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7481B1 -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481B1
KR101147481B1 KR1020100123658A KR20100123658A KR101147481B1 KR 101147481 B1 KR101147481 B1 KR 101147481B1 KR 1020100123658 A KR1020100123658 A KR 1020100123658A KR 20100123658 A KR20100123658 A KR 20100123658A KR 101147481 B1 KR101147481 B1 KR 10114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material
bit line
memory array
material layer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국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49Manufacturing their interconnections or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8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on of IGFETs
    • H10D84/87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on of IGFETs of PN-junction gate FET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메모리 어레이마다 공통 비트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으로 대칭되게 PN 접합을 이루며 상, 하부 워드라인이 수직 적층됨으로써, 단위 메모리 어레이 적층 수를 n이라 할 때 2n의 어레이 적층 효과가 있고,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프로그램하고 동시에 읽을 수 있어 빠른 동작이 가능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ONE-TIME PROGRAMMABLE NONVOLATILE MEMORY ARRAY HAVING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정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소자의 축소, 3차원 구조의 소자 개발, 적층 구조의 어레이 개발 등을 통하여 메모리의 집적도가 계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이제는 테라 레벨(10의 12승)을 넘어 페타 레벨(10의 15승)의 집적까지 전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집적을 위해서는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구조보다는 전하 포획(charge trap)을 기본 메카니즘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가 유리하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소자의 크기가 점점 극소화됨에 따라 전하 보유 능력(retention) 및 반복적인 쓰기 읽기 지우기 등의 동작 후 오류에 대한 강인성(endurance) 등과 관련한 신뢰성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전하를 저장부에 넣고 빼는 방법으로 동작시키는 기존 메모리 소자의 경우에는 우주선 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군사나 우주개발 분야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번의 프로그램만 허용되더라도 고집적이 가능하면서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프로그램 상태가 변하지 않고(retention이 강하고), 반복적인 읽기를 하더라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endurance에도 강하며), 우주선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로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하 포획을 위한 유전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MOSFET이 아닌 MIS 구조 기반의 새로운 메모리 소자를 제안하여, 각 비트라인 상하 양측으로 2개의 워드라인이 교차되도록 수직 적층시키며, 교차되는 각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는 PN 접합을 형성하고 워드라인과 접한 절연막을 파괴시킴으로써 프로그램하고, 상기 PN 접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읽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 태양별 대표적인 과제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는 소정의 기판 상에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1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과; 상기 각 비트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서 상기 각 비트라인과 교차하며 상, 하부 워드라인으로 수직 적층되고, 상기 비트라인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2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을 포함하여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되,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각 비트라인과 상기 상부 워드라인 사이 및 상기 각 비트라인과 상기 하부 워드라인 사이에는 상기 각 비트라인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적으로, 상기 각 워드라인과 접하며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과 상기 각 비트라인 사이에 PN 접합을 이루도록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은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비트라인에는 접지(GND)를,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부에서 교차하는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중 쓰고자 하는 특정 메모리 셀 들을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워드라인들에는 상기 절연막이 파괴될 정도로 높은 프로그램 전압(VPRG)을 인가하고, 비선택 비트라인들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각각 상기 프로그램 전압과 접지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VCC)(VPASS)을 인가하여,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은 준비된 기판 상에 제 1 전도성 물질층, 절연막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반도체 물질층들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제 1 방향으로 하부 워드라인, 상기 하부 워드라인 상의 제 1 절연막 및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더 식각하여 제 2 방향으로 하측 수직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하측 수직 다이오드의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전도성 물질층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2 반도체 물질층들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공통 비트라인, 상기 공통 비트라인 상의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더 식각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측 수직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다시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상측 수직 다이오드의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을 다시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부 워드라인, 상기 상부 워드라인 밑의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메모리 