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49B1 -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349B1 KR101149349B1 KR1020100036353A KR20100036353A KR101149349B1 KR 101149349 B1 KR101149349 B1 KR 101149349B1 KR 1020100036353 A KR1020100036353 A KR 1020100036353A KR 20100036353 A KR20100036353 A KR 20100036353A KR 101149349 B1 KR101149349 B1 KR 1011493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tube
- air
- contents
- tub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09219 Horde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내용물 또는 분체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대용량의 포대를 직립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튜브, 및 이를 구비한 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대 직립용 튜브는, 포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포대를 확개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튜브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튜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튜브와, 상기 제1 및 제2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튜브 또는 제2 튜브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부와,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튜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be used to erect a large-capacity bag for accommodating and storing three-dimensional contents or powder contents, and a bag having the same.
The bag upright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to expand the bag, a plurality of first tube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e to support the first tube. A plurality of second tube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ub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as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for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tubes; At least one air inlet formed in the first tube or the second tube and at least one air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tubes to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쌀(또는 벼), 보리, 밀 등의 곡물 등의 입체(粒體) 내용물, 또는 모래, 밀가루 등의 분체(粉體)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대용량의 포대를 직립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튜브, 및 이를 구비한 포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erect a large-capacity bag for accommodating and storing three-dimensional contents such as grains such as rice (or rice), barley and wheat, or powder contents such as sand and flour. A tube, and a bag having the same.
종래로부터, 농가에서 벼나 보리 등의 곡물을 추수하여 보관할 때에는 자루 형태로 된 포대에 담아 보관하고 있다.Conventionally, when harvesting and storing grains such as rice and barley in farms, they are stored in bags in the form of bags.
그런데 이러한 포대는 빈 포대 상태에서 세웠을 때 벌어진 상태로 서 있을 수 있는 지지력이 없기 때문에 곡물을 담을 때 사람이 포대 입구를 벌려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포대에 곡물을 담은 후에는 상단부를 묶음끈 등으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However, these bags were inconvenient to open the entrance of the bag when storing grain because there is no support to stand open when standing in the empty bag state, after holding the grain into the bag There was also a hassle to ti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루의 구조를 개선하여 곡물 등의 내용물을 담을 때 사람이 잡아 줄 필요없이 스스로 서 있을 수 있게 하는 구조의 포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ag of the structure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of a bag and can stand by itself without having to hold | maintain the contents, such as grain, is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포대본체의 상면에 망사형태의 재질로 된 뚜껑을 형성하되 일부분만 포대본체와 연결함과 함께, 뚜껑의 끝단 테두리부와 포대본체의 상단부에 지퍼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토록 하였으며, 또한, 포대본체의 외면에 세로방향으로 세로보강천을 봉제한 후 그 상중하단에 3개의 지지봉 고정핀을 결합하고, 이들 고정핀에 견고한 합성수지 또는 가벼운 금속재질의 지지봉을 삽입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포대를 벌려 세웠을 때 그 형태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지지봉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a lid made of a mesh-shaped materia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g main body, and only a part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ag main body, and a zipper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lid and the upper end of the bag main body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by sewing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fab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body by combining the three support rod fixing pins i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inserting a strong synthetic resin or a light metal support rod into the fixing pins When the bag is opened, the shape of the bag is kept round so that it is not knocked over by the support rod.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포대에 지지봉을 삽입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포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봉으로서, 견고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사용 포대를 보관할 때에는 지지봉의 길이로 인해 펼쳐진 상태나 세로로 긴 형태로 접어서 보관할 수 밖에 없어서, 포대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대의 제조시, 지지봉, 세로 보강천, 지지봉 고정핀 등을 포대에 부착 또는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수나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in the said patent document 1, since the structure which inserts a support rod into a bag is employ | adopted, there exist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store when a bag is not used. That is, since the support rod is made of a strong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when the unused bag is stored, it has no choice but to be folded and stored in a stretched state or a vertical shape due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ro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ore the bag. there was.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rod, longitudinal reinforcing cloth, support rod fixing pins and the like must be attached to or fixed to the bag during manufacture of the ba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or parts increases, leading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대 내면에 내장 또는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포대 직립용 튜브 및 이를 구비한 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g for upright bag and a bag having the same, which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 simple structure that is embedded or inserted into the bag inner surface.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입체 또는 분체로 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포대의 내주에 삽입되어, 포대를 직립시키기 위한 튜브로서, 상기 포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포대를 확개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튜브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튜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튜브와, 상기 제1 및 제2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튜브 또는 제2 튜브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부와,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튜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for inserting a bag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r powdery content is to be stored and for standing up the bag. The tub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to expand the bag. The first tub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e to support the first tub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ub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to allow air to flow therethrough. A plurality of second tubes, at least one air inlet formed in the first tube or the second tube, for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tubes,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It is formed in 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tubes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포대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튜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discharge unit, the air flow path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air in the first and second tubes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tube by the contents stored in the bag is automatically opened.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입체 또는 분체로 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포대로서, 상기 포대 직립용 튜브가 삽탈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bag for storing the three-dimensional or powder content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upstanding tube for bag being built in detachably.
