으로 밀리면 강선체결지압강판(70)도 동시에 상기 가동지압강판이 이동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each
도 8(b)는 상기 강선체결공(72)을 상세히 보여주면서 동시에 강선 또는 강봉(11)의 단부가 체결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b) shows the
상기 강선체결공(72)은 열쇠구멍의 형상으로, 상부는 원형구멍(73)이 형성되고 이와 접하여 하부에는 상기 원형구멍(73)보다 폭은 작으나 길이는 길게 형성된 수직구멍(74)이 형성된 것이다. The steel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강선체결구멍(72)에 도 8(c)와 같이 강선 또는 강봉(11)의 단부를 강선 또는 강봉의 직경보다 크게 설치한 확대두부(24)를 상기 원형구멍(73)내에 밀어넣은 다음, 상기 원형구멍(73)의 하부에 연접하여 설치된 수직구멍(74)으로 밀어내리면 도 8(b)와 같이 수직구멍(74)에 강선 또는 강봉의 확대두부(24)가 걸쳐져 체결되는 것이다.Push the
상기와 같이 체결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해체할때에는 반대로 수직구멍(74)에 체결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위로 올리면 수직구멍(74)보다 직경이 넓은 원형구멍(73)으로 강선 또는 강봉의 확대두부(24)가 올라오면서 원형구멍(73)을 통하여 외부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When dismantling the steel wire or
이렇게 강선 또는 강봉(11)의 단부를 강선체결지압강판(70)의 강선체결공(72)에 설치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체결하도록 한 것은 수직지지부(41)와 가동지압강판(60)과의 사이에 설치된 유압잭(34)에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면 가동지압강판(60)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강봉(32)에 의하여 일체 연결된 강선체결지압강판(70)이 수직지지부(41) 쪽으로 움직이게된다. The end of the steel wire or
이때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70)에 형성된 강선체결공(72)에 체결된 강선 또는 강봉(11)도 동시에 수직지지부(41) 쪽으로 이동하면 강선 또는 강봉(11)에 긴장력이 도입되게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steel wire or
상기와 같이 강선 또는 강봉(11)에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원하는 부분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를 도포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거더 및 판넬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 제작이 완료된 거더 및 판넬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70)에 체결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별도의 해체장비 없이 망치로 수직구멍(74)에 거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위로 쳐 올리기만 하면 원형구멍(73)으로 이동된 강선 또는 강봉의 확대두부(24)가 원형구멍(73)을 통하여 외부로 간단히 이탈하도록 한 것이다.After applying the coagulation time delay adhesive resin material to introduce the pre-stress only to the desired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to the steel wire or
즉, 강선 또는 강봉(11)의 체결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선체결공(72)을 열쇠구멍과 같이 설치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facilitate the fastening and dismantling of the steel wire or the
상기 지반(31)에 설치되는 지지대(40)가 유압잭(34)의 스트로크에 저항하면서 안전하게 거더 및 판넬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40)의 설치조건중에서 전도되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P x H1〈W x L1가 되어야 한다.P x so that the
즉, 지지대(40)의 수평지지부(42)를 내측으로 일정길이설치하면, 수직지지부(41)의 외측면의 일정높이(H1)에서 유압잭(14)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트로크힘(P)에 의하여 수직지지부(41)가 내측으로 전도되려는 힘에 대항하여 상기 스트로크힘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부(42)의 자체 중량(W)이 작용하는 거리(L1)에 의한 힘보다 작게 하여 지지대(40)가 안전하게 지지되어 거더 및 판넬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지반(31)에 설치되는 지지대(40)가 유압잭(34)의 스트로크에 저항하면서 안전하게 거더 및 판넬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40)의 설치 조건중에서 지지대가 활동, 즉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P〈W x μ + C 가 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지지대(40)는 스트로크힘(P)보다 수평지지부(42)의 자체중량(W)과 저면마찰계수(μ)를 곱한 값에 수동토압(C)을 더한 힘이 더 크도록 하여 활동 즉, 지지대(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지반(31)에 설치되는 지지대(40)가 유압잭(34)의 스트로크에 저항하면서 안전하게 거더 및 판넬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40)의 설치조건중에서 지지대(40)의 수직지지부(41)와 수평지지부(42)가 만나는 부분의 단면파괴를 방지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는 P x h2 /Z〈fa 가 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support of the
즉, 수평지지부(42)와 수직지지부(41)가 만나는 부분의 단면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의 허용응력(fa)보다 스트로크힘(P)과 수직지지부 작용거리(h2)를 곱한 값을 수직지지부(41)의 단면계수(Z)로 나눈 값의 크기가 작아야 단면이 파괴되지 않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cross-sectional destru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결국 상기 지지대(40) 안전조건은 지지대(40)가 전도되지 않고, 활동이 되지 않으며, 동시에 단면파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safety condition of the
또한, 상기 유압잭(34)에 발생된 스트로크에 의하여 강선 또는 강봉(11)에 도입된 긴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너트(35)로 강봉(32)과 수직지지대(41)의 외측면에 매입된 단부지압강판(50)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embed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은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거더(10)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을 이용하여 거더(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상기 거더의 양단부에만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면서, 양측단부에 일정길이의 노출강재(19)와 강선 또는 강봉(11)을 거더의 단부 외부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노출시킨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제작한 것이다.Whe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또한, 판넬(80)의 전단면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한 판넬(80)을 상기 