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472B1 -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 Google Patents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472B1 KR101150472B1 KR1020110089230A KR20110089230A KR101150472B1 KR 101150472 B1 KR101150472 B1 KR 101150472B1 KR 1020110089230 A KR1020110089230 A KR 1020110089230A KR 20110089230 A KR20110089230 A KR 20110089230A KR 101150472 B1 KR101150472 B1 KR 101150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end
- nut member
- cable
- pressing piece
- elastic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케이블과 접점이 연결되는 부위가 배치된 커넥터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점이 수용된 절연체가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 몸체;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에서 노출되는 상기 접점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그립부; 상기 너트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그립부가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ixing structure of a plug connector in which a space inside a connector is tightly secured while a cable is connected to a plug connector. Body; Nut memb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 grip par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d fixed to penetrate a cable connected to the contact exposed from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nut member to fix the grip part to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케이블과 접점이 연결되는 부위가 배치된 커넥터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도록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ixing structure of a plug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while being firmly fixed, the space inside the connector where the area where the cable and the contact are connected is arranged to be kept airtight. It relates to a cable fix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장치 등에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팅 장치가 채용된다.In general, a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various mechanical devices or the like is employed.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09939호에서 종래 기술로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전기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접속용 커넥팅 장치는 플러그커넥터(20)와 리셉터클커넥터(10)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플러그커넥터(20)는 원통형의 플러그 몸체(21)와 그 외측으로 너트 형태의 커플러(22)가 결합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접점(23)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24)가 삽입되어 있으며, 리셉터클커넥터(10)는 외경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리셉터클 몸체(11)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점(13)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커넥팅 장치는, 플러그커넥터(20)와 리셉터클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 형태의 커플러(22)와 리셉터클 몸체(11)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가 나사 결합을 이룰 때,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커넥터(10)의 내측에 삽입된 절연체(24,12)에 수용되어 있는 접점(23,13)들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1 shows a general example of a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is described in the prior art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9939. As shown in the drawing, a general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is formed by connecting a
한편, 상기한 플러그커넥터(20)는 케이블과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케이블은 선단부의 전선이 노출되도록 피복이 제거된 다음, 이 피복이 제거된 케이블 전선을 절연체(24)의 후단으로 노출된 접점(23)과 연결함으로써 플러그커넥터(20)와 케이블 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하지만, 종래 커넥팅 장치는 케이블이 플러그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케이블의 유동에 따라 접점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꼬이는 등의 이유로 케이블이 회전할 때에도 접점과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의 전선 부위 및 이 전선과 접점 간 연결된 부위는 물이나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위가 놓이는 커넥터 내부 공간은 기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 커넥팅 장치는 커넥터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does not present a structure that is firmly fixed so that the cable does not flow relative to the plug connector, the problem occurs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contact break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cable in use do. In addition, even when the cable is rotated due to twisting in the use process, a problem such as disconnection with the contact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wire portion of the stripped cable and the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wire and the contact must be blocked from contact with water or moisture, the space inside the connector on which the portion is placed is preferably kept airtight. 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space inside the connector is not kept confidentia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plug connector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is firmly fixed without the cabl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flows.
또한, 접점과 케이블 간 연결 부위가 배치되는 커넥터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able fixing structure of a plug connector in which a space inside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ion part between a contact point and a cable is disposed is hermetically maintained.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는, 접점이 수용된 절연체가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 몸체;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에서 노출되는 상기 접점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그립부; 상기 너트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그립부가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body having an insulator in which a contact is received; Nut memb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 grip par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d fixed to penetrate a cable connected to the contact exposed from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nut member to fix the grip portion to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상기 그립부는,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배치되며,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그립몸체; 상기 그립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연장홀이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되는 탄성가압편; 내부에 끼움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끼움홀로 끼워 삽입되면서 상기 그립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끼움홀로 끼워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편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하는 끼움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 part may include a grip body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An elastic pressing piece extending backward from the rear of the grip body and having an exten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therein, and having an incis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rear end is elastically gather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fitting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and coupled with the grip body,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elastically gather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lastic pressing piece into the fitting hole; It can be made to include.
