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8755B1 -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755B1
KR101148755B1 KR1020090126110A KR20090126110A KR101148755B1 KR 101148755 B1 KR101148755 B1 KR 101148755B1 KR 1020090126110 A KR1020090126110 A KR 1020090126110A KR 20090126110 A KR20090126110 A KR 20090126110A KR 101148755 B1 KR101148755 B1 KR 10114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disorder
snp
dna
present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395A (ko
Inventor
김용식
안용민
이규영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7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에 관련된 DUSP6 유전자의 SNP(단일염기다형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DUSP6 유전자 내의 신규한 2개의 SNP 위치 염기를 포함하는 10개 이상의 연속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 진단용 프로브,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SNP를 이용하면 양극성장애를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DUSP6 유전자, SNP, 양극성 장애

Description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Novel SNPs and mehod for diagnosing bipolar disorder using them}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와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NP는 DUSP6 (Dual specificity phosphatase 6) 유전자 내에 위치하는 SNP들이다.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는 평생 유병률이 2~5%에 달하며, 흔히 사춘기 후반이나 성인기 초기에 발병해 일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주요정신질환이다. 기분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대표적 기분장애로 조증 삽화, 우울증 삽화, 혼재성 삽화 등의 반복적 재발과 만성화가 특징적이다.
양극성 장애 환자의 가계연구에서 일반인구집단과 비교시 양극성 장애는 4배, 우울증은 2배의 유병률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양극성 장애의 쌍생아 연구에서는 일란성 쌍둥이에서 65-100% 진단이 일치하고 이란성 쌍둥이에서는 10-30%가 일치하였다. 여러 역학연구를 종합해 양극성 장애는 60~80%의 유전율(heritability)을 가지는, 유전율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양극성 장애 를 대상으로 많은 유전연구가 이뤄져 왔으나 다양한 염색체 부위에서 의미 있는 연관을 보였고 제시된 여러 후보 유전자 역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DUSP6 (Dual specificity MAP kinase phosphatase 6)는 MAPK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의 탈인산효소 중의 하나로 주요정신질환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는 증거가 많이 있다. 우선 MAPKs는 증식, 분화, 세포생존/사멸 등 다양한 세포 기능을 조절한다. DUSP6는 MKP-3 (MAPK phosphatase-3)라고도 하는데 MAPK 중 하나인 ERK1/2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와 서로 피드백 조절을 한다. ERK1/2는 주요정신질환 동물모델에서 활성수준의 변화를 보이고 양극성 장애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기분조절제와 항정신병약물 사용시 ERK1/2 신호전달계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즉, ERK 신호전달계는 양극성 장애의 발병 기전 및 치료제의 주요 표적 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DUSP6는 ERK1/2를 통해서, 혹은 직접적으로 주요정신질환의 발병 및 치료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DUSP6 유전자는 양극성 장애와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염색체 부위 중 하나인 12q22-23에 위치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DUSP6 유전자의 양극성 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DUSP6의 T/G변이 (Leu114Val, missense mutation, 엑손(exon) 1의 rs2279574)와, 정신분열병을 제외한, 양극성 장애에서만 보이는 양의 상관관계에 대해 보고한바 있다(K.Y. Lee, et al., 2006, "The association of DUSP6 gene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its possible role in the development of bipolar disorder", Molecular Psychiatry 11, p. 425-426. 참고). 특히 양극성 장애를 앓는 여자 환자의 경우 G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DUSP6 유전자 내에 위치하는 신규한 2개의 SNPs(인트론 2의 rs769700 및 엑손 2의 rs770087)에 대해 양극성 장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신규한 SNP들은 기능적인 부위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연관 불균형, 기술적 가능성 및 동아시아인에게서 소수대립유전자가 의미 있는 빈도로 존재하는지 여부 등의 기준을 고려해 선택하였다. DUSP6의 32개 SNP 중에서, 이전에 분석했던 rs227954 주위의 엑손 1에 위치한 SNP들은 소수 대립유전자 빈도가 거의 0에 가까워 추가분석대상에서 제외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의 발병 및 그 확률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신규한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등을 이용하여 양극성장애의 존재 또는 위험 유무를 효과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양태로 본 발명은 DUSP6 유전자(서열번호 1) 내의 신규한 단일염기다형성(SNP)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NP 부위(다형성 부위)는 DUSP6 전체 유전자(서열번호 1)에서 (전사 시작 염기를 +1로 하였을 때) 1524번째 염기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 SNP를 rs770087이라 명명하였다(도 1). 