거더제작대(30)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제작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항성판넬(80)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라멘슬래브구조체(100)를 시공하는 과정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본 발명의 조립식 라멘슬라브구조체(1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102)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02)와 노출강재(19)의 상하플랜지(15,16) 및 복부(17)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및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강재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상부에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마루깔듯이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판넬(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한 것이거나,The prefabricated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02)와 노출강재(19)의 상하플랜지(15,16) 및 복부(17)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 및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강재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인 것이다.The connecting
상기 거더(10) 위에 설치된 판넬(80)의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의 양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이 겹치도록 겹침부(122)를 설치하고, 상기 겹침부를 감싸도록 루프철근(121)을 교차되게 설치하고, 상기 노출강선에 정착클립(105)을 설치하여 판넬단부연결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판넬(80)의 상부에 설치된 전단연결재(18)를 포함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The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강재(14)의 하부플랜지(16)에 다수개 강선 또는 강봉(11)을 설치하여 긴장하고, 상기 강재(14)의 압축력이 발생되는 하부플랜지의 양단부에 다수개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11)의 일정범위에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도포부(21)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여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를 설치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제작하고, 상기 거더(10)의 양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재(19)와, 강선 또는 강봉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다. The prestressed
또한, 상기 강합성거더(10) 위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콘크리트판형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8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한 판넬을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거나,In addition, the prestressed concrete
또는, or,
콘크리트판형상으로서, 수평부(83)의 양측단부에는 경사부(84)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부(84)의 하부에는 수직부(85)가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부(83)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83)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5)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1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판넬을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다.In the shape of a concrete plate, inclined
상기 조립식으로 설치된 라멘슬래브(100)를 도면에 의하여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도 9의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상기 강재기둥의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02)와 노출강재(19)의 상하플랜지 및 복부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과 상기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강재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상부에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마루깔듯이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판넬(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둥피복공간을 포함하는 강재기둥을 콘크리트로 피복한 기둥피복콘크리트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복부를 콘크리트로 피복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부플랜지에 만 콘크리트로 피복하도록 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를 설치한 것이다. In the case of Figure 9, the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의 설치방법은,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상기 강재기둥의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도 (a)와 같이 설치하고, The connecting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02)와 노출강재(19)의 상하플랜지 및 복부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도 (b)와 같이 설치하고, The exposed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과 상기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도 (c)와 같이 설치하고, By pouring concrete to include exposed steel wires or
도 (d)와 같이,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상부에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합성판넬(80)을 마루깔듯이 다수개 설치하면서 상기 판넬(80)의 단부가 마주보게되는 부분에는 판넬단부연결부(120)를 설치하고, As shown in Figure (d), while installing a plurality of pre-stressed concrete
상기 판넬(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둥피복공간(107)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피복콘크리트(109)를 설치하여 강재기둥을 피복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상부플랜지(15)와 복부(17)에 또는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피복하여 도 (e)와 같이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라멘슬래브구조체(100)를 설치한 것이다. Placing concrete on the