어레이마다 공통 비트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으로 상, 하부 워드라인이 비트라인과 교차하며 수직 적층 됨으로써, 단위 메모리 어레이 적층 수를 n이라 할 때 2n의 어레이 적층 효과가 있어, 고집적이 얼마든지 가능하고,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프로그램하고 동시에 읽을 수 있어 빠른 동작이 가능하며, 기존의 증착 및 식각 장비 등을 이용하여도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수직으로 반복 적층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를 개발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일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제조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동작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로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상층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을 프로그램시킬 수 있음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과 이에 따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동작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로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상층 및 하층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킬 수 있음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과 이에 따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동작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비트라인의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읽을 수 있음으로 보여주는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의 에너지 밴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의 에너지 밴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의 개략적인 전류-전압 특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어레이 구조에 관한 실시예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모리 어레이는 기본적으로, 도 1과 같이, 소정의 기판(10) 상에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1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82)과; 상기 각 비트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서 상기 각 비트라인과 교차하며 상, 하부 워드라인으로 수직 적층되고, 상기 비트라인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2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32, 33)을 포함하여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되,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각 비트라인(82)과 상기 상부 워드라인(33) 사이 및 상기 각 비트라인(82)과 상기 하부 워드라인(32) 사이에는 상기 각 비트라인(82)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적으로, 상기 각 워드라인(32)(33)과 접하며 절연막(42)(43)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과 상기 각 비트라인 사이에 PN 접합을 이루도록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전도성 물질은 각각 비트라인(82) 및 상, 하부 워드라인(32, 33)을 형성하는 것이어서, 금속 등 도전성 물질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나,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도전성을 띠도록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시키게 된다.
이때, 비트라인(82)을 제 1 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형성시킬 경우, 상, 하부 워드라인(32, 33)은 상기 비트라인(82)과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제 2 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형 불순물이 N형 불순물이라면, 상기 제 2 형 불순물은 P형 불순물로, 반대로 상기 제 1 형 불순물이 P형 불순물이라면, 상기 제 2 형 불순물은 N형 불순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비트라인(82)과 상부 워드라인(33) 사이 및 비트라인(82)과 상부 워드라인(32) 사이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은 PN 접합을 이루면 족하므로, 서로 다른 극성의 2개의 반도체 물질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비트라인(82) 및 상, 하부 워드라인(32, 33)이 각각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이들과 접하는 반도체 물질층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적층된다.
따라서, 제 1 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예컨대, N+형 반도체 물질)로 형성된 비트라인(82)을 가운데 두고 상, 하 양측에 연결되는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은 비트라인(82)으로부터 제 1 형 불순물이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예컨대, N형 반도체 물질층)과 상기 제 1 형 불순물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 2 형 불순물이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예컨대, P형 반도체 물질층)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 하 양측의 PN 접합용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은 비트라인(82)과 극성이 같은 반도체 물질층을 비트라인(82)과 접하며, 비트라인(82)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되도록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 메모리 어레이가 구성됨으로써, 가운데 비트라인(82)과 상, 하부 워드라인(32, 33)이 각각 교차되는 위치에 있는 상, 하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구체적인 동작방법은 후술함).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층간 절연막(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2 이상 수직하게 반복 적층시킴으로써, 수직으로 얼마든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적층 수를 n이라 할 때 2n의 어레이 적층 효과가 있게 되므로, 한 층이 올라갈 때마다 2배의 메모리 셀들이 증가하게 되므로 고집적이 얼마든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 구조 또는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가 수직으로 반복 적층된 구조를 지지할 수 있으면 되므로, 상기 구조 형성에 공정상 허용되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상기 비트라인(82)과 상, 하부 워드라인(32, 33) 및 상기 PN 접합용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을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경우, 실리콘 기판으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실리콘 기판을 사용할 경우, 하부 워드라인(32)은 기판을 식각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 경우, 하부 워드라인(32)은 실리콘 기판과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고, 기판에 역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기판으로의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워드라인(33) 및 수직 적층된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다른 워드라인들과의 동작상 불 균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워드라인(32)도 임의 기판(10) 상에 폴리실리콘 등 실리콘계 물질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P형 실리콘 기판으로, 상기 하부 워드라인(32)은 P+형 실리콘계 물질층(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실리콘계 물질층)으로 각각 형성할 때, 양자 간의 누설전류 방지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바닥 분리 절연막(20)이 실리콘 기판(10)과 하부 워드라인(32) 사이에 개재하게 된다.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실시예 ]
