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0283B1 - 본시멘트 주입기구 - Google Patents

본시멘트 주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283B1
KR101150283B1 KR1020100022844A KR20100022844A KR101150283B1 KR 101150283 B1 KR101150283 B1 KR 101150283B1 KR 1020100022844 A KR1020100022844 A KR 1020100022844A KR 20100022844 A KR20100022844 A KR 20100022844A KR 101150283 B1 KR101150283 B1 KR 10115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tube
bone
mai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667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이성우 filed Critical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0002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283B1/ko
Priority to PCT/KR2010/004516 priority patent/WO2011115331A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283B1/ko
Priority to US13/617,509 priority patent/US89266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11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the introducer tip, i.e. the part inserted into or onto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19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the introducer proximal part, e.g. cannula handle, or by parts which are inserted inside each other, e.g. stylet and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본시멘트를 삽입하고, 본시멘트의 혈관, 척추관 내로의 유출 및 경화시 쉽게 분리가능한 본시멘트 주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삽입가능하도록 첨예한 일단부를 가지고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부분폐쇄부를 가지는 외침관과,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시멘트공급수단과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가지는 주손잡이를 포함하는 외삽입부재; 및 상기 주손잡이를 통해 개방된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로 삽입가능한 내침로드와, 상기 내침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손잡이를 포함하는 내삽입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시멘트 주입기구{Injection device for bone cement}
본 발명은 본시멘트 주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본시멘트를 삽입하고, 본시멘트의 혈관, 척추관 내로의 누출 및 경화시 주입을 정지하고 쉽게 분리가능한 본시멘트 주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척추뼈 등에 형성된 종양과 같은 병으로 인하여 뼈에 본시멘트를 주입해야 하는 경우에, 본시멘트 삽입시술을 사용하였으나, 요즘에는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의 치료방법으로 본시멘트 삽입시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본시멘트 삽입시술은 다음과 같은 기구 및 시술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외침관과 일단부가 첨예한 내침로드로 이루어진 기구를 본시멘트 주입의 대상이 되는 뼈에 일부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내침로드를 상기 외침관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외침관을 통해 본시멘트를 공급하고 다시 내침로드를 외침관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어넣으면서 본시멘트를 뼈에 주입한다.
그러나, 혈관 및 척추관 내로 본시멘트가 누출되면 폐색전증 및 척추신경손상으로 인한 하지마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본시멘트 주입시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해 지속적인 관찰을 하면서 본시멘트 누출소견이 있으면 즉시 주입을 정지하여야 하며, 외침관 내에 남아있는 본시멘트도 주입해서는 안된다. 만약 남아있는 본시멘트를 주입하게 되면 폐색전증 및 척추신경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 때, 본시멘트가 경화된 후에 외침관을 제거하게 되면 척추뼈 내의 본시멘트와 외침관 내의 본시멘트가 일체화되어 주입경로인 근육 및 피부조직에 본시멘트가 남아있을 위험성이 크다. 이로 인해 본시멘트를 제거하는 시술을 해야 하며 결국 환자에게 상당한 육체적 고통 및 정신적 고통을 주게 된다.
또한, 본시멘트는 경화속도가 상당히 빠른 편(대략 7~10분 이내에 경화됨)이고, 본시멘트의 점도가 높을 뿐 아니라 좁은 주입관의 벽마찰로 인하여 본시멘트의 주입시간이 상기 경화시간 이내에 완료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특히, 본시멘트가 경화되면 상기 주입관과 일체로 경화되서, 뼈에 이미 충진된 본시멘트와 상기 주입관이 일체화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본시멘트를 삽입하고, 본시멘트의 혈관, 척추관 내로의 누출 및 본시멘트의 경화시 쉽게 분리가능한 본시멘트 주입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삽입가능하도록 첨예한 일단부를 가지는 외침관과,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시멘트공급수단과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가지는 주손잡이를 포함하는 외삽입부재; 및 상기 주손잡이를 통해 개방된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로 삽입가능한 내침로드와, 상기 내침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손잡이를 포함하는 내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이다.
