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8107B1 - 테이프부착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07B1
KR101148107B1 KR1020090020382A KR20090020382A KR101148107B1 KR 101148107 B1 KR101148107 B1 KR 101148107B1 KR 1020090020382 A KR1020090020382 A KR 1020090020382A KR 20090020382 A KR20090020382 A KR 20090020382A KR 101148107 B1 KR101148107 B1 KR 10114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iece
moving
bracke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935A (ko
Inventor
김중섭
Original Assignee
김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섭 filed Critical 김중섭
Priority to KR102009002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0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제1 테이프에 편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접착단계 이후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을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이동단계 이후 제2 테이프에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타측면을 부착하고, 상기 편의 중심부와 외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이후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가 부착된 편을 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천공된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이동하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2 접착부에서 상기 잡업 과정이 이루어질 때, 제1 접착부에서 상부테이프를 압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에서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를 고정하기 때문에 테이프가 수축되거나 늘어나서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의 불량이 발생 될 위험이 줄어든다.
와샤

Description

테이프부착방법{Tape Attaching Method}
본 발명은 와셔와 같은 금속편의 상면과 하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해 와셔와 같은 금속편에 테이프를 접착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자동화를 통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와셔는 많은 기계부품에 사용된다.
이러한 와셔의 부식방지 또는, 와셔가 설치된 기계부품 사이에서 와셔 사이로 기름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왔다.
이렇게 와셔의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와셔의 부식방지와 와셔가 사이로 기름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에는 와셔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은 테 이프의 양면 사이에 와셔를 배열한 후, 수작업으로 와셔의 테두리를 따라 테이프를 절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법과 더불어, 미리, 와셔의 표면적에 대응되도록, 테이프를 절개한 후, 절개한 테이프를 와셔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졌으며, 정확한 치수에 의해 와셔의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할 수 없었으며, 작업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와셔에 부착된테이프를 절개하는 경우, 와셔의 외측에 부착된 테이프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와셔의 흔들림에 의해 테이프 절개과정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와셔(금속편)의 표면에 테이프를 정확하고 빠르게 자동화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테이프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와셔에 부착된 테이프를 절개하는 경우, 와셔를 정확히 고정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와셔의 외측부분에 부착된 테이프를 절개할 수 있는 테이프 테이프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제1 테이프에 편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접착단계 이후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을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이동단계 이후 제2 테이프에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타측면을 부착하고, 상기 편의 중심부와 외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이후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가 부착된 편을 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천공된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이동하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외측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편의 중심부에 천공된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편을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편이 부착된 상부테이프와 편이 천공되어 분리된 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단계 이후 제2 접착부는 열린 상태로 상부테이프의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2 접착부가 닫히면서 상부테이프에 부착된 편에 하부테이프를 부착하고,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중심부와 외측부를 천공하여 절단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 이후에 편이 부착된 상부테이프와 편이 천공되어 분리된 테이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단계; 상기 해제단계 이후에 닫힌 상태의 제2 접착부가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테이프부착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상기 제2 접착부에서 상기 잡업 과정이 이루어질 때, 제1 접착부에서 상부테이프를 압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에서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를 고정하기 때문에 테이프가 수축되거나 늘어나서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의 불량이 발생 될 위험이 줄어든다.
(2) 또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레버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 테이프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 상기 제2 접착부의 상하이동과 좌우이동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효율과 작업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외부절단부에 의해 상기 편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를 절단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핀으로 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편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를 절단하는 경우 작업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에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가 설치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1 접착부의 정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1 접착부의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2 접착부의 정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2 접착부의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상펀치캠의 측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테이프누름캠의 측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피드캠의 측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피드캠의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본체의 저면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에 의한 작업개략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를 거치는 편의 작업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의 작업개략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제1 테이프에 편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접착단계 이후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을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이동단계 이후 제2 테이프에 제1 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타측면을 부착하고, 상기 편의 중심부와 외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이후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가 부착된 편을 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천공된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를 이동하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1 테이프와 제2 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외측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편의 중심부에 천공된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편을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방법은, 편이 부착된 상부테이프와 편이 천공되어 분리된 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단계 이후 제2 접착부는 열린 상태로 상부테이프의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2 접착부가 닫히면서 상부테이프에 부착된 편에 하부테이프를 부착하고,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에 부착된 편의 중심부와 외측부를 천공하여 절단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 이후에 편이 부착된 상부테이프와 편이 천공되어 분리된 테이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단계; 상기 해제단계 이후에 닫힌 상태의 제2 접착부가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접착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된 편공급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편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편은 금속편으로써, 와셔와 같은 금속편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공급부(50) 내부에는 편이 저장되며, 상기 편공급부(50)에 저장된 편은 상기 본체(10)로 공급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편공급라인(51)에서 공급되는 편(1)은 원형편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 관통공(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1)의 상면은 볼록면으로, 하면은 오목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공급라인(51)에서 제1 접착부(20)로 공급되는 편(1)은 볼록면이 상부를 향하고, 오목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공급된다.