또는 도 10과 같이, Or as shown in FIG.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강재기둥의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노출강재의 상하플랜지 및 복부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과 상기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둥피복공간(107)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피복콘크리트(109)를 설치하여 강재기둥을 피복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상부플랜지(15)와 복부(17)에, 또는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피복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인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과 같이, As another method, as shown in FIG.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강재기둥의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노출강재의 상하플랜지 및 복부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과 상기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복부 양측에 앵글(75)을 설치하고 상기 앵글(75) 위에 판넬(80)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 위와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둥피복공간(107)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피복콘크리트(109)를 설치하여 강재기둥을 피복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상부플랜지(15)와 복부(17)에 또는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피복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인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12와 같이,As another method, as shown in FIG.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101)의 일정 높이마다 강재기둥의 양측면에 연결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연결부재 사이에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노출강재(19)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노출강재의 상하플랜지 및 복부에 보강판(104)을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너트(103)로 상호 결합한 강재연결부(110)를 설치하여 강합성거더(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의 양측면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과 상기 노출강선에 설치된 정착클립(105)과 하부플랜지(16)의 강재연결부(11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를 설치하여 기존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와 연결하되, 상기 기둥(101)과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와의 사이에 기둥피복공간(107)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강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 위에 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위와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8)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둥피복공간(107)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피복콘크리트(109)를 설치하여 강재기둥을 피복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상부플랜지(15)와 복부(17)에 또는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피복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인 것이다.
상기 도 11과 도 12와 같이, 거더의 복부 양측에 판넬의 단부가 설치되는 경우, 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에 정착클립(10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 것이다.11 and 12, when the end of the panel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of the girder, it is to install the fixing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는 강재에 캠버량(e) 만큼 아래로 볼록하게 한 것으로서, 강재(14)의 하부플랜지(16)에 다수개 강선 또는 강봉(11)을 설치하여 긴장하고, 상기 강재(14)의 압축력이 발생되는 하부플랜지의 양단부에 다수개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11)의 일정범위에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도포부(21)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여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3)를 설치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를 제작하면서, 상기 거더(10)의 양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재(19)와, 강선 또는 강봉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다. The prestressed
또한, 상기 강합성거더 위에 설치된 판넬(8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콘크리트판형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에 선택적으로 일정범위에 걸쳐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5)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8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판넬을 제작하면서, 상기 판넬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거나,In addition, the
또는, or,
콘크리트판형상으로서, 수평부(83)의 양측단부에는 경사부(84)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부(84)의 하부에는 수직부(85)가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부(83)의 양측면에는 전단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83)의 전단면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여 긴장하되, 압축력이 발생되는 양단부에 설치된 강선 또는 강봉(11)의 일정범위에 걸쳐 선택적으로 응고시간지연수지접착제도포부(2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경화하고, 강선 또는 강봉을 릴리스하여 판넬(10)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를 설치하면서 판넬을 제작하고, 상기 판넬(80)의 양단부에 강선 또는 강봉(11)을 노출시킨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을 설치한 것이다.In the shape of a concrete plate, inclined
상기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는 상부플랜지와 복부에 동시에 콘크리트로 피복하던지 또는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로 피복하도록 한다.The installe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s to be coated with concrete at the same time or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r concrete only.
상기 거더의 복부에만 피복을 안하는 경우에는 복부에 덕트, 전선과 등과 같은 내장설치물을 설치하는데 이용하도록 한다.If the girder is not covered only in the abdomen, it is to be used to install internal installations such as ducts and wires in the abdomen.
