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728B1 -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728B1 KR101150728B1 KR1020100115830A KR20100115830A KR101150728B1 KR 101150728 B1 KR101150728 B1 KR 101150728B1 KR 1020100115830 A KR1020100115830 A KR 1020100115830A KR 20100115830 A KR20100115830 A KR 20100115830A KR 101150728 B1 KR101150728 B1 KR 101150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support
- diaphragm
- base
- piezoelectric element
- touch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에 압전 액추에이터를 장착함으로써,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햅틱 피드백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휴대단말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진동판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한 곳에 연결된 바(bar)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상기 탄성지지부를 휨 변형시켜 상기 터치패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하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하 간격은 상기 진동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상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ilient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touch pad, and by mounting a piezoelectric actuator to the resilient support,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a haptic module capable of improving driving force and improving sensitivity of haptic feedback. will b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hap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basic body; A bas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 diaphragm mounted to be moved up and down on the base; A touch pa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 mobile terminal cove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while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pad; An elastic support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of the base or th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 bar sha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in an upward direction; A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and generating vibration in the touch pad by bending and deforming the elastic support when power is applied; It is made, includi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 and down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the vertical gap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in the free state is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se is The diaphragm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에 피드백 기능을 부가한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aptic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aptic module having a feedback function added to a touch pad of the portable terminal.
최근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햅틱 피드백으로 알려진 강제 피드백 또는 접촉식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Modern interface devices provide the user with forced or contact feedback known as haptic feedback.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게임패드, 스티어링 휠 또는 기타 장치들의 햅틱 버전은, 게임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와 같은 그래픽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벤트(event) 또는 상호작용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힘(force)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haptic versions of joysticks, mice, gamepads, steering wheels, or other devices output forces to the user based on events or interactions that occur in a graphical environment, such as in a game or other application program. can do.
한편, 휴대단말기에 제공되는 작은 사각형의 평면 패드인 터치패드(touchpad)는 이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용량형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센싱 기술로 포인팅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ouchpad, which is a small rectangular flat pad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object by any of various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a capacitiv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hereto.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에도 상기한 햅틱 피드백이 제공된다.The above haptic feedback is also provided to the touch pad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햅틱 피드백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haptic feedb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6)는 스프링(62)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상기 하우징(미도시)에 유연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16)의 하부에 압전 액추에이터(64)가 장착된다.A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64)의 일부위(66)는 상기 터치패드(16)에 결합되며, 타부위(68)는 질량(70)에 결합된다.A
그리고 일부위(66)가 타부위(68)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질량(70)은 타부위(68)와 함께 이동한다. And when the
상기 질량(70)은 대략 Z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The
Z축에 따른 상기 질량(70)의 운동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64)를 통해 터치패드(16)로 전송되는 관성력을 일으키며, 상기 터치패드(16)는 탄성 결합으로 인해 Z축을 따라 이동한다.Movement of the
이러한 상기 터치패드(16)의 운동은 상기 터치패드(16)에 접촉하는 사용자에 의해 햅틱 센세이션으로 감지된다.The movement of the
그리나 종래의 햅틱 액추에이터(64)는 상기 질량(70)의 관성력에 의해서만 햅틱 피드백이 구현되기 때문에 상하 이동력이 약하여 햅틱 피드백의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haptic feedback is realized only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에 압전 액추에이터를 장착함으로써,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햅틱 피드백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ving an elastic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touch pad, by mounting a piezoelectric actuator to the elastic support, a haptic module that can improve the driving force, the sensitivity of the haptic feedbac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휴대단말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진동판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한 곳에 연결된 바(bar)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상기 탄성지지부를 휨 변형시켜 상기 터치패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하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하 간격은 상기 진동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상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hap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basic body; A bas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 diaphragm mounted to be moved up and down on the base; A touch pa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 mobile terminal cove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while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pad; An elastic support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of the base or th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 bar sha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in an upward direction; A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and generating vibration in the touch pad by bending and deforming the elastic support when power is applied; It is made, includi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 and down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the vertical gap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in the free state is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se is The diaphragm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진동판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진동판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외주면을 상기 진동판과 이격시키는 이격공이 상하 개방 형성된다.One end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diaphragm has spaced apart holes for sepa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from the diaphragm.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탄성지지부 사이인 상기 압전소자의 상면에는 GND전극이 장착되며, 상기 압전소자의 하면에는 (+)전극이 장착되고, 상기 (+)전극과 상기 GND전극을 통해 상기 압전소자에 전원 인가되면 상기 압전소자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 이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되게 하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 개방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하 휨 변형시 상기 압전소자가 삽입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의 너비는 상기 압전소자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a GND electrode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elastic support, and a positive electrode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rough a positive electrode and the GND electrode, the piezoelectric element contracts and relax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bend and deform the elastic support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se is disposed below the elastic support part.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re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s into which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inserted when the upper and lower bending deformations of the elastic support are inserted are formed, and the width of the through-holes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
상기 탄성지지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The elastic support is made up of a plurality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diaphragm,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is the same.