상기 rs770087은 DUSP6 유전자의 엑손 2에 위치하며, 보통의 사람들은 이 자리의 염기서열로서 T를 갖지만, 양극성 장애 환자의 경우 T를 적게 가지며, G를 많이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NP는 상기 다형성 부위가 G이고, 상기 1524번째 염기(G)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부터 유래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개 이상의 연속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SNP 부위(다형성 부위)는 DUSP6 전체 유전자(서열번호 1)에서 (전사 시작 염기를 +1로 하였을 때) 2683번째 염기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 SNP 를 rs769700이라 명명하였다(도 1). 상기 rs769700은 DUSP6 유전자의 인트론 2에 위치하며, 보통의 사람들은 이 자리의 염기서열로서 T를 갖지만, 양극성 장애 환자의 경우 T를 적게 가지며, C를 많이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NP는 상기 다형성 부위가 C이고, 상기 2683번째 염기 염기(C)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부터 유래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개 이상의 연속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SNP(단일 염기 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란 유전체의 한 염기서열이 집단 내에서 일정한 비율로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상기 rs770087 또는 rs769700 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형성 서열이다. 다형성 서열(polymorphic sequence)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중에 SNP를 나타내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포함하는 서열을 말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DNA 또는 RNA가 될 수 있다.
제 2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다형성 서열)을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 진단용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 그들과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그에 의해 인코딩되는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cDNA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아미노-실란(amino-sila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알데히드(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활성기가 코팅된 기판상에 고 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 유리, 석영,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기판에 고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파이조 일렉트릭(piezoelectric) 방식을 이용한 마이크로피펫팅 (micropipetting) 법 또는 핀(pin) 형태의 스폿터(spotter)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제 3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를 포함하는 양극성장애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 이외에 피검체로부터 해당 SNP를 포함하는 DNA를 분리 및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프라이머 세트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서열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SNP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검체로부터 핵산 시료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다형성 서열의 다형성 부위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형성 서열의 다형성 부위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은 PCR을 포함하여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성 장애 특이적 SNP는 양극성 장애에 취약한 환자군의 조기 발견 및 양극성 장애 치료약물의 스크리닝에 활용될 수 있으며, 유전자 지문 분석과 같은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SNP를 분석하면 양극성 장애의 위험도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SNPs 의 양극성 장애와의 관련성
(1) 실험대상
한국인 중 양극성 장애 또는 정신분열증 환자로 판명되어 치료 중인 환자군과 양극성 장애 및 정신분열증 증상이 없는 정상인의 혈액으로부터 DNA를 분리하고, 특정한 SNP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였다.
268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 278명의 정신분열증 환자 및 350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사람들은 서로 관련이 없는 한국인들이며, 모든 환자들은 양극성 장애 또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DSM-IV 기준을 충족하였다. 모든 환자들에 대해 유전연구를 위한 진단 인터뷰(Diagnostic Interview for Genetic Studies)를 실시하였고, 진단은 협의회에서 이루어졌으며, 서울대학교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기 전에 사전 동의를 얻었다.
(2) DNA 시료의 준비 및 증폭
본 실시예에 선택된 SNP는 공개된 데이터베이스(NCBI dbSNP:http://www.ncbi.nlm.nih.gov/SNP/)로부터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SNP 주변의 서열을 이용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SNP 서열을 분석하였다.