다음,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며,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특히, 도 1과 같이, 비트라인(82)이 N+형 반도체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비트라인(82)에 상, 하 대칭되도록 PN 접합용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이 연결되고, 상기 PN 접합용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의 상, 하 P형 반도체 물질층들과 각각 접하며 P+형 실리콘계 물질층로 상, 하부 워드라인(32)(33)이 연결된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그램(쓰기) 동작>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프로그램 동작은 기본적으로 비트라인(82)과 상부 워드라인(33) 및/또는 하부 워드라인(33)에 적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의 절연막(42, 43)을 파괴함으로써 데이터 '1'의 상태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메모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비트라인(82)과 상, 하부 워드라인(32)(33)에 선택된 메모리 셀의 절연막(42)(43)이 파괴될 정도의 전계가 인가되도록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 원리와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메모리 어레이 구조에 의하여, 각 라인에 적절한 바이어스를 인가하게 되면,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비트라인(BL1, BL2, BL3, BL4)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상층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예컨대, 도 13에서 굵은 실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들)을 프로그램시킬 수 있고,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비트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비트라인의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예컨대, 도 15에서 굵은 실선 및 점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들)을 동시에 읽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 동작방법의 구체적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상층 메모리 셀 들 즉, 비트라인(BL1, BL2, BL3, BL4)과 상부 워드라인(UWL1, UWL2, UWL3, UWL4) 사이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 중 선택된 특정 셀 들(예컨대, 도 13에서 굵은 실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들)을 프로그램시키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서 굵은 실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CU2B1은 상부 워드라인(UWL2)과 비트라인(BL1) 사이에 형성된 셀이다. 다른 셀 들 CU3B1, CU1B2 등도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셀을 각각 가리킨다.
도 13의 선택된 특정 셀 CU2B1 과 CU3B1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4의 첫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0110)과 같이,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 중 상기 선택된 특정 셀 CU2B1 과 CU3B1 을 지나는 선택된 비트라인(BL1)에는 접지(GND)를, 상기 비트라인(BL1)과 상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 셀 CU2B1 과 CU3B1 을 각각 지나는 선택된 상부 워드라인들(UWL2, UWL3)에는 각 선택된 특정 셀의 절연막이 파괴될 정도로 높은 프로그램 전압(VPRG)을 인가하고, 기타 비선택 비트라인들(BL2, BL3, BL4 등)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UWL1, UWL4, LWLs 등)에는 각각 상기 프로그램 전압과 접지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VCC)(VPASS)을 인가하여, 선택된 비트라인(BL1)에 연결된 상층 메모리 셀 들(CU2B1 과 CU3B1)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같은 방법으로, 도 13의 선택된 특정 셀 CU1B2 과 CU2B2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4의 두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1100)과 같이, 도 13의 선택된 특정 셀 CU3B3 과 CU4B3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4의 세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0011)과 같이, 도 13의 선택된 특정 셀 CU2B4 과 CU4B4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4의 네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0101)과 같이, 각 라인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선택된 비트라인에 연결된 상층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비트라인의 선택은 임의적 순서로 할 수 있으나, 도 14와 같이, 이웃 비트라인으로 순차적으로 바꾸어 가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프로그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5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메모리 어레이의 상층 및 하층에 있는 메모리 셀 들 즉, 비트라인(BL1, BL2, BL3, BL4)과 상부 워드라인(UWL1, UWL2, UWL3, UWL4) 사이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 및 비트라인(BL1, BL2, BL3, BL4)과 하부 워드라인(LWL1, LWL2, LWL3, LWL4) 사이에 형성된 메모리 셀 들 중 선택된 특정 셀 들(예컨대, 도 15에서 굵은 실선 및 점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들)을 프로그램시키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 굵은 실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CU4B1은 상부 워드라인(UWL4)과 비트라인(BL1) 사이에 형성된 셀이고, 굵은 점선으로 박스로 표현된 셀 CL4B1은 하부 워드라인(LWL4)과 비트라인(BL1) 사이에 형성된 셀이다. 다른 셀 들 CU3B1, CL1B2 등도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셀을 각각 가리킨다.
