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99B1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399B1 KR101150399B1 KR1020100041473A KR20100041473A KR101150399B1 KR 101150399 B1 KR101150399 B1 KR 101150399B1 KR 1020100041473 A KR1020100041473 A KR 1020100041473A KR 20100041473 A KR20100041473 A KR 20100041473A KR 101150399 B1 KR101150399 B1 KR 101150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cable
- shaft
- insulator housing
- actuator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양단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덮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of a flat cable.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 body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 flat cable and a shaft accommodating groove located on both sides in a width direction of the flat cabl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ulator housing and opposed to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Wherein the insula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shaft which is inserted into a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insulator housing at both ends thereof and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insulator housing around the shaft, An actuator for pressing the flat cable to fix the flat cable on the contact; And a housing shell having a support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and supports the shaft to support the shaf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을 가압 및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와 그 지지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typ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or for pressing and fixing a flat cable and a connector for a flat cable connection with improved support structure.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A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type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at cable) such as an FPC (Flexible Printed Cable) or an FFC (Flexible Flat Cable) is disclos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11259, 2006-31019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86600,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79176, and the like.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11)와,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1)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액츄에이터(Actuator)(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includes an insulator housing 10 for accommodating the flat cable 1, a plurality of conductive contacts (not shown) fixedly inserted into the insulator housing 10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ctuator 12 coupl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 so as to press and fix the received flat cable 1 against the contact 11.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2)는 컨택트(11)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Pivot portion)(11b)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In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the actuator 12 is hing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 so as to be rotatably openable and closable while being restrained by a pivot portion 11b formed in a part of the contact 11.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1a)와 액츄에이터(12)를 지지하는 피벗부(11b)가 컨택트(1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너무 크고, 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하되어 고속전송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contact portion 11a, which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able 1, and the pivot portion 11b, which supports the actuator 12, There is a weak point that the capacitance value is too large, which causes the impedance to drop and the high-speed transmission capability to deteriorate.
비록,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에서는 임피던스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컨택트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커패시턴스값의 저하 정도가 미미하여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lthough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186600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tact to prevent a decrease in impedance, in this case also,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capacitance value is insignificant, A new approach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택트와 분리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cable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supporting an actuator is separated from a contact in order to improve impedance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덮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flat cable comprising: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 body formed with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a flat cable and a shaft accommodating groove located on both widthwise sides of the flat cabl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ulator housing and opposed to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And a shaft that is fitted in the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insulator housing. The other end of the flat cable inserted into the insulator housing when the open state is switched to the close state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insulator housing, An actuator for fixing the flat cable on the contact; And a housing shell which is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and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and supports the shaft so as to cover the housing shell.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to exte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housing, and the shaft of the actuator is slidably fitted in the shaft receiving groove.
상기 액츄에이터의 샤프트의 양단은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shaft of the actuator are preferably protru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샤프트(Shaft)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택트와 기구적,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종래의 일체형 컨택트에 비해 커넥터의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되므로 고속전송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ion supporting the shaft of the actuator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tact,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or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tegrated contact, thereby improving the high-speed transmission performance.
또한, 하우징 쉘을 활용하여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shell can be supported by utilizing the housing she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nent cost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액츄에이터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액츄에이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액츄에이터의 샤프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ctuator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coupling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uator in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stening a shaft of an actuator to a shaft receiving groove of an insula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결합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upling diagram of FIG. 3,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in a coupling stat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100)과, 플랫 케이블(1)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된 복수개의 컨택트(101)와,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체결되는 하우징 쉘(Housing shell)(102)과, 하우징 쉘(102)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1)의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액츄에이터(103)를 포함한다.3 to 5,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액츄에이터(103)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The