1) DNA 시료의 준비
상기 환자군 및 정상인군의 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다. 염색체 DNA 추출은 Intronbio제품으로 G-DEX™ IIb Genomic DNA Extraction Kit (cat. no.17241)를 사용하였다. 추출한 DNA는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60nm/280nm 비율이 1.8 ~ 1.9 정도인 것을 얻었으며, 사용의 편의를 위해 50ng/u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 표적 DNA의 증폭 및 분석
Taqman assay를 이용하였다. DNA (50ng/ul) 1ul, 2X PCR Taqman mastermix 2.5ul, sense primer (20 pmols/ul) 0.15ul, antisense primer(20 pmols/ul) 0.15ul, probe (FAM-TAMRA, 5pmols/ul) 0.1ul, probe(TET-TAMRA, 5pmols/ul) 0.1ul, DW 1ul을 섞어서 총(total) 5ul로 반응시켰다. PCR 기기는 ABI 9700을 사용하였으며, 온도조건은 50℃ 2분, 95℃ 10분을 하고, 95℃ 15초, 60℃ 1분, 이 2 단계(step)를 40사이클(cycle) 반복한 후 실험을 마쳤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프라이머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SNP rs 번호 프라이머 서열
forward reverse
DUSP6 rs769700 CTTGCAGTCTGGTTGTCTGTGTAAA
(서열번호 2)
TCTGCCAACAAAAAACTCCTTAATG
(서열번호 3)
rs770087 CAGGTGGCTTCAGTAAGTTCCAA
(서열번호 4)
CTGCTACACGAGCCGTCTAGATT
(서열번호 5)
유전자 SNP rs 번호 프로브(Probe) 서열
FAM-TAMRA TET-TAMRA
DUSP6 rs769700 AGGGTTTCTGGCATTCACATGCC
(서열번호 6)
AGGGTTTCTGGTATTCACATGCCGA
(서열번호 7)
rs770087 CCGAGTTCGCCCTGCATTGC
(서열번호 8)
CCGAGTTCTCCCTGCATTGCG
(서열번호 9)
PCR이 완료된 후 ABI 7900HT 기기를 통해 리딩(reading)하여 allelic discrimination 을 수행하였다.
(3) SNP 유전자형의 대립유전자 빈도 분석 결과
Figure 112009078125646-pat00001
상기 표 2는 SNP의 대립 유전자 빈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를 나타낸다.
dbSNP 칼럼에는 각 SNP의 rs number를 표기하였다. 칼럼 'P value'는 각 SNP의 대립유전자 빈도의 2-by-2 분할표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의 결과인 확률수준을 의미한다. 상기 P value가 0.05보다 작은 경우 표본집단은 정신분열병 혹은 양극성 장애 유무에 따른 각 SNP의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95% 이상의 신뢰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rs769700과 rs770087 두 SNP의 경우 정상 대조군과 비교시 양극성 장애 환자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남자와 여자로 성별을 분리해서 분석시에는 남자의 경우 양극성 장애 환자군과 상기 SNP의 유의한 연관성이 사라졌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에는 p value는 더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양극성 장애 환자군과 상기 SNP의 연관성이 더 유의하다고 볼 수 있다.
'OR(odds ratio)'은 해당 SNP의 특정 대립유전자를 기준으로 정상인구 중에서 해당 SNP의 특정 대립유전자를 가질 확률에 대한 환자군 중에서 해당 SNP의 특정 대립유전자를 가질 확률인 오즈비(odds ratio)를 나타낸다. 상기 오즈비가 1 보다 큰 경우에는 오즈비 그 자체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즈비의 역수로서 해당 SNP과 질병 발병과 연관성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오즈비가 클수록 상기 연관성도 증가한다. 칼럼 'CI(95%)'는 해당 오즈비가 어떤 구간에 존재할 확률이 95%인 95% 신뢰구간의 하한 및 상한을 의미한다. 상기 오즈비의 95%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SNP의 질병과의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SNP의 특정 대립유전자를 기준으로 환자군에서의 상기 특정 대립 유전자의 빈도가 정상인군에서의 상기 특정 대립 유전자의 빈도 보다 큰 경우, 즉 오즈비가 1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특정 대립 유전자는 위험 대립인자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특정 대립유전자 이외의 대립 유전자가 위험 대립인자가 된다.
