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9877B1 -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77B1
KR101149877B1 KR1020110079532A KR20110079532A KR101149877B1 KR 101149877 B1 KR101149877 B1 KR 101149877B1 KR 1020110079532 A KR1020110079532 A KR 1020110079532A KR 20110079532 A KR20110079532 A KR 20110079532A KR 101149877 B1 KR101149877 B1 KR 10114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boom
cylinder
ex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1007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크레인이 유연하게 굴절되고 탑승함의 수평이 잘 유지되므로 교량 상부에 차량이 위치한 상태에서 교량의 점검 및 유지보수 등이 가능하도록, 차체 및 차체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축설되는 복수의 바퀴, 차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이 구비되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다단계로 굴절되며 탑승함이 설치되는 크레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Self-propelled type High place operation Car for Bridge}
본 발명은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이 여러 마디로 이루어져 유연하게 굴절되고 탑승함의 수평이 잘 유지되므로 교량의 상부에 차량이 위치한 상태에서 교량의 측면이나 천장 등의 점검 및 유지보수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차는 고소에서 공사, 점검, 보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기계이다.
종래 고소 작업차는 트럭 등의 화물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차량과, 한쪽 끝부분이 상기 차량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탑승함이 설치되는 크레인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고소 작업차의 크레인장치는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체와, 상기 기둥체에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의 다단으로 길이의 연장 및 단축 가능한 신축붐과, 상기 신축붐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이 적재되는 탑승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소 작업차는 주로 작업할 위치에 차량을 주차하고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탑승함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작업을 행하는데 편리하지만, 차량을 주차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작업을 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즉 교량의 측면이나 천장 등의 점검이나 보수 등의 고소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교량 하부에 주차해야 하지만 교량 하부로 하천이나 강물 등이 흐르고 있는 경우 주차가 불가능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교량의 상부에 차량이 위치한 상태로 탑승함의 수평이 유지되면서 크레인장치가 다단계로 굴절되면서 교량의 측면이나 하부로 탑승함을 위치시키고 작업자가 탑승함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므로 최소의 인력으로 편리하게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이 가능한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와 바퀴, 엔진 등을 갖추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자주식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주행을 위한 별도로 화물차량 등을 구비하여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주행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 가능한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탑승함이 설치되는 크레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은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각각 축설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장치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이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기둥체와, 상기 회전기둥체의 상부 끝부분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과, 상기 회전기둥체 메인붐을 연결하고 메인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붐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연장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제1연장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굴절부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연장브래킷과,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제2연장브래킷을 연결하는 제2굴절부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탑승함을 구비한 탑승대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과 상기 탑승대를 연결하는 수평유지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굴절부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절붐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굴절붐을 연결하고 굴절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굴절실린더와, 상기 굴절붐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굴절붐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붐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중간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굴절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각각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굴절링크대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한쌍의 상기 굴절링크대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고 굴절링크대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링크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장치는 상기 메인붐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메인브래킷과, 상기 회전기둥체와 보조메인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실린더의 회전시 상기 수평유지실린더가 메인붐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수평유지실린더와 동조운동하는 수평동조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차량이 교량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크레인장치가 다단계로 굴절되면서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장소로 탑승함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므로, 교량 상부에서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자가 탑승함에 탑승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승함에 탑승한 상태에서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므로 최소의 인력으로 편리하게 교량의 점검 및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차체와 바퀴, 엔진 등을 갖추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별도로 화물차량 등을 구비하여 장착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주행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붐 및 