상기 편(1)이 공급되는 편공급부(50)는 컨에이어밸트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편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편(1)은 두 줄로 나란히 제1 접착부(20)에 공급되지만, 한줄 또는 다수개의 줄로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는 전면판(5)과 후면판, 그리고 좌측판(3)과 우측판(4)로 이루어지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회전샤프트(1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14)에는 캠(237), 펀치캠(276), 상펀치캠(309), 테이프누름캠(329), 피드캠(245)이 설치되어 회전한다.
상기 회전샤프트(14)는 좌측판(3)과 우측판(4)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관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샤프트(14)의 일측에는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4)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14)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14)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15)와 상기 회전샤프트(14) 사이에는 편심캠(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편심캠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14)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를 통해 상기 회전샤프트(14)를 수동으로 동작가능하다.
단,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회전샤프트(14)의 회전속도가, 손잡이를 이용한 회전샤프트(14)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샤프트(14)를 수동으로 동작할 수 없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제어부(11)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14)의 회전속도, 편공급부(50)의 편(1)의 공급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타측상부(즉, 전면판(5)의 타측상부)에는 설치판(5a)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판(5)에는 상면테이프(2a)를 공급하는 상면테이프공급부(70)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테이프공급부(70)에는 상면테이프(2a)가 롤 형태로 감겨있으며, 가이드롤러(119, 270)를 거쳐 상기 제1접착부(20), 제2 접착부(30)로 공급된다.
상기 상면테이프공급부(70)에는 전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19, 270) 사이에는 장력조절부(73)가 설치되어, 상기 상면테이프(2a)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장력조절부(73)의 측면에는 상기 장력조절부(73)의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면테이프(2a)가 상기 제1접착부(2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접착 부(20)와 상기 장력조절부(73) 사이에서의 테이프 이동속도가 상기 장력조절부(73)와 상기 상면테이프공급부(70) 사이에서의 이동속도보다 빨라지는 경우, 상기 장력조절부(73)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상면테이프공급부(70)의 공급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부(73)가 하강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즉, 상면테이프(2a)가 상기 제1접착부(20)로 공급될 때, 테이프의 공급속도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상면테이프공급부(70)와 상기 제1접착부(20)부 사이에 상면테이프(2a)가 팽팽하게 되거나, 늘어지게 되는 것을 장력조절부(73)에 의해 방지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일측하부(즉, 전면판(5)의 일측하부)에는 하면테이프(2a)를 공급하는 하면테이프공급부(75)가 설치된다.
상기 하면테이프공급부(75)에는 하면테이프(2b)가 롤 형태로 감겨있으며, 가이드롤러(119, 270)를 통해 상기 제2 접착부(30)로 공급된다.
상기 하면테이프공급부(75)에는 전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19, 270) 사이에는 장력조절부(77)이 설치되어, 상기 하면테이프(2b)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장력조절부(73)의 측면에는 상기 장력조절부(73)의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하면테이프(2b)가 상기 제2접착부(3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접착 부(30)와 상기 장력조절부(77) 사이에서의 테이프 이동속도가 상기 장력조절부(77)와 상기 하면테이프공급부(75) 사이에서의 이동속도보다 빨라지는 경우, 상기 장력조절부(77)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하면테이프공급부(75)의 공급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부(77)가 하강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즉, 하면테이프(2b)가 상기 제2접착부(30)로 공급될 때, 테이프의 공급속도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면테이프공급부(75)와 상기 제2접착부(30)부 사이에 상면테이프(2b)가 팽팽하게 되거나, 늘어지게 되는 것을 장력조절부(77)에 의해 방지가능하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권취롤(60)이 설치되며, 상기 권취롤(60)에는 테이프부착작업이 끝난 산면테이프(2a)와 하면테이프(2b)가 감기게되며, 상기 권취롤(60)에는 전동모터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접착부(20)는 편(1)이 공급되는 편공급라인(5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접착부(20)는 푸시(219)와 상기 푸시(219) 연결되는 상부누름 부(220a) 그리고, 압착핀(223)과 상기 압착핀(223)에 연결되는 하부누름부(2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착부(20)에는 상부테이프 공급부(70)에서 공급되는 상부테이프(2a)가 공급된다.
