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8862B1 -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862B1
KR101148862B1 KR1020100011476A KR20100011476A KR101148862B1 KR 101148862 B1 KR101148862 B1 KR 101148862B1 KR 1020100011476 A KR1020100011476 A KR 1020100011476A KR 20100011476 A KR20100011476 A KR 20100011476A KR 101148862 B1 KR101148862 B1 KR 10114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vacuum
filter
suction port
suction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2048A (en
Inventor
박순욱
이상헌
전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862B1/en
Publication of KR2011009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86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5Dry filters funne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1Pressure, vacuum level or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는 먼지 흡입용 흡입구를 구비한 본체; 및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며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을 포함한다.Disclosed are a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multi-head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dust suction; And a vacuum suction motor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suctioning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tion port.

Description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진공 청소기는 먼지를 거르기 위해 본체 내부에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의 장점은 미세 먼지에서부터 물, 냄새까지 다양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의 치명적인 문제는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다,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진공 청소기의 진공 흡입력이 저하되고,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공지된 아이디어의 문제점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생산원가의 상승을 유발하며 진공 청소기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used for home or industrial use may have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filter dust. The advantage of this filter is that it can remove a variety of fine dust, water, odors. However, the fatal problem of the filter is the clogging of the filter. When the clogging of the filter occurs,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is lowered and the motor is overloaded. Various ideas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a problem with known ideas is that they have a complex structure. Such a complicated structure leads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and may cause a failure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하고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히 제거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진공 청소기 및 그 진공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n improved structure to quickly remove clogging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먼지 흡입용 흡입구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을 포함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dust suction; And a vacuum suction moto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sucking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arranged in plural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ort. A multi-head vacuum cleaner is provid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suction port.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필터 사이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filter.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연결된 집진기에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상기 흡입구와 상기 청소기용 호스 사이에는 상기 청소기용 호스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from the cleaner hose to the suction por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cleaner hose.

상기 밸브는 모터 기동형, 솔레노이드형, 공압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valve may be any one of a motor starting type, a solenoid type, and a pneumatic cylinder typ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먼지 흡입용 흡입구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 중 흡입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dust suction; And a vacuum suction motor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suctioning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disposed in plural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ort. A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hea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suction port, and temporari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having a relatively low suction pressure among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s.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head vacuum clean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입구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에 의해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히 제거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된 진공 청소기 및 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clogging of the filter quickly by a plurality of vacuum suction motor unit arrang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uction port,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er of which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 control metho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main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main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자동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10, 이하 "진공 청소기"라 함)는 본체(20)와,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필터(40)와, 청소기용 호스(50)와, 흡입노즐(55)과, 압력센서(60)와, 밸브(65)와, 집진기(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a multi-head vacuum cleane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having an automatic filte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vacuum suction motor. The unit 30, the filter 40, the cleaner hose 50, the suction nozzle 55, the pressure sensor 60, the valve 65, and the dust collector 70 may be included.

상기 본체(20)는 후술하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흡입구(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와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튜브와 같은 공기 유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talling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suction port 22. The suction port 22 may be provided to suck dust. The suction port 22 an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connected by an air flow path such as a tube.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상기 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흡입구(22)로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하는 필터(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각각 상기 흡입구(22)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상기 흡입구(2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상기 흡입구(22)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각각 독립적으로 그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32)를 구비할 수 있다.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to suck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2 and pass the filter 4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2, respectively.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function to suck and filter dust from the suction port 22.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ort 22.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is independently controlle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include an exhaust port 32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상기 필터(40)는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상기 흡입구(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필터(40)는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일대일 대응 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와, 상기 필터(40)와,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은 하나의 공기통로 상에 직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4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suction port 22.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ilter 4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The filter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to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The suction port 22, the filter 40, an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may be disposed in series on one air passag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필터(40)가 한 세트를 형성하여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22)에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세트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필터(40)가 다른 세트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필터(40)와 독립적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filter 40 form a set, and a plurality of them are provided and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uction port 22.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filter 40 of one set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filter 40 of the other set.

상기 청소기용 호스(50)는 상기 흡입구(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용 호스(50)는 외부의 공기 및 먼지를 상기 흡입구(22)로 이송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용 호스(50)는 필요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주름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hose 5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2. The cleaner hose 50 may be a passage for transferring external air and dust to the suction port 22. The cleaner hose 50 may be formed with a corrugated pipe portion to be bent as necessary.

상기 흡입노즐(55)은 상기 청소기용 호스(50)의 자유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55)은 깔때기 형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노즐은 넓은 면적의 공기를 순차적으로 모아서 상기 청소기용 호스를 통해 상기 흡입구(22)로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55 may be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hose 50 for the cleaner. The suction nozzle 55 may have a funnel-shaped structure. That is, the suction nozzle may serve to collect air of a large area sequentially and send it to the suction port 22 through the cleaner hose.