상기 휴대단말기커버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터치패드의 외주면을 따라 쿠션부재가 장착된다.A cushion member is mount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cover and the diaphragm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uch pa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hap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진동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가 휨 변형될 때 상기 탄성지지부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하여 상기 진동판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터치패드의 진동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astic support is arrang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se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upwards,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a force to the elastic support when the elastic support is bent and deform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driving force of the diaphragm is improved, and thus the vibration sensitivity of the touch pad can be improved.
상기 진동판에 상기 이격공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의 외주면을 상기 진동판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될 때 상기 진동판과의 간섭을 줄여 상기 탄성지지부가 적은 힘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By forming the spacing hole in the diaphragm to sp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from the diaphragm, whe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bent and de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can be easily deformed with less force by reducing interference with the diaphragm. It is effective.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에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전소자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의 휨 변형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베이스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베이스가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hrough hole is disposed under the elastic support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so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deformed when bending the elastic support. By preventing the base from interfering with the base, the (+) electrode and the base are prevented from being short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상기 탄성지지부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을 균일하게 지지하여 상기 터치패드에 햅틱 피드백이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elastic support parts have the same length and are formed on the edges of the diaphragm, respectively, to uniformly support the diaphragm so that haptic feedback is accurately implemented on the touch pad.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커버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커버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커버와 상기 진동판이 서로 합선되지 않도록 절연 기능을 한다. The cushion member is mounted closely between the mobile terminal cover and the diaphragm,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mobile terminal cover, preventing the diaphragm from inclining, and the mobile terminal cover and the diaphragm mutually Insulate against short circu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햅틱 피드백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 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 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동작과정도,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haptic feedb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AA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BB of FIG. 2,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 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 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동작과정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viewed from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BB of FIG. 2, and FIGS. 6 and 7 are operation flowcharts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apt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본체(110), 베이스(120), 진동판(130), 터치패드(140), 쿠션부재(150), 휴대단말기커버(160), 탄성지지부(135) 및 압전소자(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to 7,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haptic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10)는 내부에 메인보드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패드(14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다.The mobile terminal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주요 부분을 잘 표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10)는 도시하지 않았다.In FIG. 4 to FIG. 7, the
이러한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120)가 장착된다.The
상기 베이스(120)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SUS재질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베이스(120)에는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관통공(121)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후술할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through
이러한 상기 관통공(12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휨 변형시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압전소자(170)가 삽입 배치되는데,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121)의 너비는 상기 압전소자(17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압전소자(170)와 상기 베이스(12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The
상기 진동판(13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다.The
상기 진동판(130)은 SUS재질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에 의해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The
그리고 상기 진동판(130)에는 후술할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외주면을 상기 진동판(130)과 이격시키는 이격공(131)이 상하 개방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이격공(131)은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판(130)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너비가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측면이 상기 진동판(130)의 측면과 이격되게 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진동판(130)에 상기 이격공(131)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외주면을 상기 진동판(130)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될 때 상기 진동판(130)과의 간섭을 줄여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적은 힘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uch, by forming the
또한 상기 진동판(130)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패드(140)와 상기 쿠션부재(15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터치패드(140)는 LCD액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10)의 다양한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며, 터치를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10)에 전달한다.The
상기 쿠션부재(15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으며,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터치패드(1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The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는 상기 터치패드(140)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120)에 고정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베이스(120), 상기 진동판(130) 및 상기 터치패드(140)가 삽입 배치되며, 내측 하면이 상기 쿠션부재(150)와 접하여 상기 쿠션부재(150)와 상기 진동판(130)을 상기 베이스(120) 방향으로 누르면서 상기 베이스(120)에 고정 장착된다. In detail, the
이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쿠션부재(150)는 약간 압축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150)는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판(13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절연 기능을 한다.As such, the
물론 상기 진동판(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에 의해 상기 베이스(120)의 상방향으로 지지됨으로 상기 베이스(120)에 밀착되지는 않는다.Of course, th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패드(140)가 삽입되는 개방공(161)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드(14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In addition, an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직사각형의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며,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판(130)의 테두리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일단이 상기 진동판(13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120)에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즉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은 상기 이격공(131)을 이루는 상기 진동판(130)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판(130)과 이격되게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120)에 연결된다.That is,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20) 방향 즉 하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안착된다.The other end of the
