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9656B1 - 다용도 농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56B1
KR101149656B1 KR1020120001751A KR20120001751A KR101149656B1 KR 101149656 B1 KR101149656 B1 KR 101149656B1 KR 1020120001751 A KR1020120001751 A KR 1020120001751A KR 20120001751 A KR20120001751 A KR 20120001751A KR 101149656 B1 KR101149656 B1 KR 10114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rming
rake
present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정 filed Critical 이기정
Priority to KR102012000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14Hoes; Hand cultivators with teeth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농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인 농기구가 다양한 용도를 갖도록 창안된 다용도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주대(100); 및 본체(210)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주대삽입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1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작업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 1갈퀴부(216)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제 2갈퀴부(217)가 형성되며, 본체(210)의 우측부에는 제 3갈퀴부(218)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좌측부에는 날부(219)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농기구{Agricultural implement with multipurpose}
본 발명은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농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인 농기구가 다양한 용도를 갖도록 창안된 다용도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구(農器具)는 각종 농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및 기구로서, 주로 인력용, 축력용(畜力用)으로 사용되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다. 처음 단순한 막대로 시작한 농구는 경서용구(耕鋤用具), 파종용구(播種用具), 시비용구(施肥用具), 관개용구(灌漑用具), 수확용구(收穫用具) 등 농업의 전과정에 걸쳐 많은 종류의 농구가 생겼고, 또 운반용구 등 부차적(副次的)인 것도 발달되었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농기구로는 ① 경서용구 : 쟁기?쇠스랑?나래?곰방메?나무쇠스랑?가래?괭이, ② 파쇄 및 진압용(鎭壓用) 농구 : 써레?곰데?번지, ③ 파종 및 시비용구 : 삼태기?바구니?오줌바가지?오줌통?씨앗통?거름삼태기, ④ 중경 ?제초용구(中耕除草用具) : 호미?극젱이(후치), ⑤ 관개용구: 용두레?것두레, ⑥ 수확용구 : 낫, ⑦ 조제용구 : 갈퀴?키?체?비?도리깨?넉가래?멍석?도래방석?풍구, ⑧ 정곡(精穀) 및 정분용구(精粉用具) : 돌절구?맷돌?물방아?나무메, ⑨ 운반용구 : 지게?길마멍에?거름지게?베거울채?거름발채?달구지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농기구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것으로서,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밭 농사를 할 때, 밭의 상태나 여건에 따라 특정 기능의 농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때 일정 농기구를 사용하다 작업 여건이 변화되어 다른 농기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른 농기구를 찾아서 다시 작업 자세를 갖추어야 되므로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밭농사는 주로 이동하면서 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서,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가 필요할 경우, 해당 농기구가 보관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되므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된다.
또한, 밭농사를 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농기구는 물론, 비료나 각종 도구들을 소지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되며, 이때 각각의 농기구들이 그 부피와 무게를 주로 차지하므로 여러 종류의 농기구들을 일일이 운반하고 취급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고령자들의 경우에는 농기구가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단일 제품에서 다양한 용도를 구현할 수 있는 농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29970호(2009. 11. 26), 배경기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의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 가능한 다용도 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의 사용을 위해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것이 가능한 다용도 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령의 사용자도 작업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용도 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절기에 굳어진 눈을 타격하여 치우는 것이 가능한 다용도 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주대; 및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주대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작업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농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및 지주대삽입구에는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제 1갈퀴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에는 제 2갈퀴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우측부에는 제 3갈퀴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좌측부에는 날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농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작업부재가 지주대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둘째, 각종 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작업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의 사용을 위해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셋째, 여러 종류의 농기구들을 일일이 운반하고 취급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특히, 고령의 사용자도 작업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동절기에 굳어진 눈을 타격하여 치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농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의 조립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에 있어서의 작업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농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에 있어서의 작업부재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는 크게 지주대(100)와 작업부재(200)를 포함한다.
