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7324B1 -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324B1
KR101147324B1 KR1020120032583A KR20120032583A KR101147324B1 KR 101147324 B1 KR101147324 B1 KR 101147324B1 KR 1020120032583 A KR1020120032583 A KR 1020120032583A KR 20120032583 A KR20120032583 A KR 20120032583A KR 101147324 B1 KR101147324 B1 KR 10114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moisture
meter
measuring
ind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중
Original Assignee
강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중 filed Critical 강기중
Priority to KR102012003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3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벼, 쌀, 보리, 콩 등의 곡물을 호퍼에 대량 투입시켜 일정단위씩 연속으로 계량하는 곡물 계량기의 일측면으로 곡물유도장치를 장착하여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할 때에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고 곡물만 유도하여 곡물의 수분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GRAIN INDUCING APPARATUS FOR MEASURING MOISTURE OF GRAIN METER}
본 발명은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벼, 쌀, 보리, 콩 등의 곡물을 곡물투입구를 통해 대량 투입시켜 일정단위씩 연속으로 계량하는 곡물 계량기의 일측면으로 곡물유도장치를 장착하여 곡물의 수분측정기로 곡물을 유도할 때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곡물만 유도하게 함으로써 곡물의 수분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곡된 곡물 즉 벼, 보리, 콩 등의 알갱이나 식물을 경작하게 되는 토양 또는 의약품을 제조하게 되는 분말상의 화합물에 대하여는 수분함량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추곡된 곡물의 경우, 건조상태로 품질을 판정하게 되는 데, 이때 수확된 곡물의 수분함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보관상태를 달리하여야 곡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곡물의 질이나 무게를 측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서, 통상의 곡물 계량기에는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곡물수분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곡물 수분측정기는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정전용량에 대한 수분함량을 산출하는 방법과 LED, FND 등을 이용한 수분측정기와 아날로그형 수분측정기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시도되는 일부 수분측정기는 텍스트형 LCD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 수분측정기에 의해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곡물계량기의 일측으로 곡물을 유도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60731호의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 유도장치"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개된 등록실용신안의 곡물유도장치로 곡물을 유도할 때 검불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지 않고 곡물과 검불 등의 이물질이 함께 유도되기 때문에 곡물류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할 때 오차율이 높아 정확한 수분측정값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곡물계량기의 내부에는 수분측정기로 유도하는 스크류와 수분측정시 곡물을 유도하는 유도호퍼가 곡물계량기의 내부에서 고정봉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곡물계량기로 투입되는 곡물과 혼합된 검불 등의 이물질로 인해 고정봉과 스크류에 이물질이 걸려 곡물이 원활하게 수분측정기로 유도되지 못함은 물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동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곡물계량시 곡물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곡물을 유도장치로 유도할 때, 곡물과 혼합된 검불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곡물만 유도장치로 유도하게 함으로써,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계량기(10)의 상부면에 천공된 곡물투입구(11)의 일측면을 폐쇄하여 연결된 측벽(12)의 하부에 수분측정용 곡물을 배출하기 위해 천공된 배출구(13)와, 상기 배출구(13)로 곡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도호퍼(20)를 지지하는 절곡편(30)(31)과, 상기 절곡편(30)(31)에는 지지핀(40)(41)으로 지지할 수 있게 양측면을 절곡하여 절곡면(21)(22)을 형성하되 일측면의 절곡면(21)은 연장하여 장공(15)으로 배출되게 레버(23)를 형성한 유도호퍼(20)와, 상기 레버(23)가 장착된 지지핀(41)에 장착되어 유도호퍼(20)를 탄발력으로 제어하는 탄성핀(50)과, 상기 레버(23)와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스프링(60)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유도호퍼(20)를 전후 이동할 수 있게 지지스프링(60)의 타단과 연결된 솔레노이드(70)의 작동간(71)과, 상기 배출구(1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을 천공하여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해가면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통공(14) 측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8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도호퍼(20)의 절곡면(21)에 형성되는 레버(23)의 하부를 둔각으로 급경사지게 절곡하여 배출구(13)의 외부로 배출판(24)을 노출하여 수분측정기(90)의 상부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구(13)에는 수분측정기(90)를 장착하여 배출구(13)로 배출되는 곡물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곡물계량기에 투입되는 곡물을 계량하는 과정에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고자 할 때, 곡물계량기의 내부에 장착된 유도호퍼를 작동하여 곡물을 수분측정기로 유도함은 물론 곡물에 함유된 검불 등의 이물질은 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이물질이 수분측정기로 유도되지 못하기 