즉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은 일단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소성변형되게 절곡 형성된 것이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자유상태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하 간격이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베이스(120) 사이의 상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진동판(130)의 조립시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이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은 상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상기 진동판(13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ther end of the
즉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가 상기 진동판(130)을 상기 베이스(120) 방향으로 누르면서 상기 베이스(120)에 고정될 때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와 접하고 있어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mobile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이 휘어지면서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진동판(130)은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베이스(12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13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170)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휨 변형될 때 상기 탄성지지부(135)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터치패드(140)의 진동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각각 상기 진동판(130)의 꼭짓점과 인접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상기 진동판(130)의 외주변 중 길이가 짧은 외주변과 비슷한 길이로 형성된다.That is, the
이로 인해 상기 진동판(130)의 외주변 중 길이가 짧은 외주변에 배치된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진동판(130)의 꼭짓점과 인접하게 배치되지만, 상기 진동판(130)의 외주변 중 길이가 긴 외주변에 배치된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일단만 상기 진동판(130)의 꼭짓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외주변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As a resul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진동판(130)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동판(130)을 균일하게 지지하여 상기 터치패드(140)에 햅틱 피드백이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압전소자(170)는 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부에 각각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상기 압전소자(170)와 상기 탄성지지부(135) 사이인 상기 압전소자(170)의 상면에는 GND전극(미도시)이 장착되며, 상기 압전소자(170)의 하면에는 (+)전극(미도시)이 장착된다.A GND electrode (not shown)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상기 GND전극과 (+)전극은 상기 압전소자(170)의 상면과 하면에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면상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Since the GND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re formed very thin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기 GND전극과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압전소자(17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압전소자(170)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35)를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시킨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170)는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관통공(121)에 삽입 배치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121)은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20)에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전소자(170)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휨 변형시 상기 압전소자(170)가 상기 베이스(12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베이스(120)가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GND전극이 상기 압전소자(170)의 하면에 장착되고 (+)전극이 상기 압전소자(170)의 상면에 장착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전극이 상기 압전소자(170)의 상면에 장착되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과 접할 때 합선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상면에 상기 GND전극을 장착하고 하면에 상기 (+)전극을 장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n some cases, the GND electrode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hap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도 6은 상기 진동판(1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상기 진동판(130)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170)가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면의 길이가 상면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35)에는 타단이 더 하향 경사지게 휘어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그러나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에 접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진동판(1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other end of the
이때 상기 쿠션부재(150)는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 방향으로 압축되어 얇아지며,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에 더욱 밀착된다.In this case, the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170)가 길이 방향으로 이완하면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하면의 길이가 상면이 길이보다 길어지게 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35)에는 타단이 상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7, when the
그러나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진동판(130)은 상기 쿠션부재(150) 및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에 의해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135)의 일단, 즉 상기 진동판(13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이때 상기 쿠션부재(150)는 상기 진동판(130) 방향으로 팽창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며, 상기 휴대단말기커버(160)와 상기 진동판(130) 사이에 밀착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상기 압전소자(170)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수축 이완되면 상기 탄성지지부(135)는 위의 과정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하 휨 변형되어 상기 진동판(13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게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터치패드(140)를 통해 햅틱 피드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상기 진동판(130)과 상기 베이스(12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13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170)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135)가 휨 변형될 때 상기 탄성지지부(135)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하여 상기 진동판(130)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터치패드(140)의 진동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본 발명인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hapt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6 : 터치패드, 62 : 스프링, 64: 압전 액추에이터, 70 : 질량, 110 : 휴대단말기본체, 120 : 베이스, 121 : 관통공, 130 : 진동판, 131 : 이격공, 135 : 탄성지지부, 140 : 터치패드, 150 : 쿠션부재, 160 : 휴대단말기커버, 161 : 개방공, 170 : 압전소자,16: touch pad, 62: spring, 64: piezoelectric actuator, 70: mass, 110: mobile terminal basic body, 120: base, 121: through hole, 130: diaphragm, 131: spacing hole, 135: elastic support, 140: touch Pad, 150: cushion member, 160: mobile terminal cover, 161: opening hole, 170: piezoelectric element,
Claims (5)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휴대단말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진동판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한 곳에 연결된 바(bar)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에 장착되며, 전원 인가시 상기 탄성지지부를 휨 변형시켜 상기 터치패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하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하 간격은 상기 진동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상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A mobile terminal main body;
A bas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 diaphragm mounted to be moved up and down on the base;
A touch pa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 mobile terminal cove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while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pad;
An elastic support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of the base or th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 bar sha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in an upward direction;
A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and generating vibration in the touch pad by bending and deforming the elastic support when power is applie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 and down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The vertical terminal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in the free state is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se to support the diaphragm in the upwar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with a haptic module.