양극성 환자군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두 개의 DUSP6 유전자다형성, 즉rs769700과 rs770087은 둘 다 OR=2.21 (CI: 1.20-4.09)로 각 SNP의 소수대립유전자가 양극성 장애의 위험대립인자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더 유의한 연합을 보였던 여성의 경우에는 OR=4.47 (CI: 1.79-11.17)로 양극성 장애와 연관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4) 일배체형 (haplotype) 분석
DUSP6 유전자다형성의 일배체형 분석에서는 rs2279574-rs770087-rs769700 세 개의 마커(marker)를 가지고 분석했을 때에는 G-G-C 일배체형이 양극성 장애와 유의한 연합을 보였다. rs770087-rs769700 두 개의 마커를 가지고 분석했을 때에는 G-C, T-T의 두 일배체형과 양극성 장애와의 유의한 연합을 보였다. 상기 일배체형 모두 여성만을 대상으로 분석 시에는 p value가 더 낮아졌다.
예측예 1.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양극성 장애의 진단
(1) 본 발명에 따른 SNP가 고정된 마이크로어레이의 제작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SNP를 기판상에 고정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서열번호 1의 1524 또는 2683 번째 염기를 가운데 포함하는 20개의 연속 염기, 즉 각각 AGCCGAGTTCGCCCTGCATT(서열번호 10) 및 GGGTTTCTGGCATTCACATG(서열번호 11)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들(각 SNP는 상기 20개 중 11번째에 위치함)을 기판상에 고정한다. 각 SNP 위치에 두 개의 대립형질이 존재하므로 각 서열마다 2개씩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기판상에 고정화된다.
먼저, 상기 각 폴리뉴클레오티드의 N-말단을 아민기로 치환한 다음 실릴화 슬라이드(Telechem 사)에 스팟팅하며, 이 때 상기 스팟팅 버퍼는 2×SSC(pH 7.0)를 사용할 수 있다. 스팟팅 후 건조기에 두어 결합을 유도한 후 0.2% SDS로 2분간, 3차 증류수로 2분간 세척하여 결합되지 않는 올리고를 제거한다. 상기 슬라이드를 95℃에서 2분간 처리하여 변성을 유도한 후, 블로킹 용액(1.0g NaBH4, PBS(pH 7.4) 300 mL, EtOH 100 mL)으로 15분간, 0.2% SDS 용액으로 1분간, 3차 증류수로 2분간 각각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시켜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작한다.
(2)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양극성 장애의 진단
상기 실시예 1의 (2) 단계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의 발병 또는 발병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의 혈액으로부터 표적 DNA를 분리하고, 형광 표지한다. UniHyb 혼성화 용액(TeleChem 사) 하에서 상기 예측예 2.(1)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어레이와 형광 표지된 표적 DNA의 혼성화를 42℃에서 4시간 동안 수행한다. 2×SSC로 실온에서 5분간 두 번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후 슬라이드를 스캔어레이 5000(ScanArray 5000; GSI Lumonics 사)으로 스캔하고 스캔 결과를 퀀트어레이(QuantArray)(GSI Lumonics 사)와 ImaGene 소프트웨어(BioDiscover 사)로 분석하여 상기 대상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SNP 전부 또는 일부를 갖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의 발병 가능성 및 심혈관 질환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SNP가 위치하는 사람 DUSP6 유전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10> SNU R&DB Foundation <120> Novel SNPs and method for diagnosing bipolar disorder using them <160> 1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46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gagacgctcg ctgtttgtat ccattgagga gctgcctcgc gcagggggtg tgcgaggctg 60 agtccaagag atagcaaatc gagtcttaaa taatccgggg agaaagacgc ccgggtagat 120 ttgaggtgca gccttggagg gagggattag aagccgctag actttttttc ctcccctctc 180 agtagcacgg agtccgaatt aattggattt cattcactgg ggaggaacaa aaactatctg 240 ggcagcttca ttgagagaga ttcattgaca ctaagagcca gcggctgcag ctgggtgcag 300 agagaacctc cggctttact tctgtctcgt ctgccccaac cgctagcctc ggcttgggta 360 