도 15의 선택된 특정 셀 CU3B1, CU4B1 및 CL4B1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6의 첫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0011/0001)과 같이,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 중 상기 선택된 특정 셀 CU3B1, CU4B1 및 CL4B1 을 지나는 선택된 비트라인(BL1)에는 접지(GND)를, 상기 비트라인(BL1)과 상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 셀 CU3B1 과 CU4B1 을 각각 지나는 선택된 상부 워드라인들(UWL3, UWL4) 및 상기 비트라인(BL1)과 하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선택된 특정 셀 CL4B1을 지나는 선택된 하부 워드라인들(LWL4)에는 각 선택된 특정 셀의 절연막이 파괴될 정도로 높은 프로그램 전압(VPRG)을 인가하고, 기타 비선택 비트라인들(BL2, BL3, BL4 등)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UWL1, UWL2, LWL1, LWL2, LWL3 등)에는 각각 상기 프로그램 전압과 접지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VCC)(VPASS)을 인가하여, 선택된 비트라인(BL1)에 연결된 상, 하 양 층의 메모리 셀 들(CU3B1, CU4B1 및 CL4B1)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같은 방법으로, 도 15의 선택된 특정 셀 CL1B2 과 CU2B2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6의 두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0100/1000)과 같이, 도 15의 선택된 특정 셀 CU1B3, CL1B3 CL4B3 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6의 세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1000/1001)과 같이, 도 15의 선택된 특정 셀 CU1B4, CL2B4, CL3B4 CU4B4만 프로그램시킬 경우에는 도 16의 네 번째 바이어스 인가 테이블(1001/0110)과 같이, 각 라인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선택된 비트라인에 연결된 상, 하 양 층의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도 비트라인의 선택은 임의적 순서로 할 수 있으나, 도 16과 같이, 이웃 비트라인으로 순차적으로 바꾸어 가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프로그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읽기 동작>
읽기 동작은 기본적으로 상기 쓰기 동작을 통해 각 메모리 셀의 절연막이 파괴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각 메모리 셀이 반도체 물질층들(53, 63)(54, 64)을 통하여 PN 접합을 이루기 때문에, 도 17과 같이,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82a, 82b, 82c)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비트라인(82b)에는 접지(GND)를,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82b)과 상, 하부에서 교차하는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중 읽고자 하는 특정 메모리 셀 들(선택된 비트라인에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을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워드라인들(32, 33)에는 리드 전압(VREAD)을 인가하고, 비선택 비트라인들(82a, 82c 등)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미도시)에는 각각 리드 전압보다 높은 전압(VCC)과 접지(GND)를 인가하여, PN 접합 특성으로 각 특정 셀의 프로그램 상태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즉, 읽고자하는 특정 셀을 지나는 선택된 비트라인 및 선택된 워드라인에는 각각 상기 특정 셀 양단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전압을 인가하고, 비선택 비트라인들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각각 상기 특정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 각각의 양단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특정 셀의 프로그램 상태만 읽을 수 있게 되고, 상, 하부 워드라인(32, 33)의 가운데 위치한 비트라인(82b)을 순차 선택해 가며 선택된 비트라인(82b)에 연결된 상, 하 메모리 셀 들을 동시에 읽게 된다.
도 17에서 선택된 비트라인(82b)에 상, 하로 연결된 메모리 셀 들의 상태를 동시에 읽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경우, 선택된 비트라인(82b)과 선택된 상, 하부 워드라인(32)(33) 사이의 각 PN 접합에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데이터 '1'이 저장된 상태인 상측 메모리 셀은 절연막이 파괴되어 선택된 비트라인(82b)과 선택된 상부 워드라인(33) 사이에는 높은 센싱 전류가 흐르게 되나, 데이터 '0'이 저장된 상태인 하측 메모리 셀은 절연막이 파괴되지 않아 선택된 비트라인(82b)과 선택된 하부 워드라인(32) 사이에는 낮은 센싱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를 구분함으로써, 상, 하층 메모리 셀 들의 저장 상태를 읽게 된다.