이때, 상기 탄성가압편이 끼워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편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도록, 상기 끼움홀은 후단 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되면서 후단 쪽 지름이 상기 탄성가압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tting hole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while the fitting hol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rear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elastically gather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lastic pressing piece. .
한편,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너트부재의 개구된 후단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탄성가압편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패킹이 내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ip body is disposed to cover the open rear end of the nut member, the pack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inside the elastic pressing piece.
상기 탄성가압편은 그 내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될 수도 있다.The elastic pressing piece may have an uneven surfac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gaske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grip body and the nut member.
또한, 상기 그립몸체의 전면에 상기 너트부재의 개구된 후단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의 외주면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부 내주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grip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en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is formed, the anti-rotation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the anti-rotation proj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 anti-rotation groove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의 후면에 밀착되는 상기 끼움구의 전단부에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며, 개구된 후단부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tting hol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grip body,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to the nut member, a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pening is screwed to the nut member The stepped portion may be pressed forward by the locking step in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이 그립부에 관통하면서 고정되므로 접점과 연결된 케이블은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플러그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ble is fixed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grip portion, the cable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can be firmly fixed to the plug connector without causing a defect of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뿐만 아니라, 케이블은 탄성가압편에 형성된 요철면에 의해 마찰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가압 고정되므로, 케이블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 is pressuriz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frictional force is maximized by the uneven surface formed on the elastic pressing piece, the fixed state is firmly maintained even when the cable is pulled.
또한, 케이블이 탄성가압편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구조가 끼움구의 끼움홀로 탄성가압편이 끼워 삽입되는 단순한 조립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가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조립 편의성이나 제조원가 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 is pressed and fixed by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made of a simple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fitting hole, 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as a whol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assembly convenience and manufacturing cost.
그리고, 너트부재 내부 공간에서 보호되는 접점 및 케이블 간 연결부위는 탄성가압편에 내입되는 패킹이나 너트부재와 그립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에 의하여 그 공간이 기밀 유지됨으로 인해 물 또는 습기와의 접촉이 철저하게 차단된다.
In addition,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and the cable is prot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nut member, the contact between water or moisture is prevented because the space is kept airtight by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packing or the nut member and the grip body embedded in the elastic pressing piece. Thoroughly blocked.
도 1은 플러그커넥터가 포함된 종래 전기 접속용 커넥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그립몸체 및 탄성가압편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plug connecto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ip body and the elastic pressing pie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1)는, 플러그 몸체(100), 너트부재(200), 그립부(300), 고정부재(400)가 포함된다.2 and 3, the
플러그 몸체(100)는 내부에 절연체(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체(101) 내부에는 접점(102)이 수용된다. 접점(102)은 절연체(101)의 양단에서 노출되며, 전단으로 노출된 접점(102)은 리셉터클 몸체(미도시)에 형성된 절연체의 접점과 연결되고, 후단으로 노출된 접점(102)은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2) 전선과 연결된다.The
플러그 몸체(100)의 외측에는 커플러(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리고 플러그 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플러(110)에 의해 리셉터클 몸체와 플러그 몸체(100)가 서로 연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The