도 13은 상기 거더(10) 위에 마주보고 설치된 판넬(80)의 단부에 노출된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의 일정길이가 상호겹치는 겹침부(122)를 설치하고, 상기 겹침부(122)가 감싸지도록 루프철근(121)을 교차설치하고, 상기 노출강선 또는 강봉(12)에 정착클립(105)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판넬단부연결부(120)이다.FIG. 13 illustrates an overlapping
상기와 같이 설치된 라멘슬래브구조체(100)의 특징은 종전에 적용하던 방법인 강재에 직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릴리스하므로서 콘크리트단면에 의한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거더에 발생되어 건축물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고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강선 또는 강봉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거더 및 판넬을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한 것이다.The characteristic of the
따라서,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건축물에 전혀 악영향을 주지않도록 하였으며, 라멘슬래브 거더에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의하여 부재에 발생되는 압축력이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에 전달되어 압축력이 감소되거나 또는 상 쇄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unnecessary residual stress does not occur so that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building at all, and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prestressed non-stressed portion by the parent moment repeatedly generated in the ramen slab girder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is reduced or offset. It is.
또한, 별도로 강선 또는 강봉을 정착하는 정착단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과도하게 큰 정착단에 의하여 공간이 잠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fixing stage for fixing the steel wire or steel rod separately, so that the space is prevented from being encroached by an excessively large fixing stage.
상기 기둥피복공간(107)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기둥피복공간을 이용하여 강재기둥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강재기둥에 대한 별도의 방화처리가 불필요하도록 하였다.The
또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의 복부에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거더(10)에 대한 별도의 방화처리가 불필요하게 하였다.In addition, the abdomen of the prestressed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 위에 판넬(80)을 연이어서 설치할 때 상기 판넬(80)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홈(82)에 의하여 공간부인 전단키가 설치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 발생된 공간부인 전단키내에는 몰탈로 충전한다.The shear key, which is the generated space portion, is filled with mortar.
도 14는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100)에 발생되는 휨모멘트를 보여주면서, 상기 슬래브구조체(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의 범위와 상기 거더(10)에 교차적으로 발생되는 정부모멘트의 변곡점(123)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발생된 부모멘트가 상기 거더(10)의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14 shows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상기 모멘트도에서보는바와 같이, 슬래브구조체(100)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트강합성거더(10)를 기둥에 설치하여 슬래브를 설치한 후에 상기 슬래브에 하중이 작용될때 본 도와 같이 정부모멘트가 상기 거더에 교차적으로 발생하게된다.As shown in the moment diagram, when the prestressed
상기 발생된 정부모멘트 중에서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범위에 해당하는 거더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은 부분(25)을 설치하여, 상기 부모멘트에 의하여 거더에 발생되는 압축력이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5)에 전달되어 압축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한 것이다. Among the generated moments,
도 15는 거더(10) 위에 설치되는 판넬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도 12와 같은 원리로 판넬에 작용되는 압축력이 양단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FIG. 15 show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panel installed 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사용되는 강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2 (a) (b) (c) (d)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steel used i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3 (a) (b)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사용되는 강재의 복부에 설치된 관통공에 관통되어 설치된 전단뿌리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Figure 4 (a) (b)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hear root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stalled in the abdomen of the steel used i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거더제작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5 (a) (b) (c) (d)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girder manufacturing table.
도 6는 본 발명의 단부지압강판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end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가동지압강판을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movable acupressur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b)(c)는 본 발명의 강선체결지압강판과 상기 강선체결지압강판의 강선체결공에 강선의 확대두부가 체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8 (a) (b) (c) is a view showing that the expansion head of the steel wire is fastened to the steel wire fastening hole of the steel wire fastening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el wire fastening pressure plate.