컨택트(101)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Signal) 전달용 배선층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절연체 하우징(10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소정의 슬롯(Slot)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The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의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과 대향하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The
하우징 쉘(102)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를 마감하는 부재이다. 하우징 쉘(102)은 액츄에이터(103)의 회전 개폐 동작시 절연체 하우징(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The
소정의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커넥터의 실장시 하우징 쉘(102)의 일부는 PCB에 접지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하우징 쉘(102)에는 절연체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편 형태의 지지부(102a)가 형성된다. 지지부(102a)는 플랫 케이블(1)을 기준으로 컨택트(101)의 반대편, 즉 윗편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를 지지한다.A
액츄에이터(103)는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2a)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03)의 클로즈(Close)시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 부근에 위치한 소정의 접촉부가 플랫 케이블(1)을 가압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0) 상에 고정시킨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3)는 그 핸들 부분이 절연체 하우징(100)의 바깥으로 젖혀짐으로써 오픈(Open) 된다. 액츄에이터(103)의 오픈시 액츄에이터(103)와 컨택트(101) 사이에는 플랫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액츄에이터(103)에 있어서 샤프트(103a)의 양단은 액츄에이터(103)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3a)의 양단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대한 액츄에이터(103)의 체결시 샤프트 수용홈(100a)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져서 안착된다. 여기서 샤프트 수용홈(100a)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며, 절연체 하우징(100)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액츄에이터(103)의 개폐 동작시 샤프트(103a)가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서 슬립(Slip) 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103a)와 샤프트 수용홈(100a)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both ends of the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 안착된 샤프트(103a)의 양단 부분 또한 하우징 쉘(102)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하우징 쉘(102)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대한 체결시 샤프트 수용홈(100a)의 개방면을 덮음으로써 샤프트 수용홈(100a)으로부터 샤프트(103a)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츄에이터(103)의 동작시 샤프트(103a)를 가이드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Both end portions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액츄에이터(103)를 오픈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액츄에이터(103)를 플랫 케이블(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즈하여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1) 상에 가압 및 고정하여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In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lat cable 1 is inserted into the
액츄에이터(103)의 오픈 상태 및 클로즈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는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2a)에 의해 덮여서 지지되고 그 양단이 절연체 하우징(100)의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를 지지하는 부분과 컨택트(101)가 기구적,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향상된 임피던스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ion support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플랫 케이블 100: 절연체 하우징
100a: 샤프트 수용홈 101: 컨택트
102: 하우징 쉘 102a: 지지부
103: 액츄에이터 103a: 샤프트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1: Flat cable 100: Insulator housing
100a: shaft receiving groove 101: contact
102:
103:
Claims (3)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양단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진 샤프트를 덮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of a flat cable,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lat cable and a shaft receiving groov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lat cabl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sulator housing and opposed to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Wherein the insula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shaft which is inserted into a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insulator housing at both ends thereof and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insulator housing around the shaft, An actuator for pressing the flat cable to fix the flat cable on the contact;
A housing shell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And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housing shell and covering and supporting a shaft fitted in the shaft receiving groove.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to exte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housing,
Wherein the shaft of the actuator is slidably fitted in the shaft receiving groove.
상기 액츄에이터의 샤프트의 양단은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both ends of the shaft of the actuator protrude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473A KR101150399B1 (en) | 2010-05-03 | 2010-05-03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473A KR101150399B1 (en) | 2010-05-03 | 2010-05-03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945A KR20110121945A (en) | 2011-11-09 |
KR101150399B1 true KR101150399B1 (en) | 2012-06-01 |
Family
ID=4539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1473A Active KR101150399B1 (en) | 2010-05-03 | 2010-05-03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3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009B1 (en) * | 2016-08-30 | 2018-05-29 | 몰렉스 엘엘씨 | FFC/FPC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71293A1 (en) | 2001-03-23 | 2004-09-02 | Kazuhisa Tsunematsu |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
-
2010
- 2010-05-03 KR KR1020100041473A patent/KR1011503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71293A1 (en) | 2001-03-23 | 2004-09-02 | Kazuhisa Tsunematsu |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945A (en) | 201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38545A (en) | Connection device which is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with simple structure | |
US7815467B2 (en) | Connector device | |
KR100320158B1 (en) | Two-piece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connector with single metal shell to hold cable fixture | |
KR20040108566A (en) | Connector | |
US20130267110A1 (en) |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 |
KR101216025B1 (en) | Flat cable connector | |
KR101150399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JP3089464B2 (en) | Connector with shield mechanism | |
US7156699B1 (en) | Connector with a capacitor connected to a metal casing | |
KR101455335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170428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124804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CN220753829U (en) | Wire end connector | |
KR101124847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216024B1 (en) | Flat cable connector having locking member | |
KR101455336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113439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058699B1 (en) | Flat cable connector | |
CN215266817U (en) | Flexible circuit board electric connector | |
KR101151846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133628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412924B1 (en) | Cable connector | |
KR101101673B1 (en) | Connector assembly for flat cable connection | |
KR101124861B1 (en) |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flat cable | |
KR101505027B1 (en) | Electromagnetic waves blocking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