상부테이프(2a)의 일면은 접착면으로, 타면은 접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테이프(2a)가 상기 제1 접착부(20)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상부테이프(2a)의 접착면은 하부를 향하도록 공급된다.
상기 전면판(5)의 전방에는 브라켓(201)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01)에는 가이드다이(20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다이(202)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다이(202) 의 상부에는 커버(203)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다이(202)과 상기 커버(203)의 내부에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다이(202)의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단면적은, 후술할 부시(224)가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다이(202)의 상부와 상기 커버(203)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203)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부에는 원기둥형상의 하부누름부(220b)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시(224)의 상부 부분은 상기 가이드다이(2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시(224)의 하부 부분은 상기 가이드다이(20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다이(202)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부에는 압착핀(223)과 상기 압착핀(223)에 연결되는 하부누름부(220b)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착핀(223)의 일부분은 상기 부시(224)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착핀(223)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5)의 후방(즉, 본체(10)의 내부)에는 캠(237)이 설치되며, 상기 캠(237)은 회전샤프트(14)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캠(237)에는 제1레버(233)가 설치되며, 상기 제1레버(233)의 일단에는 상기 캠(237)에 설치된다.
상기 레버(223)의 일단부와 상기 캠(237)이 연결되는 축(233b)은 이동경로(237a)를 따라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레버(233)의 타단에는 연결로드(231)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로드(231)의 상부에는 브라켓(228)이 설치된다.
상기 제1레버(233)의 중심부(233a)는 상기 전면판(5)에 설치되는 브라켓(236b)에 힌지결합 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231)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로드(231)는 상하이동이 함에 따라, 상기 다이(205a)와 가이드브라켓(203)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228)의 상부에는 스트리퍼볼트(227)가 설치되며, 상기 스트리퍼볼트(227)는 상기 압착핀(223)과 연결된다.
상기 스트리퍼볼트(227)와 압착핀(223) 사이에는 와샤(225)가 설치되며, 상기 와샤(225)의 하부(즉, 상기 스트리퍼볼트(227)의 둘레)에는 스프링(226)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203)의 상부에는 다이(205a)와 브라켓(205)이 위치한다.
상기 다이(205a)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내부에는 원기둥형상의 상부누름부(220a)가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다이(205a)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05)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내부에는 2개의 푸시(219)와 부시(206)가 설치된다.
상기 푸시(219)는 상기 브라켓(205)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2개의 푸시(219) 상부는 푸시커버(219a)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상기 푸시커버(219a)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205)의 상면 사이(즉, 상기 브라켓(205)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푸시(219))에는 스프링(22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다이(202)의 상부에는 샤프트(207)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07)의 일부는 상기 부시(206)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샤프트(207)의 상부에는 원판형상의 레버캠(211)과 연결브라켓(221a)이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레버캠(211)의 일측에는 핸들샤프트(213)가 설치되며, 핸들샤프트(213)에 의해 레버캠(21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버캠(211)의 측면에는 회전축(211b)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11b)은 상기 레버캠(211)에 대해 편심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11b)은 상기 연결브라켓(221a)의 하부 측면(즉, 상기 샤프트(207)가 설치된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캠(211)은 상기 연결브라켓(221a)의 측면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상기 회전축(211b)의 끝단부(즉, 상기 레버캠(211)의 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고정부(211c)가 형성된다.
상기 다이(205a) 및 브라켓(205)과 가이드다이(202)의 간격을 벌리고자 하는 경우(즉,상기 상부누름부(220a)와 하부누름부(220b) 사이에 편(1)이 걸리게 되어 수를를 요하는 경우) 상기 핸들샤프트(213)를 위로 올린다.