상기 탄성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진동판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진동판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외주면을 상기 진동판과 이격시키는 이격공이 상하 개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elastic suppo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downward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diaphragm is provided with a hap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hol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up and down.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탄성지지부 사이인 상기 압전소자의 상면에는 GND전극이 장착되며,
상기 압전소자의 하면에는 (+)전극이 장착되고,
상기 (+)전극과 상기 GND전극을 통해 상기 압전소자에 전원 인가되면 상기 압전소자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 이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되게 하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 개방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하 휨 변형시 상기 압전소자가 삽입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의 너비는 상기 압전소자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The method of claim 2,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A GND electrode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elastic support.
A positive electrode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rough the (+) electrode and the GND electrode, the piezoelectric element contracts and relax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nd and deform the elastic support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s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up and down open through-hole is formed w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inserted when the bend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ap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상기 탄성지지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lastic support is made of a plurality is formed on each of the edge of the diaphragm,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hap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ll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상기 휴대단말기커버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는 상기 터치패드의 외주면을 따라 쿠션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ushion member mount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cover and the diaphragm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uch pa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830A KR101150728B1 (en) | 2010-11-19 | 2010-11-19 |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US13/881,923 US9054605B2 (en) | 2010-11-19 | 2011-11-07 | Haptic modul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PCT/KR2011/008416 WO2012067370A2 (en) | 2010-11-19 | 2011-11-07 | Haptic modul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830A KR101150728B1 (en) | 2010-11-19 | 2010-11-19 |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452A KR20120054452A (en) | 2012-05-30 |
KR101150728B1 true KR101150728B1 (en) | 2012-06-08 |
Family
ID=4627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58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0728B1 (en) | 2010-11-19 | 2010-11-19 |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7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86255B2 (en) * | 2019-12-10 | 2023-06-05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8851A (en) | 2003-02-25 | 2004-09-16 | Citizen Watch Co Ltd | Touch panel unit |
-
2010
- 2010-11-19 KR KR1020100115830A patent/KR1011507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8851A (en) | 2003-02-25 | 2004-09-16 | Citizen Watch Co Ltd | Touch panel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452A (en) | 201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54605B2 (en) | Haptic modul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
KR101080641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
JP7540134B2 (en) | Vibration presentation device | |
US20190155391A1 (en) | Vibration structure, vibration device, and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 |
US20100103611A1 (en) | Electronic device | |
KR20160009032A (en) | Localized key-click feedback | |
KR101378891B1 (en) | Touch motion switch | |
JP2011248439A (en) |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 |
CN112445329A (en) | Touch feedback module and touch device | |
KR101171163B1 (en) | Haptic actuator | |
US9472746B2 (en) | Vibrator | |
JP6335626B2 (en) | Tactile transmission device | |
CN103777807A (en) | Operating device | |
CN111033775B (en) | Vibration assembly | |
KR101150728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haptic module | |
JP5088383B2 (en) | switch | |
CN104841628A (en)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
KR101438477B1 (en) | Haptic actuator | |
JP5333661B2 (en) | Operation input device | |
KR101405123B1 (en) | Haptic actuator | |
KR20040012486A (en) | Push button switch structure | |
CN109920678B (en) | Keyboard switch | |
JP6284946B2 (en) | Capacitive sensor for detec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wo adjacent bodies | |
CN103083907A (en) | Electronic device and rocker thereof | |
JP6292624B2 (en)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605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5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