메인브래킷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굴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연장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굴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연장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탑승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동조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메인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량 상부로 이동시킨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량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해 탑승함을 1차 위치로 이동시킨 작동시킨 작동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량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해 탑승함을 2차 위치로 이동시킨 작동상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과, 상기 차량(100)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탑승함(300)이 설치되는 크레인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100)은 차체(110)와, 상기 차체(1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각각 축설되는 복수의 바퀴(120)와, 상기 차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등이 탑재되는 엔진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체(1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H"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일정한 간격을 평행하게 위치하고 양쪽 끝부분에 상기 바퀴(120)가 각각 축설되는 한쌍의 차체프레임(111)과, 상기 차체프레임(111)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장치(200)는 상기 차체(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기둥체(201)와, 상기 회전기둥체(201)와 결합되는 메인붐(210)과, 상기 메인붐(2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메인실린더(211)와, 상기 메인붐(210)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래킷(220)과, 상기 메인브래킷(2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연장브래킷(240)과, 상기 메인브래킷(220)과 제1연장브래킷(240)을 연결하는 제1굴절부(230)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연장브래킷(260)과,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과 제2연장브래킷(240)을 연결하는 제2굴절부(250)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탑승함(300)을 구비한 탑승대(270)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과 상기 탑승대(270)를 연결하는 수평유지실린더(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기둥체(201)는 중공형의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부분에서 상부 끝부분으로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며 상기 차량(10) 후방쪽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에서 회전기둥체(201)는 상기 차체(110)의 연결프레임(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엔진룸(130)이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메인붐(21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형의 사각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기둥체(201)의 상부 끝부분과 한쪽 끝부분이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실린더(211)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회전기둥체(201)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붐(210)의 한쪽 끝부분과 중앙부분 사이 지점과 각각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브래킷(2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ㄷ(디귿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부분이 상기 메인붐(210)의 다른쪽 끝부분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제1굴절부(230)가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즉 메인브레킷(220)은 상기 메인붐(210)의 윗면을 감싸며 용접 고정되는 수평판부(221)와 상기 수평판부(221)의 양쪽 모서리에서 하향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메인붐(210)의 측면을 감싸며 용접 고정되면서 하부쪽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판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삼각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제1브래킷판(241)과, 상기 제1브래킷판(241)의 한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1브래킷연결판(242)과, 상기 제1브래킷판(24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판(24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바(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굴절부(23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220)의 수직판부(22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의 제1브래킷판(241)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절붐(231)과,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굴절붐(23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굴절붐(231)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220)의 수직판부(22)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의 제1브래킷판(241)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유지대(232)와, 상기 메인브래킷(220)과 굴절붐(231)을 연결하고 굴절붐(231)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굴절실린더(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굴절붐(231)은 대략 "ㄷ(디귿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절실린더(233)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220)의 수직판부(222) 사이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굴절붐(210)의 중앙부분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한쌍의 제2브래킷판(261)과, 상기 제2브래킷판(261)의 한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브래킷연결판(262)과, 상기 제2브래킷판(26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2브래킷판(26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바(2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굴절부(250)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과 각각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굴절링크대(251), (252)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과 한쌍의 상기 굴절링크대(251), (252)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고 굴절링크대(251), (252)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링크실린더(2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굴절링크대(251), (252)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의 제1브래킷판(241) 사이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의 제2브래킷판(261) 한쪽 끝부분 사이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링크실린더(253)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의 제1브래킷판(241) 사이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하나의 굴절링크대(251) 다른쪽 끝부분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탑승대(27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260)의 