이때, 상부 워드라인(33)을 공유하는 이웃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이 저장된 상태라도, 이를 지나는 비선택 비트라인(82a)에는 리드 전압보다 높은 전압(VCC)이 인가되어 PN 접합 양단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림에 따라 이로부터 상부 워드라인(33)에 유입되는 전류는 도 20과 같이 미미하게 되어 이웃 셀의 저장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워드라인(32)을 공유하는 이웃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이 저장된 상태라도, 이를 지나는 비선택 비트라인(82c)에는 리드 전압보다 높은 전압(VCC)이 인가되어 PN 접합 양단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림에 따라 이로부터 하부 워드라인(32)에 유입되는 전류는 도 20과 같이 미미하게 되어 이웃 셀의 저장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7에서 도면부호 43a는 파괴된 절연막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셀들이 가운데 비트라인을 공통으로 하고, 상, 하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PN 접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이 널리 알려진 PN 접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웃 셀의 저장상태에 따른 간섭없이 선택한 상하 셀 들을 동시에 정확히 그리고 반복적으로 읽을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의 에너지 밴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의 에너지 밴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PN 접합에서의 개략적인 전류-전압 특성도이다.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
이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며, 상기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준비된 기판(10) 상에 제 1 전도성 물질층(30), 절연막(40)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반도체 물질층들(50, 60)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도 5와 같이, 식각하여 제 1 방향(워드라인 방향)으로 하부 워드라인(32), 상기 하부 워드라인 상의 제 1 절연막(42) 및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52, 62)을 형성한다(제 1 단계).
이때, 상기 준비된 기판(10)은 차후 공정에서 형성되는 구조물을 지지하며 공정상 허용되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비트라인, 워드라인 및 PN 접합용 반도체 물질층들을 폴리실리콘과 같은 실리콘계 물질로 형성할 경우 실리콘 기판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워드라인(32)는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라인들과의 물질 특성을 맞추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워드라인(32)과 같은 극성의 실리콘 기판(10)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부 워드라인(32)과의 절연을 위하여, 도 2와 같이, 실리콘 기판(10) 상에 바닥 분리 절연막(20, 예컨대, 산화막)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30)은 하부 워드라인(32)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층(P+형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40)은, 도 3과 같이, P+형 폴리실리콘층(30) 상에 공지의 열 산화공정 또는 증착 공정에 의하여 실리콘산화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산화막의 두께는 상, 하 양측에서 인가된 일정 전압하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날 수 있도록 결정한다.
이어, 도 4와 같이, 상기 절연막(40) 상에 P형 폴리실리콘층(50) 및 N형 폴리실리콘층(60)을 순차 적층시켜 상기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P형 폴리실리콘층(50)은 상기 P+형 폴리실리콘층(30)보다, 상기 N형 폴리실리콘층(60)은 후술할 N+형 폴리실리콘층(80)보다 각각 불순물 도핑 농도가 낮은 것을 가리킨다.
이후, 기판 전면에 마스크 물질(미도시)을 증착시키고 식각 마스크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식각 마스크로 상기 적층된 N형 폴리실리콘층(60)/P형 폴리실리콘층(50)/절연막(40)/P+형 폴리실리콘층(30)을 순차 식각하면, 도 5와 같이, 하부 워드라인(32), 하부 워드라인 상의 제 1 절연막(42) 및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52, 62)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 기판 전면에 마스크 물질(미도시)을 다시 증착시키고 식각 마스크를 형성한 다음, 이를 통해 상기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52, 62)을 더 식각하여, 도 6과 같이, 제 2 방향(비트라인 방향)으로 하측 수직 다이오드(54, 64)를 형성한다(제 2 단계).