상기 핸들샤프트(213)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상기 푸시커버(219a)의 상면을 누르던 상기 고정부(211c)가 상승하면서, 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다이(205a)와 브라켓(205)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205a) 및 브라켓(205)과 가이드다이(202)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후술할 누름부(221b)에 의해 상기 푸시커버(219a)가 상부방향으로 일 정범위 이상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를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샤프트(213)를 위로 올린다.
상기 핸들샤프트(213)를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푸시커버(219a)의 상면을 누르던 상기 고정부(211c)가 누르면서, 상기 다이(205a) 및 브라켓(205)과 가이드다이(20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누름부(220b)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211c)가 상기 푸시커버(219a)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상부누름부(220a)가 상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브라켓(221a)의 상부에는 실린더(221)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221)의 하부에는 원기둥형상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누름부(221b)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21a)의 전후방과, 상기 브라켓(205)의 전후방에는 스프링(216)이 볼트에 의해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221a)과 상기 브라켓(205)은 스프링(21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228)의 내부에는 편(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설치된 다.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상부누름부(220a)와 하부누름부(220b)에 위치하는 편의 위치가 센싱되며, 상기 편이 잘못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경우, 상기 상부누름부(220a)와 하부누름부(220b)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착부(20)의 일측에는 제2 접착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접착부(30)는 상부가이드다이(281)과 하부가이드다이(2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접착부(30)에는 상부테이프(1a)에 접착된 편(1)과 하부테이프(2a)가 공급된다.
상기 전면판(5)의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하펀치레버(275)가 설치된다.
상기 하펀치레버(27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즉, 상기 전면판(5)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펀치캠(276)과 연결되며, 상기 하펀치캠(27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펀치레버(275)와 상기 하펀치캠(276)이 연결되는 축(275b)은 이동경로(276a)를 따라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하펀치레버(275)는 상기 전면판(5)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전면판(5)에 설치된다.
상기 하펀치레버(275)는 상기 펀치캠(276)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하부가이드다이(278)과 상기 하부가이드다이(278)에 설치되는 하부절단봉(291c), 하부누름봉(287), 그리고 하다이(290b)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면판(5)의 하부에는 브라켓(274)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74)의 내부에는 부시(274a)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274a) 내부에는 샤프트(272)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72)의 상부에는 브라켓(266)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66)의 하부에는 연결로드(231a)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펀치레버(275)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231a)와 샤프트(272)에 연결된 상기 브라켓(266)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266)의 전방에는 롤러축(269)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축(269)에는 가이드롤러(270)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66)의 상면에는 L자 형상의 슬라이드가이드(265)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65)의 내측부에는 슬라이드(264a)가 삽입설치 가능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사각판 형상의 슬라이드(264a)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 드(264a)의 상부에는 슬라이드브라켓(264)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264a)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65) 내부에서 좌우이동(즉, 상기 전면판(5)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14)의 회전에 의해 하펀치캠레버(275)가 상하이동하며, 이동레버(244)가 좌우이동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264a)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65) 내부에서 좌우이동하면서 상하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64)의 상부에는 브라켓(253)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53)의 전방에는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53)의 후방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64)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2개의 관통공 내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제1 배출구(259)와 제2 배출구(2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배출구(259)와 제2 배출구(260)의 입구는 상기 브라켓(253)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출구는 상기 브라켓(253)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53)의 후방상부에는 샤프트(252)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52)의 상부에는 내부에 부시(939)가 설치되는 브라켓(292)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52)는 상기 브라켓(292)을 관통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92)을 관통한 상기 샤프트(252)의 상부에는 사각판 형상의 하부슬라이드(294) 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294)의 상부에는 사각판 형상의 상부슬라이드(296)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슬라이드(296)의 상부에는 브라켓(297)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에는 링크(29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299)는 상펀치레버(301)와 연결된다.
상기 상펀치레버(301)는 상기 전면판(5)의 후방에 설치되는 상펀치캠(309)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상펀치레버(301)는 연결로드(307)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로드(307)는 레버(307b)와 연결된다.
상기 레버(307b)는 후면판(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307b)의 중심부는 상펀치캠(309)과 연결된다.