여기서, 상기 포대는, 상기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포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g includes a strip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air discharge part is formed.
또는, 상기 포대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지퍼 처리된 뚜껑이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zippered li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ag.
또는, 상기 포대의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검수개구용 지퍼가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check opening zipper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bag.
또는, 상기 포대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망사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bag may be made of a mesh shape in which hol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포대 직립용 튜브를 제공함으로써, 포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포대의 직립 및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곡물 등의 내용물 주입시에 매우 편리하게 되고, 또한, 비사용 포대의 보관 시에는, 튜브 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것만으로 포대를 접거나 둘둘 말아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ag upright tube having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upright and opening state of the bag even when the bag is empty, it is very convenient when injecting the contents, such as grain, At the time of storage of an unused bag, the bag can be folded or rolled up and stored simply by evacuating the air in a tube, and the ease of storag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튜브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튜브의 공기 배출 동작 설명을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포대가 비어있을 때에 튜브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의 공기배출부와 스트립 간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포대에 내용물이 쌓여감에 따라 튜브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에서의 공기배출부와 스트립 간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ube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ir discharge operation of the tube shown in FIG.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strip when the tube is filled with air when the bag is empty; ,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strip in the state that the air in the tube is discharged as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ba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대(1)는, 곡물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포대본체(10)와, 이 포대본체(10)의 내면과 접촉하여 포대의 직립상태를 유지해 주는 튜브(30)와, 내용물이 투입되는 포대본체(10) 상부의 투입부(40)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포대본체(10) 하부의 일부에 형성된 배출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g 1 includes a bag
또한, 상기 포대본체(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투입부(40)의 공간을 덮는 뚜껑(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대본체(10)의 상단 둘레와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서로 맞물려 투입부(40)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부(11, 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곡물 등의 내용물을 포대(1)에 투입한 후 지퍼부(11, 21)를 이용하여 뚜껑(20)을 닫아서 포대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힘들게 끈을 당겨 묶는 종래의 포대 구성에 비하여, 밀폐가 용이하며 내용물이 흘러나올 염려가 없다.In addition, a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부(50)에도, 상기 투입부(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포대본체(1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부(50)의 둘레와 뚜껑(60)의 둘레에 서로 맞물려 배출부(50)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부(51, 61)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포대본체(10)의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검수개구용 지퍼(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포대 내부에 수용 보관된 곡물 등의 내용물을 검사할 때에, 지퍼(12)를 열어 포대본체(10)의 일부만을 개구하여 소량의 내용물을 인출한 후 지퍼(12)를 잠그면 되기 때문에, 포대의 측면을 찔러서 내용물을 검사하는 종래의 포대 구성에 비하여, 포대가 찢어져서 곡물이 흘러나올 염려가 없다.In addition, at the side of the
또한, 상기 포대(1)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망사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써, 포대(1) 자체를 통기가 잘 이루어지는 망사 형태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내용물을 포대(1) 내에 보관하더라도 부패를 방지 내지는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포대(1) 내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에서 쉽게 시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g 1 may be made of a mesh form having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by, by using the mesh form of a well ventilated bag 1 itself, even if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bag 1 for a long time,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corrup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stored in the bag 1 can be easily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포대본체(10)의 외측면 상부에 소정 넓이의 걸이밴드(h)를 접착 또는 박음질 등에 의해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용물이 보관된 포대(1)를 운반할 때에, 걸이 밴드(h)에 운반기계의 운반용 고리 등을 걸어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er band (h) of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대 기립용 튜브(3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튜브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ube shown in FI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30)는, 포대본체(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포대본체(10)를 확개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튜브(30a)와, 상기 제1 튜브(30a)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튜브(30a)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튜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튜브(30b)와, 상기 제1 및 제2 튜브(30a, 30b)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튜브(30a) 또는 제2 튜브(30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부(31)와,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튜브(30a, 30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부(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32)는, 상기 포대(1)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제1 튜브(30a) 또는 제2 튜브(30b)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튜브(30a, 30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하, 포대 직립용 튜브(30)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bag