상기 부손잡이는 상기 주손잡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손잡이는 측부에 돌출되는 끼움돌기를 가지고, 상기 주손잡이의 내측으로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손잡이는 U자형태로 형성되고, 그 오목한 부분에 상기 외침관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튜브형상이고, 상기 체결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외침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침로드의 일단부의 표면은 상기 외침관의 일단부의 표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침관의 일단부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부분폐쇄부를 가지고, 상기 내침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부분폐쇄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폐쇄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본시멘트를 삽입하는 시술에서 본시멘트의 혈관, 척추관 내로의 누출 및 본시멘트의 경화시 이미 뼈에 주입된 본시멘트에 대해 쉽고 안전하게 분리가능한 본시멘트 주입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시멘트의 누출 및 경화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의 사시도 및 선단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시멘트 주입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시멘트 주입기구의 일단부를 뼈에 삽입한 후, 본시멘트 공급수단과 연결된 본시멘트 주입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사시도 및 선단의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삽입부재(110)와 내삽입부재(120)의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삽입부재(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주손잡이(112)와, 상기 주손잡이(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침관(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손잡이(11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때, 그립감을 높이기 위하여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주손잡이(112)의 U자 형상에서 내측의 바닥면에는 체결부(114)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4)는 본시멘트 공급수단(130)과 체결되는 부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114)는 일단부가 개방된 대략 튜브형상이고,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부(114)는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서, 상기 본시멘트 공급수단(130)을 통해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로 본시멘트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침관(116)은 상기 주손잡이(112)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외침관(116)은 단면이 대략 튜브형상을 가지는 관체(管體)이며, 그 일단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조직 및 뼈조직을 뚫어 관통시킬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외침관(116)의 단부면이 상기 외침관(1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삽입부재(1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손잡이(122)와, 상기 부손잡이(122)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침로드(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손잡이(122)의 형상의 제한은 없으나, 상기 부손잡이(122)는 상기 주손잡이(112)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사용자가 상기 주손잡이(112)와 상기 부손잡이(122)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상기 내침로드(126)가 상기 외침관(116)에 대하여 상대각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주손잡이(112)에는 U자형 모양의 상단부에 끼움홈(111)을 형성시킨다. 또, 상기 부손잡이(122)는 상기 주손잡이(112)의 U자형 모양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형상을 형성시키고, 상기 부손잡이(122)에는 상기 부손잡이(1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끼움홈(111)에 대응되는 끼움돌기(124)를 형성시킨다. 특히, 상기 끼움홈(111)에 대하여 상기 끼움돌기(124)의 일부 또는 전체를 약간 크게 형성시켜서, 상기 끼움홈(111)에 상기 끼움돌기(1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손잡이(122)의 저면은 상기 체결부(114)의 상단면에 닿도록 하여,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보관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14)의 내측의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손잡이(122)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침로드(126)는 상기 체결부(114)를 통해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내침로드(126)의 일단면은 상기 외침관(116)의 일단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침관(116) 내에 상기 내침로드(126)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공간이 상기 내침로드(126)에 의해 점유된 상태이며, 이 결과,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가 피부 및 뼈를 꿰뚫을 때, 신체조직이 상기 선단을 통해 상기 외침관(116) 내부로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침로드(126)의 일단면은 폐쇄된 상태이어야 하며, 상기 내침로드(126)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외침관(116)에는 본시멘트를 주입 후 피부 및 뼈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본시멘트의 경화에 의해 상기 외침관(116)이 함께 고착된 상태에서 강제로 본시멘트와의 연결상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외침관(116)의 일단부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부분폐쇄부(118)를 가진다.
즉, 본시멘트가 주입되면,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에 잔존해 있는 본시멘트와 뼈조직 내에 침투된 본시멘트가 일체화되는 기둥형상의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외력에 의해 강제로 끊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침관(116)의 일단부의 공간을 축소시켜 외력에 취약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부분폐쇄부(1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침관(116)의 일단부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있어서, 내부공간이 상기 일단부에서 갑자기 축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분페쇄부(118)는 대략 외침관(116)의 선단측의 공간이 반원이 되도록 상기 외침관(116)의 내벽면 내측으로 단차져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침로드(126)의 일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침관(116)의 선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부분폐쇄부(118)에 대응되는 형상의 폐쇄팁(128)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폐쇄팀(128)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이며, 상기 내침로드(126)의 일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기구(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최초의 상태는 상기 외침관(116) 내에 상기 내침로드(126)가 삽입되어, 선단이 폐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손잡이(122)가 체결된 상기 주손잡이(112)를 파지하여, 상기 선단으로 피부를 꿰뚫어 뼈조직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손잡이(112)로부터 상기 부손잡이(122)를 분리하여, 상기 외침관(116) 내의 내침로드(126)를 후방으로 취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14)에 상기 본시멘트 공급수단(130)의 커넥터(134)를 연결한다. 상기 커넥터(134)는 상기 체결부(114)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가진다. 도 3은 상기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일단부를 척추뼈(10)에 삽입한 후, 본시멘트 공급수단(130)과 연결된 본시멘트 주입기구(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본시멘트 공급수단(130)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제한은 없다.