상기 압력센서(60)는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상기 필터(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60)는 상기 필터(40)의 눈막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에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필터(40)에 걸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의 감지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그 압력센서(60)에 의한 감지 신호에 의해 그 필터(40)에 세트로 연결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함으로써 필터(40)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6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filter 40. The pressure sensor 60 may detect whether the filter 40 is clogged. When clogging occurs in the filter 40, since the detected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60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40 is relatively low, the detection signal by the pressure sensor 60 is reduced.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40 can be promptly eliminated by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connected to the filter 40 as a set.

상기 압력센서(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상기 필터(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 내에 설치된 집진기(70)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sensor 6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nd the filter 40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3. It may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or 7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기(70)는 상기 본체(2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기(70) 내부에 압력센서(60)가 설치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특정 필터(40)의 눈막힘 현상을 구별할 수 없지만 복수개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을 순차적으로 정지 및 가동시킴으로써 특징 필터(40)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ust collector 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As shown in FIG. 3, when the pressure sensor 60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or 70, a clogging phenomenon of the specific filter 40 may not be directly distinguished, but a plurality of vacuum suction motor units 30 may be used. By stopping and operating in sequence, clogging of the characteristic filter 40 can be promptly eliminated.

상기 밸브(65)는 상기 흡입구(22)와 상기 청소기용 호스(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65)는 상기 청소기용 호스(50)로부터 상기 흡입구(22)로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밸브(65)가 개방된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의 본래의 작용을 하는 것이며, 상기 밸브(65)가 폐쇄된 경우에는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40)와 직렬로 연결된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의 작동을 정지하여 그 필터(40)에 역으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눈막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65)는 필요에 따라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밸브(65)는 예컨대 모터 기동형, 솔레노이드형, 공압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65)는 열거된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밸브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valve 65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ort 22 and the cleaner hose 50. The valve 65 may act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air from the cleaner hose 50 to the suction port 22. When the valve 65 is opened, the vacuum cleaner functions as a vacuum cleaner, and when the valve 65 is close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lter 40 in which the clogging occurs. )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filter 40 to the reverse pressure can be eliminated clogging phenomenon. In this way, the valve 65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to control the operation as necessary. In this case, the valve 65 can adopt any one of a motor starting type, a solenoid type, and a pneumatic cylinder type. Naturally, the valve 65 may employ other types of valves in addition to the enumerated forms.

이하 상기 진공 청소기(10)의 작동과정을 예로 들어 상기 필터(40)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quickly removing a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by tak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acuum cleaner 10 as an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예컨대 2개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원 발명의 작용을 서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2개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 청소기(10)를 사용하여 청소작업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정상적인 청소작업 도중에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 설치된 필터(40)에서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쪽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정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 중 흡입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쪽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정지하면 다른 쪽에 설치된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계속해서 작동하여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40)에는 공기의 흐름이 역으로 흐르게 될 수 있다. 즉,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40)에 부착된 먼지는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필터(40)와 연결된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30)이 계속 작동함에 따라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40)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눈막힘 현상이 신속하게 해소될 수 있다. 필터(40)의 눈막힘 현상은 상기 압력센서(60)에 의해 감지하게 되며 그 압력센서(6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되어 그 제어장치가 특정한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필터에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반대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서 정지되었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이 다시 작동하고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쪽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ase where two vacuum suction motor units 30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4, when using the vacuum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vacuum suction motor units 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may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leaning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using the vacuum cleaner 10. If clogging occurs in the filter 40 installed in any one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s 30 during the normal clean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5, the vacuum suction motor on the side where the clogging occurs. Unit 30 may stop.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having a relatively low suction pressure i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is temporarily stopped. As such, wh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on the side where the clogging occurs is stoppe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continues to operate so that air flows to the filter 40 where the clogging occurs. Can be reversed. That is,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40 having the clogging phenomenon is the filter 40 having the clogging phenomenon as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30 connected to the filter 40 having no clogging phenomenon continues to operate. ) As shown in FIG. 5. Therefore, clogging can be solved quickly.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40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60,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60 is transmitted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control device has a specific vacuum suction motor unit. You can temporarily stop the operation of. In addition, when clogging occurs in the other filter as shown in FIG. 6, th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5. That is,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which has been stopped in FIG. 5 may be operated again, and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on the side where the filter clogging occurs may be temporarily stopped as shown in FIG. 6.

이와 같이 필터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 중 일부가 작동하고 있으므로 청소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청소작업 중에도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에 공기의 흐름이 역으로 작용하여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복수의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필터를 상기 흡입구에 병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 filter clogging occurs,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continued because some of the plurality of vacuum suction motor units are operating.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ir flows inversely to the filter that causes the clogg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eliminate the blockage phenomenon. Therefore, even if a complicated structure is not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vacuum suction motor units and filters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or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can be quickly eliminated. As such,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ffect of quickly eliminating clogging of the filter while having a low production cost due to a simple structure.