상기 튜브(30)는 포대본체(10)의 내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거나, 또는 포대 본체(10)에 일체로 부착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며, 튜브(30) 내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대(1)와 마찬가지로 접거나 둘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30)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대본체(10) 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에 기초하여 포대(1)를 기립하는 동작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우선, 곡물 등의 내용물을 포대본체(10) 내에 투입하기 전에, 튜브(30)에 형성된 공기 주입부(31)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포대본체(10)를 수평방향으로 확개시키면서 수직방향으로 직립시킨다. 공기 주입이 완료되면, 튜브(30)가 포대본체(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대본체(10)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포대(1)가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irst, before introducing contents such as grain into the bag
그 후, 포대(1) 내에 곡물 등의 내용물을 투입하게 되면, 포대본체(10)의 하부에서부터 내용물이 쌓이면서, 이 내용물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포대본체(10) 내주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 튜브(30a, 30b)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부치게 하여, 이 제1 및 제2 튜브(30a, 30b) 내부의 공기가 튜브(30) 내의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포대(1)는 포대 자체의 직경이 제한되어 있어,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지 않으므로, 튜브(30) 내의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향하는 공기가 제1 튜브(30a) 및 제2 튜브(30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공기배출부(32)를 통하여 서서히 배기되어간다. 그리고, 포대본체(10) 내에 내용물이 완전히 투입되어 가득 차게 되면, 튜브(30) 내의 공기도 공기 배출부(32)를 통하여 완전히 배기된다. 다만, 튜브(30)의 공기가 배기되더라도 포대(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의하여 포대(1)는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포대(1) 내부에 곡물을 투입할 때에 포대를 사람이 잡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되어, 수고를 덜 수 있다.After that, when the contents such as grains are put into the bag 1, the contents are accumul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부(32)는 수동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실용상 자동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튜브(30) 내의 공기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32)가 형성된 튜브(도 2에서는, 제1 튜브(30a))의 위치에 대응하여, 포대본체(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신축성이 적은 재질의 스트립(13; 도 1 참조)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튜브(30) 내의 공기 배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air discharge | release operation in the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튜브의 공기 배출 동작 설명을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포대가 비어있을 때에 튜브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의 공기배출부와 스트립 간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포대에 내용물이 쌓여감에 따라 튜브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에서의 공기배출부와 스트립 간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ir discharge operation of the tube shown in FIG.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strip when the tube is filled with air when the bag is empty; ,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strip in the state that the air in the tube is discharged as the contents accumulated in the bag.
우선, 튜브(30)의 공기 주입부(31)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30)가 팽창됨과 함께, 이 튜브(30)의 팽창에 따라 포대본체(10)가 직립되게 되고, 포대본체(10)의 내부(튜브(30)가 차지하는 부분 제외)가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즉,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30)의 공기배출부(32)의 일단부가 포대본체(10)의 스트립(13)과 접촉(포대(1)가 중간에 개재될 수도 있음)하고 있으나, 스프링(32b)의 가압력에 의해 공기배출부(32)의 배기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First, when air is injected through the
그 후, 포대본체(10) 내에 곡물 등의 내용물이 투입되어 쌓이게 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튜브(30)의 외측면(여기서는, 제1 튜브(31a)의 외측면)이 포대본체(10)의 스트립(13)과 더욱 밀착되게 되어, 튜브(30)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부(32)의 배기구(3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reafter, when the contents such as grains are put and accumulated in the ba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원형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2개 제1 튜브(30a)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원기둥 형상의 제2 튜브(30b)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 튜브(30a, 30b)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각 링 형상으로 된 3개 이상의 제1 튜브(30a)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3개 또는 5개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된 제2 튜브(30b)와 연통 가능하게 내부가 연결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w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주입부(31)가 제1 튜브(30a)에만 2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튜브(30a) 및 제2 튜브(30b) 중 적어도 하나에 단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w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배출부(32)가, 포대본체(10)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튜브(30a)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 튜브(30b)에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튜브(30a, 30b)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32)의 형상도 도 3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튜브(30) 내의 공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쌀, 보리, 밀 등의 입체 내용물, 또는 모래, 밀가루 등의 분체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대용량의 포대에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large-capacity bag for storing and storing three-dimensional contents such as rice, barley and wheat, or powder contents such as sand and wheat flour.