도 9(a)(b)(c)(d)(e)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을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9 (a) (b) (c) (d) (e)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ramen slab structure us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를 이용하여 라멘슬래브구조체를 설치할 때 상기 거더 위에 바로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slab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girder when installing the ramen slab structure using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복부에 앵글을 설치하고 상기 앵글에 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 위와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콘크리 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 11 is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an angle is installed on the abdomen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nel is installed on the angle, and a slab concrete is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on the panel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Showing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위에 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판넬 위와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설치한 라멘슬래브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 ramen slab structure in which a slab concret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panel on th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cing concrete on the panel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도 13(a)(b)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 위에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의 양단부에 설치된 노출강선에 정착클립을 설치하고 이를 싸도록 한 루프철근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판넬단부연결부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13 (a) (b) is installed on the exposed steel wir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facing the end on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oof reinforcement to wrap the clip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panel end connection by pouring concrete.
도 14는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설치를 위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의 설치범위가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교차적으로 발생되어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범위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모멘트도이며,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부재내의 상하부면에 교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부분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휨모멘트도. Figure 14 is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prestressed non-introduction portion sel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ent moment is generated alternately by the load acting on the ramen slab structure It is a moment diagram showing that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are installed in the range where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arent moments are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mber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alternately so that the prestressed composite prestressed A bending moment that acts as a compressive force on the unintroduced portion and shows that the generated parent moment is reduced.
도 15는 본 발명의 라멘슬래브구조체의 설치를 위하여 거더위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의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의 설치범위가 상기 라멘슬래브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교차적으로 발생되어 상기 판넬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범위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모멘트도이며,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판넬의 부재내의 상하부면에 교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판넬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부분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발생된 부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보여주는 휨모멘트도. 15 is a cross-section of the parent moment due to the load acting on the ramen slab structure,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prestressed non-introduction section sel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installed on the gird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ment diagram showing that it is installed in the range in which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panel, the generated parent momen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member of the panel to act as a compressive force in the portion where the prestress of the panel is not introduced The bending moment, which shows that the generated parent moment is reduc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L ;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 또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길이L;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or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length
e ; 캠버e; camber
10 ;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10;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11 ; 강선 또는 강봉 12 ; 노출강선 또는 강봉11; Steel wire or
13 ;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 14 ; 강재13; Lower
15 ; 상부플랜지 16 ; 하부플랜지15;
17 ; 복부 18 ; 관통공17;
19 ; 노출강재19; Exposed steel
20 ; 프리스트레스도입부20; Prestress introduction part
21 ; 응고시간지연접착수지재도포부21; Coagulation time delay adhesive resin coating
24 ; 확대두부 25 ;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24;
30 ; 거더제작대 31 ; 지반30;
32 ; 강봉 33 ; 나사산32;
34 ; 유압잭 35 ; 체결너트34;
36 ; 너트 37 ; 콘크리트36;
40 ; 지지대 41 ; 수직지지부40;
42 ; 수평지지부 43 ;관통공42;
44 ; 관 44; tube
50 ; 단부지압강판 51 ; 관통공50; End bearing steel plate 51; Through hole
58 ; 앵커 59 ; 정착구58; Anchor 59; Anchorage
60 ; 가동지압강판 61 ; 관통공60;
70 ; 강선체결지압강판 71 ; 관통공70; Steel fastening
72 ; 강선체결공 73 ; 원형구멍72;
74 ; 수직구멍 75 ; 앵글 74;
80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판넬80;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anel
81 ; 전단연결재 82 ; 전단홈81;
83 ; 수평부 84 ; 경사부83;
85 ; 수직부85; Vertical section
90 ; 전단뿌리 91 ; 수평철근90;
92 ; 띠철근92; Steel bars
100 ; 라멘슬래브구조체 101 ; 강재기둥100;
102 ; 연결부재 103 ; 볼트너트102; Connecting
104 ; 보강판 105 ; 정착클립104; Reinforcing
106 ; 추가이음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106; Additional Flange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107 ; 기둥피복공간 108 ; 슬래브콘크리트107;