이후, 도 7과 같이,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72)을 증착하고 상기 하측 수직 다이오드의 상부(64)가 드러나도록 평탄화한다(제 3 단계).
다음, 도 8과 같이, 기판 전면에 제 2 전도성 물질층(80)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2 반도체 물질층들(51, 61)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상기 제 2 방향(비트라인 방향)으로 공통 비트라인(82), 상기 공통 비트라인 상의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하고(제 4 단계), 이어 상기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더 식각함으로써, 도 9와 같이, 상기 제 1 방향(워드라인 방향)으로 상측 수직 다이오드(53, 63)를 형성한다(제 5 단계).
여기서,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층(80)은 공통 비트라인(8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측 수직 다이오드의 N형 상부(64)와 공핍층 없이 전기적 접속이 되기 위하여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층(N+형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통 비트라인용 N+형 폴리실리콘층(80) 상에는, 도 8과 같이, N형 폴리실리콘층(61) 및 P형 폴리실리콘층(51)을 순차 적층시켜 상기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2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0과 같이,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74)을 다시 증착하고 상기 상측 수직 다이오드의 P형 상부(53)가 드러나도록 평탄화한다(제 6 단계).
이어, 도 11과 같이, 기판 전면에 상기 제 1 단계의 절연막(41) 및 제 1 전도성 물질층(31)을 다시 순차 적층 형성하고, 도 12와 같이, 식각하여 상기 제 1 방향(워드라인 방향)으로 상부 워드라인(33), 상기 상부 워드라인 밑의 제 2 절연막(43)을 형성한다(제 7 단계).
여기서, 상기 절연막(41) 및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31)은 상기 제 1 단계와 역으로 증착되는 것으로, 상기 절연막(41)은 공지의 증착 공정에 의하여 일정 전압하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실리콘산화막 등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31)은 상부 워드라인(33)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층(P+형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는, 도면으로 미첨부되었으나,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다시 증착하고 평탄화시킨 다음(제 8 단계),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8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며 2 이상의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수직 적층할 수도 있다(제 9 단계).
기타, 각 라인을 컨택하기 위한 금속공정 등 후속공정은 통상의 메모리 어레이와 같이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기판
20: 바닥 분리 절연막
32: 하부 워드라인
33: 상부 워드라인
42: 제 1 절연막
43: 제 2 절연막
53, 54: P형 폴리실리콘층
63, 64: N형 폴리실리콘층
82: 비트라인

Claims (12)

  1. 소정의 기판 상에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1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과;
    상기 각 비트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서 상기 각 비트라인과 교차하며 상, 하부 워드라인으로 수직 적층되고, 상기 비트라인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2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을 포함하여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되,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각 비트라인과 상기 상부 워드라인 사이 및 상기 각 비트라인과 상기 하부 워드라인 사이에는 상기 각 비트라인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적으로,
    상기 각 워드라인과 접하며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과 상기 각 비트라인 사이에 PN 접합을 이루도록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은 도전성을 띠도록 제 1 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이고,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은 도전성을 띠도록 제 2 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이고,
    상기 2 이상의 반도체 물질층들은 상기 각 비트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1 형 불순물이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과 상기 제 2 형 불순물이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 불순물은 N형 불순물이고,
    상기 제 2 형 불순물은 P형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실리콘 기판과 상기 하부 워드라인 사이에는 바닥 분리 절연막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물질 및 상기 반도체 물질층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가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2 이상 수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6. 제 3 항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비트라인에는 접지(GND)를,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부에서 교차하는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중 쓰고자 하는 특정 메모리 셀 들을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워드라인들에는 상기 절연막이 파괴될 정도로 높은 프로그램 전압(VPRG)을 인가하고,
    비선택 비트라인들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각각 상기 프로그램 전압과 접지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VCC)(VPASS)을 인가하여,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프로그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은 순차적으로 이웃 비트라인으로 바꾸어 가며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프로그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메모리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라인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비트라인에는 접지(GND)를,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부에서 교차하는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중 읽고자 하는 특정 메모리 셀 들을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워드라인들에는 리드 전압(VREAD)을 인가하고,
    비선택 비트라인들 및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각각 상기 리드 전압보다 높은 전압(VCC)과 접지(GND)를 인가하여,
    상기 선택된 비트라인과 상, 하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읽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동작방법.