때문에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자 할 때만 유도호퍼를 곡물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젖히고 동시에 배출판의 끝단은 수분측정기의 수분측정공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곡물을 수분측정기의 수분측정공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도호퍼는 측벽에 밀착된 상태이고 동시에 배출판의 끝단은 수분측정기의 수분측정공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곡물이 수분측정기의 수분측정공으로 유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수분측정 작업시에만 둔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유도호퍼가 젖혀지면서 곡물을 유도함으로써 곡물이 급경사진 유도호퍼와 배출판으 따라 빠르게 수분측정기의 수분측정공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유도호퍼가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유도호퍼가 열려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곡된 곡물을 계량하는 과정에서 수분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곡물계량기(10)의 상부면에는 곡물을 투입할 수 있는 곡물투입구(11)를 천공하여 형성하되 일측의 상부면은 폐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곡물계량기(10)의 상부면이 폐쇄된 측벽(12)의 하부에는 곡물을 계량하면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수분측정기(90)로 측정하고자 할 때 곡물을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3)에 장착되어 곡물을 유도하는 유도호퍼(20)의 절곡면(21)(22)을 절곡편(30)(31)에 지지핀(40)(41)으로 장착하여 유도호퍼(20)가 전후 이동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유도호퍼(20)의 절곡면(21)(22)에 지지핀(40)(41)으로 지지할 수 있게 절곡편(30)(31)의 일측은 측벽에 고정하고, 절곡편(30)(31)의 타측은 유도호퍼(20)의 양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면(21)(22)에 밀착시켜 지지핀(40)(41)으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유도호퍼(20)의 양측으로 절곡된 절곡면(21)(22)의 일측은 연장하여 장공(15)으로 인출되게 레버(2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레버(23)가 장착된 지지핀(41)에는 탄성핀(50)을 장착하여 탄성핀(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유도호퍼(2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23)에는 지지스프링(60)의 일단을 연결하고, 또 지지스프링(60)의 타단은 솔레노이드(70)의 작동간(71)과 연결하여 솔레노이드(70)의 작동에 의해 작동간(71)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솔레노이드(70)의 작동에 의해 작동간(71)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스프링(60)과 연결된 레버(23)도 상하 이동하면서 레버(23)와 일체로 결합된 유도호퍼(20)가 전후 이동하면서 배출구(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간(71)과 지지스프링(60)의 연결은 작동간(71)의 하부에 고정핀(72)을 장착하여 지지스프링(60)의 타단과 연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곡물계량기(10)의 측벽에 형성된 배출구(1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을 천공하여 에어공급기(도면 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통공(14)측에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판(80)이 장착되게 구성한다. 상기 개폐판(80)은 축을 겸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다수개의 통공(14) 중 막는 개수에 따라 에어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곡물을 배출구(13)로 빨리 유도하여 수분측정기(90)로 곡물의 수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유도호퍼(20)의 절곡면(21)(22)에 형성되는 레버(23)의 하부를 둔각으로 급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된 배출판(24)을 배출구(13)의 외부로 노출시켜 수분측정기(90)의 수분측정공(91)에 인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도 4는 곡물계량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곡물을 유도하는 유도호퍼(20)가 닫혀진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도호퍼(2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곡물이 수분측정기(90)의 수분측정공(91)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곡물을 계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곡물계량기(10)로 투입되는 곡물을 채취하여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수분측정기(90)로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계량기(10)의 측벽에 장착된 솔레노이드(70)의 작동에 의해 작동간(71)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간(71)과 연결된 지지스프링(6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지지스프링(60)과 연결된 레버(23)는 장공(15) 내에서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레버(23)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레버(23)와 일체로 연결된 유도호퍼(20)는 지지핀(40)(41)을 축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고 동시에 배출판(24)의 끝단은 수분측정기(90)의 수분측정공(91)에 밀착되는데, 곡물투입구(11)를 통해 떨어지던 곡물의 일부는 상기 유도호퍼(20)에 의해 채취되어 급경사면을 타고 빠르게 하강하면서 배출판(24)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수분측정공(91)을 통해 수분측정기(90) 내부로 유입되어진다
그러나 이때 상기 유도호퍼(20)로 채취되어 공급되는 곡물에는 검불 등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곡물의 수분측정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분측정기(90)의 수분측정공(91)으로 이물질이 곡물과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13)의 상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14)을 통해 강하게 에어를 불어 검불 등과 같은 이물질들을 날려 곡물과 분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순수한 곡물만이 배출구(13)를 통해 수분측정기(90)로 공급되어진다. 이때 에어 공급은 공지의 콤프레셔 또는 팬과 같은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출구(13)를 통해 수분측정기(90)로 공급된 곡물은 수분측정기(90)에서 곡물의 수분 함량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곡물 중에서 흑미 등과 같이 가벼운 곡물은 개폐판(80)으로 다수개 천공된 통공(14)의 개수를 조절하여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흑미 자체가 날려 측정이 곤란한 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곡물계량기 11. 곡물투입구