aggcgaggcg gaattaaacc ccgctccgag agcggcagct tcgcgcgcgg tgcgctcggc 420 ctatgcctgc cccgaggggc gtctggtagg caccccgccc tctcccgcag ctcgaccccc 480 atgatagata cgctcagacc cgtgcccttc gcgtcggaaa tggcgatcag caagacggtg 540 gcgtggctca acgagcagct ggagctgggc aacgagcggc tgctgctgat ggactgccgg 600 ccgcaggagc tatacgagtc gtcgcacatc gagtcggcca tcaacgtggc catcccgggc 660 atcatgctgc ggcgcctgca gaagggtaac ctgccggtgc gcgcgctctt cacgcgcggc 720 gaggaccggg accgcttcac ccggcgctgt ggcaccgaca cagtggtgct ctacgacgag 780 agcagcagcg actggaacga gaatacgggc ggcgagtcgg tgctcgggct gctgctcaag 840 aagctcaagg acgagggctg ccgggcgttc tacctggaag gtacgcgccc agggaactcc 900 gcgcgcgggg cagggctagg ggcgcagggc tgcgggcggg gcgcgtggat tgaaaatacc 960 tctgctccgc tcagctggag cttcggagcc gcgctgcccg cctagggacc ggcagccggc 1020 gaggtagggg ccgcgaaccg cgcgttccgc accagagaac cgggccggct cagaatccac 1080 tcgcttccgg ctgcgggtac cggcggtttc tttctaacgg gttctgcgcc ttcttagcca 1140 gaacatcctc caccatcacc ctgttttcta tcgttcgatt ttgaattaag atttgcagga 1200 cgggagagat tgttggggat gcaaattggc acatcttagc tctcaaaata ttccaaaaag 1260 ttgccatttt gtctatttcc ggattcaagc gaataagggt tccctggcga ggcgggcccg 1320 ttcgttccat tcccgatggt gcacatttaa agtgtgtttc tcttatagat ggttctgtat 1380 gtagggggtt cgtaggatgc ttgtggtgtt tcttgcgccg ggctgcggtt cttacaagct 1440 gtgaaaacta ctacggcttc tcaggttaga tgattgcttt tctcgttctg gcaggtggct 1500 tcagtaagtt ccaagccgag ttctccctgc attgcgagac caatctagac ggctcgtgta 1560 gcagcagctc gccgccgttg ccagtgctgg ggctcggggg cctgcggatc agctctgact 1620 cttcctcgga catcgagtct gaccttgacc gagaccccaa tagtgcaaca gactcggatg 1680 gtagtccgct gtccaacagc cagccttcct tcccagtgga gatcttgccc ttcctctact 1740 tgggctgtgc caaagactcc accaacttgg acgtgttgga ggaattcggc atcaagtaca 1800 tcttgaacgt cacccccaat ttgccgaatc tctttgagaa cgcaggagag tttaaataca 1860 agcaaatccc catctcggat cactggagcc aaaacctgtc ccagtttttc cctgaggcca 1920 tttctttcat aggtgagact aattaatagt cgtcgctctg acatttaaat gcaaaattcc 1980 tagccattca tagagtttaa gctgttaatc gttcttgctg cttgctaatt tgtctgactg 2040 caggtctcta atgttcctag agcgtcctta attctggttt atcttcttgc taaaggaaga 2100 aaacctgcct tttgacatgg ctgcagatca caggtgtatt tgaaacgctg tttcttgaat 2160 ctttgaattc agtcattgac agtcgttcat aatcggacaa cagatttttc cccccagtct 2220 ttggactcag gggaagggtc agatagaagt actcactata gacaggaatt ccagcattgc 2280 tttataattt aaaaacatct aggagttatt ttaggacatc aagttagttg ttggaaagca 2340 gtatgaatgc tgaatgttat ccagttgaat gatgcggtga tactggtaac agtgagacag 2400 tgggtaacct gagcccagca ggaagaactg tgggctggaa gcctgggaga agtgaatctc 2460 caggcattgt aatgcatttc ctattacaaa ggaactcatt ttcaggccgt gtcgacatcc 2520 tgttcctcct aatgggccgt cccctgtgac ttccctctct cttttaaaat gcctgaatac 2580 ctccattgtt agctgcacaa catttggagc ataatttaat agacccttgc agtctggttg 2640 tctgtgtaaa aggcattcac gaacatattg cagggtttct ggtattcaca tgccgaggca 2700 aagaatgcac ccattaagga gttttttgtt ggcagaaact taatacaaaa gctctctttt 2760 cagaaaatat ctgaaatatg taattgtgtc cagtgtacat gtttcatttc agtgatacat 2820 tttctgctgc ttgtagggct caactgccac acacaactat tattattatt atgttttcaa 2880 gttcagtttt tagactgatc attcacaaag ggtggttttc