109 ; 기둥피복콘크리트 110 ; 강재연결부109; Column-coated
120 ; 판넬단부연결부 121 ; 루프철근120;
122 ; 겹침부 123 ; 변곡점122; Overlap 123; Inflection point
Claims (4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739A KR101151773B1 (en) | 2009-06-02 | 2009-06-02 |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739A KR101151773B1 (en) | 2009-06-02 | 2009-06-02 |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1625A Division KR101084994B1 (en) | 2011-08-17 | 2011-08-17 | Ramen slab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0110081622A Division KR101084993B1 (en) | 2011-08-17 | 2011-08-17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panel with prestressed non-stitched parts at both end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077A KR20100130077A (en) | 2010-12-10 |
KR101151773B1 true KR101151773B1 (en) | 2012-05-31 |
Family
ID=4350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8739A KR101151773B1 (en) | 2009-06-02 | 2009-06-02 |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177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644A (en) | 2018-02-05 | 2019-08-14 | 엄순섭 |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56470B (en) * | 2021-06-24 | 2023-01-24 | 重庆涛扬绿建科技有限公司 | I-shaped girder steel fire prevention anticorrosion structure based on uhpc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1905A (en) * | 1995-09-04 | 1997-03-18 | P S Co Ltd | Prestressed concrete grider |
JP2002013196A (en) | 2000-06-28 | 2002-01-18 | Takenaka Komuten Co Ltd | Self-base isolation method and self-base isolation structure for rc structure |
KR100420718B1 (en) | 2002-03-25 | 2004-03-09 |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divisiontension type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by steel I-type girder having uniform section |
KR20080099938A (en) * | 2007-05-11 | 2008-11-1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Sectio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
2009
- 2009-06-02 KR KR1020090048739A patent/KR10115177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1905A (en) * | 1995-09-04 | 1997-03-18 | P S Co Ltd | Prestressed concrete grider |
JP2002013196A (en) | 2000-06-28 | 2002-01-18 | Takenaka Komuten Co Ltd | Self-base isolation method and self-base isolation structure for rc structure |
KR100420718B1 (en) | 2002-03-25 | 2004-03-09 |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divisiontension type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by steel I-type girder having uniform section |
KR20080099938A (en) * | 2007-05-11 | 2008-11-1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Sectio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644A (en) | 2018-02-05 | 2019-08-14 | 엄순섭 |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077A (en) | 2010-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5929B1 (en) | Eco-friendly prestressed long span lightweight precast con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EA037734B1 (en) | Construction module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odular reinforced concrete bridge | |
US20120023858A1 (en) | Truss-type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having double anchorage functions at both top and bottom thereof | |
KR101084993B1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panel with prestressed non-stitched parts at both end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240409B1 (en) |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e methode for there of and construction methode for there of | |
KR101170922B1 (en) | The rahmen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tend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stand was used | |
KR20130044623A (en) |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flatpla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20085641A (en) | Assembling structure for 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sstructure using it | |
KR101086646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restressed non-introduced parts at both ends, its fabrica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slab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0343960B1 (en) | Steel concrete structure | |
KR101157607B1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ed non-introduc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ahm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51773B1 (en) | Prestress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40832B1 (en) | Precat girder-column structure with large depth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1170077B1 (en) | Prestress concrete composite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 selective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o which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lab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00004129A (en) | Strengthen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by pretensioning | |
KR101067717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6053417B2 (en) | Bridge girder and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CN117188606A (en) | Prestressed assembled concrete beam column nod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84994B1 (en) | Ramen slab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20030206A (en) | A precast concrete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structure by using it | |
KR100860592B1 (en) | Temporary Structure for PC Block Lamination | |
JPH0475322B2 (en) | ||
KR10181932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31630B1 (en) | Prestressed concrete panel with prestress non-introducing portions provided in both slope end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recasted Rahme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the same | |
JP6352092B2 (en) | Jun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501 Appeal identifier: 2012101002132 Request date: 20120229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2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0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