12. 측벽 13. 배출구
14. 통공 15. 장공
20. 유도호퍼 21, 22. 절곡면
23. 레버 24. 배출판
30, 31. 절곡편 40, 41. 지지핀
50. 탄성핀 60. 지지스프링
70. 솔레노이드 71, 작동간
72. 고정핀 80. 개폐판
90. 수분측정기 91, 수분측정공

Claims (3)

  1. 곡물계량기(10)의 상부면에 천공된 곡물투입구(11)의 일측면을 폐쇄하여 연결된 측벽(12)의 하부에 수분측정용 곡물을 배출하기 위해 천공된 배출구(13)와,
    상기 배출구(13)로 곡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도호퍼(20)를 지지하는 절곡편(30)(31)과,
    상기 절곡편(30)(31)에는 지지핀(40)(41)으로 지지할 수 있게 양측면을 절곡하여 절곡면(21)(22)을 형성하되 일측면의 절곡면(21)은 연장하여 장공(15)으로 배출되게 레버(23)를 형성한 유도호퍼(20)와,
    상기 레버(23)가 장착된 지지핀(41)에 장착되어 유도호퍼(20)를 탄발력으로 제어하는 탄성핀(50)과,
    상기 레버(23)와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스프링(60)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유도호퍼(20)를 전후 이동할 수 있게 지지스프링(60)의 타단과 연결된 솔레노이드(70)의 작동간(71)과,
    상기 배출구(1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을 천공하여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해가면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통공(14) 측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8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호퍼(20)의 절곡면(21)에 형성되는 레버(23)의 하부를 둔각으로 급경사지게 절곡하여 배출구(13)의 외부로 배출판(24)을 노출하여 수분측정기(90)의 상부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3)에는 수분측정기(90)를 장착하여 배출구(13)로 배출되는 곡물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KR1020120032583A 2012-03-29 2012-03-29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83A KR101147324B1 (ko) 2012-03-29 2012-03-29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83A KR101147324B1 (ko) 2012-03-29 2012-03-29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324B1 true KR101147324B1 (ko) 2012-05-22

Family

ID=4627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5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324B1 (ko) 2012-03-29 2012-03-29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505A (ko) 2016-11-03 2018-05-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콩 내부 수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2031277B1 (ko) 2019-08-02 2019-10-11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곡물 수분 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809B1 (ko) * 1980-06-30 1986-10-24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저장 가능식료품의 습도를 계속하여 측정하는 장치
KR200160731Y1 (ko) 1997-04-17 1999-11-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 유도장치
KR200186577Y1 (ko) 1999-11-13 2000-06-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이중화 수분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809B1 (ko) * 1980-06-30 1986-10-24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저장 가능식료품의 습도를 계속하여 측정하는 장치
KR200160731Y1 (ko) 1997-04-17 1999-11-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 유도장치
KR200186577Y1 (ko) 1999-11-13 2000-06-15 서용교 곡물계량기의 이중화 수분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505A (ko) 2016-11-03 2018-05-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콩 내부 수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2031277B1 (ko) 2019-08-02 2019-10-11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곡물 수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38132B (zh) 一种全自动高速贴片led分光分色机
KR101147324B1 (ko) 곡물계량기의 수분측정용 곡물유도장치
CN204027530U (zh) 一种粉体角度测试装置
CN114593705A (zh) 一种高精密机械零部件检测装置
CN101861843A (zh) 一种投饲机及投饲均匀度测试方法
CN105347061A (zh) 一种烟丝结构检测器自动匀料进给装置
KR100989679B1 (ko) 로터형 원료 공급기
CN205373843U (zh) 液体失重式计量秤
CN205404192U (zh) 一种倾斜布置防堵的取样管
JP4927497B2 (ja) 無湿乾燥用ホッパー装置
KR101406388B1 (ko) 수분측정장치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CN110038792B (zh) 一种用于花生的大小筛分装置
CN110967103A (zh) 一种应用于碳纤维颗粒生产加工的失重称
CN208932575U (zh) 一种粉体输送计量装置
CN211246215U (zh) 一种固液自动混合配置系统
CN116331871A (zh) 一种定量加料机
JP2004028842A (ja) 粉粒体の計量装置
CN202038685U (zh) 流化库专用定量给料螺旋机
CN109675490B (zh) 粉尘发生设备及其控制方法
KR200206748Y1 (ko) 원료계량 및 이송혼합 시스템
CN111318193A (zh) 一种恒温恒湿粉尘环境模拟装置的发尘装置
KR20100026157A (ko) 유동층 혼합기를 이용한 석탄 성상 분석장치
CN207008676U (zh) 一种油菜籽数粒仪
CN207060881U (zh) 一种分析仪试剂存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505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51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