또한, 상기 밸브(65)를 필요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필터에 작용하는 공기압력의 방향을 신속하게 바꿀 수 있으므로 눈막힘 현상이 발생한 필터가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상태로 빠른 시간 안에 회복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air pressure acting on the filter can be changed quick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65 as necessary, there is an effect of recovering in a fast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n which the clogging occurs can function normal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지 않더라도 효과는 다소 떨어지나 눈막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described as being controlled independently, although the effect is somewhat reduced even i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not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clogging phenomenon. The purpose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에는 청소기용 호스가 연결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청소기용 호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is described as a cleaner hose is connected, but even if the cleaner hose is not connected it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quickly remove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기용 호스의 자유단부에는 흡입노즐이 연결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흡입노즐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필터의 눈막힘 현상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 end of the cleaner hose is described as a suction nozzle is connected, but even if the suction nozzle is not provided it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quickly remove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ilter.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필터 사이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filter, b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even if the pressure sensor is not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연결된 집진기에 압력센서가 설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b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even if the pressure sensor is not insta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청소기용 호스 사이에는 상기 청소기용 호스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밸브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효과는 다소 떨어지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from the cleaner hose to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cleaner hose, but the effect is somewhat reduced even if the valve is not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purpo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is described as being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even when the valve is not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모터 기동형, 솔레노이드형, 공압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밸브는 열거된 이외의 형태의 밸브도 채용이 가능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is described as being any one of a motor start type, a solenoid type, and a pneumatic cylinder type, but the valve may be a valve of a type other than those listed.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and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may be embod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진공 청소기 20...본체
22...흡입구 30...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
40...필터 50...청소기용 호스
55...흡입노즐 60...압력센서
65...밸브 70...집진기
10 Vacuum cleaner 20 Main unit
22 ... suction port 30 ... vacuum suction motor unit
40 ... filter 50 ... cleaner hose
55 Suction nozzle 60 Pressure sensor
65 ... valve 70 ... dust collector

Claims (6)

먼지 흡입용 흡입구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을 포함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dust suction; And
In the vacuum cleane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includes a vacuum suction motor unit for sucking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tion port,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arranged in plurality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inlet, multi-hea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is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필터 사이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betwee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fil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연결된 집진기에 압력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ulti-hea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청소기용 호스 사이에는 상기 청소기용 호스로부터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from the cleaner hose to the suction port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cleaner ho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모터 기동형, 솔레노이드형, 공압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alve is a multi-hea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otor start type, solenoid type, pneumatic cylinder type.
먼지 흡입용 흡입구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거르는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 중 흡입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 흡입용 모터 유닛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드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dust suction; And
A vacuum suction moto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suctioning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tion port,
A plurality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is arrang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ort, a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hea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is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and the suction por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having a relatively low suction pressure in the vacuum suction motor unit temporarily.
KR1020100011476A 2010-02-08 2010-02-08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148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476A KR101148862B1 (en) 2010-02-08 2010-02-08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476A KR101148862B1 (en) 2010-02-08 2010-02-08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48A KR20110092048A (en) 2011-08-17
KR101148862B1 true KR101148862B1 (en) 2012-05-29

Family

ID=449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4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8862B1 (en) 2010-02-08 2010-02-08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8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7446U (en) 1982-04-14 198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880004782A (en) * 1986-10-08 1988-06-27 미타 가츠시게 Operation method and device of vacuum cleaner
KR20010073930A (en) * 2000-01-22 2001-08-03 이충전 Vacuum cleaner
KR20070024741A (en) * 2004-08-30 2007-03-02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7446U (en) 1982-04-14 198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880004782A (en) * 1986-10-08 1988-06-27 미타 가츠시게 Operation method and device of vacuum cleaner
KR20010073930A (en) * 2000-01-22 2001-08-03 이충전 Vacuum cleaner
KR20070024741A (en) * 2004-08-30 2007-03-02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48A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16852A (en) Base station for vacuum cleaner
KR101926002B1 (en) Vacuum cleaner
US1007621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separator and a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separator
KR101845264B1 (en) Air breathing type fire detector with a dust auto cleaning device
CN209952461U (en) An automatic ash cleaning mechanism and a smoke purifier
CN103031818B (en) Suction nozzle, pulse gas circuit control system with suction nozzle and sweeping machine
CN106175595B (en) Air filter capable of back flushing
CN104153066A (en) Auto-control textile dust-removing pipe structure
CN105944485B (en) A kind of high effect dust cleaner
CN210613180U (en) Double-filter-cylinder alternative dust removal device of electric sweeper
KR101148862B1 (en) Multi-head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859684A (en) The vacuum air-channel system of sucker
CN105253483A (en) Blowing and sucking type cabin flow assisting device
CN203383941U (en) Self-cleaning air filter
CN203379722U (en) Improved air filter
CN112971614B (en) Self-cleaning control method for robot dust collection air duct
CN108807137A (en) Vacuum drainage device
KR102299153B1 (en) Auto Cleaning Device for Sampling Bag of Odor Sampler
US20080250762A1 (en) Dust Collector Tube Line Cleaner
CN218279520U (en) Air duct assembly for cleaning machine, separation module and cleaning machine
CN101637373A (en) Horizontal cyclone dust collection device
CN222077490U (en) A suction type smoke detector sampling pipeline cleaning device
CN212261262U (en) Self-cleaning mechanism of vacuum cleaner and cleaner thereof
CN215032146U (en) Vacuum cleaning system
CN109821315A (en) A kind of drone versio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