상기 레버(307b)와 상펀치캠(309)이 연결되는 축(309b)는 이동경로(309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펀치캠(309)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펀치레버(301)에 의해 링크(299)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상펀치레버(301)가 상승할 때, 상기 하펀치캠레버(275)는 하강 하게되며, 상기 상펀치레버(301)와 상기 하펀치캠레버(275)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부가이드다이(281)과 하부가이드다이(278)도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5)의 상부에는 슬라이드가이드(295)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95)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슬라이드(296)와 하부슬라이드(294)가 삽이 가능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294)는 상기 상부슬라이드(296)의 하면에 대해 스라이드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슬라이드(294)는 상기 상부슬라이드(296)의 하면과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95)의 홈(즉, 홈의 측면)에서 좌우이동(즉, 상기 전면판(5)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14)의 회전에 의해 상펀치레버(301)가 상하이동하며, 이동레버(244)가 좌우이동 하는 경우, 상기 하부슬라이드(294)는 상기 상부슬라이드(296)의 하면과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95) 내부에서 좌우이동하면서 상하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292)의 후방에는 상기 샤프트(252)사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92)의 전방하부에는 상부가이드다이(281)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92)의 상방하부에는 센서브라켓(293)이 설치되며, 센서브라켓(293)의 내부에는 편(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상부가이드다이(281)과 하부가이드다이(278) 내부에 위치하는 편(1)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가이드다이(281)과 하부가이드다이(278)의 상하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센서브라켓(293)의 상부에는 실린더(951)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다수개의 연결바(미도시)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연결바(미도시)에는 가이드핀(291a)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핀(291a)는 상기 브라켓(292)과 상기 상부가이드다이(28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다이(281)의 내부에는 6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는 외부절단봉(291), 상부누름봉(288), 봉형상의 상펀치(290)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절단봉(291)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핀(291a)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부절단봉(291)의 하부에는 절단날로 이루어진 외부절단부(291b)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절단부(291b)는 상기 외부절단봉(291) 하면 외측테두리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펀치(290)의 하면 중심부에는 절단날로 이루어진 내부절단부(291b)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부절단부(291b)의 단면적은 상기 상펀치(290)의 하면과, 상기 편(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a)의 단면적 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252)의 하부(즉, 상기 부시(939)와 브라켓(253)의 사이)에는 상 기 샤프트(252)가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브라켓(241)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41)의 상부에는 연결브라켓(241b)가 설치되며, 상기연결브라켓(241b)에는 하부가이드다이(278)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가이드다이(278)의 내부에는 6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는 하부절단봉(291c), 하부누름봉(287), 하다이(290b)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절단봉(291c)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절단부(291b)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월기둥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핀(291a)이 삽입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외측테두리에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외부절단부(291b)가 안착된다.
즉, 상기 안착면과 외부절단부(291b)에 테이프(2a,2b)가 위치한 후, 외부절단부(291b)에 의해 편(1)의 외측에 접착된 테이프(2a,2b)가 절단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41)의 후방(즉, 상기 전면판(5)의 후방)에는 가이드브라켓(277)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5)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41a)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41)과 가이드브라켓(277)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41)과 가이드브라켓(277) 사이에는 연결브라켓(277a)이 설치되며, 연결브라켓(277a)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241)과 가이드브라 켓(277)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77)의 후면에는 리니어부시(936)가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부시(936)의 내부에는 상기 전면판(5)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샤프트(240)가 설치된다.
상기 리니어부시(936)는 상기 샤프트(240)를 따라 상기 전면판(5)의 좌우로 이동가능 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77)의 하부에는 브라켓(242)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42)에는 이동레버(24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후측판(7)에 설치되는 브라켓(249)에는 힌지핀(248)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248)의 하부에는 베어링(600)이 설치된다.
상기 배어링(600)에는 이동레버(244)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버(244)의 일단에는 타원형상의 장공(244c)가 형성된다.
상기 장공(244c)은 상기 이동레버(24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공(244c)에는 연결로드(244d)의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로드(244d)는 상기 전측판(5)에 설치되는 리니어가이드(936)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버(244)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로드(244d)도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로드(244d)의 힌지축은 상기 장공(244c)에 의해 이동곤간의 여유를 갖게 된다.
상기 이동레버(244)의 중심부에는 가이드베어링(244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베어링44a)은 피드캠(24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벽(245a)을 따라 움직인 다.