다른쪽 끝부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유지실린더(280)를 이용하여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탑승함(300)은 상기 탑승대(2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윗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유지실린더(280)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240)의 제2브래킷판(241) 다른쪽 끝부분 사이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탑승대(270)의 중앙 하부와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장치(200)가 상기 메인붐(210)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메인브래킷(290)과, 상기 회전기둥체(201)와 보조메인브래킷(290)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실린더(211)의 회전시 상기 수평유지실린더(280)가 메인붐(210)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수평유지실린더(280)와 동조운동하는 수평동조실린더(29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메인브래킷(290)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상기 메인붐(210)의 한쪽 끝부분을 사이에 두고 메인붐(210)의 양쪽 측면을 감싸며 밀착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둥체(201)의 상부 끝부분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동조실린더(292)는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회전기둥체(2010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보조메인브래킷(290)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교량(2)의 점검이나 보수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탑승함(300)에 탑승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차량(100)을 운전하여 교량(2) 상부의 일측 가장자리로 이동한다.(도 13 참조)
상기 차량(100)의 운전은 작업자가 유선리모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이용하여 엔진(140)의 구동 및 바퀴(120)와 연결된 조향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점검이나 보수 등을 행하기 위한 교량(2)까지 거리가 먼 경우 트레일러 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고소 작업차를 근처까지 이동한 후 작업자가 차량(100)을 주행하여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차량(100)을 교량(2)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탑승함(3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유선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크레인장치(200)의 회전기둥체(201)의 회전을 비롯한 메인붐(210)과 제1굴절부(230), 제2굴절부(250), 탑승대(270) 등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교량(2)의 측면 모서리나 측면 모서리 하부, 천장 등에 대한 점검이나 보수 등을 행하기에 알맞은 위치로 탑승함(300)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먼저 상기 메인실린더(211) 및 굴절실린더(233), 링크실린더(253)의 피스톤로드를 각각 전진 이동시키면, 상기 메인붐(210)이 반시계방향으로 상향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기둥체(201)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함과 함께 제1굴절부(230)의 굴절붐(231)이 메인붐(210)과 이루는 각도 및 제1굴절붐(230)과 제2굴절부(250)의 굴절링크대(251), (252)가 이루는 각도가 각각 증가하게 되며 상기 탑승함(300)는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도 14 참조)
상기와 같이 크레인장치(100)의 각도가 증가할 때 상기 제1굴절부(230)의 굴절붐(231)과 수평유지대(232) 및 제2굴절부(250)의 제1굴절링크대(251) 및 제2굴절링크대(252)는 회전되는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240) 및 제2연장브래킷(260)이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붐(210)의 회전각도만큼만 회전하도록 각도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메인붐(210)이 회전할 때 상기 수평유지실린더(280)는 수평동조실린더(290)와 동조를 이루며 피스톤로드가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탑승대(270)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붐(210)과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상기 탑승대(270)는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항상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탑승함(300)을 점검이나 보수 등을 행하고자 하는 교량(2)의 측면 모서리 하부 쪽 등으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15 참조)
즉 상기 메인붐(210)을 반시계방향으로 하향 회전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굴절실린더(233) 및/또는 링크실린더(253)를 작동시켜 상기 굴절붐(231) 및 수평유지대(232), 굴절링크대(251), (25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탑승함(300)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며, 이 때 역시 메인붐(2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탑승대(270)가 메인붐(210)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수평유지실린더(280) 및 수평동조실린더(290)가 작동하면서 탑승함(300)의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탑승함(300)이 위치함에 따라 작업자는 교량(2)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위치에서 작업자는 교량(2)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량(100)이 주행하도록 유선리모콘으로 운전하면서 탑승함(300)에서 내리지 않고 교량(2)을 전체에 걸쳐 보수 및 점검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2 : 교량 100 : 차량
110 : 차체 120 : 바퀴
130 : 엔진룸 200 : 크레인장치
210 : 메인붐 220 : 메인브래킷
230 : 제1굴절부 240 : 제1연장브래킷
250 : 제2굴절부 260 : 제2연장브래킷
270 : 탑승대 280 : 수평유지실린더
290 : 보조메인브래킷 282 : 수평동조실린더
300 : 탑승함

Claims (3)

  1.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탑승함이 설치되는 크레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각각 축설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장치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이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기둥체와, 상기 회전기둥체의 상부 끝부분과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붐과, 상기 회전기둥체와 메인붐을 연결하고 메인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붐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연장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제1연장브래킷을 연결하는 제1굴절부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연장브래킷과,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제2연장브래킷을 연결하는 제2굴절부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탑승함을 구비한 탑승대와, 상기 제2연장브래킷과 상기 탑승대를 연결하는 수평유지실린더와, 상기 메인붐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메인브래킷과, 상기 회전기둥체와 보조메인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실린더의 회전시 상기 수평유지실린더가 메인붐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수평유지실린더와 동조운동하는 수평동조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굴절부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절붐과, 상기 메인브래킷과 굴절붐을 연결하고 굴절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굴절실린더와, 