그리고, 상기 본시멘트 공급수단(130)의 실린더(132)에 들어있는 본시멘트를 가압부(136)에 의해 가압 후, 상기 내침로드(126)를 상기 외침관(116) 내부에 밀어넣어 본시멘트를 주입하여, 상기 외침관(116)의 내부를 통해 상기 뼈조직 내에 공급한다.
일정량의 본시멘트를 공급하고, 본시멘트가 경화되면 상기 주손잡이(112)를 잡아당겨서 상기 외침관(116)을 상기 뼈조직으로부터 취출한다. 이 때, 뼈조직 내의 경화된 본시멘트와 일체화된 상기 외침관(116) 내의 본시멘트의 연결상태를 끊기 위해 상기 주손잡이(112)를 180도 이상 회전시켜서 상기 부분폐쇄부(118)의 본시멘트 부분이 파괴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침관(116)을 안정적으로 신체조직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척추뼈 100: 본시멘트 주입기구
110: 외삽입부재 111: 끼움홈
112: 주손잡이 114: 체결부
116: 외침관 118: 부분폐쇄부
120: 내삽입부재 122: 부손잡이
124: 끼움돌기 126: 내삽입관
128: 폐쇄팁 130: 본시멘트 공급기구
132: 실린더 134: 커넥터
136: 가압부

Claims (7)

  1.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삽입가능하도록 첨예한 일단부를 가지는 외침관과,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시멘트공급수단과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가지는 주손잡이를 포함하는 외삽입부재; 및
    상기 주손잡이를 통해 개방된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로 삽입가능한 내침로드와, 상기 내침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침로드의 일단부의 표면은 상기 외침관의 일단부의 표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며,
    상기 외침관의 일단부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침관의 선단측의 공간이 반원이 되도록 상기 외침관의 내벽면 내측으로 단차져서 돌출형성되 부분폐쇄부를 가지고,
    상기 내침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부분폐쇄부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이며, 상기 내침로드의 일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형상의 폐쇄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손잡이는 상기 주손잡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손잡이는 측부에 돌출되는 끼움돌기를 가지고, 상기 주손잡이의 내측으로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손잡이는 U자형태로 형성되고, 그 오목한 부분에 상기 외침관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튜브형상이고, 상기 체결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외침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시멘트 주입기구.
  6. 삭제
  7. 삭제
KR1020100022844A 2010-03-15 2010-03-15 본시멘트 주입기구 KR10115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44A KR101150283B1 (ko) 2010-03-15 2010-03-15 본시멘트 주입기구
PCT/KR2010/004516 WO2011115331A1 (ko) 2010-03-15 2010-07-12 본시멘트 주입기구
US13/617,509 US8926624B2 (en) 2010-03-15 2012-09-14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44A KR101150283B1 (ko) 2010-03-15 2010-03-15 본시멘트 주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67A KR20110103667A (ko) 2011-09-21
KR101150283B1 true KR101150283B1 (ko) 2012-05-24

Family

ID=4464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844A KR101150283B1 (ko) 2010-03-15 2010-03-15 본시멘트 주입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6624B2 (ko)
KR (1) KR101150283B1 (ko)
WO (1) WO2011115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8832A1 (en) 2009-05-20 2010-11-25 Osseon Therapeutics, Inc. Steerable curvable vertebroplasty drill
US20130072941A1 (en) * 2011-09-16 2013-03-21 Francisca Tan-Malecki Cement Injector and Cement Injector Connectors, and Bone Cement Injector Assembly
US10478241B2 (en) 2016-10-27 2019-11-19 Merit Medical Systems, Inc. Articulating osteotome with cement delivery channel
CA3041114A1 (en) 2016-11-28 2018-05-31 Dfine, Inc. Tumor abla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EP3551100B1 (en) 2016-12-09 2021-11-10 Dfine, Inc. Medical devices for treating hard tissues
US10660656B2 (en) 2017-01-06 2020-05-26 Dfine, Inc. Osteotome with a distal portion for simultaneous advancement and articulation
KR102229383B1 (ko) 2018-05-23 2021-03-22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의료용 니들
