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355B1 - Oscillator - Google Patents
Oscil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7355B1 KR101147355B1 KR1020040055529A KR20040055529A KR101147355B1 KR 101147355 B1 KR101147355 B1 KR 101147355B1 KR 1020040055529 A KR1020040055529 A KR 1020040055529A KR 20040055529 A KR20040055529 A KR 20040055529A KR 101147355 B1 KR101147355 B1 KR 101147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unit
- reference current
- charging
- oscill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H03K3/5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the switching device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1—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voltage,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differential amplifiers or compara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231—Astable circuit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전압에 영향받지 않는 오실레이터를 제공하고, 제조공정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는 오실레이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scillator that is not affected by the supply voltage, and to provide an oscillator that is not affected by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류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전류를 이용하여 기준 전류에 비례하는 복수의 비례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 미러;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충전부;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과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제어되어 상기 충전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eference current; A current mirro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proportional to a reference current by using the reference current output from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or; 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us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A charging unit to be charged by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controlled by an output of the comparison unit to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charging unit.
오실레이터, 전원전압, 공정변화, 정교, 주파수Oscillator, Supply Voltage, Process Variation, Elaboration, Frequency
Description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1A is an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도 1A의 각부 파형도,1B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1A;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2A is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각부 파형도,2B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3A is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각부 파형도.
Fig. 3B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3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10: 기준 전류 발생부 220: 전류 미러210: reference current generator 220: current mirror
230: 기준 전압 발생부 240: 충전부230: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40: charging unit
250: 비교부 260: 스위칭부250: comparison unit 260: switching unit
310: 기준 전압 발생부 320: 충전부310: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20: charging unit
330: 비교부 340: 방전 제어부
330: comparison unit 340: discharge control uni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내에서 일정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오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공정의 차이, 동작 온도의 변화, 전원 전압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오실레이터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에서의 노드별 파형도이다.FIG. 1A is a prior art oscillator, and FIG. 1B is a node-by-node waveform diagram of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직렬연결된 제1 및 제2 인버터(INV1, INV2), 제1 인버터의 입출력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제1 인버터의 입력과 제2 인버터의 출력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verters INV1 and INV2 connected in series,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input and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and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input of the first inverter and an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종래 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follows.
제1 및 제2 인버터 사이의 노드2의 초기 전압을 Vdd로 가정하면 이 때 제2 인버터의 출력단인 노드3은 0V이고, 제1 인버터의 입력단인 노드1은 저항을 통해 커패시터로 충전되므로 전위가 증가한다. 이후 노드1의 전위가 제1 인버터의 논리적 문턱 전압(Vlth)에 이르게 되면 제1 인버터 출력의 논리상태가 "H"로 반전되고, 이에 따라 노드2에는 0V, 노드3에는 Vdd가 걸린다. 그러면 이 때에는 이전과 반대로 노드1의 전압은 저항을 통해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위가 감소하게 된다. 감소된 전위가 논리적 문턱 전압(Vlth)에 이르게 되면 제1 인버터 출력의 논리상태가 "L"로 반전되고, 이에 따라 노드2에는 Vdd, 노드3에는 0V가 걸린다.
Assuming that the initial voltage of node 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verters is Vdd, at this time, node 3, which is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is 0V, and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노드2 혹은 노드3은 일정한 주파수를 갖게 되고, 0V 내지 Vdd를 스윙하는 펄스를 만들게 된다.By repeating this process, node 2 or node 3 has a constant frequency and makes a pulse swinging from 0V to Vdd.