상기 굴절붐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굴절붐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메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유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굴절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각각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2연장브래킷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굴절링크대와, 상기 제1연장브래킷과 한쌍의 상기 굴절링크대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고 굴절링크대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링크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브래킷은 상기 메인붐의 윗면을 감싸며 용접 고정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하향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메인붐의 측면을 감싸며 용접 고정되면서 하부쪽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브래킷은 삼각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제1브래킷판과, 상기 제1브래킷판의 한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1브래킷연결판과, 상기 제1브래킷판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브래킷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브래킷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한쌍의 제2브래킷판과, 상기 제2브래킷판의 한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브래킷연결판과, 상기 제2브래킷판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2브래킷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2. 삭제
  3. 삭제
KR1020110079532A 2011-08-10 2011-08-10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Active KR10114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32A KR101149877B1 (ko) 2011-08-10 2011-08-10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32A KR101149877B1 (ko) 2011-08-10 2011-08-10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877B1 true KR101149877B1 (ko) 2012-05-24

Family

ID=4627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532A Active KR101149877B1 (ko) 2011-08-10 2011-08-10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8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61B1 (ko) * 2014-02-19 2014-07-09 (주)페인테크 페인트 도장 전용 굴절차량
CN108442249A (zh) * 2018-05-17 2018-08-24 中交公局第工程有限公司 高悬空混凝土护拦移动作业平台
CN111206496A (zh) * 2020-03-12 2020-05-29 上海圭目机器人有限公司 一种预紧式爬索机器人
CN111395345A (zh) * 2020-04-23 2020-07-10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钉墙施工的摊铺作业车
KR20230001850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복수개의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차량
KR102710064B1 (ko) * 2024-07-23 2024-09-25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탑승부가 구비된 작업 차량
KR102756867B1 (ko) * 2024-07-23 2025-01-21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교량 및 교각 점검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5648A1 (fr) * 1982-01-28 1983-08-10 Asulab S.A. Moteur pas à pas à deux sens de rotation, notamment pour pièce d'horlogerie électronique, ainsi qu'ensemble le comprenant
KR19990083784A (ko) * 1999-08-03 1999-12-06 이준호 고소작업 시스템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5648A1 (fr) * 1982-01-28 1983-08-10 Asulab S.A. Moteur pas à pas à deux sens de rotation, notamment pour pièce d'horlogerie électronique, ainsi qu'ensemble le comprenant
KR19990083784A (ko) * 1999-08-03 1999-12-06 이준호 고소작업 시스템
KR200331406Y1 (ko) * 2003-07-10 2003-10-30 이재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61B1 (ko) * 2014-02-19 2014-07-09 (주)페인테크 페인트 도장 전용 굴절차량
CN108442249A (zh) * 2018-05-17 2018-08-24 中交公局第工程有限公司 高悬空混凝土护拦移动作业平台
CN111206496A (zh) * 2020-03-12 2020-05-29 上海圭目机器人有限公司 一种预紧式爬索机器人
CN111395345A (zh) * 2020-04-23 2020-07-10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钉墙施工的摊铺作业车
CN111395345B (zh) * 2020-04-23 2024-05-28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土钉墙施工的摊铺作业车
KR20230001850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복수개의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차량
KR102486516B1 (ko) 2021-06-29 2023-01-06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복수개의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차량
KR102710064B1 (ko) * 2024-07-23 2024-09-25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탑승부가 구비된 작업 차량
KR102756867B1 (ko) * 2024-07-23 2025-01-21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교량 및 교각 점검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77B1 (ko)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CN104528609A (zh) 一种桥式作业平台
US9493202B2 (en)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lf-supporting supporting framework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CN104512843A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工作平台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KR20130001458A (ko) 프리캐스트 박스 거더용 철근망 조립대
JP3022988B2 (ja) 橋下部検分設備
CN204588640U (zh) 桥式作业平台
JP7132774B2 (ja) 移動足場
ES2792573T3 (es) Rascador de pórtico con construcción de soporte basada en una construcción de entramado
CN204454480U (zh) 桥式作业平台的工作平台
JP2971042B2 (ja) 桁運搬機及び桁運搬方法
CN219527334U (zh) 一种桥侧检修车
US3456756A (en) Mobile cantilevered bridge scaffold
CN107604776B (zh) 铁路轨道施工用便梁横移吊
KR102149417B1 (ko)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CN104528607A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CN116464479A (zh) 一种隧道数字养护台车
DE202005001774U1 (de) Turmwagen als Oberleitungsmontagefahrzeug, vorzugsweise zur Überwachung, Montage, Reparatur von Oberleitungen bei Schienenfahrzeugen, ebenso an Beleuchtungskörpern, Masten usw.
RU2495816C1 (ru) Кран стреловой самоходный
WO2018038587A1 (en) Mobile telescopic bridge
JP6092705B2 (ja) 階段移動式足場
KR0160244B1 (ko)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작업대
KR200340381Y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