너트부재(200)는 플러그 몸체(100)의 후단에 결합된다. 너트부재(200)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이면서, 플러그 몸체(100)의 후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200)의 전단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너트부재(200)는 플러그 몸체(100)의 후단 쪽으로 노출되는 접점(102), 다시 말해 절연체(101)의 후단에서 노출되는 접점(102)으로 케이블(2)이 연결되었을 때, 접점(102)과 케이블(2) 간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보호하는 보호틀 역할을 한다. 너트부재(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한 연결부위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보호공간이 되는 것이다. 너트부재(200)의 내부공간은 너트부재(200)가 플러그 몸체(10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너트부재(200) 후단의 개구된 영역에 후술할 그립부(300)가 배치 고정됨에 따라, 그리고 그립부(300)로 케이블(2)이 관통 고정됨에 따라 대체로 밀폐된 공간이 된다. 이때 너트부재(200) 내부 공간의 기밀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너트부재(200)와 플러그 몸체(100) 간 나사결합되는 부위에 오링(150)이 개재될 수 있다.The
그립부(300)는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에 배치된다. 그립부(300)는 케이블(2)이 관통하여 고정되는데, 그립부(300)가 후술할 고정부재(400)에 의해 너트부재(200)의 후단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그립부(300)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2)은 상기한 접점(102)에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게 된다.The
그립부(3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로서, 그립몸체(310), 탄성가압편(320) 및 끼움구(330)가 포함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specific structure of the
그립몸체(310)는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에 배치된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 부위에는 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그립몸체(310)가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부에 밀착되어 배치됨으로써 그립몸체(310)의 관통홀(311) 부위를 제외하고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은 그립몸체(310)에 의해 덮히게 된다.The
탄성가압편(320)은 구체적인 형상의 일 예로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립몸체(31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관통홀(311)과 연통하는 연장홀(321)이 내부에 형성되어 케이블(2)은 관통홀(311)과 연장홀(321)을 함께 관통하면서 고정된다. 이때 탄성가압편(320)은 전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절개부(3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가압편(320)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일 수 있다.The elastic
끼움구(330)는 내부에 탄성가압편(320)이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끼움홀(33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홀(331)을 통해 끼워지는 탄성가압편(320)은 끼워 삽입되는 과정에서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된다. 탄성가압편(320)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도록 하는 끼움구(330)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로서, 끼움홀(331)이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끼움구(33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끼움구(330)의 끼움홀(331)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이때 전단 쪽 지름은 탄성가압편(320)의 외경보다 크고 후단쪽 지름은 탄성가압편(320)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탄성가압편(320)이 끼움홀(331)에 끼워 삽입될 때 끼움홀(331)의 후단 쪽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끼움홀(331)이 형성된 끼움부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가압편(320)의 후단부 외주면이 가압되며, 절개부(322)의 폭만큼 탄성가압편(320)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된다. 끼움구(330) 및 탄성가압편(320)의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에 기인하여 연장홀을 관통하는 케이블(2)은 탄성가압편(320)에 끼움구(33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케이블(2)의 외주면이 탄성가압편(3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므로 그립부(30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립부(300)가 너트부재(200)의 후단에서 고정됨으로써 케이블(2)은 접점(102)에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게 된다.The
그립부(300)가 이처럼 견고한 케이블(2) 고정 구조를 제공하지만, 더 나아가 케이블(2)에 당겨지는 힘이 작용할 때에도 견고하게 케이블(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가압편(320)에 요철면(323)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편(320)의 내주면에 단면상 치형을 이루는 요철면(323)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가압편(320)에 이처럼 요철면(323)이 형성됨으로써 요철면(323)에 의해 케이블(2)의 외주면이 마찰력이 극대화되면서 가압되어 케이블(2)은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lthough the
고정부재(400)는 너트부재(200)에 결합되면서 그립부(300)가 너트부재(200)의 후단에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400)는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로서, 대체로 원통형이면서 너트부재(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내주면에 나사홈(402)이 형성되며, 너트부재(200)의 외주면에 나사산(202)이 형성되어 너트부재(2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그립부(300)는, 케이블(2)이 외부로 연장되는 그립부(300)의 후단부가 고정부재(400)의 개구된 후단으로 노출되면서, 고정부재(400)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00)가 너트부재(200)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그립부(300)의 일측이 고정부재(400)의 일측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그립부(300)가 너트부재(200)의 후단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의 일측에 의해 그립부(300)의 일측이 가압되는 구조의 일 예로, 끼움구(330) 전단부에 그립몸체(310)의 후면과 밀착되는 단턱부(332)가 형성되고, 고정부재(400)의 후단 내주면에 걸림턱(401)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00)가 너트부재(200)에 나사결합될 때 끼움구(330)의 단턱부(332)가 걸림턱(401)에 걸리면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곧이어 단턱부(332)에 의해 그립몸체(310)의 후면이 전방으로 가압되면서 결국 그립부(300)가 전체적으로 너트부재(200)의 후단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The fixing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300)의 관통홀(311) 및 연장홀(321)을 통해 케이블(2)이 관통한 상태로 그립부(300)의 그립몸체(310)가 너트부재(200) 후단의 개구된 영역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너트부재(200)의 내부 공간은 대체로 밀폐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접점(102)에 연결되는 케이블(2)의 전선 부위는 물이나 습기와 접촉하지 않아야 하므로 너트부재(200)의 내부공간이 더욱 철저히 기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탄성가압편(320)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40)이 내입될 수 있다. 