1 : 포대 10 : 포대본체
11 : 지퍼부 12 : 지퍼
13 : 스트립 20 : 뚜껑
21 : 지퍼부 30 : 튜브
30a : 제1 튜브 30b : 제2 튜브
31 : 공기 주입부 32 : 공기 배출부
32a : 배기구 32b : 스프링
40 : 투입부 50 : 배출부
51 : 지퍼부 60 : 뚜껑
61 : 지퍼부1: turret 10: turret main body
11: zipper 12: zipper
13: strip 20: lid
21: zipper 30: tube
30a:
31: air inlet 32: air outlet
32a:
40: input part 50: discharge part
51: zipper 60: lid
61: zipper
Claims (7)
상기 포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포대를 확개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튜브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튜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튜브와,
상기 제1 및 제2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튜브 또는 제2 튜브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부와,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튜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포대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튜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직립용 튜브.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g for storing three-dimensional or powdery contents, and as a tube for standing the bag upright,
A plurality of first tubes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to expand the bag and having a ring shape;
Dugoseo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e to support the first tube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ube a second plurality of which are inside the communication path so that air could work With tube ,
At least one air inlet formed in the first tube or the second tube to inject air into the first and second tubes;
At least one air discharge part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to discharge ai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tubes to the outside;
Including,
Wherein the air outlet, the air flow path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air in the first and second tubes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tube by the contents stored in the bag is automatically opened
Bag upright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는 포대본체와,
상기 포대본체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서 삽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포대 직립용 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As a bag for storing three-dimensional or powdered contents,
And the main body and the contents are put and stored;
The bag for standing upright of Claim 1 arrange | positioned so that removal is possib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bag main body.
Bags comprising a.
상기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포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부착된 스트립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a strip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상기 포대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지퍼 처리된 뚜껑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a zippered lid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ag.
상기 포대의 측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검수개구용 지퍼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ag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nspection opening zipper formed on the side of the bag.
상기 포대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ag is a bag,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sh form a hole of a constant siz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353A KR101149349B1 (en) | 2010-04-20 | 2010-04-20 |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353A KR101149349B1 (en) | 2010-04-20 | 2010-04-20 |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755A KR20110116755A (en) | 2011-10-26 |
KR101149349B1 true KR101149349B1 (en) | 2012-05-30 |
Family
ID=4503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3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9349B1 (en) | 2010-04-20 | 2010-04-20 |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3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758B1 (en) | 2012-07-16 | 2013-02-13 | 박현복 | Storage sack for agricultural produc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71300B (en) * | 2021-06-29 | 2023-09-26 | 安徽义林塑业有限公司 | Flame-retardant non-woven fabric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188U (en) * | 1999-09-13 | 2000-01-25 | 서용교 | Improved Grain Bag |
KR200301956Y1 (en) * | 2002-09-03 | 2003-01-29 | 대안화학주식회사 | Air Bag for Packing Box |
-
2010
- 2010-04-20 KR KR1020100036353A patent/KR1011493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188U (en) * | 1999-09-13 | 2000-01-25 | 서용교 | Improved Grain Bag |
KR200301956Y1 (en) * | 2002-09-03 | 2003-01-29 | 대안화학주식회사 | Air Bag for Packing Box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758B1 (en) | 2012-07-16 | 2013-02-13 | 박현복 | Storage sack for agricultural produ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755A (en) | 2011-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349B1 (en) | Tube for standing bag, and bag comprising the same | |
CN102292272A (en) | Bag for bulk goods, and method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bulk goods | |
KR101011503B1 (en) | Container Bag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Bag Structure | |
CN105980268A (en) |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CN111247073B (en) | Flexible container | |
JP6713311B2 (en) |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inner bag and inner bag used in the method | |
JP6127027B2 (en) | Double structure flexible container bag | |
KR101095116B1 (en) | Container bag structure | |
CN104326146B (en) | Liquid food drop free bag and mouth-sealing method thereof | |
US12084267B2 (en) | Bag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 of a pulverulent product and method of filling the same | |
CN109071105A (en) | It is equipped with the container bag for holding up type hook automatically | |
US20060104546A1 (en) | Container bag | |
KR101458785B1 (en) | 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 |
CN205947411U (en) | Aircraft packing knapsack | |
KR102391716B1 (en) | Bag for containing food | |
CN104071484A (en) | Round packaging bag with double hanging rings | |
US20100147906A1 (en) | Handbag Support Article | |
CN207898091U (en) | Facilitate the article-holding device for placing upright bar | |
JP2000238886A (en) | Self-supporting container | |
KR20230015248A (en) | a functional baffle bag with the rectangular shape maintenance | |
KR200488382Y1 (en) | Portable sack | |
JP2008285177A (en) | Container bag | |
CN205240212U (en) | Handbag and use tealeaves package assembly of this handbag | |
RU49516U1 (en) | ELASTIC CONTAINER FOR TRANSPORTING, STORING AND LIFTING OF BULK AND BULK MATERIALS | |
CN205150573U (en) | Cotton -wadded quilt vacuum 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