agtctgctga gatcttgctt 2940 ttctttttgt gttcacagat gaagcccggg gcaagaactg tggtgtcttg gtacattgct 3000 tggctggcat tagccgctca gtcactgtga ctgtggctta ccttatgcag aagctcaatc 3060 tgtcgatgaa cgacgcctat gacattgtca aaatgaaaaa atccaacata tcccctaact 3120 tcaacttcat gggtcagctg ctggacttcg agaggacgct gggactcagc agcccatgtg 3180 acaacagggt tccagcacag cagctgtatt ttaccacccc ttccaaccag aatgtatacc 3240 aggtggactc tctgcaatct acgtgaaaga ccccacaccc ctccttgctg gaatgtgtct 3300 ggcccttcag cagtttctct tggcagcatc agctgggctg ctttctttgt gtgtggcccc 3360 aggtgtcaaa atgacaccag ctgtctgtac tagacaaggt taccaagtgc ggaattggtt 3420 aatactaaca gagagatttg ctccattctc tttggaataa caggacatgc tgtatagata 3480 caggcagtag gtttgctctg tacccatgtg tacagcctac ccatgcaggg actgggattc 3540 gaggacttcc aggcgcatag ggtagaacca aatgataggg taggagcatg tgttctttag 3600 ggccttgtaa ggctgtttcc ttttgcatct ggaactgact atataattgt cttcaatgaa 3660 gactaattca attttgcata tagaggagcc aaagagagat ttcagctctg tatttgtggt 3720 atcagtttgg aaaaaaaaat ctgatactcc atttgattat tgtaaatatt tgatcttgaa 3780 tcacttgaca gtgtttgttt gaattgtgtt tgttttttcc tttgatgggc ttaaaagaaa 3840 ttatccaaag ggagaaagag cagtatgcca cttcttaaaa cagaacaaaa caaaaaaaga 3900 aaattgtgct cttttctaat ccaaagggta tatttgcagc atgcttgact ttaccaattc 3960 tgatgacatc tttacggaca ctattatcac taagaccttg ttatggcgaa gtctttagtc 4020 tttttcatgt attttcctca tgattttttc tctttatgta gtttgactat gccttacctt 4080 tgtaaatatt tttgcttgtg ttgtcgcaaa ggggataatc tgggaaagac accaaatcat 4140 gggctcactt taaaaaaaga aagaataaaa aaaccttcag ctgtgctaaa cagtatatta 4200 cctctgtata aaattcttca gggagtgtca cctcaaatgc aatactttgg gttggtttct 4260 ttcctttaaa aaaatttgta taaaactgga agtgtgtgtg tgtgagcatg ggtacccatt 4320 tgataagaga aatgcatttg attgtgaaga agggagagtt aaattctcca ttatgttcgt 4380 ggtgtaaagt ttagagctgg aatttattat aagaatgtaa aaccttaaat tattaataaa 4440 taactatttt ggctattgaa 4460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ttgcagtct ggttgtctgt gtaaa 25 <210> 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tctgccaaca aaaaactcct taatg 25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caggtggctt cagtaagttc caa 23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ctgctacacg agccgtctag att 23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gggtttctg gcattcacat gcc 23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gggtttctg gtattcacat gccga 25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cgagttcgc cctgcattgc 20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ccgagttctc cctgcattgc g 21 <210> 10 <211> 2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0 agccgagttc gccctgcatt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1 gggtttctgg cattcacatg 20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524번째 염기(다형성 부위)가 G이고, 상기 152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부터 유래된, 10개 이상의 연속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683번째 염기(다형성 부위)가 C이고, 상기 2683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부터 유래된, 10개 이상의 연속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 진단용 키트.