케이블(2)은 연장홀을 관통할 때 패킹(340)을 함께 관통하게 되며, 패킹(340)에 의해 케이블(2)의 외주면과 탄성가압편(320)의 내주면 사이가 메워짐으로써 결국 너트부재(200)의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가압편(320)이 끼움홀(33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일 때, 탄성가압편(320)의 내주면에 의하여 패킹(340)의 외주면이 가압되며, 이러한 가압은 패킹(340)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패킹(340) 외주면 전체에 대하여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외력을 작용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패킹(340)은 탄력적 소재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이러한 가압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케이블(2)의 외주면을 더욱 가압하여 케이블(2)에 밀착되므로, 패킹(340)에 의한 기밀 효율은 극대화된다. 한편, 탄성가압편(320)의 내측에는 패킹(340)이 내입되도록 패킹홈(301)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더불어, 그립몸체(310)와 너트부재(200) 사이에도 기밀 유지를 위한 개스킷(500)이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접점(102)에 연결된 케이블(2)은 그립부(300)에 의해 상하,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케이블(2)이 회전하게 되면 접점(102)에 연결된 케이블(2) 부위가 꼬이면서 접점(102)과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립부(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가압편(320)에 의해 케이블(2)이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그립몸체(310)가 너트부재(20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속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그립몸체(310)의 전면에는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으로 삽입되는 삽입단(3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단(350)의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351)가 형성된다. 그리고 너트부재(200)의 개구된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한 회전방지돌기(351)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201)이 형성된다. 삽입단(350)의 회전방지돌기(351)가 회전방지홈(201)에 끼워지면서 그립몸체(310)는 너트부재(2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되며, 결국 탄성가압편(320)에 의해 가압 고정된 케이블(2) 또한 회전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doesn't work.
1;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2; 케이블
100; 플러그 몸체 101; 절연체
102; 접점 110; 커플러
150; 오링 200; 너트부재
201; 회전방지홈 202; 나사산
300; 그립부 301; 패킹홈
310; 그립몸체 311; 관통홀
320; 탄성가압편 321; 연장홀
322; 절개부 323; 요철면
330; 끼움구 331; 끼움홀
332; 단턱부 340; 패킹
350; 삽입단 351; 회전방지돌기
400; 고정부재 401; 걸림턱
402; 나사홈 500; 개스킷One;
100;
102;
150; O-
201;
300;
310;
320;
322;
330;
332; Step 340; packing
350;
400; Fixing
402;
Claims (8)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몸체의 후단에서 노출되는 상기 접점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그립부;
상기 너트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그립부가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에 배치되며,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연장홀이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되는 탄성가압편과,
내부에 끼움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끼움홀로 끼워 삽입되면서 상기 그립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끼움홀로 끼워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편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게 하는 끼움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A plug body having an insulator accommodated therein;
Nut memb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 grip par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d fixed to penetrate a cable connected to the contact exposed from the rear end of the plug body;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nut member to fix the grip portion to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The grip part,
A grip body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nut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An elastic pressing piece which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of the grip body to the rear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therein, and has an inci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rear end is elastically gather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
The fitting hole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to be coupled to the grip body, and the fitting hole for elastically gather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insert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lastic pressing piece into the fitting hol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상기 탄성가압편이 끼워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편의 후단부가 탄력적으로 모이도록, 상기 끼움홀은 후단 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되면서 후단 쪽 지름이 상기 탄성가압편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lastic pressing piece is inserted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elastically gathered, the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is formed to become smaller toward the rear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diameter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Cable fixing structure of plug connector.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너트부재의 개구된 후단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탄성가압편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패킹이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body is disposed to cover the open rear end of the nut member,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inside the elastic pressing piece.