지주대(100)는 각종 작업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나무재질의 봉(棒) 형태를 구비하고, 작업부재(200)와 연결되는 단부는 작업부재(2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테이퍼(taper)진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부재(200)는 본체(210)와, 본체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 부착되는 지주대삽입구(22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210)는 장방 형태의 금속(가령, S45C, SS41등) 재질로서, 중앙부에는 지주대(100)의 밑면에 나사(212) 결합되기 위한 나사체결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대삽입구(220)는 금속(S45C, SS41등) 재질로서,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나사체결공(214)에 취부된 상태에서 본체(210)상에 용접을 통해 고정 부착된다. 또한, 지주대삽입구(220)는 단부가 테이퍼진 지주대(100)의 형상과 대응하여 하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지주대삽입구(220)에는, 지주대(100)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222)가 결합되는 나사체결공(224)이 형성된다. 지주대(100)는 하단부를 통해 지주대삽입구(220)에 망치와 같은 타격도구를 통해 삽입된 후, 나사(212)(222)를 통해 작업부재(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지주대삽입구(220)가 부착된 작업부재(200)는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청도료인 광명단과 에나멜을 8: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지주대삽입구(220)가 부착된 작업부재(200)를 침지시켰다가 꺼내어 건조시켜 사용한다. 광명단은 커다란 철제 구조물(철골, 한강다리등)의 외부에 칠해지는 주황색 도료이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 1갈퀴부(216)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제 2갈퀴부(217)가 형성되며, 본체(210)의 우측부에는 제 3갈퀴부(218)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좌측부에는 날부(219)가 형성된다.
이때, 제 3갈퀴부(218)는 본체(210)의 우측부에 한정되어 형성되지 않는다, 즉,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전술한 날부(219)가 생략되고, 제 3갈퀴부(219-1)(219-2)가 본체(2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다.
제 1갈퀴부(216)는 깊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서, 도면에는 3개의 갈퀴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갈퀴부(217)는 제 1갈퀴부(21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서, 도면에는 5개의 갈퀴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갈퀴부(218)는 제 2갈퀴부(217)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서, 도면에는 11개의 갈퀴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날부(219)는 본체(210)의 측면, 즉 제 1갈퀴부(216)와 제 2갈퀴부(217) 사이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이다. 이러한 날부(219)는 편평하게, 대략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지주대(100)를 파지하고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작업부재(200)를 사용한다. 즉, 각종 뿌리작물을 캐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깊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제 1갈퀴부(216)를 이용하여 땅에 깊은 홈을 낼 수가 있다. 이렇게 형성된 홈에는 씨앗이나 모종, 파종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 1갈퀴부(216)를 이용하여 큰 잡초를 제거할 수 있고, 흙속의 뿌리열매, 뿌리작물등을 캐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갈퀴부(216)를 이용하여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데에도 편리하고, 각종 작물을 심을 때 유용하다. 또한, 제 1갈퀴부(216)를 이용하여 홈에 웃거름을 주고 메우거나 작은 돌을 골라내거나 갯벌조개를 캐는 데 유용하다.
한편, 제 1갈퀴부(21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제 2갈퀴부(217)를 이용하여 작은 잡초를 제거할 때에 뿌리까지 뽑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그리고 제 2갈퀴부(217)를 이용하여 작은 돌이나 작은 흙덩어리 등을 걷어내거나 파종작물을 솎아내는 데 효율적이다.
한편, 제 2갈퀴부(217)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은 홈을 낼 수 있는 돌기와 홈이 다수개 형성된 제 3갈퀴부(218)를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판자를 고르거나 각종 작물을 심을 때 유용하다.
또한, 제 3갈퀴부(218)를 이용하여 땅에 홈을 파고 이렇게 형성된 홈에는 씨앗이나 모종, 파종 작업을 하거나, 파종작물을 솎아내는 데 효율적이다.
또한, 제 3갈퀴부(218)를 이용하여 홈에 웃거름을 주고 메우거나 작은 돌을 골라내거나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데에도 편리하고, 갯벌조개를 캐는 데 유용하다.