  9. 준비된 기판 상에 제 1 전도성 물질층, 절연막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반도체 물질층들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제 1 방향으로 하부 워드라인, 상기 하부 워드라인 상의 제 1 절연막 및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더 식각하여 제 2 방향으로 하측 수직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하측 수직 다이오드의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전도성 물질층 및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2 반도체 물질층들을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공통 비트라인, 상기 공통 비트라인 상의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형성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2 PN 접합 반도체 물질층들을 더 식각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측 수직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다시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상측 수직 다이오드의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을 다시 순차 적층 형성하고 식각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부 워드라인, 상기 상부 워드라인 밑의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은 도전성을 띠도록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이고,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층은 도전성을 띠도록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층이고,
    상기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반도체 물질층들은 상기 절연막으로부터 N형 불순물이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N형 반도체 물질층과 P형 불순물이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층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P형 반도체 물질층으로 적층된 것이고,
    상기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2 반도체 물질층들은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층으로부터 P형 불순물이 상기 제 2 전도성 물질층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P형 반도체 물질층과 N형 불순물이 상기 제 1 전도성 물질층보다 저농도로 도핑된 N형 반도체 물질층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반도체 물질층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실리콘 기판 상에 바닥 분리 절연막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다시 증착하고 평탄화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8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며 수직 적층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KR1020100123658A 2010-12-06 2010-12-06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Active KR10114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658A KR101147481B1 (ko) 2010-12-06 2010-12-06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658A KR101147481B1 (ko) 2010-12-06 2010-12-06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481B1 true KR101147481B1 (ko) 2012-05-21

Family

ID=4627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658A Active KR101147481B1 (ko) 2010-12-06 2010-12-06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0059B2 (en) 2016-02-24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and a data writing method thereof
CN113764394A (zh) * 2021-09-08 2021-12-07 中科芯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基于嵌入式集成上下拉电阻ipd的sip封装结构
CN114823776A (zh) * 2021-01-21 2022-07-29 凌北卿 具有pn二极管的非易失性存储元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022A (ja) 2006-11-07 2008-05-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090109804A (ko) *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1260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5661A (ko) * 2009-10-27 2011-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022A (ja) 2006-11-07 2008-05-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090109804A (ko) *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1260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5661A (ko) * 2009-10-27 2011-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0059B2 (en) 2016-02-24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and a data writing method thereof
CN114823776A (zh) * 2021-01-21 2022-07-29 凌北卿 具有pn二极管的非易失性存储元件
CN113764394A (zh) * 2021-09-08 2021-12-07 中科芯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基于嵌入式集成上下拉电阻ipd的sip封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3507B2 (en) Dual channel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including an embedded electrode
KR102693517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CN107221545B (zh) 三维电阻式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9893076B2 (en) Access transistor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84371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stacked NAND-type resistive memory cell string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9583539B2 (en) Word line connection f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5481564B2 (ja) 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5812B1 (ko) 메모리 스트링 내에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3차원 어레이의 메모리 구조
JP5086851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CN102067315B (zh) 包括具有被电隔离的柱的二极管的共享的二极管器件部的叠轨式堆叠的非易失性存储器阵列
US9343152B2 (en) Cell array with a manufacturable select gate for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585222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38998B2 (en) Integrated-circuit devices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9755249A (zh) 三维半导体存储器件
US11626420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90058157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1872788A (zh) 集成电路3d存储器阵列及其制造方法
KR20120052664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20080092290A (ko) 반도체 기억 장치
CN101241914A (zh) 非易失性半导体存储装置
JP2003078044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72024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269404A (zh) 三维存储器及制备方法
KR101147481B1 (ko) 적층구조를 갖는 일회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와 그 동작 및 제조방법
KR101362219B1 (ko) 바디를 공유하는 메모리 셀 스트링 스택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