US11013543B2 (en) 2018-05-24 2021-05-25 Medtronic Holding Company Sarl Method of performing a balloon kyphoplasty procedure using a scoop cannula
CN108836451B (zh) * 2018-07-11 2020-12-15 上海锐植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骨科手术穿刺器
WO2020097339A1 (en) 2018-11-08 2020-05-14 Dfine, Inc. Tumor abl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4031040A4 (en) 2019-09-18 2023-11-15 Merit Medical Systems, Inc. OSTEOTOME WITH INFLATABLE PART AND MULTIFILAR JOINT
KR102628019B1 (ko) 2021-11-26 2024-01-19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339A (ja) 2001-07-17 2003-01-28 Hakko Medical:Kk 組織採取機能を有する生体用セメント注入器具
US20070197935A1 (en) * 1999-10-19 2007-08-23 Kyphon Inc. Hand-held 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KR2009000662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약물 투입이 가능한 척추 시술용 니들
KR20090028436A (ko) * 2007-09-14 2009-03-18 최길운 뼈 치료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734B1 (en) * 1998-08-14 2001-06-05 Kyph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cing materials into bone
US20060064101A1 (en) * 2004-02-12 2006-03-23 Arthrocare Corporation Bone access system
US7722612B2 (en) * 2004-05-19 2010-05-25 Sintea Biotech S.P.A. Devices, kit and method for kyphoplasty
US20070010843A1 (en) * 2005-07-07 2007-01-11 Stryker Corporation Medical apparatus with cannula and releasable handle assembly for accessing remote anatomical sites
US9301792B2 (en) * 2006-01-27 2016-04-05 Stryker Corporation Low pressure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solid and liquid mixture into a target site for medical treatment
US20070270876A1 (en) * 2006-04-07 2007-11-22 Yi-Chen Kuo Vertebra bone cement introduction system
WO2008137428A2 (en) * 2007-04-30 2008-11-13 Dfine, Inc. Bone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90157085A1 (en) * 2007-12-18 2009-06-18 Cook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bone cement mixture into a damaged b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7935A1 (en) * 1999-10-19 2007-08-23 Kyphon Inc. Hand-held 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JP2003024339A (ja) 2001-07-17 2003-01-28 Hakko Medical:Kk 組織採取機能を有する生体用セメント注入器具
KR2009000662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약물 투입이 가능한 척추 시술용 니들
KR20090028436A (ko) * 2007-09-14 2009-03-18 최길운 뼈 치료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67A (ko) 2011-09-21
US20130006257A1 (en) 2013-01-03
WO2011115331A1 (ko) 2011-09-22
US8926624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283B1 (ko) 본시멘트 주입기구
KR100950990B1 (ko) 뼈 치료용 장치
US6676663B2 (en) Applicator device for controllably injecting a surgical cement into bones
JP5653908B2 (ja) 後脊椎固定具
US20090137965A1 (en) Apparatus for Operating Syringe Piston
US20150238698A1 (en) Aspiration syringe accessory
KR20100004825A (ko) 뼈 충진 물질의 경피전달용 장치
CN204306892U (zh) 一种椎弓根钉道输注器及椎弓根钉道局部强化组件
CN204797965U (zh) 一种椎体骨折经皮穿刺套管装置
KR20090110983A (ko) 골시멘트 주입키트
US9408975B2 (en) Apparatus for operating syringe piston
CN208910456U (zh) 一种用于脊柱手术的对抗套筒
CN212438799U (zh) 一种脊柱用骨水泥器械组件
KR101363536B1 (ko) 특히 척추체 성형술 등을 위해, 뼈 공동에 유체 시멘트를주입하기 위한 장치
KR100888348B1 (ko) 세포치료제 주입 장치
CN209474773U (zh) 一种用于椎体成形的手术器械
CN209332248U (zh) 一种脊柱微创骨水泥填充器组件
CN208031264U (zh) 一种医用骨穿刺针
KR200420301Y1 (ko) 주사기의 피스톤 누름 장치
KR20220041333A (ko) 척추 임플란트용 골 시멘트 주입 장치
CN212438800U (zh) 一种骨水泥器械组件
CN211560320U (zh) 一种用于骨水泥减压推注的装置
CN215839415U (zh) 一种分体可拆卸式骨水泥注入器及骨水泥器械上钉器
KR101234733B1 (ko) 인공 디스크 장치
KR102229383B1 (ko) 의료용 니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