또한, 제 2, 제 3갈퀴부(217)(218)를 이용하여 뿌리보다 크게 자란 잎과 줄기가 돌기와 홈에 의해 걸려서 나오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크고 작은 잡초를 뿌리 깊이까지 파내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제 3갈퀴부(217)(218)를 이용하여 잡초가 나기 전에 작물 사이 및 두둑(논이나 밭 가장자리에 경계를 이룰 수 있도록 두두룩하게 만든 것)을 긁어줌으로써 잡초 예방에 효과적이다.
날부(219)는 씨앗을 뿌린 홈 위에 흙을 덮을 때에 유용하고, 흙을 평평하게 고르거나 밭고랑에 뽑힌 잡초를 걷어내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에 제 1갈퀴부(216), 제 2갈퀴부(217), 제 3갈퀴부(218), 날부(219)등을 이용하여 굳어진 눈을 타격하여 치우거나, 사람이 밟고 지나간 눈자국, 차량이 지나간 눈자국등을 처리하여 치우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작업부재(200)가 지주대(100)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각종 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작업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의 사용을 위해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농기구들을 일일이 운반하고 취급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특히, 고령의 사용자도 작업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지주대 200 : 작업부재
210 : 본체 216 : 제 1갈퀴부
217 : 제 2갈퀴부 218 : 제 3갈퀴부
219 : 날부 220 : 지주대삽입구

Claims (3)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주대(100)와; 본체(210)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주대삽입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1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작업부재(200)를 포함하는 다용도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 및 지주대삽입구(220)에는 나사(212)(222)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공(214)(22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 1갈퀴부(216)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제 2갈퀴부(217)가 형성되며, 본체(210)의 우측부에는 제 3갈퀴부(218)가 형성되고, 본체(210)의 좌측부에는 날부(219)가 형성된 다용도 농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20001751A 2012-01-06 2012-01-06 다용도 농기구 KR10114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51A KR101149656B1 (ko) 2012-01-06 2012-01-06 다용도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51A KR101149656B1 (ko) 2012-01-06 2012-01-06 다용도 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656B1 true KR101149656B1 (ko) 2012-05-25

Family

ID=4627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751A KR101149656B1 (ko) 2012-01-06 2012-01-06 다용도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16B1 (ko) 2015-06-16 2015-12-31 조준래 농기구 및 수공구용 각도 조절 연결부
KR20230170853A (ko) 2022-06-11 2023-12-19 김관민 복합 농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91U (ko) * 1995-07-04 1997-02-19 장춘석 다용도 호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91U (ko) * 1995-07-04 1997-02-19 장춘석 다용도 호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16B1 (ko) 2015-06-16 2015-12-31 조준래 농기구 및 수공구용 각도 조절 연결부
KR20230170853A (ko) 2022-06-11 2023-12-19 김관민 복합 농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466A (en) Prong-equipped garden tool
US6634435B2 (en) Water jet weeder, cultivator, root waterer, and aerator
US5765648A (en) Multipurpose garden tool
AU2013326419B2 (en) Multifunctional digging tool
US5960891A (en) Multipurpose scoop tool
KR20120008998A (ko) 제초기
US5628370A (en) Lawn and garden tool
KR101149656B1 (ko) 다용도 농기구
US20120267127A1 (en) Garden tool for planting starter plants, flower bulbs, ornamentals, shrubs seeds, and seedlings
CN206433333U (zh) 手持式两用伸缩工具
US8776909B2 (en) Double headed hand-powered cultivator
CN201577270U (zh) 一种园艺用锄头
US2873809A (en) Cultivating tool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US10143121B2 (en) Garden tool
CN203863639U (zh) 多功能一体式园林工具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US20050133230A1 (en) Hand held garden too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5961691U (zh) 一种多功能一体式园艺工具
Babu et al. Manually operated dry land weeder: a study
RU2654726C2 (ru) Ручной садово-огородный рыхлитель почвы
CN207252149U (zh) 多功能折叠式播种器
CN211580548U (zh) 简易除草松土器
CN201248232Y (zh) 耙锄
CN205847883U (zh) 一种多功能除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