상기 가이드벽(245a)은 상기 피드캠(245)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상기 피드캠(245)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244a)는 상기 가이드벽(245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피드캠(24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44a)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레버(244)는 피드캠(245)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피드캠(245)에 의해 상기 이동레버(244)는 좌우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로드(244d)는 리니어가이드(936)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상부가이드다이(281)과 하부가이드다이(278)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착부(30)의 일측에는 고정부(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40)는 하부고정다이(318)와 커버(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판(5)의 전방에는 브라켓(311)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311)에는 고정브라켓(311a)에 설치된 하부고정다이(318)가 설치된다.
즉, 하부고정다이(318)는 고정브라켓(311a)에 의해 상기 브라켓(311)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다이(318)의 상부에는 커버(319)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319)의 상부에는 핀(316)이 설치된 브라켓(314)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314)의 상부에는 링크(320)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320)는 레버(321)와 연결된다.
상기 전면판(5)의 후방에는 설치바(327)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바(327)와 상기 레버(321) 사이에는 스프링(326)이 설치된다.
상기 레버(321)는 연결로드(328)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로드(328)는 하부레버(330)과 연결된다.
상기 하부레버(330)는 후면판(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버(330)의 중심부는 테이프누름캠(32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330)와 상기 테이프누름캠(329)이 연결되는 축(329b)는 이동경로(329a)를 따라 회전운동하게 된다.
즉, 테이프누름캠(329)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320)는 상하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319)와 핀(316)이 상하이동 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314)의 하부에는 샤프트(313)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313)는 상기 고정브라켓(311a)에 삽입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접착장치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편공급라인(51)에서 공급되는 편(1)과 상부테이프(2a)는 제1 접착 부(20)로 공급된다.
제1 접착부(20)로 공급되는 편(1)은 볼록면이 상부를 향하고, 오목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공급된다.
상기 편(1)이 상기 제1 접착부(20) 내부에 위치하면, 회전샤프트(14)에 의해, 연결로드(231)가 상승하며, 연결로드(231)의 상승에 의해 상기 하부누름부(220b)가 상승한다.
즉, 하부누름부(220b)에 의해 편(1)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편(1)의 볼록한 상면과 상부테이프(2a)가 하부누름부(220b)와 상부누름부(220a) 사이에서 압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편(1)의 볼록한 상면이 상기 상부테이프(2a)의 하면(즉, 접착부)에 접착된다.(제1 단계)
즉,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착부(20)의 다이(205a)와 가이드브라켓(203)이 닫힘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40)인 커버(319)와 하부고정다이(318)도 닫히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가이드다이(278)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접착부(30)에 의해 천공된 테이프(2a,2b)는 상기 고정부(40)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단계)
이후, 도 13(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착부(20)와 고정부(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착부(30)는 열린상태로 상부테이프의 상류측(즉, 상기 상부테이프(2a)가 공급되는 제1 접착부(20)측)으로 이동한다.(제1 이동단계)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2 접착부(30)가 닫히면서 상부테이프(2a)에 부착된 편에 하부테이프(2b)를 부착하고,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에 부착된 편(1)의 중심부와 외측부를 천공하여 절단한다.(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의 과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1)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상기 상부테이프(2a)에 접착된 편(1)이 상펀치(290)와 하다이(290b) 사이에 위치하면, 상펀치(290)는 하강하고 하다이(290b)는 상승한다.
이때, 상기 상부테이프(2a)에 접착된 편(1)의 하부에는 하부테이프(2b)가 접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펀치(290)의 하부에 설치된 내부절단부(290a)에 의해 상기 편(1)의 관통공(1a)을 덮으며 접착됐던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절단되게 된다.
이렇게 정단된 테이프(2a, 2b) 잔여물은 제1 배출구(259)를 통해 배출된다.
(2) 관통공(1a)을 덮으며 접착됐던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절단된 편(1)이 상부누름봉(288)과 하부누름봉(287) 사이에 위치하면, 상부누름봉(288)은 하강하고, 하부누름봉(287)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상기 편(1)의 상면과 하면에 보다 더 밀착되어 접착되게 되는 것이다.
(3) 상부누름봉(288)과 하부누름봉(287) 사이를 지난 편(1)이 외부절단봉(291)과 하부절단봉(291c) 사이에 위치하면, 가이드핀(291a)이 하강하여 상기 편(1)의 관통공(1a)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핀(291a)이 관통공(1a)의 내부로 삽입된 직후, 외부절단봉(291)은 하강하고, 하부절단봉(291c)은 상승하게된다.