상기 종래 기술에 따라 생성되는 파형의 주파수는 다음의 수학식1과 같다.The frequency of the wave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in
즉, 위 수학식1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실레이터가 생성하는 주파수는 저항 및 커패시터의 크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전압의 크기(Vdd), 인버터의 논리적 문턱전압(Vlth)에도 의존하게 된다. 여기서, 인버터의 논리적 문턱전압(Vlth)은 제조 공정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오실레이터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교한 주파수를 획득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as shown i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전압에 영향받지 않는 오실레이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scillator that is not affected by the power supply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는 오실레이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scillator that is not affected by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류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전류를 이용하여 기준 전류에 비례하는 복수의 비례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 미러;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충전부;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과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제어되어 상기 충전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한다.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eference current; A current mirro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proportional to a reference current by using the reference current output from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or; 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us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A charging unit to be charged by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controlled by an output of the comparison unit to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charg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 내에서 기준 전류값을 결정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를 형성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타입의 다이오드는 동일한 문턱전압를 갖는다.Preferably, the PMOS transistor for determining the reference current value in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or and the PMOS transistor type diode for forming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have the same threshold voltage.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전압으로부터 소정 레벨의 기준 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 상기 전원 전압으로부터 전하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부; 상기 기준 전압과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제어되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for outputting a reference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from a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electric charges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reference voltage with the charging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And a discharge control part controlled by an output of the comparison part to discharge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ing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2A는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전체 회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각부 파형도이다.2A is an overall circuit diagram of an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B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2A.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기준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류 발생부(210),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전류를 이용하여 기준 전류에 비례하는 복수의 비례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 미러(220),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230), 상기 복수의 비례 전류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충전부(240),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과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250), 및 상기 비교부(250)의 출력에 제어되어 상기 충전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260)를 포함한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outputs a plurality of proportional currents proportional to the reference current by using the referen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can hav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기준 전류 발생부(210)는 전원전압(Vdd)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된 저항값에만 의존하여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며, 그 전류값은 다음의 수학식2와 같다.The reference
전류 미러(22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전류(m*Iref, n*Iref)는 기준 전류값을 1 배 이상의 임의의 배수로 복제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rrents m * Iref and n * Iref output from the
기준 전압 발생부(230)는 전류 미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N*Iref)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피모스 트랜지스터 타입의 다이오드에 걸리는 순방향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직렬연결된 피모스 트랜지스터(P2, P3)를 사용한다. 한편, 여기에 사용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는 기준 전류 발생부(210)에 사용된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P1)가 받는 공정변화와 동일한 공정변화를 받도록 설계함으로써 문턱전압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즉,The
이 된다.
.
먼저, 비교부(250)의 비반전 입력단자인 노드 1(node1)의 초기전압을 0볼트로 가정하면, 비교부(250)의 출력단자인 노드2(node2)의 전압은 0볼트이므로 스위칭부(260) 내 엔모스 트랜지스터(NDIS)는 턴오프되고, 피모스 트랜지스터(PDIS)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240) 내 커패시터(C)는 m*Iref의 전류로 충전된다. 충전 전압이 기준전압(Vref)에 이르게 되면 비교부(250)의 출력이 반전되어 0볼트에서 전원전압(Vdd)로 천이한다. 그러면 스위칭부(260) 내 피모스 트랜지스터(PDIS)는 턴오프, 엔모스 트랜지스터(NDIS)는 턴온되어 충전부(240)에 충전된 전하가 엔모스 트랜지스터(NDIS)를 통하여 방전하게 되므로 충전부(240)의 일측과 연결된 노드1(node1)의 전위가 순간적으로 0볼트로 하강한다.First, assuming that the initial voltage of node 1 (node1), which is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따라서, 비교부(250)의 출력(node2)은 재반전되어 0볼트가 되고, 스위칭부(260)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DIS)는 턴오프되며, 피모스 트랜지스터(PDIS)는 턴온되어 충전부(240)가 충전되므로 노드1의 전위는 기준전압(Vref) 레벨까지 상승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utput node2 of the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하기 수학식4와 같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peating such an operation may generate a frequency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수학식4에서 볼 수 있듯이,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전원전압, 공정변화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저항과 커패시터 그리고 회로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배수(m)에만 의존하는 정교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Equation 4,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generate a precise frequency that is not affected by power supply voltage, process change, etc., but depends only on the multiplier (m) which depends on the resistance, the capacitor,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have.