상기 탄성가압편의 내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piece.
상기 그립몸체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개스킷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grip body and the nut member.
상기 그립몸체의 전면에 상기 너트부재의 개구된 후단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의 외주면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재의 후단부 내주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n insertion en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in the front of the grip body,
The anti-rotation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the cable fix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nut member.
상기 그립몸체의 후면에 밀착되는 상기 끼움구의 전단부에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며, 개구된 후단부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tting hol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grip body,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to the nut member,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stepped portion is pressed forward by the locking jaw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nut member. Cable fixing structure of plug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30A KR101150472B1 (en) | 2011-09-02 | 2011-09-02 |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30A KR101150472B1 (en) | 2011-09-02 | 2011-09-02 |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0472B1 true KR101150472B1 (en) | 2012-05-31 |
Family
ID=4627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9230A KR101150472B1 (en) | 2011-09-02 | 2011-09-02 |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4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07701A (en) * | 2018-04-18 | 2018-09-07 | 北京方等传感器研究所有限公司 | Temperature senso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system |
KR102138578B1 (en) * | 2019-10-21 | 2020-07-29 | 주식회사유비씨에스 | Distributor combined cable connecting module for preventing loosen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145A (en) * | 2008-04-28 | 2010-04-28 | 솔 인더스트리 피티이 엘티디 | Multi-core cable electrical connector |
-
2011
- 2011-09-02 KR KR1020110089230A patent/KR101150472B1/en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145A (en) * | 2008-04-28 | 2010-04-28 | 솔 인더스트리 피티이 엘티디 | Multi-core cable electrical connect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07701A (en) * | 2018-04-18 | 2018-09-07 | 北京方等传感器研究所有限公司 | Temperature senso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system |
CN108507701B (en) * | 2018-04-18 | 2024-05-24 | 北京方等传感器研究所有限公司 | Temperature senso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system |
KR102138578B1 (en) * | 2019-10-21 | 2020-07-29 | 주식회사유비씨에스 | Distributor combined cable connecting module for preventing loosen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8099C (en) |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 |
US10224700B2 (en) |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 |
US7789679B2 (en) | Cable assembly with dustproof cover module | |
KR101611899B1 (en) | Waterproof possible electrical connection port | |
EP2760087A1 (en) | Waterproof structure for cable connector, plug connector using same and receptacle connector | |
BRPI1101884A2 (en) |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alignment mechanism | |
JP2002056905A (en) | Electric connecting device | |
TWI673450B (en) | Clamping apparatus and cable gland | |
KR101150472B1 (en) | Cable grip structure of plug connector | |
CN113809593A (en) | Connecting device and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 |
KR101290687B1 (en) | Cable connector | |
WO2018148814A1 (en) | Connector for an optical fibre cable and jaw for an optical fibre cable | |
KR101448077B1 (en) | The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al connector | |
KR100611574B1 (en) | Outlet plug and plug with waterproof structure | |
KR200442755Y1 (en) | Optical cable fixing socket for junction box | |
JP5769024B2 (en) | Wire fixing member | |
CN107181104A (en) | A kind of waterproof shielding cable clamp assembly | |
KR200326909Y1 (en) | The sealing device of the cutted part of the electric heat line inserted hot water pipe | |
KR20190097283A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KR101626731B1 (en) |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power cord and heating wire | |
KR101290684B1 (en) | Packing assembly and cable connector using it | |
BR102014016480A2 (en) | fiber optic cable connector | |
KR101831881B1 (en) | Connector for jointing of electric wires | |
CN222015776U (en) | A waterproof circular electrical connector | |
US9261665B2 (en) | Locking devise for optical drop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0909 Decision date: 20140411 Appeal identifier: 2013100002457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909 Effective date: 20140411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0909 Decision date: 20140411 Appeal identifier: 2013100002457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140613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40814 Decision date: 20151008 Appeal identifier: 201410000200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14 Effective date: 20151008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510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40814 Decision date: 20151008 Appeal identifier: 2014100002003 |
|
PC2102 | Extinguishment |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