즉, 가이드핀(291a)은 상기 편의 중심부에 천공된 관통공(1a)을 기준으로 외부절단부(291b)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편을 정렬한다.(정렬단계)
즉, 외부절단부(291b)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편을 하부절단봉(291c)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절단봉(291)의 하부에 설치되는 외부절단부(291b)에 의해 상기 편(1)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절단된다.(제2 단계))
이에 따라, 상기 핀(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접착된 상태의 편이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테이프(2a, 2b)가 접착된 편(1)은 상기 제2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된다.(제3 단계)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접착부(20)와 상기 고정부(40)가 열리면서 개방된다.
즉, 상기 제1 접착부(20)에 고정되었던 편(1)이 부착된 상부테이프(2a)와 상기 고정부(40)에 고정되었던 천공된 테이프(2a, 2b)의 고정이 해제된다.(해제단계)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접착부(3)는 닫힌 상태에서 테이프(2a, 2b)를 상기 고정부(40)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닫힌 상태의 제2 접착부(40)가 테이프를 이동시키게 된다.(제2 이동단계)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방법은 제2 이동단계이후 고정단계로 다시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착부(30)에서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접착부(20)와 상기 고정부(40)가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접착부(30)의 절단과정에서 테이프가 수축되거나 이완되어 작업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상기 제1 접착부(20)와 상기 고정부(40)가 닫히게 되는 것은 상기 제2 접착부(30)가 열리게 될 때, 테이프가 수축되거나 이완되어 작업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제1 접착부(20)와 상기 고정부(40)의 상하 이동과, 제2 접착부(30)의 상하좌우 이동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14)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캠(276), 상펀치캠(309), 하펀치캠(276), 피드캠(245), 테이퍼누름캠(32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의 이동이 피드캠(245)의 회전에 의해 되기 때문에 정확한 길이와 속도록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단순한 모터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테이프접착작업을 하는 것에 비해 높은 작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1에서 편(1)에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 가 접착되고, 불필요한 테이프부분이 절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1)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 가 접착된다.
상기 편(1)의 내측(즉, 관통공(1a)의 내측)에는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돌출되게 부착되는 내측부(2c)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편(1)의 외측으로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돌출되게 부착되는 외측부(2d)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부(2c)와 외측부(2d)에 의해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 와셔에서 쉽게 벗겨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테이프(2a, 2b)가 접착된 편(1)이 기계부품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편(1)의 내측과 외측을 통해 기름과 같은 유체가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접착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상기 제2 접착부(30)에서 상기 잡업 과정이 이루어질 때, 제1 접착부(20)에서 상부테이프(2a)를 압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40)에서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를 고정하기 때문에 테이프(2a, 2b)가 수축되거나 늘어나서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의 불량이 발생될 위험이 줄어든다.
(2) 또한, 상기 제2 접착부(30)는 상기 이동레버(244)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 테이프(2a, 2b)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착 및 절단과정에서 상기 제2 접착부(30)의 상하이동과 좌우이동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효율과 작업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외부절단부(291b)에 의해 상기 편(1)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를 절단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핀(291a)으로 편(1)을 외부절단봉(291)과 하부절단봉(291c) 사이에 정확히 정렬시키기 때문에, 상기 편(1)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절단하는 경우 작업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와셔(금속편)의 표면에 테이프를 정확하고 빠르게 자동화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테이프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와셔에 부착된 테이프를 절개하는 경우, 와셔를 정확히 고정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와셔의 외측부분에 부착된 테이프를 절개할 수 있는 테이프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에 상부테이프와 하부테이프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1 접착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1 접착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2 접착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제2 접착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상펀치캠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테이프누름캠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피드캠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피드캠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 본체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에 의한 작업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를 거치는 편의 작업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부착장치의 작업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편 2a: 상부테이프
2b: 하부테이프 10: 본체
14: 회전샤프트 20: 제1 접착부
30: 제2 접착부 40: 고정부
50: 편 공급부 70: 상부테이프공급부
75: 하부테이프공급부 60: 권취롤

Claims (3)

  1. 상부테이프(2a)의 하면에 편(1)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접착단계 이후 상부테이프(2a)에 부착된 편(1)을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하부테이프(2b)에 상부테이프(2a)에 부착된 편(1)의 타측면을 부착하고, 상기 편(1)의 중심부와 외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를 절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이후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가 부착된 편(1)을 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천공된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를 이동하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부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2 이동단계에서, 상기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에 부착된 편(1)의 외측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편(1)의 중심부에 천공된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편(1)을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하는 테이프부착방법.