도 3A는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전체 회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각 부 파형도이다.FIG. 3A is an overall circuit diagram of an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3B is a respective sub waveform diagram of FIG. 3A.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복수의 직렬연결된 저항 내 소정 노드로부터 기준 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310), 전원 전압단과 연결되어 전하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부(320), 상기 기준 전압과 충전부의 충전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330),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제어되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제어부(340)를 포함한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can hav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기준 전압 발생부(310)는 전압 분할기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전압(Vref)은 (2/3)*Vdd의 크기를 갖는다.The
충전부(320) 내 저항(R0)를 통해 커패시터(C)에 충전되는 전압(node1)은 수학식5와 같다.The voltage node1 charged in the capacitor C through the resistor R0 in the
먼저, 비교부(330)의 반전 입력단자(-)와 연결된 노드1(node1)의 초기전압을 0볼트로 가정하면, 비교부(330)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노드2(node2)는 전원전위(Vdd)에 있으므로 방전제어부(340) 내 인버터(INV)는 "L"를 출력하고, 엔모스 트랜 지스터(N0)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320) 내 커패시터(C)에는 저항(R0)을 통해 전하가 충전되고, 노드1의 전위가 전원전위를 향하여 지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First, assuming that the initial voltage of node1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노드1의 전위가 기준전압에 이르게 되면 비교부(330)의 출력(노드2)이 반전되어 0볼트가 되며, 이에 따라 방전제어부(340) 내 엔모스 트랜지스터(N0)가 턴온되므로 충전부(320) 내 커패시터(C)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0)를 통해 충전 전하를 모두 방전하게 된다. When the potential of the
이후, 비교부의 출력(노드2)은 전원전위(Vdd)로 재반전되고 방전제어부(340)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0)는 턴오프되고, 충전부(320) 내 커패시터(C)에 전하가 충전된다.Thereafter,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node 2) is inverted to the power supply potential Vdd, the NMOS transistor N0 of the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수학식6과 같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generate a frequency as shown in Equation (6).
수학식6에서 볼 수 있듯이,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전원전압, 공정변화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저항과 커패시터에만 의존하는 정교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Equation 6,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generate a precise frequency depending only on a resistor and a capacitor without being affected by a power supply voltage, a process change,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전원전압의 변동에 영향받지 않으며, 제조공정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기 때문에 저항 및 커패시터 등을 사용하여 정교한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ffected by variations in power supply voltage and is not affected by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of generating sophisticated frequencies using resistors and capacitors.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529A KR101147355B1 (en) | 2004-07-16 | 2004-07-16 | Oscil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529A KR101147355B1 (en) | 2004-07-16 | 2004-07-16 | Oscill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6471A KR20060006471A (en) | 2006-01-19 |
KR101147355B1 true KR101147355B1 (en) | 2012-05-22 |
Family
ID=3711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55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355B1 (en) | 2004-07-16 | 2004-07-16 | Oscil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735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16722A (en) * | 1993-01-13 | 1994-08-05 | Fuji Electric Co Ltd | Triangular wave oscillator |
KR19990076264A (en) * | 1998-03-30 | 1999-10-15 | 윤종용 | Charge-Discharge Oscillator Using Constant Current and Its Oscillation Method |
-
2004
- 2004-07-16 KR KR1020040055529A patent/KR1011473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16722A (en) * | 1993-01-13 | 1994-08-05 | Fuji Electric Co Ltd | Triangular wave oscillator |
KR19990076264A (en) * | 1998-03-30 | 1999-10-15 | 윤종용 | Charge-Discharge Oscillator Using Constant Current and Its Oscill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6471A (en) | 2006-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70915A (en) | Accurate RC oscillator having peak - to - peak voltage control | |
EP0881765B1 (en) | Precision oscillator circuit having a controllable duty cycle and related method | |
US20090315530A1 (en) | Pulse controlled soft start scheme for buck converter | |
US11245360B2 (en) | Oscillator circuit, chip and electronic device | |
KR100825336B1 (en) | Semiconductor circuit | |
EP0379169B1 (en) | Signal delay circuit using charge pump circuit | |
KR20150106349A (en) | Dc/dc converter | |
KR101675561B1 (en) | Power device | |
KR100724559B1 (en) | Level shifter | |
JP2008205901A (en) | Triangular wave generation circuit | |
US5760655A (en) | Stable frequency oscillator having two capacitors that are alternately charged and discharged | |
KR101147355B1 (en) | Oscillator | |
KR100736056B1 (en) | Controller oscillator system and method | |
US7342463B2 (en) | Timer circuits and method | |
JP6998850B2 (en) | Constant current circuit | |
KR0168079B1 (en) | Clock generating apparatus | |
KR100816229B1 (en) | Oscillators for Semiconductor Devices | |
JP6352042B2 (en) | Delay circuit, oscill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 |
JP2003198338A (en) | Frequency multiplying circuit | |
KR20060077179A (en) | Oscillator Using Bandgap Reference Circuit | |
KR100422591B1 (en) | Pulse generator | |
KR940008192B1 (en) | Frequency divider with 50 percentage duty | |
JP4353791B2 (en) | Pulse generator | |
KR101125713B1 (en) | The Frequency-Osillator and The generation method of the signal having the constant frequency using the same | |
JP3392278B2 (en) | Oscil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4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