  5. 삭제
KR1020090126110A 2009-12-17 2009-12-17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KR10114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10A KR101148755B1 (ko) 2009-12-17 2009-12-17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10A KR101148755B1 (ko) 2009-12-17 2009-12-17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167A Division KR101203353B1 (ko) 2012-02-20 2012-02-20 양극성 장애 진단용 프로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95A KR20110069395A (ko) 2011-06-23
KR101148755B1 true KR101148755B1 (ko) 2012-05-22

Family

ID=4454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10A KR101148755B1 (ko) 2009-12-17 2009-12-17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73B1 (ko) * 2019-04-18 2020-09-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양극성장애 환자의 계절성 또는 일주기 변화 진단을 위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erical Journal of Medical Genetics, Vol. 136B, pp. 12-25 (2005) *
Molecular Psychiatry, Vol. 11, pp. 425-426 (2006.02.21.) *
NCBI, SNP Accession No. rs770087, Assay ID. ss872234 (2000.09.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95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34009A (ja) 大腸癌診断用の多重snp、それを含むマイクロアレイ及びキット、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大腸癌の診断方法
ES2373044T3 (es) Procedimientos y composiciones para predecir la respuesta a warfarina.
JP2009511026A (ja) 血栓塞栓性及び冠状動脈性心疾患の診断方法
KR101359851B1 (ko) 간세포암종의 예후 진단용 단일 염기 다형성
KR101359782B1 (ko) 간세포암종의 재발 진단용 단일 염기 다형성
JP5721150B2 (ja) 加齢黄斑変性症の発症リスクの予測方法
KR101148755B1 (ko) 양극성 장애 진단용 SNPs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KR101523769B1 (ko) 허혈성 뇌졸중 진단용 다중 snp 및 이의 용도
KR100754398B1 (ko) 심혈관 질환 진단용 다중 snp, 그를 포함하는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및 그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 진단방법
KR101203353B1 (ko) 양극성 장애 진단용 프로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KR101249635B1 (ko) 양극성 장애 진단용 egr2 유전자 snp,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JP5226256B2 (ja) 加齢黄斑変性症の発症リスクの予測方法
KR20110021095A (ko) 성별 판별 및/또는 개체 식별용 snp 마커
KR101206028B1 (ko) 유방암 특이적 다형성 서열을 이용한 유방암의 진단방법,유방암 특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고정되어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AU2016398669A1 (en) Marker for predicting treatment response to anti-cancer agent in solid cancer patients
KR101972333B1 (ko) 섬유근육통 진단용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JP2008543327A (ja) 心筋梗塞に関与する遺伝子多型、及びその用途
KR101058583B1 (ko) 뇌경색 진단용 다중 snp,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KR100912469B1 (ko) 정신분열증 진단용 snp와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및 키트
KR100912470B1 (ko) 정신분열증 진단용 snp와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및 키트
KR100535300B1 (ko) 인터류이킨-1 베타 관련 염증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유전자다형성을 가지는 프로모터
KR20120124507A (ko) 만성 골수성 백혈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KR100912472B1 (ko) 정신분열증 진단용 snp와 초위성체, 그를 포함하는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KR101071081B1 (ko) Defa4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1167942B1 (ko) Alg12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분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