  3. 제1접착부(20)가 닫힘과 동시에 고정부(40)가 닫히게 되며, 편(1)이 부착된 상부테이프(2a)와 제2접착부(30)에 의해 편(1)이 천공되어 분리된 테이프(2a,2b)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고정단계 이후 상기 제2 접착부(30)는 열린 상태로 상부테이프(2a)의 상류측인 상부테이프(2a)가 공급되는 상기 제1 접착부(20) 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단계;
    상기 제1 이동단계 이후 상기 제2 접착부(30)가 닫히면서 상부테이프(2a)에 부착된 편(1)에 하부테이프(2b)를 부착하고, 상부테이프(2a)와 하부테이프(2b)에 부착된 편(1)의 중심부와 외측부를 천공하여 절단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접착부(20)와 상기 고정부(40)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 접착부(20)에 고정되었던 편(1)이 부착된 상부테이브(2a)와 고정부(40)에 의해 고정되었던 천공된 상부테이프(2a) 및 하부테이프(2b)의 고정이 해제되는 해제단계;
    상기 해제단계 이후에 닫힌 상태의 제2 접착부(30)가 테이프(2a,2b)를 상기 고정부(40)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부착방법.
KR1020090020382A 2009-03-10 2009-03-10 테이프부착방법 KR10114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82A KR101148107B1 (ko) 2009-03-10 2009-03-10 테이프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82A KR101148107B1 (ko) 2009-03-10 2009-03-10 테이프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35A KR20100101935A (ko) 2010-09-20
KR101148107B1 true KR101148107B1 (ko) 2012-05-22

Family

ID=4300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382A KR101148107B1 (ko) 2009-03-10 2009-03-10 테이프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83A (ko) * 1994-06-29 1996-01-25 랄프 홀거 베렌스·만프레드 크네취 코팅 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00053247A (ko) * 1996-11-13 2000-08-2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취급 가능한 연속 이동 층과 다른 층을 정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6131167A (ja) 2004-11-09 2006-05-25 Asoshie:Kk 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貼付方法、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貼付装置、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ロ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83A (ko) * 1994-06-29 1996-01-25 랄프 홀거 베렌스·만프레드 크네취 코팅 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00053247A (ko) * 1996-11-13 2000-08-2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취급 가능한 연속 이동 층과 다른 층을 정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6131167A (ja) 2004-11-09 2006-05-25 Asoshie:Kk 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貼付方法、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貼付装置、ホイール保護フィルム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35A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485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1538124B1 (ko) 피브이씨와셔 자동조립장치
CN111421829A (zh) 平面口罩耳带焊接机
JPH0332532A (ja) 開放葉状部材の下部ソケットブラケット自動組立装置
KR101148107B1 (ko) 테이프부착방법
KR20100010221A (ko) 콘택트렌즈용 몰드 분리장치
KR20070047750A (ko) 핀 홀 가공용 자동 드릴링머신
KR0134468B1 (ko) 베어링 압입장치
KR100582117B1 (ko)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US5368464A (en) Ultrasonic apparatus for cutting and placing individual chips of light lock material
KR20100102025A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1238624B1 (ko) 휴대폰 이바리 제거용 펀칭금형 기구
CN112338607B (zh) 一种重型盘式换刀装置及换刀方法
CN106808296B (zh) 能进行精准定位加工的平头机上、卸料装置及加工方法
KR20170019063A (ko) 환봉체의 지름방향에 형성된 핀구멍 검사기
JPS6328531A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組立装置
CN115425497B (zh) 一种插针机
KR100508412B1 (ko) 스마트 배터리의 배터리셀 용접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31639A (ko) 비금속소재의 롤 원단이 사용되는 형상 파우치 프레스에서 절단공정으로 발생 된 원단 스크랩의 취출장치
KR101463595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53954A (zh) 一种直键开关的弹片与钩针的装配设备
JP2003164926A (ja) 電子部品のリード切断、成形、分離装置
KR101902295B1 (ko) 콜게이트 천공기 및 그의 천공방법
CN211565662U (zh) 一种三凸摆轮座的定位夹紧装置
KR102180181B1 (ko) 홀 가공이 가능한 리벳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